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215A -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215A
KR20100074215A KR1020107008808A KR20107008808A KR20100074215A KR 20100074215 A KR20100074215 A KR 20100074215A KR 1020107008808 A KR1020107008808 A KR 1020107008808A KR 20107008808 A KR20107008808 A KR 20107008808A KR 20100074215 A KR20100074215 A KR 2010007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s
service
list
quality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323B1 (ko
Inventor
띠에리 꿰르
르노 리갈
니콜라 카라멜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0007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과, 오디오 또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의 자동 선택 단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요청된 채널로 참조된 라디오 및/또는 텔레비전 채널을 요청하는 단계(101), 상기 요청된 채널을 나타내고,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102),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103), 및 수신시 상기 각각의 서비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10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ELECTING AN AUDIO AND/OR VIDEO SERVICE RECEIVED}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 및/또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선택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코더(또는 단말기 또는 "셋톱 박스")는 사용자가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들(본 명세서에서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을 가리킴)에 의해 수송된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채널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들 텔레비전 및/또는 라디오 채널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성분 또는 심지어 대화식(interactive) 성분들을 포함한다. 라디오 채널을 주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성분을 포함하는데 반해, 텔레비전 채널은 주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성분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비디오 성분을 포함한다. 수 개의 비디오 성분이, 예컨대 수 개의 표준(코딩, 해상도) 지원을 위해 사용된다. 수 개의 오디오 성분은, 예컨대 수 개의 언어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이한 타입의 배분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채널이 상이한 서비스에서 수송되고, 상이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코더는 이들 서비스를 비동기 데이터 가입자 라인(ADSL: Asymmetric Data Subscriber Line) 네트워크나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DDT: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타입의 네트워크 또는 위성이나 케이블과 같은 다른 방송 타입들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예컨대 ADSL 타입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와 DDT 타입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와 같이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hybrid)"라고 부르는 디코더가 현재 존재한다. 그러한 디코더 타입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ADSL 타입의 제 1 네트워크에 속하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서버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고,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DDT 타입의 또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또 다른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서버에 의해 송신된 또 다른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들 네트워크는 많은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한 디코더의 사용자가 채널을 수신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먼저 네트워크 타입(예컨대, DTT 또는 ADSL)을 선택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수행하는 모든 채널 변경 명령들은 선택된 네트워크 타입의 모든 제안된 서비스 또는 모든 제안된 서비스의 추출물(extract)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정한 "하이브리드" 디코더는 사용자가 잽핑(zapping) 목록이라고 흔히 부르는 채널 변경 목록에서, 예컨대 또 다른 네트워크 타입에 의해서만 수신될 수 있는 서비스들로 채널 목록을 완성하기 위해,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들로부터 수신된 서비스들을 혼합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하이브리드 디코더들은 최적으로 수신된 서비스들을 관리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의 선택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이 방법은
- 요청된 채널이라고 부르는 라디오 및/또는 텔레비전 채널을 요청하는 단계,
- 상기 요청된 채널을 나타내고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 및
- 수신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동(automatic)" 선택은 사용자의 간섭을 요구하지 않는 디코더의 자율적인 결정을 취하는 동작에 대응한다.
상기 서비스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는, 수신시 충분한(결정된 임계값에 비해 우수한) 서비스의 품질 및/또는 서비스들과 연관된 서비스의 최상의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의 품질이라는 표현은 수신시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낸다. 수 개의 파라미터 그룹들이 이러한 수신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리하게,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은 서비스들의 디코딩 외부로부터 얻어지는데, 즉 서비스의 이전 디코딩 처리는 없다. 특히, 이들 파라미터를 서비스와 연관된 시그널링(signalling)으로부터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은
- 서비스들과 연관된 에러 정정 코드의 존재,
- 서비스들과 연관된 에러 정정 코드의 정정(corrective) 능력,
- 서비스들 비트 속도,
- 서비스 비트 속도들의 편차, 및
- 서비스들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 네트워크들의 특징들에 관한 글로벌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그룹에 유리하게 속한다.
글로벌 정보는, 예컨대 무선 수신과 간섭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날씨 상태, 서비스를 라우팅하기 위해 사용된 라인의 감쇠 및/또는 다른 사용자들과의 라인의 공유 또는 비공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그룹에서는, 서비스의 디코딩 동안에만 종종 얻어질 수 있는 것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제 2 그룹은, 수신된 서비스의 경우 검출된 에러들의 개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늦은 패킷들의 개수, 시퀀스 중의 패킷들의 개수, 및 패킷 도착 시각의 편차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QoS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동시에 그룹들 모두에서 온 것이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채널을 표시하는 이들 서비스 중 하나의 자동 선택 단계는, 수신시 각각의 서비스와 연관된 수 개의 QoS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이러한 기능은 QoS 파라미터들로부터 결정된 최상의 QoS를 가지는 서비스의 선택을 포함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 단계는 특별한 평가를 각각의 파라미터에 돌릴 수 있고, 각각의 파라미터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따라 QoS의 정확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QoS 파라미터들의 가중치 부여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 단계는 적어도 이들 파라미터가 최소 결정된 값에 도달하지 않은 서비스(들)의 제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않는 서비스(들)의 신속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 단계는 QoS 파라미터들의 가중치 부여와 함께 이들 QoS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최소 결정된 값에 도달하지 않은 서비스(들)의 제거를 포함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은 각각의 서비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2차(secondary)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2차 파라미터는 유리하게 서비스의 코딩 타입(예컨대, H.264 또는 MPEG2), 서비스에 의해 수송된 요구된 채널을 압축률, 소스 서버의 지리적 국부화, 및 소스 서버로의 네트워크 장비 호프(hop)들의 개수를 포함하는 QoS 파라미터들의 그룹의 부분이다. 이 실시예는 비교적 큰 범위의 파라미터 타입들(수신 파라미터들과 2차 파라미터들에서의 QoS)을 고려하면서 자동 선택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 단계는 2차 그룹의 파라미터들과 함께 위에서 언급된 2가지 그룹으로부터 QoS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방법은
- 서비스들의 제 1 목록과, 적어도 서비스들의 제 2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 서비스들의 제 1 목록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수신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서비스들의 제 2 목록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수신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기 쉬운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각각의 서비스와의 연관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위 방법은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에 속하고 선택 단계 동안 선택되는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서비스들의 '연결(concatenation)'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연결 목록에는 제 1 목록과 제 2 목록 모두로부터의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다른 네트워크들에 의해 수신되지만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들의 경우, 유리하게 그 목록의 단일 요소가 생성되고, 이러한 요소는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연결 목록의 구성은 2개의 목록 연결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네트워크들(예컨대, 3,4,10 등)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들의 2개보다 많은 목록의 연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들 서비스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다.
