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583B1 -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 Google Patents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583B1
KR101931583B1 KR1020170064040A KR20170064040A KR101931583B1 KR 101931583 B1 KR101931583 B1 KR 101931583B1 KR 1020170064040 A KR1020170064040 A KR 1020170064040A KR 20170064040 A KR20170064040 A KR 20170064040A KR 101931583 B1 KR101931583 B1 KR 10193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beehive body
opening
be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663A (ko
Inventor
윤형주
이경용
신민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6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58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Abstract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가지며, 벌 출입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벌통몸체와, 상기 벌통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소초광과,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에 적치되는 일체형의 먹이공급 겸용 개포와, 상기 벌통몸체의 외측면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받침턱의 상부에 적치되어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벌통몸체의 하면에 상기 벌통몸체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개포를 통한 먹이공급이 가능하여 수직사양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벌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여 수심이 수직사양기에 비해 깊지 않아 꿀벌들이 사양수를 쉽게 마실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면서 개포의 개구에 화분을 공급함으로써, 개포를 열지 않고 먹이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에 쏘일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포가 화분과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 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가 쉽고 제조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분매개용 꿀벌벌통의 표준화, 규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미생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하여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 및 관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Bee hive for pollinating bee}
본 발명은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수직사양기가 필요 없어 부피가 작고, 사양수가 차가워지지 않아 꿀벌들이 쉽게 마실 수 있으며, 개포를 열지 않고 먹이를 공급할 수 있어 안전할 뿐만 아니라, 개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간단한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왕유(로열 젤리), 벌꿀, 화분, 밀랍(Bee wax) 등을 생산하기 위해서 꿀벌을 사양하는 것으로, 벌은 벌통 내부에 있는 소초광에 집을 지어 소비를 형성한다.
벌통은 기본 통 하나로 구성되는 단상형 벌통과 기본 통에 상하단이 개방된 벌통을 하나 더 적치한 계상형 벌통이 있다.
이와 같은 벌통은 월동기, 장마철, 개화기 등과 같은 무밀기에 벌들이 충분한 양의 꿀을 자연적으로 채밀할 수 없는 경우와 유밀기에도 채밀량이 부족할 경우에, 설탕물, 꿀물 등과 같은 사양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벌통 내에 수직사양기를 구비하여 부족한 채밀량을 충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직사양기는 일반적으로 벌통 안 가장자리에 삽입되는데, 그로 인하여 벌통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지면의 냉기로 인해 사양수가 차가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양수와 화분(꽃가루)을 공급할 경우, 훈연제 처리를 하면서 개포를 열어 사양수와 화분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벌에 쏘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6520호 (2007. 05. 03. 등록)
본 발명은 먹이공급 겸용 개포를 사용함으로써, 수직사양기가 필요하지 않아 벌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양수를 꿀벌들이 쉽게 마실 수 있으며, 개포를 열지 않고 먹이를 공급하여 안전하고, 개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간단한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미생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가지며, 벌 출입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벌통몸체와, 상기 벌통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소초광과,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에 적치되는 일체형의 먹이공급 겸용 개포와, 상기 벌통몸체의 외측면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받침턱의 상부에 적치되어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벌통몸체의 하면에 상기 벌통몸체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포는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벌 통로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포는 내부가 빈 함체로 상기 통로용 개구의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된 개구벽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개포벽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사양수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포는 상기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T'형태의 보조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몸체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소초광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몸체는, 안정적으로 벌이 착륙할 수 있도록 상기 벌 출입구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벌통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착륙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통몸체는, 상기 벌 출입구에 개폐기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기는, 일측에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판과, 상기 판의 타측을 상기 벌통몸체에 일부 고정시켜 상기 판이 회전이 되도록 하는 고정 핀과, 상기 판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판을 걸 수 있는 고정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은 개포를 통한 먹이공급이 가능하여 수직사양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벌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여 수심이 수직사양기에 비해 깊지 않아 꿀벌들이 사양수를 쉽게 마실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면서 개포의 개구에 화분을 공급함으로써, 개포를 열지 않고 먹이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에 쏘일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포가 화분과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 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가 쉽고 제조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분매개용 꿀벌벌통의 표준화, 규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미생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하여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 및 관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몸체와 소초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몸체와 개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의 정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가 구비된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몸체와 