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90A -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 Google Patents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90A
KR20200021190A KR1020180096623A KR20180096623A KR20200021190A KR 20200021190 A KR20200021190 A KR 20200021190A KR 1020180096623 A KR1020180096623 A KR 1020180096623A KR 20180096623 A KR20180096623 A KR 20180096623A KR 20200021190 A KR20200021190 A KR 2020002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ehives
beehive
analo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임
박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디
Priority to KR102018009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190A/ko
Publication of KR2020002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01L3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에는 계상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에는 벌들이 출입하는 소문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으로부터 낙하되는 벌들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수거하도록 형성되는 거름판과, 상기 하우징의 중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이 거치된 상부를 향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여 상기 계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beehive holder for applying IOT function to analog beehive}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날로그식 벌통을 개조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벌통에 장착하지 않고 IOT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이라 함은 벌꿀, 화분, 로열젤리, 밀랍 등을 얻기 위하여 꿀벌들을 벌통에서 인위적으로 생육하는 것을 말하며, 단상을 이용하거나 단상의 상부에 계상을 얹혀 벌통의 크기를 확장하여 양봉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3548호는 3단식 계상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단상(10)에 여왕벌을 가두어 산란방을 형성하고 단상의 상부에는 격왕판(19)을 배치하여 여왕벌이 계상(20, 3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며, 계상(20, 30)에는 다수의 소비(31)를 단상(10) 및 계상(20, 30)에 배치함으로써 꿀벌이 소비(31)에 꿀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대폭 증가시켜 채밀량을 높이는 점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벌통의 내부 환경이나 벌들의 생육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각각의 벌통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계상이 적층된 경우 상부에 적층된 계상을 제거해야 하부에 배치된 단상 또는 계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벌통에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벌통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벌통은 센서가 내장되거나 부착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기존의 벌통을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벌통에 센서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 벌통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354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는 계상을 거치하는 것만으로 계상 내부의 환경정보를 원격으로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상 내부에 응애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응애나 해충에 의한 피해가 발생 또는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전자 장치를 계상과 분리시켜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에는 계상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에는 벌들이 출입하는 소문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으로부터 낙하되는 벌들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수거하도록 형성되는 거름판과, 상기 하우징의 중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이 거치된 상부를 향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여 상기 계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상기 거름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상기 공조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공조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계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된 내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소문을 출입하는 벌들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벌에 붙은 응애 또는 해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상기 공조부는 상기 계상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벌에 붙어 계상 내부로 유입된 응애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이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면 상기 계상의 하중을 측정하여 저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습도센서는 길이조절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거치되는 계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조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조함과, 상기 공조함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함과 상기 제어함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계상 내부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동작정보를 수신 받아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상기 공조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계상으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면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는 계상을 거치하는 것만으로 계상 내부의 환경정보를 원격으로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의하면 계상 내부에 응애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응애나 해충에 의한 피해가 발생 또는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의하면 각 전자 장치가 계상과 분리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벌통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를 분리시켜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 정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가 조립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계상이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날로그식 벌통을 개조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벌통에 장착하지 않고 IOT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에는 계상(1)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에는 벌들이 출입하는 소문(101)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계상(1)으로부터 낙하되는 벌들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수거하도록 형성되는 거름판(110)과, 하우징(100)의 중단에 형성되며 계상(1)이 거치된 상부를 향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여 계상(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부(50)와,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우징(100)에 형성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에 도 8의 계상(1)이 적층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계상(1) 내부로 벌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전면 상단에 소문(101)이 형성되어 있다.
소문(101)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는 벌이 안착하여 소문(101)을 기어서 통과할 수 있도록 받침대(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00)에는 IOT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8의 계상(1)이 거치되면 계상(1) 내부의 온도, 습도, 저밀상태, 응애 및 해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공조부(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조함(130)과, 공조함(130)의 하부에서 제어부(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함(140)을 더 포함하며,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은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함(130)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공조부(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환기구(13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 공기가 공조함(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함(140)은 공조함(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제어부(6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은 각각 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 외부로 돌출되거나 전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공조부(50)와 제어부(60)에 문제가 있는 경우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시켜 간편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의 전면에는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00)으로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판(110)은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벌들이 소문(101)을 통해 계상(1) 내부로 출입할 때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면서, 계상(1) 내부에서 발생되는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낙하하였을 때 하우징(100) 내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때 거름판(110)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거름판(110)에 걸러진 벌들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켜 계상(1)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공조부(50)는 거름판(110)의 하부에 형성된 공조함(130)에 수용되며 외부 공기를 상부에 형성된 계상(1) 내부로 보내어 통풍 시킬 수 있게 되고, 계상(1) 내부 온도에 따라 외부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계상(1)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계상(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조부(5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계상(1)으로 공급하는 송풍팬(51)과, 송풍팬(51)의 일면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5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팬(51)은 공조함(130)의 개구된 환기구(132)에 밀착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가 공조함(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송풍팬(51)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소자(52)는 송풍팬(51)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열전소자(52)와 송풍팬(51) 사이에는 히트싱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트싱크는 열전소자(52)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송풍팬(51)에 의해 인입된 공기와 접촉되게 된다.