특별한 일 특징에 따르면, 유사성 파라미터(들)는 서비스 이름, 서비스 식별자, 연관된 채널의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한다. 서비스 식별자는, 예컨대 DVB-SI 표준(또는 ETSI 300 468)에 따른 DVB 3조(triplet)이다. 서비스와 연관된 채널 식별자의 일 예는 ETSI TS 102 822 표준에 따른 "TV-Anytime" 태그(tag)이다. 소스 식별자의 일 예는 IP(Internet Protocol) 번호와 방송 어드레스의 포트 번호이다.
유사성 파라미터(들)는 유리하게
- 서비스에 대응하고 디코딩 동안 얻어진 비디오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와,
- 제 1 서비스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비스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의 편차 사이의 상관 단계
동안 얻어지고, 이들 제 1 서비스와 제 2 서비스는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된다.
"적어도 한 부분(at least one part)"이라는 용어는 일 부분 또는 전체에 대응한다.
이러한 상관 단계는, 예컨대 복합 비디오 신호의 크로미넌스(chrominance) 신호의 편차 또는 RVB 비디오 신호의 적색 성분의 편차의 분석을 포함한다.
이들 2가지 단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유사성 파라미터들을 얻기 위한 단계는 정확성(precision)을 가능하게 하고, 디코더에서의 국부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여, 예컨대 상이한 네트워크들의 서비스들 사이의 대응하는 표의 시그널링(signalling) 서버들 중 하나에 의한 제공에 의해 서버측에서의 배열(arrangement)을 회피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된 대응 표는, 동일한 채널의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디코더의 경우 다른 네트워크들에 의해 수 개의 수신된 서비스들 사이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일을 가볍게 할 수 있다.
특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는, 서비스에 대응하고 디코딩 동안 얻어진 비디오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의 편차를 결정하기 위한 단계와, 대응하는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의 편차들과 대응하는 표 사이의 상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수 개의 서비스 사이의 유사성의 훨씬 더 많은 확실성을 지닌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 단계는 채널을 변경하는 동안 수행된다. 이는 수신시 채널의 변경 순간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또는 고려될 수신시의 QoS에 있어서의 개량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단계는, 각각의 네트워크의 서비스 목록들의 구성 변화, 새로운 네트워크로 디코더를 연결하는 것, 네트워크로부터 디코더를 분리하는 것, 하나 이상의 서비스의 오디오/비디오 성분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의 수송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이벤트 후에 실행된다. 이러한 변형예는 서비스의 품질이 채널 변경의 외부(outside)를 고려할 수 있게 하고,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일을 수행하고 있을 때, 디코더 동작과의 간섭 없이 배경에서 수행된 공정의 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단계는 채널 변경 동안 실행되고, 각각의 네트워크의 서비스 목록들의 구성에 있어서의 변화,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디코더의 연결, 네트워크로부터 디코더를 분리하는 것, 하나 이상의 서비스의 오디오/비디오 성분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의 수송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이벤트 다음에 실행된다. 이러한 변형예는 디코더의 계산 자원들의 더 나은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부가된 도면을 참조하는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되고, 다른 특별한 특징 및 장점이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시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의 선택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별한 일 실시예를 따르고 2가지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와 결합되는 하이브리드 디코더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초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2가지 실시예를 따르고 도 1의 기초구조의 부분인 디코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와 도 3으로부터의 디코더에 의해 사용된 상이한 목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의 디코더의 논리도.
도 7은 도 2의 디코더에서 구현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과 도 9는 도 3의 디코더에서 구현된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2 또는 도 3의 디코더 중 하나에서 구현된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이후 설명에서 사용된 "레지스터(register)"라는 단어는 언급된 각 메모리에서 큰 용량의 메모리 구역(전체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게 하거나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부 또는 일부)뿐만 아니라, 낮은 용량의 메모리 구역(일부 2진 데이터)을 나타낸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1은 디코더(10)를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하는 2개의 네트워크(12,15)를 포함하는 기초구조의 개략 블록도를 도시하고, 이 경우 디코더(10)는 ADSL 유선(wired) 네트워크(12)와, ETSI EN 300 744 표준을 따르는 무선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 네트워크(15)에 링크된다.
네트워크(12)는 디코더(10)가 네트워크(12)에 의해 제안된 서비스들을 발견할 수 있게 하는 시그널링 서버(11)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2)는 또한 디코더(10)가 네트워크(12)에 의해 제안된 서비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오디오/비디오 서버(1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5)는 디코더(10)가 네트워크(15)에 의해 제안된 서비스들을 발견할 수 있게 하는 시그널링 서버(14)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5)는 또한 디코더(10)가 네트워크(15)에 의해 제안된 서비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오디오/비디오 서버(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따라, 네트워크(12,15)는 성능을 정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의 다른 항목들과 함께, 수 개의 오디오/비디오 서버(예컨대, 2,3,4 또는 그 이상) 및/또는 수 개의 시그널링 서버를 포함한다.
디코더(10)는 2가지 타입의 네트워크(12,15) 각각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코더(10)는 네트워크(12) 및 네트워크(15) 모두로부터의 서비스들과, 그러한 서비스들과 연관된 시그널링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12,15)는 단일 디코더로 나타난다. 변형예들에 따라, 네트워크(12,15)는 서비스들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수 개의 디코더들(예컨대, 2,3,10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코더(10)는 도 1에 따르면 2개의 ADSL 타입 입력과 DDT 타입 입력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변형예들에 따르면, 디코더는 2개보다 많은 입력을 포함하고, 예컨대 ADSL, DTT 또는 특히 모바일, 위성 및/또는 케이블 타입의 다른 타입의 입력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디코더(1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디코더(2)는 어드레스와 데이터 버스(23)에 의해 상호 연결된
- CPU(Central Processing Unit)(20),
- ROM(Read Only Memory) 타입의 비휘발성 메모리(21),
- RAM(Random Access Memory)(22),
- ADSL 네트워크(12)로부터의 연관된 시그널링뿐만 아니라,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24), 및
- DDT 네트워크(15)로부터의 연관된 시그널링뿐만 아니라, 오디오/비디오 서비스들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한다.
메모리 ROM(21)은 특히,
- 프로그램인 'prog'(210),
- ADSL 네트워크 시그널링 서버의 어드레스(211),
- DTT 네트워크 시그널링 서버의 어드레스(212),
- 특히 사용자의 개인 전용화된(personalised) 채널 변경들의 목록을 기록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프로파일(213)을
포함한다.
