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709A -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709A
KR20100073709A KR1020080132453A KR20080132453A KR20100073709A KR 20100073709 A KR20100073709 A KR 20100073709A KR 1020080132453 A KR1020080132453 A KR 1020080132453A KR 20080132453 A KR20080132453 A KR 20080132453A KR 20100073709 A KR20100073709 A KR 2010007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means
joining
concrete
strength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709A/ko
Publication of KR2010007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증축 구조물 즉, 건물 증축시 기존 건물과 증축 건물의 철근 접합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합 강도는 향상시킨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은 그 구성 일예로서, 제1 구조물에 제2 구조물을 증축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구조물에 시공된 강도유지체에 연계되는 제1 접합수단 및, 상기 제2 구조물에 시공된 강도유지체에 연계되는 제2 접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접합수단들의 접합을 통하여 구조물 증축을 구현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구조물 즉, (가) 건물의 철근과 신규 구조물 즉, 증축 건물의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히 접합수단들의 구조물 일체성을 확보하게 하면서 철근의 구조물 정착강도도 확보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조물, 건물, 가건물, 증축 접합 시스템, 접합수단

Description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Coupling System for Extension Structure}
본 발명은 증축 구조물 즉, 건물 증축시 기존 건물과 증축 건물의 철근 접합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그 접합 강도는 향상시킨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구조물 즉, 기존 (가)건물의 철근과 신규 구조물 즉, 증축 (가) 건물의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히 접합수단들의 구조물 일체성을 확보하게 하면서 철근 정착 강도는 향상시키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군 막사, 공사 현장의 임시 숙소와 같은 시설(구조물)에는 수용인원에 따라 빈번한 증축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반드시 이와 같은 시설이 아니라도, 근래 건물 리모델링을 통한 건물 의 증축은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 개략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구조물 즉, 기존 건물(110)(굵은 선 부분)에 증축 구조물 즉, 신규 건물(120)(점선 부분)을 증축하게 된다.
한편, 도 1a에서 굵은 선과 점선은 기존 건물과 증축 건물의 구조 재(112)(122) 즉, 콘크리트 시공되는 철골 구조재를 나타낸다.
이때,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구조물 즉, 기존 건물(100)의 기둥(110a)과 보(슬라브)(110b)의 콘크리트부위(C)에 철근(114)들이 시공된다.
그런데, 기존 건물(110)에 증축 건물(120)을 연결 증축하는 경우, 도 1b와 같이 기존 건물(110)의 철근 콘크리트부위(C) 일부분을 제거하고, 이때 드러난 기존 철근(예를 들어 114)에 증축되는 건물(120)에 시공되는 신규 철근(124)을 이어서 신규 건물(120)을 증축한다.
또는, 기존 건물의 시공 초기부터 신규 건물의 증축시 철근의 이음을 감안하여 철근에 여유길이(도 1b의 114a 참조)를 두면서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물 증축시 기존 건물의 철근과 신규 건물의 철근의 연결 작업은 시공 기간(공기)를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즉, 일부 콘크리트 부위(도 1b의 'D')를 제거하고 기존 철근(114)에 신규 증축되는 건물의 철근(124)을 연결하거나, 미리 여유를 두고 시공된 철근에 증축 건물의 철근을 이어서 시공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기존 철근과 신규 철근을 단지 엮어서 건물 증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철근(114)과 콘크리트(C)간의 정착 신뢰도가 낮은 것이었다.