히트싱크는 외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송풍팬(51)에 의해 인입된 공기로 열전달을 촉진시켜 가열 또는 냉각되고, 히트싱크와 접촉된 공기는 하우징(100)의 상부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계상(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형성된 제어함(140)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계상(1)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공조부(5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외부 단말기(41)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40)을 더 포함하며, 제어부(60)는 통신모듈(40)을 통해 계상(1) 내부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동작정보를 수신 받아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모듈(40)은 외부에 형성된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원격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기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통신모듈(40)에 의해 하우징(100)에 장착된 각종 장치의 동작상태 및 계상(1) 내부의 상태정보를 원격으로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다수의 벌통 중 문제가 있는 벌통만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인력소모가 감소되고 관리할 수 있는 벌통의 수도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41)를 통해 통신모듈(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사용자가 특정 벌통의 내부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내부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며 계상(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20)를 더 포함하며, 온습도센서(20)는 길이조절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하우징(100)의 상부에 거치되는 계상(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습도센서(20)는 하우징(100)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연결홀(105)을 통해 제어부(60)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온습도센서(20)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또는 다단 안테나로 이루어진 지지봉(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봉(21)의 길이조절을 통해 계상(1)이 적층되지 않았을 때는 온습도센서(20)가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봉(21)의 길이를 줄이고, 계상(1)이 적층되었을 때에는 지지봉(21)의 길이를 연장시켜 온습도센서(20)가 계상(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21)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된 후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온습도센서(20)의 상단을 계상(1) 내부에 위치시킬 때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며 소문(101)을 출입하는 벌들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1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60)는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벌에 붙은 응애 또는 해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조부(50)는 계상(1)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벌에 붙어 계상(1) 내부로 유입된 응애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10)는 소문(101)에 출입하는 벌들이 촬영되도록 소문(10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메라(10)는 벌들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어부(60)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60)는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벌들의 몸에 붙은 응애가 존재하는지 검출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10)에는 촬영 각도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11)는 제어함(140)의 전면에 형성된 후 지지홀(142)에 의해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카메라(10)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즉, 카메라(10)는 지지대(11)에 의해 소문(101)의 전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소문(101)을 출입하는 벌들을 촬영하게 되고, 제어부(60)의 유지보수를 위해 제어함(140)을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경우 카메라(10) 및 지지대(11)도 제어함(140)과 함께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60)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기 입력된 응애 이미지와 유사한 패턴, 형상, 색상을 가진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게 되며, 기 입력된 응애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 응애가 계상(1) 내부로 인입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응애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60)는 통신모듈(40)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41)로 응애 검출 여부를 알려주게 되고, 제어부(60)는 계상(1) 내부에 존재하는 응애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부(50)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계상(1)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는 꿀벌이 생존하는 50℃ 이하의 온도에서 응애의 사멸 온도인 36℃이상으로 계상(1)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계상(1) 내부에 존재하는 응애를 사멸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응애를 사멸하기 위해 제어부(60)는 계상(1) 내부의 온도를 40~42℃로 상승시킨 후 45~60분 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계상(1) 내부 온도가 전체적으로 36℃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계상(1) 내부 온도를 응애가 사멸하는 36℃에 맞추는 경우 특정 부위에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계상 내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의 온도가 36℃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애가 사멸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계상(1) 내부 온도를 40~42℃까지 상승시켜 열손실이 발생하더라도 계상(1) 내부 온도가 36℃ 이상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온도를 45~60분 동안 유지하여 응애가 충분히 열을 받아 사멸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응애 외에 말벌을 검출할 수도 있게 되며, 말벌이 검출되는 경우 말벌의 사멸 온도인 46℃이상 50℃ 미만으로 계상(1) 내부를 가열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꿀벌은 50℃까지 견딜 수 있기 때문에 말벌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60)는 영상정보를 꿀벌 이미지와 비교하여 꿀벌이 아닌 해충이 계상(1) 내부로 유입된 경우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해충이 검출되었다는 알람 및 검출된 해충 이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충을 확인하고 직접 구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계상(1)이 하우징(100)에 거치되면 계상(1)의 하중을 측정하여 저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무게센서(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게센서(30)는 계상(1)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계상(1) 하부면이 접촉되는 측정단(104)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계상(1)의 하중을 측정하여 계상(1) 내부에 저장된 꿀의 용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게센서(30)는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정단(104)은 