이후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은 이들 단계를 구현하는 디코더(10)와 연관된 ROM(21)에 저장된다.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이들 알고리즘의 명령어들을 로딩하고 실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는 특히,
- 레지스터(220)에서, 디코더(10)를 스위칭 온하는 역할을 하는 CPU(20)의 운영 프로그램,
- 레지스터(221)에서 시그널링 서버(11)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
- 레지스터 목록(221)의 각각의 서비스에 경우, 레지스터(222)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QoS에 대한 마크(mark)를 나타내는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품질에 관련되는 파라미터들의 목록,
- 레지스터(223)에서 시그널링 서버(14)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
- 레지스터 목록(223)의 각각의 서비스에 경우, 레지스터(224)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QoS에 대한 마크를 나타내는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품질에 관련되는 파라미터들의 목록,
- 네트워크(12,1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225),
- 레지스터(226)에서, 디코더(10)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채널 변경 목록, 및
- 레지스터(227)에서, 목록(226)에서 선택된 채널("현재 채널"이라고도 함)로의 포인터(pointer)를
포함한다.
도 3은 디코더(10)의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3)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디코더(2,3)의 공통 요소들은 동일한 이름과 참조 번호를 가지고,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디코더(3)는 어드레스와 데이터 버스(23)에 의해 상호 연결된
- 마이크로프로세서(20)(즉 CPU),
- ROM 타입의 비휘발성 메모리(30),
- RAM(31),
- 인터페이스(24), 및
-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한다.
메모리 ROM(30)은 특히,
- 프로그램인 'prog'(301),
- ADSL 네트워크 시그널링 서버의 어드레스(211),
- DTT 네트워크 시그널링 서버의 어드레스(212),
- 특히 사용자의 개인 전용화된 채널 변경들의 목록을 기록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프로파일(302)을
포함한다.
이후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는 알고리즘들은 이들 단계를 구현하는 디코더(3)와 연관된 ROM(30)에 저장된다. 전원이 들어오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이들 알고리즘의 명령어들을 로딩하고 실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31)는 특히,
- 레지스터(311)에서, 디코더(3)를 스위칭 온하는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운영 프로그램,
- 서비스들의 목록(221),
- 서비스들의 목록(223),
- 네트워크(12,1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314),
- 레지스터(315)에서, 디코더(3)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채널 변경 목록, 및
- 레지스터(315)와 레지스터(316)에 포함된 목록에서 선택된 채널("현재 채널"이라고도 함)로의 포인터를
포함한다.
도 4는 디코더(2)에 의해 구현된 채널 변경 목록을 얻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목록(221,222,223,224)은 표 42와 표 43에 나타난다. 이들 표에서는 표 42의 경우는 A1 내지 An, 표 43의 경우는 B1 내지 Bn으로, 이들 표의 요소들의 참조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들 표 각각은 연관된 QoS 마크들을 나타내는 정보와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2가지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표 42는 ADSL 네트워크에 속하는 시그널링 서버(11)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221)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요소(A1)에서는 "NameA"라는 서비스 이름이 그 서비스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인 "@IP1"와 함께 발견된다. ADSL 타입 네트워크의 경우, 그 식별자는 예컨대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목록(221)에서의 각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의 품질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세트가, 이들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 QoS 마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발견된다. 일 예로서 제공된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은 서비스 2진 비트-속도(bit-rate), 순방향 에러 정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 속도, ADSL 라인의 감쇠 값, 및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이다. 예시된 예에 따르면, 이름이 "NameA"인 서비스의 경우 요소(A1)에서, 2Mbit/s인 2진 속도, 3/4인 FEC 속도, 30㏈인 ADSL 라인의 감쇠, 25에서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및 이들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 QoS의 종합체(synthesis)를 제공하는 마크의 대표 정보가 발견된다.
표 43은 DTT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서버(14)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223)을 포함한다. 예컨대, 표 43의 요소(B1)에서는 "NameX"라는 이름을 가지는 서비스가, 그 서비스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인 "@f1"와 함께 발견된다. 이 네트워크가 DVB 타입이므로, 그 식별자는 주파수이다. 일 예로서, 서비스의 2진 비트-속도{요소(B1)에서 4Mbit/s}, FEC 전력{요소(B1)에서 n/a}, 및 이들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 QoS의 종합체를 제공하는 마크가 예시된다. 예시된 예에 따르면, 요소(B2)에서는 이름이 "NameB"인 서비스의 경우, 3.8Mbit/s인 2진 비트-속도, 1/2인 FEC 속도, 30㏈인 ADSL 라인의 감쇠, 및 14개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가 발견된다. 요소(B1)에서는, 이름이 "NameX"인 서비스의 경우, "4Mbit/s"인 2진 비트-속도, n/a(적용 가능하지 않은)와 같은 FEC 속도, 및 100개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가 발견된다. 요소(B2)에서는, 이름이 "NameB"인 서비스의 경우, "3Mbit/s"인 2진 비트-속도, 1/2인 FEC 속도, 0개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가 발견된다. 요소(A1)에서의 서비스의 경우, 마크(QoSa)가 발견되고, 요소(A2)에서의 서비스의 경우 마크(QoSb)가 발견되며, 요소(B1)에서의 서비스의 경우 마크(QoSm)가 발견되고, 요소(B2)에서의 서비스의 경우 마크(QoSn)가 발견된다.
표 42와 표 43이 2개보다 많은 요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기 위해, 표 42는 요소(An)로 도시되고, 표 43은 요소(Bn)로 도시된다.
이들 파라미터로부터의 QoS 마크의 수 개의 결정 변형예는 상이한 QoS 마크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가중치 부여 방법이 적용되는 변형예의 경우, QoSb 마크와 QoSn 마크가 아래의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각각의 파라미터는 0과 10 사이의 인덱스(index) 값을 줄 수 있는 대응 표를 가진다. 이러한 인덱스의 목적은 그것에 0과 10 사이의 값을 지정함으로써, QoS 파라미터를 표준화하는 것이다. QoS의 관점에서는 10인 인덱스 값이 0인 인덱스 값보다 좋다. 아래의 2진 비트-속도 파라미터에 대한 대응 표를 고려한다.
2진 비트 속도(bbr:Binary bit rate)(Mbit/s) 인덱스 값
≥4 10
3≤bbr<4 8
2≤bbr<3 6
1≤bbr<2 4
<1 0
4Mbit/s보다 높은 2진 비트-속도에는 10인 인덱스 값이 지정되고, 1Mbit/s 미만인 2진 비트-속도에는 0인 인덱스 값이 지정된다(2진 비트-속도가 불충분하다고 간주된다).
FEC 파라미터들, 라인 감쇠, 및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에 대해 동일한 타입의 표가 생성된다.
FEC(속도:rate) 인덱스 값
≤1/2 10
3/4 7
>3/4 6
없음(absent) 0
FEC가 없는 경우, 인덱스 값 0이 지정된다.
