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055A -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055A
KR20120058055A KR1020100119671A KR20100119671A KR20120058055A KR 20120058055 A KR20120058055 A KR 20120058055A KR 1020100119671 A KR1020100119671 A KR 1020100119671A KR 20100119671 A KR20100119671 A KR 20100119671A KR 20120058055 A KR20120058055 A KR 2012005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play panel
display
fasten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428B1 (ko
Inventor
전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0011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거치되어 하나의 멀티 비젼으로 구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에 있어, 특히 본 발명에서는 최하층에 거치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탈거시, 상층에 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도 최하층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독립적으로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위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의해 종래와 같이 탈거와 재장착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Universal Stand for Multi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거치 되어 하나의 멀티 비젼으로 구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에 있어, 특히 본 발명에서는 최하층에 거치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수단으로부터 탈거 시, 상층에 거치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도 최하층에 거치 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독립적으로 탈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PDP(Plasma Display Panel)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점차로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를 키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정 크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하여 하나의 멀티 비젼 즉, 멀티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위와 같은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기 위해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니버셜 거치장치의 세그먼트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별적으로 연속 조립되는 상태로 거치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도 1a에서는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 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2a에서는 장착 및 탈거 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b는 도 2a의 A를 확대한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 및 도 2d는 도 1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2c에서는 거치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d는 도 2c의 C를 확대한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도 2b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는 연결축(12)으로 연결되는 고정구(14)가 체결나사(S)에 의해 볼팅 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고정구(14)는 후술하는 유니버셜 거치장치(16)의 거치공(18)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유니버셜 거치장치(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층을 이루며 세그먼트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평면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2)에는, 앞서 언급한 거치공(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공(18)은 상부 홀(24)과,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홀(24)의 하부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장홀(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홀(24)은 고정구(14)가 통과하는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홀(26)은 고정구(14)의 연결축(12)만 통과할 뿐 고정구(14)의 걸림은 유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 도2b, 도 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유니버셜 거치장치(16)에 거치시키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고정구(14)를 거치공(18)의 상부 홀(24)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내려놓게 되면, 고정구(14)의 연결축(12)이 장홀(26)의 하단에 걸쳐지는 지지 상태로 거치가 완료된다. (도 2c 및 도 2d 참조)
종래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16)는, 도 2a 내지 도 2d에서 보듯이 1층 ~ 3층으로 가정할 때, 최하단 즉, 1층에 거치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대한 교체 혹은 수리를 위해 탈거하게 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고정구(14)를 상부 홀(24)로 위치시킨 후, 상부 홀(24)로부터 고정구(14)가 빠져나오게 되면서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장홀(26)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구(14)를 상부 홀(24)로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부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때 탈거를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이 라인의 2층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면 밀착되는 상태로 거치 되어 있어 탈거를 하기 위한 1층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상부로 이동시킬 없다.
그에 따라 2층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탈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때에도 2층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이 라인의 3층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탈거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1층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이 라인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이 탈거되어야지만 1층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탈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1층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탈거와 재거치 조립에 많은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작업성 저하와 함께 많은 작업시간의 소요가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최하단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장치로부터 탈거시, 그 라인의 상층에 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도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층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각 고정 프레임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축으로 연결된 고정구가 통과한 상태에서 연결축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는 거치공과; 상기 거치공의 측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거치공의 상하부를 가로막는 상태로 배치될 때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빗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거치공은 고정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홀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로부터 고정구의 위치가 벗어날 때 빠져나오지 못하는 걸림 상태로 연결축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및 하부 홀 간에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홀; 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빗장수단은,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의 양편에 구비되며 지지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편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연결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걸이부;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장수단은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홀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봉과; 상기 체결공의 일단에 구비되며 체결봉이 연결홀의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 연결홀의 상하부를 가로막는 상태로 내부에 배치되는 걸이부;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최하단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장치로부터 탈거시, 그 라인의 상층에 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도 탈거가 이루어짐으로써, 탈거 및 거치에 따른 작업의 편의와 함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도 1a는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2a는 장착 및 탈거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A를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도 1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2c는 거치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d는 도 2c의 C를 확대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b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도 4a는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b의 D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도 4a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6a는 장착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E를 확대한 배면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F-F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4a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7a는 거치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G를 확대한 배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H-H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4a의 일부 라인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8a는 1층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탈거시 고정구가 거치공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I를 확대한 배면도이며, 도 8c는 도 8b의 J-J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빗장수단이 지지 프레임에 내장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도 4a에서는 유니버셜 거치장치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서는 디스플레 이 패널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4b의 D를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먼저 유니버셜 거치장치(30)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에는 연결축(12)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구(14)가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유니버셜 거치장치(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층을 이루는 세그먼트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평면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고정구(14)가 걸림되는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거치공(32)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구(14)가 통과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홀(34, 36)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홀(34, 36) 간에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홀(34, 36)로 이동하는 동안 고정구(14)의 걸림은 유지되는 상태로 고정구(14)의 연결축(12)이 이동할 수 있는 연결홀(3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배면에는 빗장수단(40)이 연결홀(38)의 일 옆에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빗장수단(40)은 체결공(4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44)와, 이 체결구(44)의 양편에 연결되는 상태로 배치되며 지지 프레임(22)에 부착 고정되게 되는 연결편(46)과, 상기 체결공(42)에 체결되며 연결홀(38)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체결봉(48)과, 상기 체결봉(48)의 단부에 고정되는 걸이부(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유니버셜 거치장치(30)에 거치시키고 할 경우, 먼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수단(40)의 체결봉(48)을 연결홀(38)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이부(50)가 연결홀(38)의 가로지는 상태로 배치시킨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고정구(14)를 해당 거치공(32)의 상부 홀(34)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내려놓게 되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4)의 연결축(12)은 연결홀(38)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구(14)가 걸이부(50)에 지지되는 상태로 거치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의 최하단인 1층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탈거 하고자 할 경우, 빗장수단(40)의 체결봉(42)을 회전시켜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걸이부(50)가 연결홀(38)로부터 벗어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하부 방향으로 내려놓게 되면 연결축(12)과 함께 고정구(14)가 하부 홀(36)로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구(14)가 하부 홀(36)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에서는 1층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탈거시, 이 라인 상층에 거치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탈거 없이도 탈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탈거와 재거치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삭제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서는 도 5의 빗장수단이 지지 프레임에 내장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8c에서 설명된 빗장수단(40)은 지지 프레임(22)의 배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도 9에서는 고정 프레임(20)의 내부에 고정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60)에, 지지 프레임(60)의 측면으로부터 연결홀(38)과 통하는 상태로 체결공(62)이 바로 형성되고, 이 체결공(62)에 걸이부(64)를 구비한 체결봉(66)이 체결되는 매립구조가 제시된다. 이에 따라 체결봉(66)은 체결공(62)을 따라 연결홀(38)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체결봉(66)이 연결홀(38) 방향으로 전진하게 될 경우, 걸이부(64)가 연결홀(38)의 측면으로터 인출되어 연결축(12)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물론, 걸이부(64)가 체결공(62)으로 수용되는 상태로 연결홀(38)을 벗어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축(12)과 함께 고정구(14)가 하부 홀(36)로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구(14)가 하부 홀(36)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탈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패널 12 : 연결축
14 : 고정구 16, 30 : 유니버셜 거치장치
18, 32 : 거치공 20 : 고정 프레임
22, 60 : 지지 프레임 24, 34 : 상부 홀
26 : 장홀 36 : 하부 홀
38 : 연결 홀 40 : 빗장수단
42, 62 : 체결공 44 : 체결구
46 : 연결편 48, 66 : 체결봉
50, 64 : 걸이부