또한, 건물 증축시 기존 철근과 신규 철근의 이음을 감안하여 미리 여유길이를 두는 경우, 구조물 외부로의 노출에 따른 구조물의 외관도 미려하지 않게 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구조물 특히,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증축시, 철근 연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일체성 저하를 방지하고,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접합수단이 철근 정착길이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전단머리로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증축 구조물의 접합 강도를 유지하면서 철근 사용량은 줄일 수 있도록 한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구조물에 제2 구조물을 증축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에 시공된 강도유지체에 연계되는 제1 접합수단; 및,
상기 제2 구조물에 시공되는 강도유지체에 연계되는 제2 접합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접합수단들의 접합을 통하여 구조물 증축을 구현토록 구성된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구조물의 강도 유지체는, 제1 구조물의 콘크리트부위에 시공된 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접합수단은 상기 강도유지체의 철근이 결합되되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토록 콘크리트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수단의 접합을 위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구조물의 강도 유지체는, 제2 구조물의 콘크리트부위에 시공된 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접합수단은 상기 강도 유지체의 철근이 결합되되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토록 콘크리트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수단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접합수단 및 제2 접합수단은 콘크리트 접촉면을 포함하는 스틸 원통체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강도유지체인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되는 철근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2 결합부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1 접합수단의 제1 결합부와 제2 접합수단의 제2 결합부는 나사 체결되는 암,수 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합수단은 제1 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 부위에 일체로 타설되되 증축 예정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합수단은 제1 접합수단에 접합된후 제2 구조물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합수단과 제2 접합수단에 구비되어 구조물 콘크리트와의 접합 강도를 강화하는 콘크리트 접촉단 및, 상기 제1,2 접합수단에 체결되어 접합수단의 접합 강도를 높이도록 제공되는 보강부재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들 모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구조물(건물)과 신규 증축 구조물(건물)에 각각 제공되고 철근과 결합되는 접합수단들을 통하여 기존 건물과 증축 건물의 접합을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기존 구조물과 신규 구조물 사이의 접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특히, 접합수단의 콘크리트 구조적 일체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정착 강도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접합 강도와 시공 용이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기는 단축시키어 결과적으로 시공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접합수단은 철근의 콘크리트 정착기구로 제공되기 때문에, 철근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면서 구조물과 증축 시 시공될 수 있어 증축 강도를 견고하게 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의 접합 시스템(1)은, 기존 구조물 즉, 기존 건물인 제1 구조물(10)에 신규 구조물 즉, 신규 건물인 제2 구조물(40)을 증축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1)은, 크게 상기 제1 구조물(10)에 시공된 강도유지체(20)에 결합되는 제1 접합수단(30) 및, 상기 제2 구조물(40)에 시공되는 강도유지체(50)에 결합되는 제2 접합수단(60)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접합수단들의 접합을 통하여 구조물 증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에 그 실시예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1)의 경우, 도 2와 같이 기존 건물인 제1 구조물(10)을 시공할 때, 증축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부위(C)에 시공되는 강도유지체(20)에 결합된 제1 접합수단(30)을 구비하도록 하고, 나중에 신규 건물인 제2 구조물(40)의 증축시, 제2 구조물에 시공되는 강도유지체(50)가 결합된 제2 접합수단(60)을 먼저 접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증축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3a, 3b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합 시스템(1)에서 상기 제1,2 구조물(10)(30)의 강도유지체(20)(50)는 실제로는 제1 구조물(10) 즉, 기존 철골 콘크리트 건물과 제2 구조물(30) 즉, 증축되는 건물의 콘크리트부위(C)에 시공되는 철근으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강도유지체는 반드시 철근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1,2 접합수단(30)(60)은 상기 강도유지체(20)(50)인 철근이 결합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토록 콘크리트 접촉면(32)(62)을 각각 포함하는 스틸의 원통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철근들을 단순히 이어서 구조물의 증축을 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1)의 경우에는, 스틸 원통체로서 콘크리트 접촉면(32)(62)을 형성하는 접합수단들이 콘크리트 타설시 그 일체성을 확실하게 하여 강도를 기존에 비하여 더 강화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2 접합수단(30)(60)들은 철근인 강도유지체(20)(50)의 끝부분에 결합되면서, 구조물 시공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철근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정착부로서 작용되는 전단머리로 제공된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본 발명 구조물 자체의 강도 증대는 물론, 접합 강도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2 접합수단(30) (60)인 스틸 원통체의 일측에는 상기 강도유지체(20)(50)인 철근의 단부에 형성(가공)된 나사부(22)(52)가 긴밀하게 결합되는 철근 결합부(30a)(60a) 즉,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의 제1,2 접합수단(30)(60)의 스틸 원통체의 타측에는 상기 철근 겹합부 보다는 내경 및 외경이 확장되어 강도를 유지하면서 서로 나사형태로 결합되는 제1,2 결합부(34)(64) 즉, 암 나사부와 수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상기 기존 구조물의 제1 구조물(10)에 시공되는 제1 접합수단(30)은 증축될 부분의 콘크리트부위(C)에 제1 결합부(34)가 노출되게 배치되고, 건물 증축시 상기 제2 접합수단(60)의 수 나사부인 제2 결합부(64)가 제2 구조물(40)의 시공 전에 먼저 제1 접합수단(30)의 암 나사부인 제1 결합부(34)에 나 사 결합된다.