선(line) 감쇠(attn: attenuation)(㏈) 인덱스 값
<10 10
10≤attn<20 8
20≤attn<30 7
30≤attn<40 6
40≤attn<50 3
>50 0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100중에서) 인덱스 값
0 10
1≤nbmp<10 9
10≤nbmp<20 6
20≤nbmp<30 3
>30 0
가중치 부여 방법은 서비스 파라미터의 각각의 품질에 가중치 부여 인자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앞에서 인용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가중치 부여 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가중치 부여 인자
2진 비트-속도 2
FEC 속도 3
감쇠 2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3
이 예에서, 가중치 부여 인자들의 합은 0과 100 사이에 포함된 최종 QoS 마크를 얻기 위해 10과 같다(QoS 마크의 계산을 상세히 묘사하는 후속하는 표를 보라).
그런 다음 QoS 마크가 표 42와 표 43의 각 요소에 대해 계산된다. 예컨대, 표 42의 요소(A2)에 대한 QoS 마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다.
파라미터 인덱스 가중치 부여 결과
2진 비트-속도 3.8 8 2 16
FEC 1/2 10 3 30
감쇠 30 7 2 14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14 6 3 18
QoSb 마크 78
마찬가지로, 표 43의 요소(B2)에 대한 QoSn 마크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다.
파라미터 인덱스 가중치 부여 결과
2진 비트-속도 3 8 2 16
FEC 1/2 10 3 30
감쇠 10 10 2 20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0 10 3 30
QoSb 마크 96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와 같이, 디코딩 동안 얻어진 파라미터들을 고려되지 않는다. 이 경우, 위 예를 사용함으로써 부정적으로 최종 마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인덱스는 10과 같다)에 0인 값이 지정된다. 따라서, 최종 QoSb 마크는 90인데 반해, QoSn 마크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있게 된다.
목록(224)이 목록(222)과 비교되면, 감쇠 파라미터의 부재가 관찰될 수 있는데, 이는 이 파라미터가 ADSL 타입의 네트워크에 특정되기 때문이다.
도 4에 예시된 서비스 식별자들은 일 예로서 제공되고, 이들 식별자는 총 망라된 것이 아니고 완성될 수 있으며, 사용된 네트워크 타입에 적합할 수 있다.
디코더(2)는 목록(221,223)의 연결 후 목록(225)을 구성한다. 목록(221,223)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세트는 목록(225)에 등록된다. 2개의 목록(221,223)에 동일한 서비스가 존재하면, 목록(225)에 단일 요소가 유리하게 형성된다. 예시된 예에서, 이는 표 42와 표 43 모두에서 발견되는 서비스인 "NameB"에 대한 경우이다. 목록(225)의 각 요소에는 목록(221) 및/또는 목록(223)으로부터의 요소 번호가 연관되고, 이들 서비스에 대한 QoS 마크들을 나타내는 정보의 항목(들)만이 또한 연관된다. 그러므로, 목록(225)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각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를 찾는 것과 함께, 2개의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세트가 발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 목록은 각 서비스에 대한 QoS 마크(들)가 신속하게 발견될 수 있게 한다.
채널 변경 목록(226)은 목록(225)에 기초하여 목록(226)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 공정(41) 후 얻어져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지는 목록(221) 또는 목록(223)으로부터의 대응하는 요소 번호를 보존한다. 따라서, 이러한 채널 변경 목록(226)은, 목록(221,223)의 각 서비스에 대해,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지는 서비스 식별자가 신속히 발견될 수 있게 하고 그것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위 표들에서 설명된 예를 사용하여, 표 43의 요소(B2)는 그 채널 변경 목록에서 "NameB"인 채널에 대해 선택되는데, 이는 이 서비스가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충분(sufficiency) 임계값이 결정된다. 이는 수신된 서비스의 마크가 임계값을 초과하자마자, 이 서비스는 심지어 상이한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된 동일한 서비스의 마크를 계산하지 않고 자동으로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위 표들에서 설명된 예를 들면, 충분 임계값이 60으로 고정되면, 서비스(A2)는 심지어 서비스(B2)의 마크를 계산하지 않고 선택될 수 있다(마크=78).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소스 코딩의 포맷과 같은 2차 파라미터들이 고려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이전에 설명한 마크들의 비교뿐만 아니라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기준(criterion)에 관해서도 서비스가 선택된다. 이를 행하기 위해, 서비스 파라미터의 각각의 품질에 대한 임계값이 한정된다. 표 42 또는 표 43으로부터의 주어진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 중 하나가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이 서비스는 서비스 목록(225)으로부터 제거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최소 마크가 결정된다. 서비스 마크가 이러한 최소 마크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이 서비스는 선택(41)의 공정으로부터 자동으로 제거된다. 위 표들에서 설명된 예를 다시 들면, 최소 마크가 80으로 고정될 경우, 서비스(A2)가 선택(41)으로부터 제거된다.
채널 변경 목록은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관심이 거의 없거나 없는 채널들을 제거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채널들의 사용자 자신의 목록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연결된 목록(225)의 요소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채널 변경 목록(226)의 경우, 선택(41) 처리는 목록(225)으로부터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지는 서비스의 목록(221 또는 223)으로부터의 요소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채널 변경 목록에서 발견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목록(225)으로부터 서비스 요소들의 번호들의 복사본(copy)을 이 목록(226)에 포함한다.
목록(225,226)에서 괄호들 사이의 서비스들의 이름은 도 4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한 일 예로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올바른 동작을 위한 필수 사항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3)의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채널 변경 목록을 얻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5의 표 52와 표 53은 각각 목록(221,223)으로부터 ADSL 네트워크와 DTT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이들 표에서, 이들 표로부터의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표 52의 경우에는 A1 내지 An으로, 표 53의 경우 B1 내지 Bn으로 표시된다.
더 구체적으로, 표 52는 ADSL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221)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요소(A1)에서는 이름이 "NameA"인 서비스와 그것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인 "@IP1"이 발견된다. 이 네트워크가 ADSL 타입이기 때문에, 그 식별자는 IP 어드레스이다. 요소(A2)에서는 이름이 "NameB"인 서비스와 그것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인 "@IP2"가 발견된다. 그 다음, 이 표에서는 이 표가 2개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요소 'An'이 발견된다.
표 53은 DVB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들의 목록(223)을 포함한다. 예컨대, 요소(B1)에서는 이름이 "NomX"인 서비스가 그것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25)의 주파수 설정을 나타내는 식별자인 "@f1 ㎒"와 함께 발견된다. 요소(B2)에서는, 이름이 "NameB"인 서비스가 그것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식별자인 "@f2"와 함께 발견된다. 그 다음, 이 표에서는 이 표가 2개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요소인 'Bn'이 발견된다.
도 5에 예시된 서비스 식별자들은 일 예로서 제공되고, 이들 식별자는 총 망라된 것이 아니고 완성될 수 있으며, 사용된 네트워크 타입에 적합할 수 있다.
