KR20100078617A -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 Google Patents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617A
KR20100078617A KR1020080136922A KR20080136922A KR20100078617A KR 20100078617 A KR20100078617 A KR 20100078617A KR 1020080136922 A KR1020080136922 A KR 1020080136922A KR 20080136922 A KR20080136922 A KR 20080136922A KR 20100078617 A KR20100078617 A KR 20100078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release plate
plate
bee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323B1 (ko
Inventor
최낙철
김진성
하남선
기영석
김종구
Original Assignee
부안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안군 filed Critical 부안군
Priority to KR102008013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Abstract

본 발명은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을 절감하고 수분이 적은 고품질의 꿀을 생산하고 벌의 증식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내부공간을 갖으며, 하단부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상단부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최하단, 중간, 최상단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비와 상기 소비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벌통본체의 사이에 끼움되는 판으로서, 여왕벌 및 일벌의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크기의 개방부가 형성되기 위하여 다수의 환봉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탈봉판과 상기 벌통본체 중 최상단에 위치한 벌통본체의 상부에 덮어지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봉, 벌통, 소비, 탈봉판, 격왕판

Description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BEEHIVE}
본 발명은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벌통본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벌통을 구성할 시에 상기 벌통본체의 사이에 여왕벌 및 일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개방부가 형성된 탈봉판을 끼움함으로써, 여왕벌 및 일벌의 이동은 불가능 하지만, 여왕벌의 페로몬이 포함된 공기의 유동은 가능하도록 하여 일벌이 수밀작업에 전념할 수 있으며 벌의 증식을 원활히 하여 꿀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양봉을 위해 소비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꿀을 채취하기 위해 꿀벌을 치는 양봉을 위하여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판으로 직사각형의 나무상자를 만들어 그 안에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벌통 하나로만 이루어진 단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양의 꿀을 생산하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벌통을 적층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계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계상으로 이루어진 벌통에서 종래에는 여왕벌과 일벌을 선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격왕판을 사용하였는데, 상기한 격왕판의 경우 여왕벌의 산란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나의 벌통 내에서 한쪽을 막아 여왕벌의 내왕을 막는 수직격왕판과, 2단 이상의 다단식일 때 여왕벌은 통과할 수 없고 일벌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격왕판으로 나누어져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비용이 이중으로 부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격왕판이 사용된 벌통의 경우에는 모두 여왕벌의 이동은 제한하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일벌의 이동은 가능한 크기의 통구가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왕벌 및 일벌이 내외로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1단 벌통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왕벌은 1단 벌통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여왕벌의 페로몬은 그 상단에 위치한 2,3단 벌통까지 전달되어 일벌들이 2,3단 벌통에서도 생활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2,3단 벌통에 위치한 일벌이 외부로 나오기 위해서는 수평격왕판을 통과하여 1단 벌통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과하여야 하는 까닭에 일벌이 꿀을 채취하는 수밀작업에 전념할 수 없이 이동하는데 많은 노동과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꿀의 생산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벌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종래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분이 많이 함유된 시간대의 수밀작업으로 인해 수분함량이 높은 꿀이 채취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되었다.
또한, 소비에 저장된 꿀을 채밀할 때의 과정에서 소비에 붙은 벌을 인위적으로 일일이 털어내야 했기 때문에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벌에 쏘이는 등의 사고 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며, 또한 이러한 과정은 벌에게 극심함 스트레스를 가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다수의 벌이 죽게 되어 벌의 증식이 원활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가 안정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꿀의 수밀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량에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벌통본체를 적층하였을 때 그 사이에 끼움하여 여왕벌 및 일벌의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이 불가하도록 탈봉판을 이용하여 일벌이 벌통본체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비되는 시간과 힘을 줄여 수밀작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꿀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분이 적은 꿀을 채취할 수 있도록 조절을 할 수 있어 고품질의 꿀을 생산 가능 할 뿐만 아니라 노동력이 절감되어 소규모 인력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채밀작업시에 벌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이로 인해 벌의 죽음을 막고 벌의 증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내부공간을 갖으며, 하단부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상단부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최하단, 중간, 최상단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비와 상기 소비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벌통본체의 사이에 끼움되는 판으로서, 여왕벌 및 일벌의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크기의 개방부가 형성되기 위하여 다수의 환 봉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탈봉판과 상기 벌통본체 중 최상단에 위치한 벌통본체의 상부에 덮어지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봉판은 상부에 위치하는 벌통본체의 출입구와 연결되어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를 조절하여 여왕벌 및 일벌의 외부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구가 측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봉판에 구성된 환봉의 배열을 관통하는 형태의 엮음판이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여왕벌 및 일벌의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이 불가하도록 탈봉판을 이용하여 채취하고자 하는 꿀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상세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100)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10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내부공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벌통본체(10)가 최하단, 중간, 최상단 벌통본체(11,12,13)으로 3단으로 구성되어 적층되어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다수의 소 비(20)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안착되어 있으며, 적층된 벌통본체의 사이에 탈봉판(30)이 각각 끼움되고, 상기 최상단 벌통본체(13)의 상부에 뚜껑(40)이 덮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종래에 두개 이상의 벌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계상 벌통에서는 일반적으로 최하단에 위치한 벌통에만 여왕벌 및 일벌이 내외로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층 및 최상단에 위치한 일벌들이 수밀작업을 위해서 벌통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긴 이동경로를 거처야 했으며, 또는 모든 층을 이루는 각각의 벌통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벌통 내부에 있는 벌을 통제하기가 어려웠다.
