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756B1 - 멀티비전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멀티비전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756B1
KR100755756B1 KR1020070039679A KR20070039679A KR100755756B1 KR 100755756 B1 KR100755756 B1 KR 100755756B1 KR 1020070039679 A KR1020070039679 A KR 1020070039679A KR 20070039679 A KR20070039679 A KR 20070039679A KR 100755756 B1 KR100755756 B1 KR 10075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racket
locking
horizontal bracke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최병구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07003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면 대칭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되고 상부 삽입공에는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돌출설치되며 배면에는 헤드부가 큰 걸림 볼트가 설치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의 열수에 대응되게 전면(前面)에는 상/하 한 쌍의 고정블록이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고 그 측부로 슬라이드블록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다수개 설치된 수평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의 고정블록 및 슬라이드블록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심부는 걸림 볼트의 헤드부보다 크고 그 수직/수평방향으로는 헤드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 걸림홀이 천공된 다수개의 수직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과 수직브라켓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브라켓의 측면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좌/우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를 제공하여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 블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열단위로 좌/우 이동되도록 하고 걸림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상하 및 좌우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멀티비전, 스탠드, PDP

Description

멀티비전용 스탠드{STAND OF MULTI VISION}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용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수평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조립 완성된 상태의 멀티비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 110 : 가이드핀
120 : 삽입공 130 : 걸림볼트
200 : 수평브라켓 210 : 고정블록
220 : 슬라이드블록 230 : 가이드레일
300 : 수직브라켓 330 : 걸림홀
400 : 고정수단
본 발명은 멀티비전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된 멀티 비전 중 임의의 위치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분리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전은 화면이 작은 중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수 개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을 이루는 것으로, 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며, 전시회장이나 노래방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멀티비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로 구성되며, 상기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근 PDP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한 스탠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한 스탠드는 통상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걸림홀(10a)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받치는 지지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PDP(20)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걸림홀(10a)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걸림 볼트(22)가 장착되는데, 상기 걸림 볼트(22)는 헤드부의 직경이 걸림홀(10a)의 상부직경보다 작고, 하부직경보다 크다.
이상과 같은 스탠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PDP(20)의 걸림 볼트(22)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걸림홀(10a)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PDP(20)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하게 되는데, 장착된 PDP(20)는 걸림홀(10a)의 배치구조상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수개의 PDP(20)가 서로 밀착배치되는 멀티비전의 특성상, 각 PDP(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거나 매우 좁기 때문에 다수개의 걸림 볼트(22)를 다수개의 걸림홀(10a)에 동시에 정확히 삽입하거나,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해야 할 뿐 아니라, 좌측 PDP(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우측 PDP(2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PDP(20)의 좌측을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지지상태가 불안정하여 걸림 볼트(22)와 걸림홀(10a)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어렵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하 및 좌/우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면 대칭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되고 상부 삽입공에는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돌출설치되며 배면에는 헤드부가 큰 걸림 볼트가 설치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의 열수에 대응되게 전면(前面)에는 상/하 한 쌍의 고정블록이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고 그 측부로 슬라이드블록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다수개 설치된 수평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의 고정블록 및 슬라이드블록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볼트가 삽입되는 중심부를 기준 으로 수직/수평방향으로는 헤드부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 걸림홀이 천공된 다수개의 수직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과 수직브라켓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브라켓의 측면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좌/우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를 