디코더(3)는 목록(221,223)의 연결(50) 후 목록(314)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결된 목록(314)에서는 2개의 목록(221,223)으로부터 요소들의 세트를 숫자로 표시한다. 목록(314)에서 형성된 각각의 요소들의 경우 목록(221 또는 2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존재한다.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가 이들 2개의 목록(221,223)에 존재한다면, 목록(314)에는 단일 요소가 형성된다. 예시된 예에 따르면, 2개의 목록(221,223)에 등장하는 서비스 "NameB"에 대한 목록(314)에 단일 요소가 형성된다. 유리하게, 연결 기능은 2개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나오는 2개의 서비스 사이의 유사성 결정에 기초한다. 이러한 유사성 결정은 특히,
·시그널링에 의해 얻어진 채널 이름들의 비교,
·시그널링에서 적용 가능한 표준들에 의해 한정된 서비스 식별자들의 비교. 서비스 식별자들은, 예컨대: ADSL에 의한 송신에 대한 표준 DVB-IP(Digital Video Broadcasting - Internet Protocol, ETSI 표준 TS 102 034)에서 사용되고, 또한 DTT에 의한 송신에 대한 표준 DVB-T(ETSI 표준 EN102 034)에서 사용된 DVB 3조{표준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ETSI 표준 EN300 468}이다.
·채널, 서비스들, 또는 TV-Anytime 표준(ETSI 표준 TS 102 822)에 의해 한정되고, 위에서 언급된 DVB-IP 표준에서 사용된 콘텐츠 식별자들의 비교,
·로고(logo)와 같은 서비스에 존재하거나 심지어 서비스에서의 워터마크의 존재들에 의한 소스 식별자들의 비교,
·디코딩 후 얻어진 비디오 신호의 편차의 분석,
·시그널링 소스에 의해 제공된 대응 정보의 항목,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목록(314)의 각 요소로 목록(221 및/또는 223)으로부터의 요소 번호가 연관된다. 따라서, 목록(314)은 2개의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세트가 다시 발견될 수 있게 하고, 각 서비스로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각 서비스에 대한 식별자가 발견될 수 있게 한다.
채널 변경 목록(315)은 목록(314)에 기초한 목록(315)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51) 후 얻어진다. 채널 변경 목록은 연결된 목록(314)으로부터 요소들의 서브세트를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흥미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채널들을 삭제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채널들의 사용자 고유의 목록을 형성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미 존재하는 채널 변경 목록(315)의 경우, 선택(51)은 채널 변경 목록(315)에 이미 존재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목록(314)으로부터의 서비스들의 요소 번호들의 목록(315)에서의 복사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채널 변경 목록(315)은 서비스 식별자(들)가 신속하게 발견되고 그러한 서비스 식별자(들)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이름들은 도 5의 향상된 이해를 위해 목록(314,315)에서의 괄호들 사이에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동작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0은 도 2 또는 도 3의 디코더 중 하나에서 구현된 방법을 예시한다.
공정은 상이한 변수가 형성되고 초기화되는 단계(100)로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101) 동안 채널 요청이 수신된다.
그런 다음, 단계(102) 동안 이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들의 결정이 실행된다.
그런 다음, 단계(103) 동안 이들 서비스는 인터페이스(24,25)를 통해 수신된다.
그 다음, 단계(104) 동안 서비스는 연관된 QoS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된다.
그런 다음, 단계(101)가 반복된다.
도 6은 디코더(3)에 의해 구현된 선택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서비스 선택 기능(60)은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한다. 이 기능(60)은 채널 변경 목록(315)과 서비스 목록(221,223)을 사용하여, 선택된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 식별자들을 발견한다. 이들 식별자는 ADSL(24)과 DTT(25) 인터페이스들을 제어하여, 각각 2개의 다른 네트워크(12,15)로부터 나오는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2개의 서비스의 수신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디코더(3)는 수신시 인터페이스(24,25)로부터의 서비스의 품질 분석(61,62)을 실행한다.
각각의 분석(61,62)에 의해 공급된 결과에 대한 비교(63)가 수행된다. 이러한 비교(63)는 분석(61,62)에 따른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스위치(66)를 활성화시킨다. 스위치(66)는 서비스(64 또는 65)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을 출력(67)으로 향하게 한다. 출력(67)은 디코더의 디코딩 회로들과 표시를 제공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분석 동안 이루어진 QoS의 분석(61,62)은, 검출된 에러들의 개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늦은 패킷들의 개수, 순서를 벗어난 패킷, 및 패킷들의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편차와 같은, 서비스들의 디코딩 동안 얻어질 수 있는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품질을 종합함으로써, QoS를 나타내는 마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서비스들이 예컨대 시퀀스 번호를 제공하는 헤더를 구비한 패킷들의 패킹, 또는 정확도 확인 코드{예컨대, "해시(hash)" 기능}, 패리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존재 또는 하나 이상의 FEC 추가 흐름의 존재와 같은, 정정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면, 기능에 의해 이루어진 QoS 분석(61,62)이 에러 정정 처리 후 이들 서비스에 관해 실행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기능에 의해 수행된 QoS 분석(61,62)은, 서비스들과 연관된 에러 정정 코드의 존재, 에러 정정 코드와 같은 정정기 능력, 서비스 2진 비트-속도, 서비스들의 2진 비트-속도의 편차, 및 이들 서비스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 네트워크들의 특징에 관한 글로벌 정보와 같은, 서비스들의 디코딩 외부에서 얻어질 수 있는 QoS 파라미터들의 종합에 의해 QoS를 나타내는 마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기능에 의해 수행된 QoS 분석(61,62)은 디코딩 타입 파라미터, 요구된 채널에 대한 압축률, 소스 서버 지리적 위치 파라미터, 소스 서버까지의 네트워크 장비 스킵(skip)들의 개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와 같은 2차 파라미터들과 수신시 QoS 파라미터들의 종합에 의해 QoS를 나타내는 마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이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61,62)은 QoS 파라미터들 가중치 부여 방법 또는 결정된 최소값에 도달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QoS 파라미터들을 가지는 서비스의 제거 방법 또는 이들 2가지 방법의 조합을 사용한다.
도 7은 디코더(2)에 의해 구현된 채널 변경 목록을 얻기 위한 알고리즘을 예시한다.