즉, 여왕벌 및 일벌의 드나듬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층되어 있는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층된 벌통본체의 사이에 탈봉판(30)이 각각 끼움하게 되며, 기존에 여왕벌은 통과할 수 없고 일벌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격왕판과는 그 기능과 효과면에서 상이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상기 탈봉판(30)은 다수의 환봉(31)이 벌통본체의 둘레면과 일치하는 크기의 사각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 지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환봉이 떨어지는 간격에 의해 구성되는 개방부(32)의 크기는 여왕벌 및 일벌이 모두 통과 할 수 없는 크기로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일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일벌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반적으로 벌꿀과 그에 따른 봉산물, 즉 밀랍, 화분, 로얄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양되는 꿀벌의 경우 그 몸체의 길이가 15mm내외이며, 몸체 두께가 보통 4 ~ 4.5mm이므로, 상기한 크기를 갖는 일벌이 통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환봉(31)간의 간격을 의미하는 개방부(32)의 크기는 2.5 ~ 3.5mm 범위 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는 사양되는 벌의 종류의 따라 달리하여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탈봉판(30)은 여왕벌이 위치한 벌통본체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벌통본체로 페로몬이 포함된 공기는 통과되어 유동가능하지만, 여왕벌 및 일벌의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하여, 여왕벌이 위치하지 않은 벌통본체에도 일벌들이 생활가능하되 외부로의 드나듬이 보다 간소화되고, 또한 상기한 드나듬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탈봉판을 구성하고 있는 사각틀의 일측면에 일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의 형태인 개폐구(33)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구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하여 핀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한 도어(34)가 상부에 위치하는 벌통본체의 출입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통본체(10)는 하단부에 출입구(14)가 형성되고 내측 상단부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비(20)가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서 지지되며, 이때 각각의 벌통본체에 구성되는 출입구(14)의 위치는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최하단 벌통본체(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하단부에 출입구(14)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탈봉판(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 벌통본체(12)와 최상단 벌톤본체(13)의 경우는 탈봉판에 구성된 개폐구(33)가 위치하는 저면의 일측에 출입구(14)가 형성되어 개폐구와 연결되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하단 벌통본체의 하부에는 일측이 좀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받침대(16)를 구성하여 벌들이 드나드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 중 탈봉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탈봉판을 구성하는 환봉의 배열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는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로도 여왕벌과 일벌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개방부(32)가 구성될 수 있는 환봉(31)의 배열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환봉의 배열을 관통하는 형태의 엮음판(35)을 더 형성하여 환봉의 결합을 보다 완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탈봉판의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환봉(31)을 배열하고, 상기 환봉을 관통하는 형태로서 탈봉판의 가로방향으로 엮음판(35)을 구성한 실시예이며, 도 3b는 이와는 반대로 탈봉판의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환봉(31)을 배열하고, 상기 환봉을 관통하는 형태로서 탈봉판의 세로방향으로 엮음판(35)을 구성하였다.
또한, 도 3c은 다수의 환봉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얽힌 형태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a 내지 3c에 공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환봉의 결합을 완고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엮음판 중에 중간부에 위치한 것은 그 두께를 탈봉판을 몸체를 구성하는 사각틀과 비슷하게 구성하였으며, 양측의 대응되는 형태의 끼움홈(36)을 구성하여 벌통본체의 사이에 끼움할 시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으며, 벌통본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위치로 작용될 수 있는 것 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4)는 핀에 의해서 반명 90˚내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게 되는데, 이와같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는 개폐구(33)의 개폐를 도어(34)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가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결합 단면도로서, 각각의
본 발명에 의해 3단으로 구성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100)의 최하단, 중간, 최상단 벌통본체(11,12,13)의 사이에 위치한 탈봉판(30)의 개폐구(33)가 도어(34)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벌통본체(11,12,13) 내부에 위치한 여왕벌 및 일벌의 상하 이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의 이동 또한 제한되었다.
