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607A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607A
KR20100073607A KR1020080132323A KR20080132323A KR20100073607A KR 20100073607 A KR20100073607 A KR 20100073607A KR 1020080132323 A KR1020080132323 A KR 1020080132323A KR 20080132323 A KR20080132323 A KR 20080132323A KR 20100073607 A KR20100073607 A KR 2010007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unting
display
display device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579B1 (ko
Inventor
김영미
김대운
Original Assignee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5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함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의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위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의 배면 상에 구비되는 거치 보조판과,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상기 거치 보조판과 선택적으로 직선 밀착, 이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132323
멀티디스플레이, LM가이드, 푸시래치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Multi-display}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함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의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화면이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수개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을 구현한 것으로서 전시회장이나 노래방에서의 대형화면이나, 전광판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그 사용용도에 따라 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와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대(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세부적으로, 상기 거치대(1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걸림홀(2)이 다수 개 배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받치는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걸림홀(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걸림 볼트(3)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 볼트(3)는 헤드부의 직경이 걸림홀의 상부직경 보다 작고, 하부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의 걸림홀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서로 밀착되도록 장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서로 밀착 배치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초기 장착시 여유 공간이 부족하여 다수개의 걸림 볼트(3)를 다수개의 걸림홀에 동시 삽입함에 어려움이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은 물론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거치대의 구조상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0)를 밀착,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해야 하고, 분리시 이와 반대로 상부에서부터 순서대로 분리해야 함에 따라 사용 중 고장 등의 이유로 중앙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까지 모두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설치 수량에 따라 그에 적합한 사이즈로 전용의 거치대를 주문 제작해야 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걸림홈을 일일이 천공해야 하므로 거치대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함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적인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의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위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의 배면 상에 구비되는 거치 보조판과,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상기 거치 보조판과 선택적으로 직선 밀착, 이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거치 보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 상기 거치 보조판을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착탈 매개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 매개 부재는 푸시 래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 래치의 일측에 버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거치 보조판의 상기 거치대와의 밀착시, 상기 거 치 보조판은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의 눌림 반복에 의해 상기 거치 보조판과 거치대의 고정, 해제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가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거치대와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착탈 매개 부재를 통해 단위 디스플레이와 거치대가 선택적으로 착탈됨에 따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교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디스플레이(310), 거치 보조판(320) 및 거치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 보조 판(320)은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의 배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와 일체형을 이루며, 상기 거치대(330)와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는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부(311) 및 상기 패널부(311)의 배면 상에 구비되어 구동회로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312)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 보조판(320)은 상기 커버 부재(312)의 배면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선택적 착탈을 위해 상기 거치 보조판(320) 및 거치대(33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 보조판(32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세부적으로, LM(linear motion) 가이드(321)와 LM 가이드 레일(331)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LM 가이드(321)는 상기 거치 보조판(320)의 일측에 구비시키고 상기 LM 가이드 레일(331)은 상기 거치대(330)의 일측에 구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LM 가이드(321)가 상기 LM 가이드 레일(331)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달리 표현하여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선택적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330)는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의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LM 가이드 레일(3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LM 가이드 레일(331)은 거치 보조판(3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거치대(330)의 상하 또는 좌우에 각각 구 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LM 가이드(321)가 상기 거치대(330) 상에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 즉, LM 가이드(321)와 LM 가이드 레일(331)을 통해 단위 디스플레이(310)의 거치대(330)와의 선택적 착탈이 용이하게 구현됨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상기 거치대(330)의 일측, 정확히는 상기 거치 보조판(320)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거치대(330)의 내측에 착탈 매개 부재(332)가 구비된다.
상기 착탈 매개 부재(332)는 상기 거치 보조판(320)이 상기 LM 가이드(321) 및 LM 가이드 레일(331)을 통해 상기 거치대(330)와 밀착될 때,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접촉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로 푸시 래치(push-latch)(332)로 구성할 수 있다.
푸시 래치(332)로 상기 착탈 매개 부재(332)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거치 보조판(320)이 거치대(330)와 밀착하여 상기 푸시 래치(332)의 버튼부(332a)를 누르게 되면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도 4a 내지 도 4c 참조), 이와 같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 보조판(320)을 상기 거치대(330)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눌러 상기 푸시 래치(332)의 버튼부(332a)가 한 번 더 눌리게 되면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도 4d 참조). 즉, 푸시 래치(332)의 버튼부(332a)의 눌림 반복을 통해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고정, 해제가 반복될 수 있으며, 이는 곧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선택적 착탈을 의미한다.
이상의 구성을 정리하면,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의 배면 상에 구비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거치 보조판(320)은 가이드 부재 예를 들어, LM 가이드(321) 및 LM 가이드 레일(331)을 매개로 상기 거치대(330)와의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접하는 거치대(330)의 내측에 착탈 매개 부재(332) 예를 들어, 푸시 버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거치 보조판(320)과 거치대(330)의 선택적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거치 보조판(320)이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의 배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 보조판(320) 상에 LM 가이드(321)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LM 가이드(321)가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310)의 배면 상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0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00 :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
310 : 단위 디스플레이 311 : 패널부
312 : 커버 부재 320 : 거치 보조판
321 : LM 가이드 330 : 거치대
331 : LM 가이드 레일 332 : 착탈 매개 부재