채널 변경 목록을 얻는 것은 상이한 변수가 형성되고 초기화되는 단계(70)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단계(71) 동안 디코더(2)는 네트워크(12,15)의 시그널링 서버(11,14)에 인터페이스(24,25)를 각각 연결하는 것을 실행하고, 이로부터 디코더(2)가 서비스 목록(221,223)과 QoS 파라미터들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서비스들의 디코딩 외부에서 얻어진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단계(71) 동안 디코더(2)는 그것이 서비스 목록(221,223)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그널링 서버(11,14)에 인터페이스(24,25)를 연결하는 것을 수행하고, 또한 도 1의 네트워크(12,15)의 오디오/비디오 서버(13,16)로의 각각의 연결을 수행하며, 그것들의 디코딩 동안 디코더(2)가 QoS 파라미터들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QoS 파라미터들은 서비스들의 디코딩 외부와 서비스들의 디코딩 동안 모두에서 얻어진다. 단계(71)는 2가지 서비스 목록(221,223)의 수신을 구현한다. 디코딩의 외부에서 얻어질 수 있는 QoS 파라미터들의 일 예는 에러 정정 코드의 존재, 정정기 코드의 능력, 2진 비트-속도의 편차 및/또는 심지어 서비스의 소스 네트워크의 특징들에 관한 글로벌 정보이다. 서비스 디코딩의 외부에서 얻어질 수 있는 QoS 파라미터들의 일 예는, 검출된 에러들의 개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늦은 패킷들의 개수, 시퀀스를 벗어난 패킷들의 개수, 및/또는 패킷들의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편차이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서비스의 코딩 타입, 채널 압축률, 소스 서버 지리적 국부화 파라미터, 및 소스 서버로의 네트워크 장비 스킵(skip)들의 개수를 고려하는 다른 2차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72) 동안 디코더(2)는 그렇게 얻어진 정보를 QoS 파라미터들의 형태로 저장하여, Qos를 결정하고 목록(222,224)의 각 요소와 마크를 연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단계(73) 동안 디코더(2)는 각 서비스에 대한 QoS 마크를 결정하고, 또한 결정한 QoS 마크를 목록(222,224)에 저장한다. QoS 마크의 이러한 결정은 하나 이상의 QoS 파라미터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2차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디코딩 동안 또는 디코딩 외부의 이들 상이한 수단에 의해 얻어진 QoS 파라미터 타입들은 QoS 마크를 결정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단계(72,73)의 세트는 각 목록(221,223)의 서비스 각각에 대해 수신시의 QoS를 나타내는 정보 결정을 구현한다.
그런 다음 단계(74) 동안 디코더(2)는 서비스(225)의 연결 목록을 구성한다. 이러한 연결은 2개의 목록 중 하나에서만 숫자로 표시되는 각 서비스를 위한 요소를 형성하는 것과, 2개의 목록에서 숫자로 표시되는 각 서비스에 대한 단일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은 하나 이상의 유사성 파라미터에 따른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들 유사성 파라미터에는, 예컨대 서비스 이름 또는 식별자, 서비스 및 소스 식별자와 연관된 채널 식별자가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 유사성 파라미터는 비디오 신호 또는 디코딩의 외부에서 얻어진 이러한 신호의 부분의 편차와, 목록(221,223)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들의 편차들 사이의 상관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러한 상관은 버퍼 메모리의 2개의 구역에서 상관될 신호들 중 하나를 획득하는 것(capture)을 사용하고, 다른 것에 관해 하나의 유사성 검색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유리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 버퍼 구역은 크기가 가변적이고, 이는 상이한 신호 소스들 사이의 가능한 시프트(shift)를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관될 신호들은 디코딩 후, 예컨대 사용된 코딩의 타입이 무시될 수 있게 하는 비디오 제어의 출력에서 취해진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대응 표의 수신은 목록(221,223)의 서비스들이 동일한 채널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편차의 결정에 링크되는 하나 이상의 유사성 파라미터의 결정은 대응 표의 수신과 결합된다. 2가지 방법의 결합은 대응 표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들에서 상보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 역도 성립한다. 연결된 목록에서는 목록(221 및/또는 223)의 요소들에 대한 참조뿐만 아니라 연관된 QoS 마크들을 나타내는 정보도 저장된다. 단계(74)는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에 속하는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서비스들(225)의 연결 목록의 구성을 구현한다.
그 다음, 단계(75) 동안에는 디코더(2)가 이후 "처리될 채널"이라고 하는 포인터를 연결된 목록(225)의 제 1 요소 쪽으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단계(76) 동안에는 디코더(2)가 처리될 채널에 대한 QoS 마크들을 비교하고,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지는 목록(221 또는 223)의 요소에 대한 참조를 계속 사용한다. 이 마크는 아마도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수신 품질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단계(77) 동안에는 디코더(2)가 단계(76)에서 계속 사용된 요소 번호를 채널 변경 목록(226)에 저장한다.
그 다음, 단계(78) 동안에는 디코더(2)가 처리될 채널이 연결된 목록(225)의 마지막 채널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될 채널이 연결된 목록(225)의 마지막 채널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단계(79) 동안, 디코더(2)는 처리될 채널에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으로부터의 다음 채널을 지정함으로써 처리될 채널을 갱신한다.
그런 다음 단계(76)가 반복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디코더(2)는 단계(75)와 단계(76) 사이에 삽입될 예시되지 않은 단계 동안에, 최소 결정된 값 위의 서비스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 품질을 가지지 않은 목록(221 또는 223)으로부터 서비스들을 제거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품질 파라미터가 최소값에 도달하지 않은 서비스들의 간단하고 신속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형예의 경우, 위 반복은 단계(75)와 단계(76) 사이에 삽입된 단계를 포함한다.
테스트(78)의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의 모든 서비스는 그것들의 QoS에 따라 선택되고, 단계(790) 동안 디코더(2)는 채널 요청들을 수신하고 처리할 준비가 된다.
단계(76 내지 78)는 단계(75,79)에 의해 나타난 채널 요청 후 자동 선택을 구현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 목록을 얻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채널 변경 목록을 얻는 것은 상이한 변수가 형성되고 초기화되는 단계(80)로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71) 동안에, 디코더(3)는 인터페이스(24,25)를 각각 도 1의 네트워크(12,15)의 시그널링 서버(11,14)에 연결하는 것과, 수신된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221,223)의 목록을 구성한다. 이 단계는 서비스(221,223)의 2가지 목록 수신을 구현한다.
그런 다음, 단계(81) 동안에, 디코더(3)는 도 5의 목록(314)에 대응하는 서비스들의 연결 목록을 구성한다. 이 연결은 2개의 목록 중 하나에서만 숫자로 표시하는 각 서비스에 대한 요소의 형성과, 동시에 2개의 목록에서 숫자로 표시하는 각 서비스에 대한 단일 요소의 형성을 포함한다. 연결된 목록에서, 목록(221 및/또는 223)의 요소들에 대한 참조가 저장된다. 이 단계는 서비스들의 2가지 목록(221,223)에 속하는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연결 목록의 구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연결은 또한 하나 이상의 유사성 파라미터에 따라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서비스들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예컨대 서비스 이름이나 식별자, 서비스와 연관된 채널 식별자, 및 소스 식별자에 의해 얻어진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 파라미터는 비디오 신호들의 편차 또는 2가지 서비스의 이들 비디오 신호의 부분을 결정하고 상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수신된 대응 표는 2개의 서비스 사이의 유사성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 파라미터는 전술한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단계(82) 동안 디코더(3)는 이후 "처리될 채널"이라고 하는 포인터를 연결된 목록(314)의 제 1 요소 쪽으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단계(84) 동안에는 디코더(3)가 처리될 서비스가 연결된 목록의 마지막 서비스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한다.
