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540A -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 Google Patents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540A
KR20100070540A KR1020080129127A KR20080129127A KR20100070540A KR 20100070540 A KR20100070540 A KR 20100070540A KR 1020080129127 A KR1020080129127 A KR 1020080129127A KR 20080129127 A KR20080129127 A KR 20080129127A KR 20100070540 A KR20100070540 A KR 20100070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llumination
cock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626B1 (ko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주 filed Critical 이성주
Priority to KR102008012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6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각종 냉,온수기등의 콕에 적용되어 컵이 근접하는 순간 자동출수됨과 아울러 출수되는 냉수,온수,상수여부에 따라 조명 색상이 변경하여 발광하도록 한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에 관한 것으로,
상방으로 조명공간(103)을 이루고, 중간 후방으로는 수평상의 급수로(12)를 형성한 연결구(13)을 이루고, 내부에는 이 연결부(13)에 연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출수로(11)를 형성한 주출구바디(10); 및 상기 조명공간(103)으로 조명부재(142)가 위치하고, 이 조명부재(142)와, 전원공급단자(144) 및 제어수단등을 구비한 PCB(143)를 형성한 조명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14)를 상방에 조립하여 전원공급시 출수로(11)에 조명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명콕에 적어도 2개의 챔버를 이루되 일측은 냉수입구(207)와 연통하는 냉수챔버(201)를 이루고, 타측은 온수입구(208)와 연통하는 온수챔버(202)를 이루며, 이들 각각의 냉,온수챔버(201)(202)는 격벽으로 구획된 변좌(209)를 이루며, 변좌(209)의 상부는 각각 패킹부재(221), 다이아프램(22), 솔레노이드(26)의 교호작동으로 냉,온수가 주출되는 냉,온수가 자동 절환되는 내,온수공급부(2)를 결합하는 정수기 콕을 제공한다.
콕,조명,정수기,정기 콕

Description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Lighting device and water purifier cock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혹은 각종 냉,온수기등의 콕(급수전,給水栓,cock)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컵등이 근접하는 순간 자동출수됨과 아울러 출수되는 물의 냉수,온수여부에 따라 조명 색상이 발광하도록 한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여러가지 급수전들의 경우 냉,온수의 선택 출수는 가능하였다.
또한 정수기의 전면에 근접하여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급수시에 이를 조명하도록 하는 장치도 알려져 있었다.
첨부 도면중 도 1a는 종래 알려진 정수기의 조명장치이고, 도 1b는 종래 알려진 조명 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알려진 급수용 콕의 조명장치(도 1a)는 급수용 콕과 무관하게 조명장치를 구현한 것으로 출수구의 후방측에 별도 설치한 것으로 충분한 공간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도 1b의 경우 급수용 콕의 레버와 연동하는 승하강 작동봉에 발광부재 를 설치하여 조명토록 하고 있으나, 일일이 사용자가 스위칭수단을 통하여 개폐신호를 스의칭하여야 비로소 조명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명수단이 사용자의 컵이 근접함과 동시에 출수되는 센싱작동 구조에 따른 안전성있는 추루기능이 필요로 되며, 냉,온수가 동시에 급수되는 정수기등의 경우 냉수와 온수를 구별하여 자동적으로 선택 출수가 가능하고, 선택된 냉수와 온수에 맞게 조명색상을 분리하여 출수 순간 온수인지 냉수인지 알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조명수단들이 출수되는 물과 접촉하지 않아 전류의 누전 염려가 없도록 하며, 레버를 작동하지 않고도 선택된 냉,온수의 출수가 이루어지는 자동적인 선택구조가 필요로 되어 왔다.
특히, 냉수와 온수외에 상수도 급수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출수 구조에 따른 급수바디의 설계가 가능하고, 이러한 여러 종류의 냉수,온수,상수등의 조명에 맞는 조명장치가 부여된 정수기 콕이 필요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 이러한 급수전과 조명장치들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컵이 근접함과 동시에 출수되는 센싱작동 구조에 따른 안전성있는 출수기능을 갖는 정수기 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냉,온수가 동시에 급수되는 정수기등의 경우 냉수,온수 및 상수를 구별하여 자동적으로 선택 출수가 가능하고, 선택된 냉수,온수 및 상수에 맞게 조명색상을 분리하여 출수 순간 온수,냉수 및 상 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조명수단들이 출수되는 물과 접촉하지 않아 전류의 누전 염려가 없도록 하며, 레버를 작동하지 않고도 선택된 냉,온수의 출수가 이루어지는 자동적인 조명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을 제공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과 함께 적어도 3개 이상의 출수 구조에 따른 급수바디가 적용된 정수기 콕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러한 여러 종류의 냉수,온수,상수등의 조명에 맞는 조명장치가 부여된 정수기 콕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명 콕은 조명 콕(cock)에 있어서,
상방으로 조명공간을 이루고, 중간 후방으로는 수평상의 급수로를 형성한 연결구을 이루고, 내부에는 이 연결부(13)에 연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출수로를 형성한 주출구바디; 및 상기 조명공간으로 조명부재가 위치하고, 이 조명부재와, 전원공급단자 및 제어수단등을 구비한 PCB를 형성한 조명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부를 상방에 조립하여 전원공급시 출수로에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 콕이며, 상기 조명콕의 출수부분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명 콕은 조명 콕(cock)레버에 리드스위치 검출용 적외선 센서등을 형성하여 주출 유무에 따라 냉,온수 조명을 선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조명 콕은 조명 콕(cock)을 이용한 정수기 콕은,