Claims (12)

  1.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위 디스플레이와,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와 선택적으로 직선 밀착, 이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착탈 매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매개 부재는 푸시 래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래치의 일측에 버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의 상기 거치대와의 밀착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는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의 눌림 반복에 의해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와 거치대의 고정, 해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7.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위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의 배면 상에 구비되는 거치 보조판과,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상기 거치 보조판과 선택적으로 직선 밀착, 이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거치 보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LM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상기 거치 보조판을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착탈 매개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매개 부재는 푸시 래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래치의 일측에 버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거치 보조판의 상기 거치대와의 밀착시, 상기 거치 보조판은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래치의 버튼부의 눌림 반복에 의해 상기 거치 보조판과 거치대의 고정, 해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132323A 2008-12-23 2008-12-2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23A KR101375579B1 (ko) 2008-12-23 2008-12-2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323A KR101375579B1 (ko) 2008-12-23 2008-12-2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607A true KR20100073607A (ko) 2010-07-01
KR101375579B1 KR101375579B1 (ko) 2014-03-19

Family

ID=4263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323A KR101375579B1 (ko) 2008-12-23 2008-12-23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58B1 (ko) * 2011-09-01 2012-03-16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조립 및 셋팅 장치
KR101128839B1 (ko) * 2011-09-01 2012-03-23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보조 거치장치
WO2020141829A1 (en) * 2019-01-04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4014595A1 (ko) * 2022-07-13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0697A (ja) * 1994-11-02 1996-05-21 Toshiba Corp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構造
DE707422T1 (de) * 1994-10-14 1996-10-10 Toshiba Kawasaki Kk Mehrschirmanzeigevorrichtung
JPH0983918A (ja) * 1995-09-19 1997-03-28 Toshiba Corp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キャビネット構造
US7453686B2 (en) 2005-08-29 2008-11-18 Elbex Video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display panels onto wall surfa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58B1 (ko) * 2011-09-01 2012-03-16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조립 및 셋팅 장치
KR101128839B1 (ko) * 2011-09-01 2012-03-23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보조 거치장치
WO2020141829A1 (en) * 2019-01-04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51333B2 (en) 2019-01-04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4014595A1 (ko) * 2022-07-13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579B1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07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US8451594B2 (en) Universal stand for multivision
US20040212552A1 (en) Computer monitor screen
CN111336353A (zh)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KR1013755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04956426B (zh) 显示装置的安装适配器
JP2008096666A (ja) 表示パネル、表示機器および部品取付基板
JP2011160319A (ja) 音響装置、表示装置
KR1006309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0276856A (ja) 表示装置
JP2008046435A (ja) 液晶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002781B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EP207562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20058055A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KR101487395B1 (ko) 멀티비전용 패널 거치 구조
KR101946118B1 (ko) 컴퓨터 책상을 위한 부품 배치 기판
KR20040009338A (ko) 모니터장치
CN112810736B (zh) 一种便于拆装的电动车仪表
CN219283761U (zh) 管理夹装置和冰箱
CN221079494U (zh) 一种hud展示装置
KR200321476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명판고정장치
JP4991261B2 (ja) 陳列用アタッチメントベース及び陳列用支持装置
KR20050031546A (ko) 통신 랙의 가변 쉘프
KR102452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