처리될 채널이 연결된 목록의 마지막 서비스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단계(85) 동안, 디코더(3)는 처리될 서비스에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으로부터의 다음 채널을 지정함으로써 처리될 서비스를 갱신한다. 그런 다음 단계(83)가 반복된다.
테스트(84)의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서비스들의 연결된 목록의 모든 서비스가 선택되고, 단계(86) 동안 디코더(3)는 사용자의 채널 변경 명령들을 수신하고 처리할 준비가 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 공정의 진행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 도 4, 및 도 7에 예시된 제 1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특별한 공정이 채널 변경 동안 실행된다.
공정은 상이한 변수가 형성되고 초기화되는 단계(90)로 시작한다. 특히, 이 단계는 포인터를 이후 도 3의 레지스터(316)에 저장된 "선택된 채널"이라고 하는 채널 변경 목록의 요소 쪽으로 배치한다.
그 다음 단계(91)가 채널 변경 명령을 수신한다.
그런 다음, 단계(92) 동안 수신된 명령에 따라 현재 채널에 관해 채널 변경 목록에서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채널이 도 6의 기능들(60,24,25)을 통해 선택되고 '선택된 채널' 포인트가 갱신된다.
그 다음, 단계(93) 동안 QoS의 분석이 도 6의 기능(61,62)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단계(93)는 2개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QoS를 나타내는 정보의 결정을 구현한다.
그런 다음, 테스트(94) 동안 도 6의 기능(61,62)에 의해 얻어진 분석 결과들이 도 6의 비교 기능(63)을 사용하여 비교된다.
ADSL 네트워크로부터 나오는 서비스가 최상의 QoS 마크를 가진다면, 그것이 단계(95) 동안 선택되어, 도 6의 기능(66)에 의해 표시 및 디코딩 회로들을 제공한다.
반대되는 경우에서는 DDT 네트워크로부터 나오는 서비스가 단계(96) 동안 선택되어, 도 6의 기능(66)에 의해 표시 및 디코딩 회로들을 제공한다.
단계(92 내지 96)는 채널 요청 후의 자동 선택을 구현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러한 자동 선택은 서비스의 목록들에 있어서의 구성 변경,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연결, 네트워크 상에서의 분리, 서비스 성분의 하나 이상의 QoS 파라미터들의 갱신, 및 서비스 수송 파라미터의 수정과 같은 이벤트 후에 실행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자동 선택은 채널 요청 후와 전술한 이벤트 후 실행된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에 액세스하는 도메스틱(domestic) 또는 전문적인(professional)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네트워크는, 예컨대 높은 또는 낮은 비트-속도의 인터넷 네트워크(예컨대, ADSL 타입 또는 광섬유 타입)이다. 두 번째 네트워크는, 예컨대 DTT 타입 네트워크이다. 세 번째 네트워크는, 예컨대 모바일, 위성 및/또는 케이블 타입 네트워크이다. 다른 네트워크들은 다른 또는 유사한 타입의 수송 네트워크(특히, 유선, 무선, 위성, 광학 등)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네트워크들은 다른 또는 유사한 통신 프로토콜(IP, DT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에 있어서, 위 설명은 예컨대 3개, 4개 또는 심지어 10개 이상과 같이 2개보다 많은 다른 네트워크로의 연결 가능성을 가지는 디코더에서 본 발명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서의 오디오/비디오 디코딩 디바이스는 ADSL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뎀, 또는 인터넷이나 위성 안테나에 연결된 라우터(router)와 같은, 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 개의 소스로부터 서비스들과 연관된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지만 다른 소스들로부터 나오는 수 개의 서비스들로부터, 상기 서비스들의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에 통합되거나 통합되지 않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위한 디코더, 음성/영상 레코딩 디바이스 및 모바일 수신 디바이스와 같이 상이한 디바이스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10: 디코더 11: 시그널링 서버
13: 오디오/비디오 서버 14: 시그널링 서버
16: 오디오/비디오 서버 12,15: 네트워크

Claims (18)

  1.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요청된 채널이라고 부르는 라디오 및/또는 텔레비전 채널을 요청하는 단계(101),
    - 상기 요청된 채널을 나타내고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102),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103), 및
    - 수신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104)를
    포함하고, 수신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된 서비스 파라미터의 상기 품질 중 적어도 하나는, 디코딩 외부(outside)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디코딩의 외부에서 얻어진 서비스 파라미터의 상기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수신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연관된 시그널링(signalling)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상기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와 연관된 에러 정정 코드의 존재,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와 연관된 에러 정정 코드의 정정 능력,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2진 비트-속도,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서비스 비트-속도들의 편차, 및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 네트워크들의 특징에 관한 글로벌(globa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비스들의 디코딩 동안 얻어지는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상기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그룹에 속하는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상기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디코딩시 검출된 에러들의 개수,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잃어버리는 패킷들의 개수,
    - 늦게 수신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패킷들의 개수,
    - 시퀀스 밖에서 수신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패킷들의 개수, 및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로부터 패킷들의 도착 시각에 있어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 중 하나의 상기 자동 선택 단계는, 수신시 상기 서비스들 각각과 연관된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수 개의 품질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비스 파라미터들이 상기 품질의 가중치 부여(weight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선택 단계는 서비스 품질의 가중치가 부여된 파라미터들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 선택 단계는 서비스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 품질이 결정된 최소값에 도달하지 않은 서비스(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 선택 단계는 상기 서비스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2차(secondary)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 파라미터는
    -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비스의 코딩 타입 파라미터,
    - 상기 서비스들에 의해 수송된 상기 요청된 채널의 압축률,
    - 상기 다른 네트워크들의 소스 서버 지리적 국부화(localisation) 파라미터, 및
    - 상기 다른 네트워크들의 소스 서버로의 네트워크 장비 호프(hop)들의 개수를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서비스들의 제 1 목록과 서비스들의 적어도 제 2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 서비스들의 상기 제 1 목록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수신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서비스들의 상기 제 2 목록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수신시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 제 1 목록과 제 2 목록에 속하고, 상기 선택 단계 동안 선택되는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서비스들의 '연결(concatenation)' 목록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채널을 나타내는 적어도 2개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비스들은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사성(similarity)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성 파라미터는
    - 서비스 이름,
    - 서비스 식별자,
    - 서비스와 연관된 채널의 식별자, 및
    -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 서비스에 대응하고 디코딩 동안 얻어진 적어도 비디오 신호들의 부분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와,
    - 제 1 서비스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비스에 대응하는 신호들의 적어도 한 부분의 편차들 사이의 상관 단계로서, 상기 제 1 서비스와 상기 제 2 서비스는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되는, 상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 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선택 단계는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선택 단계는
    - 서비스의 목록들 구성에 있어서의 변화,
    -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연결,
    - 네트워크로부터의 분리,
    - 상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파라미터들의 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 및
    - 상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수송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이벤트(event)를 따라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08808A 2007-10-25 2008-10-22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KR10156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8576A FR2923111A1 (fr) 2007-10-25 2007-10-25 Procede de selection de service audio et/ou video recu.