제공하여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 블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열단위로 좌/우 이동되도록 하고 걸림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이 상하 및 좌우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용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며, 도 4는 수평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조립 완성된 상태의 멀티비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용 스탠드는 크게, PDP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와, 수평브라켓(200)과, 상기한 수평브라켓(200)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가 설치되는 수직브라켓(300) 및, 상기한 수직브라켓(300)과 수평브라켓(2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부면 대칭되는 위치에 삽입공(120)이 천공되고, 상부 삽입공에 가이드핀(110)이 삽입되어 돌출설치되며, 배면 네모서리에는 헤드부(132)가 큰 걸림 볼트(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브라켓(20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의 열수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블록이 설치되는데, 우선 전면(前面)에 한 쌍의 고정블록(210)이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고 그 측부로 슬라이드블록(220)을 갖는 가이드레일(230)이 다수개 설치되며, 예로서 네 개의 열로 구성된 멀티비전일 경우에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의 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블록(210)이 고정 설치되고, 그 좌측으로는 하나의 슬라이드블록(220)과 가이드레일(230) 쌍이 설치되고, 우측으로는 두 개의 슬라이드블록(220)과 가이드레일(230) 쌍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수평브라켓(20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상의 편의를 위하여 수평브라켓(200)은 이분 형성하여 체결프레임(242)과 볼트 등의 체결수단(244)으로 상호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직브라켓(3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 형으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310)이 상기한 고정블록(210) 및 슬라이드블록(220)에 각각 체결되며 수직프레임(320)의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의 걸림 볼트(13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심부는 걸림 볼트(130)의 헤드부(132)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수직/수평방향으로는 헤드부(132)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된 걸림홀(330)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한 수평브라켓(200)과 수직브라켓(30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는 수직브라켓(300)의 측면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수직브라켓(300)이 좌/우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고정수단(400)은 본 발명 의 실시예에서는 파스너를 사용하였으나, 이외에도 체결공이 천공된 고정편을 사용하여 볼트 등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등 해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500은 멀티비전을 지면에 세워놓기 위한 지지용 브라켓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멀티비전용 스탠드 조립 및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이분 형성된 수평브라켓(200)을 하나로 체결하고, 수평브라켓(200)의 고정블록(210)과 슬라이드블록(220)에 각각 수직브라켓(300)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한 수직브라켓(3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100)를 설치하는데 이 경우 걸림 볼트(130)의 헤드부(132)를 걸림홀(330)의 중심부로 삽입한 후 하부로 내리는데, 이때 하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의 상부에는 가이드핀(110)이 삽입되어 있다.
이후, 상기한 고정블록(210)에 설치된 수직브라켓(300)을 중심으로 양측 수직브라켓(300)을 가이드레일(230)을 따라서 이동시켜 수직브라켓(300)들이 상호 접하도록 하여 고정수단(400)으로 위치고정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사용중 하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를 꺼내고자 할 경우 그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를 걸림홀(330)의 하부(B)에서 중심부(A)를 거쳐 측부(C)로 이동시킨 뒤, 꺼내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에 설치된 가이드핀(110)을 제거한 후 하부로부터 중심부로 이동시켜 꺼낸다.
상기한 구성에서 스탠드는 지면에 세워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벽면에 부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한 수평브라켓은 벽면부착용 브라켓(미도시)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를 열단위로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고, 걸림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 하나 하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를 꺼낼 때에도 상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는 수직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수직브라켓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가이드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아서 설치상태가 견고하다.
아울러, 수평브라켓이 이분 형성되고 각각이 분리 및 조립 가능하므로 운반이 편이하고 이동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부면 대칭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되고 상부 삽입공에는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돌출설치되며 배면에는 헤드부가 큰 걸림 볼트가 설치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의 열수에 대응되게 전면(前面)에는 상/하 한 쌍의 고정블록이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설치되고 그 측부로 슬라이드블록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다수개 설치된 수평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의 고정블록 및 슬라이드블록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심부는 걸림 볼트의 헤드부 직경보다 크고 그 수직/수평방향은 헤드부의 직경보다 좁은 걸림홀이 천공된 다수개의 수직브라켓과,
    상기한 수평브라켓과 수직브라켓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수직브라켓의 측면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좌/우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브라켓은 이분 형성되어 분리 및 체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용 스탠드.