그 다음, 제2 구조물(40)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증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 접합수단(30)(60)의 제1 결합부(34)와 제2 결합부(64)는 서로 나사 형태로 체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접합수단(30)도 콘크리트부위(C)에 제2 결합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구조물(10)인 기존 건물과 제2 구조물(30)인 신규 건물의 콘크리트 면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합 시스템에서는, 도 3a와 같이 제1 접합수단(30)은 제1 구조물(10)의 시공시 콘크리트부위(C)에 일체로 타설되되 증축 예정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제2 접합수단(60)은 미리 제1 접합수단에 접합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구조물 증축을 하는 것이다.
다음, 도 5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의 본 발명 접합 시스템(1)은, 기존 제1 구조물(10)의 철근과 증축되는 제2 구조물(40)에 제공되는 철근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나사 접합되는 상기 제1 접합수단과 제2 접합수단에 구비되는 콘크리트 접촉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틸 원통체인 접합수단들의 외연에 일체로 된 환형의 돌출 접촉단(70)은, 기존 제1 구조물(10)과 신규 제2 구조물(30)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 트와 일체로 되어 구조적 일체성을 더 확실하게 하면서, 접합수단의 콘크리트 이탈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틸 원통체인 상기 제1,2 접합수단(30)(60)에는 서로 나사형태로 접합되는 제1,2 결합부(34)(64)와는 별도로 접합된 상태에서 접합 강도를 높이도록 설치되는 보강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제1 접합수단(30)의 제1 결합부(34)(암나사부)에 제2 접합수단(60)의 제2 결합부(64)(수나사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접합수단(30)에 형성된 나사홈(82)에 제2 접합수단(60)의 구멍(84)을 통과한 체결볼트의 보강부재(80)를 체결하면, 제1,2 접합수단들은 보다 견고하게 접합되고, 따라서, 제2 접합수단(60)에 결합된 철근의 강도유지체(50)인 철근도 견고하게 시공되는 것이다.
이때, 도 3a와 같이, 제1 접합수단(30)은, 기존 제1 구조물(10)의 콘크리트 외면에 노출되게 시공되면 된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접합수단에 합성수지로 된 커버체를 제1 결합부(34)에 끼워지도록 하여 부착하면 외관적으로 미려하게 하여 더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접합수단 예를 들어, 제1 구조물(10)에 시공된 철근이 결합되는 제1 접합수단(물론 제2 접합수단도 마찬가지임)(30)은, 구조물 내에서 철근의 정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단머리로 제공되는 것이다.