하우징(100)의 외면과는 분리되어 있어 계상(1)의 하중에 의해 하강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는 무게센서(30)를 통해 양봉 전에 측정된 계상(1)의 하중과 양봉이 시작된 후 계상(1)의 하중을 서로 비교하여 저밀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통신모듈(40)을 통해 저밀상태를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는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벌통의 채밀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60)는 계상(1)의 하중이 설정된 하중 이상이 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채밀을 진행하라는 알람을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를 분리시켜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거름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거름판(110)을 통과한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공조부(5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공조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계상(1)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통풍구(121)가 형성된 내검판(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검판(120)은 거름판(110)과 공조함(13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거름판(110)을 통과하는 미세한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공조함(13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검판(120)은 하우징(100)의 전면 외부로 빼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판(110)을 통과하여 내검판(120)의 상부에 쌓인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을 확인하여 벌들의 질병 또는 내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거름판(110)과 내검판(120)을 슬라이딩시켜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빼거나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단(109)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단(109)을 통해 거름판(110)과 내검판(120)이 수평상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름판(110)과 내검판(120)을 통해 계상(1) 내부에서 낙하되는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거름판(110)과 내검판(12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빼내어 분비물과 오염물질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계상(1)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공조함(130)의 환기구(132)에는 외부에서 말벌이나 해충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망사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기구(132)가 형성된 공조함(130) 내측에는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즐(13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133)은 상부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133) 내부에는 도 2의 송풍팬(51)과 열전소자(52)가 형성되게 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상부 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내검판(120)에는 노즐(133)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121)가 형성되어 있게 되며, 도 2의 공조부(5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내검판(120)을 통과하여 계상(1)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의 후면에는 각각 관통홀(131)과 배선홀(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이 하우징(100)에 삽입되게 되면, 하우징(100)에 형성된 도 5의 제2연결홀(106)과 제3연결홀(107)에 의해 하우징(100) 외부로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100) 정면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100)의 양측 면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단(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단(103)의 상부에는 무게센서(30)가 형성되어 있다.
무게센서(30)의 상부는 도 8의 계상(1)이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정단(104)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측정단(104)은 하우징(100)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계상(1)이 거치되었을 때 계상(1)의 하중에 의해 하부 방면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계상(1)의 하중에 의해 측정단(104)이 하강되면서 무게센서(3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무게센서(30)가 계상(1)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계상(1) 내부의 저밀상태를 계산하여 채밀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게센서(3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후면 방향의 양측에 각각 분산시켜 형성함으로써 측정단(104)이 하강될 때 무게센서(30)가 균일한 하중을 받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도 4의 거름판(110) 및 내검판(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태로 된 삽입단(109)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단(109)을 통해 거름판(110) 및 내검판(120)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연결홀(105)은 도 2의 온습도센서(20) 전선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2연결홀(106)은 도 2의 공조부(50) 전선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3연결홀(107)은 각 장치의 전선이 도 2의 제어부(60)로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각 장치의 전선은 하우징(100)의 후면 외부로 배출된 후 제3연결홀(107)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인입되게 되며, 이를 통해 계상(1) 내부에 전선이 위치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100)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의 하우징(100) 후면에는 각종 장치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커버(108)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108)는 T자 형상으로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커버(108)의 중앙은 하우징(10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 도 5의 제1연결홀(105), 제2연결홀(106), 제3연결홀(107)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전선을 감싸 보호하고, 하우징(100) 내부로 벌이나 해충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커버(108)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양측에 형성된 측정단(104)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도 5의 무게센서(30) 전선이 커버(108)를 통해 도 2의 제어부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가 조립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거름판(110), 내검판(120), 공조함(130), 제어함(140)이 하우징(100)의 전면 외부로 슬라이딩되거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즉, 거름판(110)을 외부로 빼냄으로써 거름판(110)에 쌓인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내검판(120)을 통해 거름판(110)을 통과한 물질을 살펴보면서 벌통 내부 상태를 가늠할 수 있게 되고, 공조함(130)과 제어함(140)을 외부로 빼내 도 2의 공조부(50) 및 제어부(60)에 이상이 있는 경우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계상(1)이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종래에 사용되던 계상(1)을 단순히 거치하는 것만으로 벌통을 관리하기 위한 IOT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계상(1)을 복수 개로 적층시킬 수도 있게 되며, 이 경우 벌들이 꿀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2배 이상 늘어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는 계상을 거치하는 것만으로 계상 내부의 환경정보를 원격으로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계상 내부에 응애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응애나 해충에 의한 피해가 발생 또는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각 전자 장치가 계상과 분리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 : 계상 10 : 카메라