Claims (4)

  1.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는 유니버셜 거치장치로서,
    층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각 고정 프레임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축으로 연결된 고정구가 통과한 상태에서 연결축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는 거치공과;
    상기 거치공의 측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거치공의 상하부를 가로막는 상태로 배치될 때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빗장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공은 고정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홀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로부터 고정구의 위치가 벗어날 때 빠져나오지 못하는 걸림 상태로 연결축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및 하부 홀 간에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수단은,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의 양편에 구비되며 지지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편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며 연결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체결봉과;
    상기 체결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장수단은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홀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봉과;
    상기 체결공의 일단에 구비되며 체결봉이 연결홀의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 연결홀의 상하부를 가로막는 상태로 내부에 배치되는 걸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KR1020100119671A 2010-11-29 2010-11-29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KR10166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71A KR101669428B1 (ko) 2010-11-29 2010-11-29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71A KR101669428B1 (ko) 2010-11-29 2010-11-29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55A true KR20120058055A (ko) 2012-06-07
KR101669428B1 KR101669428B1 (ko) 2016-10-27

Family

ID=4660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71A KR101669428B1 (ko) 2010-11-29 2010-11-29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4963A (zh) * 2018-03-22 2018-08-07 重庆攀越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数字会议系统的组合显示屏
US20190180673A1 (en) * 2017-12-12 2019-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WO2022019348A1 (ko) * 2020-07-21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375A (ja) * 1991-07-25 1993-03-05 Hitachi Ltd 組合せ型背面投写型テレビ
KR100898682B1 (ko) * 2008-04-22 2009-05-22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100969249B1 (ko) * 2009-04-14 2010-07-09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개별 모니터를 이용한 멀티비젼
KR20100099020A (ko) * 2009-03-02 2010-09-10 박선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375A (ja) * 1991-07-25 1993-03-05 Hitachi Ltd 組合せ型背面投写型テレビ
KR100898682B1 (ko) * 2008-04-22 2009-05-22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20100099020A (ko) * 2009-03-02 2010-09-10 박선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KR100969249B1 (ko) * 2009-04-14 2010-07-09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개별 모니터를 이용한 멀티비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0673A1 (en) * 2017-12-12 2019-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EP3499486A1 (en) * 2017-12-12 2019-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WO2019117410A1 (en) * 2017-12-12 2019-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CN109920340A (zh) * 2017-12-12 2019-06-2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模块
CN109979335A (zh) * 2017-12-12 2019-07-05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模块和显示装置
US10803786B2 (en) 2017-12-12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frame
CN108374963A (zh) * 2018-03-22 2018-08-07 重庆攀越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数字会议系统的组合显示屏
WO2022019348A1 (ko) * 2020-07-21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428B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092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8418987B2 (en) Display apparatus
KR100755756B1 (ko) 멀티비전용 스탠드
WO2010053292A3 (ko) 복수의 액정 표시 모듈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65501A (ko) 멀티 비전
KR100967794B1 (ko)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20120058055A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CN203136407U (zh) 安装led显示屏的框架单元以及led显示屏安装装置
US20150289396A1 (en) Display device
JP2012189830A (ja) スタンド装置
KR200419281Y1 (ko) 멀티비전용 스탠드
CN202871217U (zh) 积木式液晶拼接幕墙
KR101572640B1 (ko) 커버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용 지그
JP3193326U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イーゼルスタンド
KR1013755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04692U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거치장치
KR10105908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걸이 장치
JP2004341468A (ja) 大型表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30012270A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월 마운트
JP3725150B1 (ja) 液晶パネルによる多画面表示装置
KR101487395B1 (ko) 멀티비전용 패널 거치 구조
CN102980001A (zh) 双液晶显示屏的安装装置
JP2003216058A (ja) 可動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5102742A (ja) デスク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