즉, 도 1b와 같이, 기존에는 구조물(110)에서 철근(114)의 정착길이를 확보 하기 위해서 보(110b)의 철근을 기둥(110a)의 철근(114)까지 연장하고 그 단부(114a)를 굽혀서 시공하였지만, 본 발명의 접합 시스템에서는 접합수단이 전단머리로 작용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철근의 연장이나 굽힘 작업 등을 필요없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a는 기존 구조물(건물)의 증축 부분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기존 구조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도시한 요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물들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본 발명 접합 시스템을 도시한 요부 구조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접합시스템의 제1 접합수단이 기존 구조물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접합 시스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10,30.... 구조물
20,50.... 구조물 강도유지체(철근) 30,60.... 제1,2 접합수단
32,62.... 콘크리트 접촉면 70.... 콘크리트 접촉단
80.... 접합수단 보강부재

Claims (7)

  1. 제1 구조물(10)에 제2 구조물(40)을 증축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10)에 시공된 강도유지체(20)에 연계되는 제1 접합수단(30); 및,
    상기 제2 구조물(40)에 시공되는 강도유지체(50)에 연계되는 제2 접합수단 (6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접합수단들의 접합을 통하여 구조물 증축을 구현토록 구성된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물(10)의 강도 유지체(20)는, 제1 구조물의 콘크리트부위에 시공된 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접합수단(30)은 상기 강도유지체(20)의 철근이 결합되되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토록 콘크리트 접촉면(32)을 포함하는 전단머리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접합수단의 접합을 위한 제1 결합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물(40)의 강도 유지체(50)는, 제2 구조물의 콘크리트부위에 시공된 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접합수단(60)은 상기 강도 유지체(50)의 철근이 결합되되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토록 콘크리트 접촉면(62)을 포함하는 전단머리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접합수단에 구비된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수단(30) 및 제2 접합수단(60)은 콘크리트 접촉면(32)(62)을 포함하는 스틸 원통체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강도유지체인 철근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2)(52)가 결합되는 철근 결합부(30a)(6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2 결합부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수단의 제1 결합부(34)와 제2 접합수단의 제2 결합부(64)는 나사 체결되는 암,수 나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수단(30)은 제1 구조물(10)의 시공시 콘크리트 부위(C)에 일체 로 타설되되 증축 예정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합수단(60)은 제1 접합수단에 접합된후 제2 구조물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수단과 제2 접합수단에 구비되어 구조물 콘크리트와의 접합 강도를 강화하는 콘크리트 접촉단(70); 및,
    상기 제1,2 접합수단에 체결되어 접합수단의 접합 강도를 높이도록 제공되는 보강부재(8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KR1020080132453A 2008-12-23 2008-12-23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KR20100073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453A KR20100073709A (ko) 2008-12-23 2008-12-23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453A KR20100073709A (ko) 2008-12-23 2008-12-23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709A true KR20100073709A (ko) 2010-07-01

Family

ID=4263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453A KR20100073709A (ko) 2008-12-23 2008-12-23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7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5007A (zh) * 2017-05-22 2017-08-11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伸缩缝结构及其施工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5007A (zh) * 2017-05-22 2017-08-11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伸缩缝结构及其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41B1 (ko) 조립트러스 매립형 합성보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JP4877654B2 (ja) 隅角部の剛結構造
JP2007239301A (ja) 間詰めコンクリートを介在させ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一体化方法
JP6375079B1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橋軸直角方向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JP7243007B2 (ja) 木質梁接合構造
KR100609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구조
KR101577327B1 (ko) 혼합형 합성거더
KR20020021747A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합성보
JP2000204657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KR20100073709A (ko) 증축 구조물 접합 시스템
JP2005200994A (ja) 閉鎖断面部材の接合構造
KR101314791B1 (ko) 변단면 합성 라멘교
JP2004285823A (ja) 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
JP2005048543A (ja) 柱梁接合構造
JP2004003236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部構造
US20050120657A1 (en) Form system wall ti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154099B2 (ja) 鋼管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との接合構造
KR20000061241A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JP2001159193A (ja) 鋼管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との接合構造
KR10044270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JPH10238132A (ja) 耐震補強工法
KR102673775B1 (ko) Pc기둥과 pc보의 기계적이음을 이용한 접합부 구조
JP200104076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ぎ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