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720A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720A
KR20100077720A KR1020080135745A KR20080135745A KR20100077720A KR 20100077720 A KR20100077720 A KR 20100077720A KR 1020080135745 A KR1020080135745 A KR 1020080135745A KR 20080135745 A KR20080135745 A KR 20080135745A KR 20100077720 A KR20100077720 A KR 2010007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astic body
coupling groove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720A/ko
Publication of KR2010007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에 부품이 수납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렌즈부 및 다양한 회로 소자들을 포함하여 충격에 민감한 구조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는 렌즈부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들이 수납된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취약 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떨어뜨리거나 다른 물체와 부딪히는 경우에, 충격을 받아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어 그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에 부품이 수납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서로 접촉되는 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에 상기 제2 커버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에 상기 제1 커버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제1 결합홈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2 결합홈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외측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이, 상기 외측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상기 내측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제1 삽입홈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상기 제2 삽입홈에 배치되는 제2 탄성체, 및 상기 제1 결합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전원 스위치(23), 셔터 릴리즈 버튼(24), 플래시(12), 및 렌즈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23)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작동되도록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4)의 작동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는 렌즈부(11), 렌즈 작동부(미도시), 촬상 소자(미도시), 및 회로 기판(미도시)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렌즈부(11)를 통하여 영상이 입력되고, 렌즈부(11)는 렌즈 작동부에 의하여 작동되고, 입력된 영상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렌즈부(11), 렌즈 작동부(미도시), 촬상 소자(미도시), 및 회로 기판(미도시) 등은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도 2의 12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체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탄성체(130)가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주로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그 휴대 중에 사용자가 떨어뜨리거나 다른 물체와 부딪치는 경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0) 내부에 광학 장치를 포함한 충격에 민감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되므로, 충격 시에 제품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탄성체(13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서로 결합되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탄성체(13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가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의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탄성체(130)들이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각각의 결합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서로 결합된 결합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및 탄성체(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는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에 부품을 수납한다. 탄성체(13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다.
탄성체(13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삽입되어 제1 커버(110) 및/또는 제2 커버(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탄성체(130)는 제1 커버(110) 및/또는 제2 커버(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탄성체(130)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체(13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서로 접촉되는 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 112)가 결합홈(113, 123)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들(111, 112, 121, 122) 사이에 접촉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 112)와 결합홈(113, 123) 사이에 접촉면이 생길 수 있다. 돌출부들(111, 112, 121, 122) 사이의 접촉면 및/또는 돌출부(121, 112)와 결합홈(113, 123) 사이의 접촉면에 탄성체(130)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체(13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130)는 조립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30)가 복수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탄성체들(131, 132, 13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는, 돌출부들(111, 112, 121, 122)과 결합홈(113, 123)이 서로 끼워 맞춤에 의하여 조립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커버(110)에는 제2 커버(120)의 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20)에는 제1 커버(110)의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10)는 외측 돌출부(111), 및 내측 돌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111)는 제1 결합홈(113)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12)는 제1 결합홈(113)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되어 제2 결합홈(12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커버(120)는 외측 돌출부(121), 및 내측 돌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121)는 제2 결합홈(123)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제1 결합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22)는 제2 결합홈(123)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120)의 외측 돌출부(121)가 제1 결합홈(113)에 삽입되고, 제1 커버(110)의 내측 돌출부(112)가 제2 결합홈(123)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홈(113)으로부터 제1 커버(110)의 내측 돌출부(112) 및 외측 돌출부(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탄성체(130)가 삽입되는 삽입홈(131a, 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31a, 132a)은 제1 삽입홈(131a) 및 제2 삽입홈(13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삽입홈(131a)은 제1 커버(110)의 외측 돌출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32a)은 제1 커버(110)의 내측 돌출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홈(131a)은 제1 결합홈(113)으로부터 제1 커버(110)의 외측 돌출부(111)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탄성체(131)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 홈(132a)은 제1 결합홈(113)으로부터 제1 커버(110)의 내측 돌출부(112)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탄성체(132)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체(130)는 제1 탄성체(131), 제2 탄성체(132), 및 제3 탄성체(1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체(131)는 제1 삽입홈(131a)에 배치된다. 제2 탄성체(132)는 제2 삽입홈(132a)에 배치된다. 제3 탄성체(133)는 제1 결합홈(113)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탄성체(131), 제2 탄성체(132), 및 제3 탄성체(133) 각각은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체(131) 및 제2 탄성체(132)는 제1 커버(110) 또는 제2 커버(120)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3 탄성체(133)는 제1 커버(110) 또는 제2 커버(120)의 전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140)에 의한 충격은 측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141)에 의한 충격과 전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142)에 의한 충격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141)에 의한 충격은 제1 탄성체(131) 및 제2 탄성체(132)에 의하여 흡수되고, 전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142)에 의한 충격은 제3 탄성체(133)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체(131) 및/또는 제2 탄성체(132)와 제3 탄성체(133)가 사용되는 경우에 충격이 인가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모든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삽입홈(131a) 및 제2 삽입홈(132a) 각각에 삽입되는 제1 탄성체(131) 및 제2 탄성체(132)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서로 결합되기 전에는 제1 결합홈(113)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탄성체(131) 및 제2 탄성체(132)에 의하여 제1 결합홈(113)에 삽입되는 제2 커버(120)의 외측 돌출부(121)가 제1 결합홈(113)에 압력을 받으면서 끼워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내부의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탄성체들이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 각각의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서로 결합된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카메라, 110: 제1 커버,
120: 제2 커버, 130: 탄성체.

Claims (10)

  1.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에 부품이 수납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서로 접촉되는 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에 상기 제2 커버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에 상기 제1 커버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제1 결합홈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는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2 결합홈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제2 결합홈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외측 돌출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외측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이,
    상기 외측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상기 내측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제1 삽입홈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상기 제2 삽입홈에 배치되는 제2 탄성체, 및
    상기 제1 결합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탄성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135745A 2008-12-29 2008-12-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77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45A KR20100077720A (ko) 2008-12-29 2008-12-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45A KR20100077720A (ko) 2008-12-29 2008-12-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720A true KR20100077720A (ko) 2010-07-08

Family

ID=4263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45A KR20100077720A (ko) 2008-12-29 2008-12-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84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mounting mechanism
TW200626825A (en) Flashlight with camera function and recharging device therefor
JP201921966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WO2004080039A1 (ja) 携帯端末
US762318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compact, light weight, rigid internal chassis
JP4264556B2 (ja) 撮像装置
JP2018045601A (ja) 携帯機器
JP3951169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10007772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2003162694A (ja) 電子機器
JP2007174040A (ja)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JP527282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カメラボディおよび撮像ユニット
JP4702925B2 (ja) カメラ
JP4594705B2 (ja) カメラ
US711003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mploying separate first and second battery storage areas
KR101276719B1 (ko)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전자기기
JP2013130797A (ja) 電子機器
KR101636869B1 (ko) 커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0735317B1 (ko) 소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JP6597532B2 (ja) 携帯機器
JP2006246218A (ja) 携帯端末システム
JP2006284725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JP2004333871A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及び防水カメラ
JP5274512B2 (ja) カメラ
US20130016482A1 (en)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cluding outer lid provided with hinge and inner lid provided with projection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