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48Y1 - 3 단식 계상 벌통 - Google Patents

3 단식 계상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48Y1
KR200223548Y1 KR2020000035325U KR20000035325U KR200223548Y1 KR 200223548 Y1 KR200223548 Y1 KR 200223548Y1 KR 2020000035325 U KR2020000035325 U KR 2020000035325U KR 20000035325 U KR20000035325 U KR 20000035325U KR 200223548 Y1 KR200223548 Y1 KR 200223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eehive
closed
opening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원
Original Assignee
정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원 filed Critical 정현원
Priority to KR2020000035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4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3단식 계상 벌통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벌통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과 측면은 폐쇄되면서 상기 측면의 하측에 꿀벌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왕벌의 산란과 육아실로 사용되는 소광이 복수개 안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단통과 상기 기단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貯密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광이 안착되는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비(巢脾)가 안착되는 상부통과 상기 상부통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페쇄되며 측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기단통과 중간통 사이에 안착되는 격왕판 및 상기 상부통과 덮개판 사이에 안착되는 내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밀월이 풍부한 대유밀기에 벌통내의 공간을 신축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환기가 잘되어 분봉열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어 일벌이 수밀작업에 전념하므로 벌꿀의 생산량이 증대 된다.

Description

3 단식 계상 벌통{three-floored beehive}
본 고안은 꿀을 채취하기 위해 꿀벌을 치는 벌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왕벌의 산란과 육아실로 사용되는 기단통과 꿀을 저장하는 저밀실이 중간통과 상부통이 적층되어 채밀(採蜜)량이 증가되는 3 단식 계상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봉사회는 벌망내에 산란하기만하는 한 마리의 여왕벌과 여왕벌과의 교미용의 소수의 숫벌과 본래는 암컷이었으나 중성화하여 봉군의 운영에 필요한 모든 일을 맡아하는 일벌이 한 무리로 구성된 선천적 분업사회이다. 여왕벌은 일벌에게 페로몬(PHEROMONE)을 주어 암컷의 일벌을 중성화는 동시에 통솔하며, 일벌은 여왕벌과 애기벌에게 왕유(로얄 제리)를 주어서 여왕벌의 난소의 발달을 촉진하여 산란을 활발하게 하며 또한 애기벌을 키운다.
그리고 일벌은 알에서 부화한 후 약 18 일 까지는 벌망, 집전체의 청소, 영와벌이나 애기벌에게 왕유공급, 집만들기, 화분(花粉)이나 벌굴의 저장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내역(內役)벌의 역활을 하고, 그후의 남은 생애의 10 일간은 집박으로 날아가 화분이나 꿀을 수집하고 집에 가지고 돌아와서 집안의 젊은 일벌들에게 넘겨서 벌망내에 비축케하고 적으로부터의 방위를 담당하는 외역(外役)벌의 임무를 수행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외역벌이 채취한 꽃꿀은 내역벌들이 가공하여 저장하는데, 상기 가공방법은 내역벌들이 꽃꿀을 마셨다 뱉었다 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이 증발하고 전화효소(轉化酵素)가 가미되어 자당(蔗糖)은 과당(果糖)과 포도당(葡萄糖)으로 변한다. 벌꿀의 수분함량이 20% 이하가 되어 가득차면 밀납과 화분을 섞어 밀개(蜜蓋)한다.
상기와 같은 꿀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꿀벌의 서식지인 벌통을 제공하고, 소비에 저장되는 꿀을 채밀기(採蜜器)를 사용하여 채취하게 된다.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 판으로 직사각형의 나무상자를 만들어 그 안에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벌통이 하나 있는 것을 단상이라고 하고 두개를 겹쳐서 만드는 것을 계상이라고 하고, 벌통의 밑판은 벌통의 원 몸체 보다 3 ∼ 5 cm 정도 앞으로 나오게 하여 벌들이 드나드는 작은 출입구를 만들어 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단상이나 계상식 벌통은 꽃과 꿀이 많아 밀원이 풍부한 5월말이나 6월초에는 새 일벌들이 많이 태어나고 유밀이 왕성해지면 봉군의 세력이 크게 불어나 여왕벌은 더 이상 알을 낳을 곳이 없어지고 일벌들은 꿀이나 꽃가루를 저장할 장소의 제한을 받게되어 새로운 여왕벌을 만들어 분봉에 나서게 되는 꿀벌의 습성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벌통은 밀월이 풍부한 계절에 벌통내의 일벌이 밀집되어 여왕벌이 분비하는 물질이 벌통내로 골고루 퍼지지 못하고, 환기가 불량하여 분봉열이 발생한다. 분봉열이 발생하면 꿀벌들은 수밀활동을 중지하고 분봉할 준비를 하기 위해 수밀작업을 소흘히 하므로 채밀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증식하는 분봉은 유전적으로 분봉성이 증가되어 계속적으로 분봉을 일으키므로 양봉 경영에 더욱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월이 풍부한 계절에 벌통내의 공간을 신축적으로 확장하여 환기가 잘되도록 하고 여왕벌이 분비하는 물질이 벌통내에 골고루 퍼지게 하여 분봉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벌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3단식 계상 벌통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3단식 계상 벌통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는 도 1 에 따른 3단식 계상벌통에 안착되는 소광의 사시도.
도 6 은 도 1 에 따른 3단식 계상벌통에 안착되는 소비의 사시도.
도 7a,7b 는 도 1 에 따른 3단식 계상벌통 개폐문의 사용 상태도와 단면도.
도 8a,8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단식 계상벌통 개폐문의 사용 상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3단식 계상 벌통, 10:기단통,
11:소광, 19:격왕판,
20:중간통, 30:상부통,
31:소비, 33:격리판,
35:수평 격리판, 40:덮개판,
70:출입구, 71,75:개폐문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3 단식 계상 벌통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과 측면은 폐쇄되면서 상기 측면의 하측에 꿀벌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왕벌의 산란과 육아실로 사용되는 소광이 복수개 안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단통과 상기 기단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貯密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광이 안착되는 중간통과 상기 중간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비(巢脾)가 안착되는 상부통과 상기 상부통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페쇄되며 측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기단통과 중간통 사이에 안착되는 격왕판 및 상기 상부통과 덮개판 사이에 안착되는 내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단통의 출입구를 걔폐하는 개폐부재가 추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는, 일단은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고 타단의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개폐문과 상기 개폐문이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와 해지시에 각각 상기 개폐문을 고정지지하는 탄성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3 단식 계상(繼箱) 벌통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3 단식 계상 벌통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3 단식 계상 벌통은 여왕벌의 산란과 육아실로 사용되는 기단통(10)과 저밀실로 사용되는 중간통(20)과 상기 중간통(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통(30) 및 상기 상부통(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판(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단통(10)의 상면은 개방되고 하측면은 기단판(15)으로 폐쇄되는데 상기 기단판(15)의 하부는 받침대(16)를 형성하여 상기 기단통(10)이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기단통(10)의 하부에 받침대(16)를 형성하는 것은 벌통내부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봉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단통(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통(20)은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貯密室)이 형성된다. 