소초광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몸체와 개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의 정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가 구비된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벌통몸체(110), 소초광(120), 개포(130), 덮개(140), 받침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벌통몸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가지며, 벌 출입구(111)가 하부에 형성되고, 덮개(14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턱(112)이 외측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벌통몸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 될 수 있고, 목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벌통몸체(110)는 가로 49-50 cm, 세로 20-21 cm, 높이 25-27 cm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상자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받침턱(112)은 돌출 폭이 1-2 cm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로, 세로, 높이가 상술한 수치보다 미만일 경우 소초광(120)이 적게 들어가서 비효율적이고, 상술한 수치를 초과할 경우 사람이 운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벌통몸체(110)는 상술한 수치 범위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벌 출입구(111)는 최대높이가 1-2 cm인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최대높이가 1 cm보다 미만일 경우 벌이 들어갈 수 없고, 최대높이가 2 cm를 초과할 경우 말벌 등과 같은 해충이 들어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벌 출입구(111)는 상술한 수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벌통몸체(110)는 내측면 상부에 소초광(120)이 안착되는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걸림턱(113)은 벌통몸체(110)의 내측면 상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내부 일측면 및 내부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걸림턱(113)에 소초광(12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턱(120a)이 걸리게 됨으로써, 소초광(120)이 벌통몸체(110)의 바닥에 닿지 않고, 바닥으로부터 1-2 cm 이격되어 안착됨으로써, 벌이 벌통몸체(11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벌통몸체(110)는 안정적으로 벌이 착륙할 수 있도록 벌 출입구(111)의 하부에 인접하여 벌통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착륙판(11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착륙판(114)은 외측으로 3-4 cm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수치보다 미만일 경우에는 수많은 벌들이 동시에 착륙할 공간이 부족하고, 상술한 수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벌통을 적재 시에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착륙판(114)은 상술한 수치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벌통몸체(110)는 벌 출입구(111)에 개폐기(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폐기(115)는 일측에 돌출된 손잡이(115a)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판(115b)과, 판의 타측을 상기 벌통몸체에 일부 고정시키는 고정 핀(115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폐기(115)는 벌통을 다른 곳으로 옮길 경우, 벌 출입구(111)를 막아 벌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착하면 다시 벌 출입구(111)를 열어 벌이 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기(115)는 판(115b)이 고정 핀(115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판(115b)을 회전시킬 경우에 판(115b)을 걸 수 있는 고정 고리(115d)를 포함할 수 있다.
소초광(120)은 벌들이 집을 지을 수 있도록 벌통몸체(110)의 내부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초광(120)은 소광과 소초로 구성이 되는데, 목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소초를 감싸는 틀을 소광이라 하고, 밀랍을 평판으로 하여 육각의 모양으로 제작된 것을 소초라고 한다.
또한, 소초광(120)에 벌들이 집을 지어놓으면 소비라 하며, 소비 상단은 꿀을 저장하는 꿀방으로 이용되고, 소비 중앙부 및 하단부는 봉충방(벌의 애벌레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포(130)는 일체형으로, 벌통몸체(110)의 상부에 적치되어 먹이공급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포(130)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바닥면(131)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개포벽(132)이 형성된 내부가 빈 함체로 제공되되, 함체의 바닥면(131)에 상하로 관통되는 벌의 통로용 개구(133)가 형성되고, 개구(133)의 가장자리가 상부로 돌출된 개구벽(134) 형태로 형성되며, 함체의 내부 바닥부에 사양수가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개포(130)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는 받침턱(112)을 제외한 벌통몸체(110)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나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133)는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벌통몸체(110)와 개구(133)가 사각형일 경우, 개구(133)의 가로 길이는 벌통몸체(110) 개구(133)의 가로 길이의 30-40 %, 개구(133)의 세로 길이는 벌통몸체(110) 세로 길이의 60-70 %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3)의 크기에 따라 소초광(120)의 일부가 개구(133)를 통해 3-4 개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133)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가 상술한 비율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화분이 사양수에 비해 적은 양이 공급되고, 상술한 비율을 초과한 경우에는 사양수가 화분에 비해 적은 양이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개구(133)는 상술한 수치 범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포(130)의 높이는 2.5-3.5 cm로 형성될 수 있고, 개구(133)의 가장자리 높이는 개포(130)의 높이의 80-100 %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133)의 높이가 상술한 비율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사양수가 적게 공급되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개구(133)는 상술한 수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분은 개구(133)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개구(133)를 통해 소초광(120) 위에 소초광(120)의 일부가 보이도록 배치되고, 사양수는 개포(130)의 바닥에 채워져 벌들이 소초광(120)에서 개구(133)로 나와 화분과 사양수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131)에 상부로 돌출된'T' 형태의 보조벽(135)이 형성됨으로써, 벌이 보조벽(135)의 상부에 앉아서 사양수를 섭취할 수 있고, 수축에 의해 개포(130)가 뒤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벽(135)의 높이는 개포(130) 높이의 70-75 %로 형성되고, 보조벽(135)의 가로길이는 개포(130) 가로길이의 40-45 %로 형성되고 보조벽(135)의 세로길이는 개포(130) 세로길이의 30-35 %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조벽(135)의 높이,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가 상술한 비율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개포(130)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힘들고, 상술한 비율을 초과한 경우에는 적은 양의 사양수가 공급되고, 벌이 앉아서 사양수를 섭취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보조벽(135)은 상술한 수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수직사양기는 사양수를 공급할 경우, 수심이 깊게 형성되어 벌이 익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익사하지 않도록 별도의 장치를 사양기 내에 구비해야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포(130)는 사양수가 공급되어도 수심이 깊지 않아 익사하지 않도록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다.