11 : 지지대 20 : 온습도센서
21 : 지지봉 30 : 무게센서
40 : 통신모듈 41 : 외부단말기
50 : 공조부 51 : 송풍팬
52 : 열전소자 60 : 제어부
100 : 하우징 101 : 소문
102 : 받침대 103 : 지지단
104 : 측정단 105 : 제1연결홀
106 : 제2연결홀 107 : 제3연결홀
108 : 커버 109 : 삽입단
110 : 거름판 120 : 내검판
121 : 통풍구 130 : 공조함
131 : 관통홀 132 : 환기구
133 : 노즐 140 : 제어함
141 : 배선홀

Claims (9)

  1. 전면과 상부가 개구되고 상부에는 계상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에는 벌들이 출입하는 소문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으로부터 낙하되는 벌들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수거하도록 형성되는 거름판과;
    상기 하우징의 중단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이 거치된 상부를 향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여 상기 계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공조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벌들의 분비물이나 오염물질이 상기 공조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공조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계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형성된 내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소문을 출입하는 벌들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벌에 붙은 응애 또는 해충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계상의 내부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벌에 붙어 계상 내부로 유입된 응애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이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면 상기 계상의 하중을 측정하여 저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계상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습도센서는 길이조절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거치되는 계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조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조함과;
    상기 공조함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함과 상기 제어함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계상 내부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동작정보를 수신 받아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계상으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일면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KR1020180096623A 2018-08-20 2018-08-20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KR20200021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23A KR20200021190A (ko) 2018-08-20 2018-08-20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23A KR20200021190A (ko) 2018-08-20 2018-08-20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90A true KR20200021190A (ko) 2020-02-28

Family

ID=6963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23A KR20200021190A (ko) 2018-08-20 2018-08-20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1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9370B1 (en) * 2020-05-04 2021-09-28 Darrell Shaw Thermodynamic terminator and method of eliminating mites and parasites within a bee box
US20210307301A1 (en) * 2020-04-02 2021-10-07 X Development Llc System for beehive health and activity monitoring
KR20210136336A (ko) *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07298A (ko) *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WO2022102911A1 (ko) * 2020-11-12 2022-05-19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82170A (ko) 2020-12-09 2022-06-17 준 이 IoT 기능이 적용된 벌통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1-05-15 정현원 3 단식 계상 벌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548Y1 (ko) 2000-12-16 2001-05-15 정현원 3 단식 계상 벌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07301A1 (en) * 2020-04-02 2021-10-07 X Development Llc System for beehive health and activity monitoring
US11129370B1 (en) * 2020-05-04 2021-09-28 Darrell Shaw Thermodynamic terminator and method of eliminating mites and parasites within a bee box
KR20210136336A (ko) * 2020-05-07 2021-11-17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07298A (ko) * 2020-07-10 2022-01-18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WO2022102911A1 (ko) * 2020-11-12 2022-05-19 신현주 벌통 장착형 말벌 퇴치장치
KR20220082170A (ko) 2020-12-09 2022-06-17 준 이 IoT 기능이 적용된 벌통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190A (ko) 아날로그식 벌통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벌통 거치대
US11930794B2 (en) Autonomous beehives
CA2916599C (en) Device for combating the varroa mite in a bee brood
KR101880284B1 (ko) 양봉 적재함의 구조
IL274613B1 (en) Automatic hive
BRPI0613961A2 (pt) sistema de cura a ar com ventilação controlada
KR101785371B1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101903576B1 (ko) 스마트 벌통
KR101981895B1 (ko) 벌집틀의 상하 이동이 편리하여 천연벌꿀 생산이 용이한 다층 벌통
JP2017108635A (ja) 自動シャッタ構造を備えた養蜂箱及び分蜂箱を用いて捕獲したミツバチを空の養蜂箱に移す方法
MX2012008469A (es) Cajon de anidamiento para abejorros.
JP6855060B2 (ja) 養鶏システム
KR20180050986A (ko) 양봉용 관제 시스템
CN212971243U (zh) 一种蜜蜂孵化器
WO2017217815A1 (ko)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2011781B1 (ko) 자동환기장치를 구비한 꿀벌통
NL1035772C2 (nl) Automatisch aanpassen stalverlichting.
CN108207638A (zh) 一种可模式识别的自动伸缩式保温仔母兔笼
KR20190063271A (ko) 양계장 관리 시스템
KR102625182B1 (ko) 유휴하우스를 이용한 스마트 커넥티드 잠실 시스템
KR20200097833A (ko) 펫 하우스
KR102297881B1 (ko) 스마트 벌통
KR102445725B1 (ko) 스마트 뒤영벌 산란 시스템 및 장치
CN207969512U (zh) 一种可模式识别的自动伸缩式保温仔母兔笼
CN220654450U (zh) 一种便于搬运的养蜂用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