상기 기단통(10)과 중간통(20)의 내부에 안착되는 도 5 에 도시한 소광(11)은 목재의 합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측면으로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되어 상기 기단통(10)과 중간통(20)에 안착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져 여왕벌이 산란을 하고 육아를 할 수 있는 육아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벌꿀들은 초겨울이 되면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겨울잠에 들어간다. 이렇게 월동 중에는 산란 육아가 전혀 없는 상황이 되므로 벌들은 활동을 하지 않고 여왕벌을 중심으로 모여 집단을 이루어 체온을 유지하고 소량의 꿀을 먹으며 겨울잠을 자는데, 이때에는 상기 소광에 설탕물을 넣어두어 벌꿀들의 겨울식량으로 사용하게 한다.
상기 기단통(10)과 중간통(20) 사이에는 격왕판(19)이 설치되어 일벌들은 상기 기단통(10)과 중간통(20)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하고, 여왕벌은 상기 중간통(2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여왕벌은 상기 기단통(10)에서만 활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중간통(20)에는 일벌들이 꿀을 저장하는 저밀실로 사용된다.
상기 중간통(20)의 상부에는 상부통(30)이 안착되는데, 상기 상부통(30)은 상기 중간통(20)의 형상과 동일하고 내부에는 도 6 에 도시한 소비(31)가 안착된다. 상부 측면으로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된 상기 소비(31)는 벌꿀들이 채취한 꿀을 저장하는 곳으로, 이곳에서 꿀벌들은 밀랍을 분비하여 6각형의 벌집을 짓는다. 일벌들이 채취한 꽃꿀은 내역벌들이 꽃꿀을 마셨다 뱉었다 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이 증발될 뿐만 아니라 전화효소가 가미되어 자당은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하고 수분함량이 20% 이하가 되면 밀납과 화분을 섞어 밀개한다. 이렇게 밀개된 꿀은 채밀기에 의하여 채취된다.
상기 상부통(30)의 상부에는 환기구멍이 구비된 덮개판(40)이 안착된다. 상기 덮개판(40)의 상부는 밀폐하여 빗물이 상기 벌통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벌통내의 환기를 돕기 위하여 측면에 환기구멍(4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통(30)과 덮개판(40) 사이에는 내피(43)가 안착되어 꿀벌이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내피(43)는 공기가 쉽게 통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환기와 보온이 잘되는 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통(30)에는 봉군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격리판(33)을 설치한다. 상기 격리판(33)은 벌의 이동을 방지하는 판으로 상기 격리판(33)은 봉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통(30)이나 중간통(20)에 설치 할 수 있다. 즉 상기 소광(11)이나 소비(31)의 하측은 수평격리판(35)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벌들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격리판(33)은 상기 소광(11)이나 소비(31)와 달리 상기 수평격리판(35)과 밀착되어 벌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도 4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봉군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격리판(33)을 좌우로 이동하여 저밀실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기단통(10)의 하부에는 꿀벌들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70)가 형성되는데, 기단판(15)은 기단통(10)의 몸체보다 3∼5cm 정도 돌출되게 하여 꿀벌이 상기 출입구(70)를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밀원의 개화 시기에 따라 봉군을 이동할 때에는 꿀벌들이 상기 벌통내에서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구(70)를 폐쇄하여야 한다. 도 7a와 7b 에는 출입구(70)를 개폐하는 개폐문(7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문(71)은 손잡이(7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힌지(74)에 의해서 회동되며, 상기 개폐문(71)이 열리고 닫힐 때 개폐문(71)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단통(10)의 하측과 측면 상부에 금속재질의 탄성편(73)이 각각 고정 장착된다.
도 8a와 8b 에는 다른 실시예의 개폐문(75)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문(75)은 힌지로 상기 기단통(10)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단통(10)과 분리할 수 있다. 측면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76)가 구비되는 상기 개폐문(75)은 출입구 양측에 고정 부착된 탄성편(77)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지지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밀월이 풍부한 대유밀기(우리나라에서는 아카시아 유밀기)에 벌통내의 공간을 신축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환기가 잘되어 분봉열의 발생이 억제 되므로, 일벌이 수밀작업에 전념하고 따라서 벌꿀의 생산량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꿀을 채취하기 위해 꿀벌을 치는 벌통에 있어서,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과 측면은 폐쇄되면서 상기 측면의 하측에 꿀벌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왕벌의 산란과 육아실로 사용되는 소광이 복수개 안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단통;
    상기 기단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광이 안착되는 중간통;
    상기 중간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고 측면은 폐쇄되면서 내부에는 저밀실로 사용되는 복수개의 소비가 안착되는 상부통;
    상기 상부통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페쇄되며 측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된 덮개판;
    상기 기단통과 중간통 사이에 안착되는 격왕판; 및
    상기 상부통과 덮개판 사이에 안착되는 내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식 계상 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통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식 계상 벌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단은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고 타단의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개폐문과, 상기 출입구의 개폐시에 상기 개폐문을 고정지지하는 탄성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식 계상 벌통.
KR2020000035325U 2000-12-16 2000-12-16 3 단식 계상 벌통 KR200223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25U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0-12-16 3 단식 계상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25U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0-12-16 3 단식 계상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48Y1 true KR200223548Y1 (ko) 2001-05-15