KR1020070039679A 2007-04-24 2007-04-24 멀티비전용 스탠드 KR10075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79A KR100755756B1 (ko) 2007-04-24 2007-04-24 멀티비전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79A KR100755756B1 (ko) 2007-04-24 2007-04-24 멀티비전용 스탠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120U Division KR200419281Y1 (ko) 2006-04-06 2006-04-06 멀티비전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756B1 true KR100755756B1 (ko) 2007-09-05

Family

ID=3873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679A KR100755756B1 (ko) 2007-04-24 2007-04-24 멀티비전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75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03B1 (ko) 2009-08-31 2009-12-09 주식회사 코인스 멀티비전 개별 스탠드
KR100930600B1 (ko) 2009-08-21 2009-12-09 주식회사 코인스 멀티비전 스탠드 설치장치
WO2010126235A1 (ko) * 2009-04-29 2010-11-04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착 구조체
KR101083991B1 (ko) 2010-07-05 2011-11-16 (주)한국킹유전자 멀티비전 설치장치
KR101119518B1 (ko) 2010-06-16 2012-02-28 (주)한국킹유전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4602B1 (ko) 2012-07-27 2013-04-15 주식회사 오리온 위치 정렬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KR101487395B1 (ko) 2009-12-29 2015-02-1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비전용 패널 거치 구조
CN109564743A (zh) * 2016-07-07 2019-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3958815A (zh) * 2021-10-27 2022-01-21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2045818A1 (ko) * 2020-08-2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51A (ko) * 2001-09-14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구성용 pdp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51A (ko) * 2001-09-14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구성용 pdp 지지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35A1 (ko) * 2009-04-29 2010-11-04 주식회사 토비스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착 구조체
KR100930600B1 (ko) 2009-08-21 2009-12-09 주식회사 코인스 멀티비전 스탠드 설치장치
KR100930603B1 (ko) 2009-08-31 2009-12-09 주식회사 코인스 멀티비전 개별 스탠드
KR101487395B1 (ko) 2009-12-29 2015-02-1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비전용 패널 거치 구조
KR101119518B1 (ko) 2010-06-16 2012-02-28 (주)한국킹유전자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3991B1 (ko) 2010-07-05 2011-11-16 (주)한국킹유전자 멀티비전 설치장치
KR101254602B1 (ko) 2012-07-27 2013-04-15 주식회사 오리온 위치 정렬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CN109564743A (zh) * 2016-07-07 2019-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22045818A1 (ko) * 2020-08-2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58815A (zh) * 2021-10-27 2022-01-21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958815B (zh) * 2021-10-27 2023-08-25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756B1 (ko) 멀티비전용 스탠드
KR100898682B1 (ko)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KR200419281Y1 (ko) 멀티비전용 스탠드
TWI381085B (zh) Space structure
JP5105123B2 (ja) 多画面表示装置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CA2544580C (en) Modular color pallet display system
KR100967794B1 (ko)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TW201429355A (zh) 機櫃
KR100833372B1 (ko) 멀티비전 구성용 pdp 지지장치
CN109493747A (zh) Led显示屏背架、led显示屏背架组件及其安装方法
KR1013755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4722177B2 (ja) 自在な展開を可能にしたデスク
KR20120058055A (ko) 멀티 디스플레이용 유니버셜 거치장치
JP4763426B2 (ja) 棚板の取付構造、およびこの棚板を備えるナースステーション等用什器
JP2005102737A (ja) 自在な展開を可能にしたデスク
JP2004136008A (ja) デスク配線機構
JP4843462B2 (ja) 遊技機の支持枠
US20080224005A1 (en) Lateral adaptor
JP5175114B2 (ja) 重量物固定用壁
TW201524313A (zh) 理線裝置
JP2005102742A (ja) デスクパネル
JP4464500B2 (ja) 間仕切り装置
KR20130003612U (ko) 모니터 거치장치
JP2007182720A (ja) 間仕切パネルへの棚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