이때, 도어를 회전하여 개폐구가 열리되 되면 상부에 위치한 벌통본체의 출입구(14)과 연결되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경로가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꿀의 품질과 생산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으로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상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 중 탈봉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벌통본체
14:출입구
15:걸림턱
16:받침대
20:소비
30:탈봉판
31:환봉
32:개방부
33:개폐구
34:도어
35:엮음판
36:끼움홈
40:뚜껑
100: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내부공간을 갖으며, 하단부에 출입구(14)가 형성되고 내측 상단부에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5)이 형성되어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최하단, 중간, 최상단 벌통본체(10);
    상기 벌통본체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소비(20);
    상기 소비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층된 벌통본체의 사이에 끼움되는 판으로서, 여왕벌 및 일벌의 벌통본체 간의 상하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크기의 개방부(32)가 형성되기 위하여 다수의 환봉(31)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탈봉판(30);
    상기 벌통본체 중 최상단에 위치한 벌통본체의 상부에 덮어지는 뚜껑(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봉판(30)은
    상부에 위치하는 벌통본체의 출입구와 연결되어 도어(3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를 조절하여 여왕벌 및 일벌의 외부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구(33)가 측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봉판(30)에 구성된 환봉(31)의 배열을 관통하는 형태의 엮음판(35)이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KR1020080136922A 2008-12-30 2008-12-30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KR10103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22A KR101030323B1 (ko) 2008-12-30 2008-12-30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22A KR101030323B1 (ko) 2008-12-30 2008-12-30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17A true KR20100078617A (ko) 2010-07-08
KR101030323B1 KR101030323B1 (ko) 2011-04-19

Family

ID=4263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922A KR101030323B1 (ko) 2008-12-30 2008-12-30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442B1 (ko) * 2008-05-16 2010-09-20 노태원 양봉용 격왕판
CN103181341A (zh) * 2013-03-09 2013-07-03 张�诚 斜底方形自动恒温中蜂蜂箱
KR101464461B1 (ko)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101498420B1 (ko) * 2014-04-01 2015-03-04 서금수 유도 격왕틀, 유도틀 및 이를 이용한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CN104585077A (zh) * 2014-12-29 2015-05-06 杭州千岛湖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王多箱多室多功能蜂箱
CN110352873A (zh) * 2019-08-15 2019-10-22 深圳市益蜂蜂业有限公司 一种多蜂王培育蜂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641A1 (en) * 2021-09-02 2023-03-09 A.C.N. 652 266 101 Pty Ltd Beehive frame transport car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1-05-15 정현원 3 단식 계상 벌통
KR200287083Y1 (ko) 2002-06-03 2002-08-27 윤지훈 계상형 벌통
KR200321192Y1 (ko) 2003-05-07 2003-07-25 김동수 벌꿀포장용기를 내부에 설치한 계상형 벌통
KR100716520B1 (ko) 2005-11-21 2007-05-11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442B1 (ko) * 2008-05-16 2010-09-20 노태원 양봉용 격왕판
CN103181341A (zh) * 2013-03-09 2013-07-03 张�诚 斜底方形自动恒温中蜂蜂箱
KR101498420B1 (ko) * 2014-04-01 2015-03-04 서금수 유도 격왕틀, 유도틀 및 이를 이용한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KR101464461B1 (ko)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CN104585077A (zh) * 2014-12-29 2015-05-06 杭州千岛湖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王多箱多室多功能蜂箱
CN110352873A (zh) * 2019-08-15 2019-10-22 深圳市益蜂蜂业有限公司 一种多蜂王培育蜂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323B1 (ko)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23B1 (ko)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CN204232094U (zh) 蜂箱及辅助设备
CN104335922A (zh) 一种蜂箱及辅助设备
JP2008529488A (ja) ミツバチ巣箱の蓋
US20200253168A1 (en) Bee Hive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WO2012011881A2 (en) A beehive base and roof for standard beehive body
JP3192877U (ja) 蜜蜂巣門構造
CN107821232B (zh) 便于收取蜂蜜的蜂箱
US4241467A (en) Method and system for two-queen operation and requeening of honey bee colonies
EP0014170A2 (fr) Plateau d'élevage et de nourrissement d'abeilles commandé de l'extérieur pour apiculture intensive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EP0071409A1 (en) Modular beehives
KR102378433B1 (ko) 양봉장치
RO128080A2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WO2008087398A1 (en) Apparatus for a hive
CN107006399B (zh) 一种人造工蜂巢和养蜂装置
EP0595280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ehren und Ausgleichen von Bienen und zum Ausschalten der Varroa-Milben
JP3245610U (ja) 蜜蜂巣箱
KR101453510B1 (ko) 양봉꿀 채취용 양봉통
KR102423306B1 (ko) 다기능 벌통 장치
JP6134517B2 (ja) 養蜂箱
US20230371477A1 (en) Beekeeping hive and method of beekeeping
CN210641979U (zh) 一种双层土养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