FR0758576 2007-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215A true KR20100074215A (ko) 2010-07-01
KR101560323B1 KR101560323B1 (ko) 2015-10-15

Family

ID=3964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808A KR101560323B1 (ko) 2007-10-25 2008-10-22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86786B2 (ko)
EP (1) EP2210413A1 (ko)
JP (1) JP5754941B2 (ko)
KR (1) KR101560323B1 (ko)
CN (1) CN101836436B (ko)
BR (1) BRPI0818069A2 (ko)
FR (1) FR2923111A1 (ko)
WO (1) WO2009053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7133B1 (fr) * 2009-06-18 2017-09-15 Sagem Comm Procede de controle d'un decodeur et decodeur mettant en ouvre un tel procede.
GB2484547B (en) * 2010-10-15 201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lection of data stream for receiving a data service
EP2649794B1 (en) * 2010-12-07 2019-10-30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distribution over multiple terminal devices in collaborative media system
EP2689575A4 (en) * 2011-03-25 2014-09-10 Ericsson Telefon Ab L M HYBRID MULTIMEDIA RECEIVER, INTERGARY SERVER AND METHODS,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9444862B2 (en) 2012-09-29 2016-09-13 Intel Corporation Dynamic media content output for mobile devices
JP6326213B2 (ja) * 2013-10-04 2018-05-1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GB201407360D0 (en) * 2014-04-25 2014-06-11 Uk Radioplayer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dio reception apparatus
JP2016149624A (ja) * 2015-02-12 2016-08-18 日本放送協会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JP6509057B2 (ja) * 2015-07-01 2019-05-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ラジオ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放送サービス設定方法
CN106412680B (zh) * 2015-07-31 2021-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屏控制方法及装置
US10341739B2 (en) 2016-05-16 2019-07-02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providers of media content to users viewing over-the-top conten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US10812851B2 (en) * 2016-05-16 2020-10-20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media listing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user device
EP3413542B1 (en) * 2016-05-16 2021-09-08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media listing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t a user device
CN110099061B (zh) * 2019-05-07 2020-05-01 北京邮电大学 一种云平台视频流服务选择方法及装置
CN112152988B (zh) * 2019-06-26 2022-07-29 腾讯美国有限责任公司 用于异步nbmp请求处理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7327B4 (de) * 1996-09-13 2009-04-09 Delphi Delco Electronics Europe Gmbh Frequenzdiversity-Anordnung
JP4148371B2 (ja) * 1997-12-09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
US6594825B1 (en) * 1998-10-30 2003-07-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version of an entertainment program based on user preferences
CN1344466A (zh) * 1999-03-01 2002-04-10 英戴克系统公司 用于消除在电子节目指南中的多余的节目表的系统和方法
JP3583963B2 (ja) * 1999-10-29 2004-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060259926A1 (en) * 2000-07-20 2006-11-16 Digital Deck, Inc. Adaptable programming guide for networked devices
US6931017B2 (en) * 2001-02-01 2005-08-16 Lucent Technologies Inc. Burst ratio: a measure of bursty loss on packet-based networks
JP2003230125A (ja) * 2002-02-05 2003-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トリーム配信自動切り替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518727A (ja) * 2002-02-21 2005-06-23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ガイドに従って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197402B2 (ja) * 2002-03-15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4025175B2 (ja) * 2002-11-05 2007-12-19 日本放送協会 複数メディア受信装置
JP4169676B2 (ja) * 2003-10-16 2008-10-2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442238B2 (ja) 2004-02-04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US7380264B2 (en) * 2004-08-13 2008-05-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for unifying heterogeneous multimedia tuners
KR100744186B1 (ko) * 2005-06-0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58623A (ja) * 2005-12-02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配信サービスの品質モニタ方法および端末装置
KR100755714B1 (ko) * 2006-05-03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덱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05766A1 (en) * 2006-06-29 2008-01-03 Scientific-Atlanta, Inc. Enhanced Program Guide
CN101388971A (zh) * 2007-09-13 2009-03-1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提供优选频道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6786B2 (en) 2014-07-22
KR101560323B1 (ko) 2015-10-15
JP5754941B2 (ja) 2015-07-29
WO2009053401A1 (en) 2009-04-30
CN101836436A (zh) 2010-09-15
EP2210413A1 (en) 2010-07-28
BRPI0818069A2 (pt) 2015-03-31
JP2011501594A (ja) 2011-01-06
FR2923111A1 (fr) 2009-05-01
US20100231805A1 (en) 2010-09-16
CN101836436B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323B1 (ko) 수신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US8774225B2 (en) Mapping service components in a broadcast environment
KR10075302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방송 핸드오버
US851498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andwidth adjustment
CN1906947B (zh) 在网络上传输数字服务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设备
US7606228B2 (en) Home gateway system for providing optical communication packet data interface function and home broadcas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75861B1 (ko) 채널 식별자를 패킷 식별자에 매핑하기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섹션
US8554942B2 (en) Multicast address to packet identifier mapping for broadcast systems
US20070127377A1 (en) Method for updating a data recor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173641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cast packet
KR20170008717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2056438B1 (ko) 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223495A1 (en) On-demand mobile wireless broadcast video delivery mechanism
KR20060121893A (ko) Ip 네트워크를 통한 dvb 서비스의 송신을 위한 방법및 장치
US20100195534A1 (en) Method for accelerating terminal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essing network
US20090327959A1 (en) Method of display of a user interface and corresponding transmission method.
US20090323548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qos level
KR102112586B1 (ko)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351137B (zh) 自动更新配置信息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20417335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cyclical transmission of messages
US20240155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8k shvc service based on broadcast network interconnection
US20230319674A1 (en) Uplink Route Decision Method, Distributed Unit Device and User Plane Function Connec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349357B1 (en)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packet identifier mapping
KR20190139815A (ko)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156197A (zh) 频道切换方法、系统、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