Family

ID=7309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325U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0-12-16 3 단식 계상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48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37B1 (ko) * 2001-03-22 2003-06-25 김대립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KR100704199B1 (ko) 2005-10-21 2007-04-06 김대립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KR100716520B1 (ko) 2005-11-21 2007-05-11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1030323B1 (ko) 2008-12-30 2011-04-19 부안군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KR101365402B1 (ko) * 2013-11-08 2014-02-19 최순창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KR20170001507U (ko) * 2017-04-10 2017-04-28 김장춘 벌통 사양기
KR101931583B1 (ko) * 2017-05-24 2018-12-21 대한민국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KR200488701Y1 (ko) * 2017-08-04 2019-03-08 여주양봉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KR20200020477A (ko)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비비디 이중 격벽 구조를 가진 신개념 벌통
KR20200021190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비비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837B1 (ko) * 2001-03-22 2003-06-25 김대립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KR100704199B1 (ko) 2005-10-21 2007-04-06 김대립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KR100716520B1 (ko) 2005-11-21 2007-05-11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1030323B1 (ko) 2008-12-30 2011-04-19 부안군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KR101365402B1 (ko) * 2013-11-08 2014-02-19 최순창 벌집꿀 채집용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양봉 방법
KR20170001507U (ko) * 2017-04-10 2017-04-28 김장춘 벌통 사양기
KR200488035Y1 (ko) * 2017-04-10 2018-12-06 김장춘 벌통 사양기
KR101931583B1 (ko) * 2017-05-24 2018-12-21 대한민국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KR200488701Y1 (ko) * 2017-08-04 2019-03-08 여주양봉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KR20200020477A (ko)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비비디 이중 격벽 구조를 가진 신개념 벌통
KR20200021190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비비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5313A (en) Bee hive
KR200223548Y1 (ko) 3 단식 계상 벌통
Van Heemert et al. Year-round production of bumble bee colonies for crop pollination
Wahengbam et al. Role of bumble bee in pollination.
CN107047377B (zh) 可改善蜜蜂环境的蜂箱
CN103141410A (zh) 内圆外方自动恒温中蜂蜂箱
US4337541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0388837B1 (ko)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US3927431A (en) Ventilating spacer for beehive
US4546509A (en) Multiple queen beehive
KR200374037Y1 (ko) 1군 2왕벌용 벌통
RU159830U1 (ru) Улей-универсал
Kasangaki et al. Beehives in the world
HU223065B1 (hu) Kaptár és eljárás kaptárak és méhek atkamentesítésére
US4494263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bee flight control
KR20110006078U (ko) 양봉용 인공벌집
CA2399521A1 (en) Insect rearing tray
CN205511584U (zh) 一种授粉用安全蜂箱
US4435866A (en) Pollen trap for beehives with dual entranceways
Yoon et al. The Flight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terrestris, after diapause termination affects to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RU114586U1 (ru) Улей-колода "комби"
GB2506641A (en) Beehive with slotted base
JP2001161205A (ja) みつばち巣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