덮개(140)는 벌통몸체(11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받침턱(112)의 상부에 적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덮개(140)는 개포(130)를 덮어 벌통몸체(110)를 외부로부터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포(13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높이를 6-7 cm로 하여 받침턱(112)에 적치하여도 개포(130)와 덮개(140) 사이에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벌들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받침대(150)는 벌통몸체(110)가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벌통몸체(1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받침대(150)는 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일정 높이의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벌통몸체(110)의 하면에 복수개를 구비하여 벌통몸체(110)를 지면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토양의 미생물로 인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은 개포를 통한 먹이공급이 가능하여 수직사양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벌통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여 수심이 수직사양기에 비해 깊지 않아 꿀벌들이 사양수를 쉽게 마실 수 있다.
또한, 개포의 바닥면에 사양수를 공급하면서 개포의 개구에 화분을 공급함으로써, 개포를 열지 않고 먹이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벌에 쏘일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포가 화분과 사양액을 동시에 공급 가능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가 쉽고 제조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꿀벌벌통의 표준화, 규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벌통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미생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하여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 및 관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벌통몸체 111: 벌 출입구
112: 받침턱 113: 걸림턱
114: 착륙판 115: 개폐기
120: 소초광 130: 개포
131: 바닥면 132: 개포벽
133: 개구 134: 개구벽
135: 보조벽 140: 덮개
150: 받침대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가지며, 벌 출입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벌통몸체와,
    상기 벌통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소초광과,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에 적치되는 일체형의 먹이공급 겸용 개포와,
    상기 벌통몸체의 외측면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받침턱의 상부에 적치되어 상기 벌통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벌통몸체의 하면에 상기 벌통몸체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포는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벌 통로용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빈 함체로 상기 통로용 개구의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된 개구벽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개포벽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사양수가 채워지며, 상기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T'형태의 보조벽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벽은 상기 벌이 상부에 앉아서 상기 사양수를 섭취하며, 수축으로 인한 상기 개포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몸체는, 내측면 상부에 상기 소초광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몸체는, 안정적으로 벌이 착륙할 수 있도록 상기 벌 출입구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벌통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착륙판을 구비하는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몸체는, 상기 벌 출입구에 개폐기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기는,
    일측에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판과,
    상기 판의 타측을 상기 벌통몸체에 일부 고정시켜 상기 판이 회전이 되도록 하는 고정 핀과,
    상기 판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판을 걸 수 있는 고정 고리를 포함하는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KR1020170064040A 2017-05-24 2017-05-24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KR10193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40A KR101931583B1 (ko) 2017-05-24 2017-05-24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40A KR101931583B1 (ko) 2017-05-24 2017-05-24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63A KR20180128663A (ko) 2018-12-04
KR101931583B1 true KR101931583B1 (ko) 2018-12-21

Family

ID=6466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040A KR101931583B1 (ko) 2017-05-24 2017-05-24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5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48Y1 (ko) * 2000-12-16 2001-05-15 정현원 3 단식 계상 벌통
KR101027461B1 (ko) * 2008-04-29 2011-04-06 금 석 오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48Y1 (ko) * 2000-12-16 2001-05-15 정현원 3 단식 계상 벌통
KR101027461B1 (ko) * 2008-04-29 2011-04-06 금 석 오 화분통을 구비한 양봉용 사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63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613B2 (en) Multi-chamber selective-exposure aquarium
US8814630B2 (en) PVC beehive
US7096821B2 (en) Ceramic accessories for wild birds
US20060037546A1 (en) Bird feeder
KR101593181B1 (ko)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102178345B1 (ko)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US10292339B2 (en) Terrarium
KR101464461B1 (ko) 벌집꿀 채집을 위한 한봉식 벌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서양꿀벌 양봉 방법
KR200470440Y1 (ko) 벌 사양용 벌통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KR101931583B1 (ko) 화분매개용 꿀벌 벌통
KR100716520B1 (ko) 개량식 토종벌통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20190052512A (ko) 여왕벌용 소초광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200410878Y1 (ko) 개량식 토종벌통
KR20160112913A (ko) 계상 소비 벌통
KR101553405B1 (ko) 파이프형상의 저장용기에 소밀을 강제로 생산 및 저장토록 하는 벌통
KR101837745B1 (ko) 소형 4군 교미상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KR101553404B1 (ko) 강제로 저장용기에 소밀을 생산 및 저장토록 하는 벌통
CN209234686U (zh) 一种鱼缸花瓶
KR200381205Y1 (ko) 양봉용 화분그릇
CN209185390U (zh) 一种仿岩屋养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