적어도 2개의 챔버를 이루되 일측은 냉수입구와 연통하는 냉수챔버를 이루고, 타측은 온수입구와 연통하는 온수챔버를 이루며, 이들 각각의 냉,온수챔버는 격벽으로 구획된 변좌를 이루며, 변좌의 상부는 각각 패킹부재로서 개폐되고, 이 패킹부재는 다이아프램으로서 개폐되며, 다이아프램은 솔레노이드로서 승하강되며, 변좌의 외측으로는 출수로를 이루어 솔레노이드밸브의 교호작동으로 냉,온수가 주출되는 냉,온수가 자동 절환되는 내,온수공급부;및 상방으로 조명공간을 이루고, 중간 후방으로는 수평상의 급수로를 형성한 연결구를 이루고, 내부에는 이 연결부에 연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출수로를 형성한 주출구바디와, 상기 조명공간으로 조명부재가 위치하고, 이 조명부재와, 전원공급단자 및 제어수단등을 구비한 PCB를 형성한 조명부로 이루어진 조명출수부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급수전과 조명장치들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컵이 근접함과 동시에 출수되는 안전성있는 출수기능을 갖는 정수기 콕을 제공하며, 냉,온수, 및 상수가 선택적으로 급수되는 정수기등의 경우 냉수,온수 및 상수를 구별하여 자동적으로 선택 출수가 가능하게 하고, 선택된 냉수,온수 및 상수에 맞게 조명색상을 분리하여 출수 순간 온수,냉수 및 상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조명수단들이 출수되는 물과 접촉하지 않아 전류의 누전 염려가 없도록 하며, 레버를 작동하지 않고도 선택된 냉,온수의 출수가 이루어지는 자동적인 조명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출수 구조에 따른 급수바디가 적용된 정수기 콕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러한 여러 종류의 냉수,온수,상수등의 조명에 맞는 조명장치가 부여된 정수기 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정수기 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도 2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분해사시도이고,도 3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조명출수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조명출수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은 조명 콕과 이를 결합한 정수기 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크게 조명출수부(1,조명 콕)와,냉온수 공급부(2)로 구분된다. 조명출수부(1)는 실질적으로 출수와 동시에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 콕(cock)으로서 주출구바디(10)와, 조명부(14)로 이루어진다.
주출구바디(10)는 중공 원통형의 바디 상방으로는 사각형의 조명부(14)를 이루되 상방으로 전선공급단자(144)를 노출 형성하고, 중간 측면 후방으로는 상기 냉온수공급부(2)와 연결되는 연결부(13)를 형성하고, 내부적으로 급수로(12)와 연통하되 직각 절곡되어 하향 출수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출수로(11)를 형성하여서 된다.
특히, 주출구바디(10)의 상방 내측으로는 조명공간(103)을 형성하여 이 조명공간(103)내에 조명부재(142)가 위치하도록 하며, 이 조명부재(142)와,이 조명부 재(1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44) 및 조명부재(142)의 전원을 개폐하는 제어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이하,PCB라 함,143)이 소정의 전기적 배치법으로 조립되어 대략 사각형의 조명부(14)를 이룬다.
따라서 정수기 혹은 냉,온수기등의 각종 콕(급수전,給水栓))에 바꾸어 조립하여 출수시에 이를 별도 센싱수단을 통하여 조명(발광)되게 하므로서 모든 급수용 콕의 조명장치로 사용되어 출수시의 냉수와 온수의 구별이 용이해지고 간편해진다.
이와 같은 조명 콕에 더하여 온도센서를 부착하므로서 온도에 따른 조명기능이 가능해지며, 레버(29)에는 센싱수단으로 리드스위치,적외선 송수신센서등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컵등이 접근할 경우 자동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레버(29)는 종래 알려진 개폐기능의 레버가 아니므로 고정된 상태에서 적외선센서,리드스위치등을 형성하여 이들 검출된 신호를 전술한 PCB(143)의 제어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로서 작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6)의 개폐작동과 동시에 주출시 냉,온수 출수상황에 따라 냉,온수의 조명을 선택하여 조명되게 하여서 된다.
미설명부호 101은 주출구바디의 고정부이고, 102는 볼트로서 고정되는 고정홈이다.
한편, 냉온수공급부(2)는 고정부(204)와 고정홈(205)를 형성한 냉,온수 겸용의 급수바디(20)와, 그 하부에 부착된 레버(29)로 이루어지고, 상부로는 중간판체(21), 솔레노이드밸브(26),브라켓(27)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분해사시도이고,도 5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급수바디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급수바디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냉,온수공급부(2)는 급수바디(20)와, 그 하부에서 볼트(28)로서 부착된 레버(29)로 이루어지고, 상부로는 중간판체(21), 이 중간판체(21)의 하방에 위치하는 다이아프렘(22), 솔레노이드밸브(26),브라켓(27)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급수바디(20)는 두 개의 원형홈이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그 전방으로 연통하는 출수로(203)을 형성하며, 외부 양측으로는 고정부(204)와 고정홈(205)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원형홈은 2개의 챔버를 이루되 일측은 냉수입구(207)와 연통하는 냉수챔버(201)를 이루고, 타측은 온수입구(208)와 연통하는 온수챔버(202)를 이루며, 이들 각각의 냉,온수챔버(201)(202)는 격벽으로 구획된 원형의 변좌(209)를 이루며, 변좌(209)의 상부는 각각 패킹부재(221)로서 개폐되고, 이 패킹부재(221)는 다이아프램(22)에 연결되며, 다이아프램(22)은 이동플런저(24)에 연결되고, 이동플런저(24)는 코일스프링(25)를 개재하여 솔레노이드(26)내부의 고정플런저(261)에 탄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밸브(26)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력이 형성되는 코일(262)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2)에 유도된 전류의 자력으로 고정플런저(261)에 당김자력을 일으켜 이동플러저(24)를 상방으로 상승이동시키거나 자력이 제거되어 코일스 프링(25)의 반발탄력으로 하방으로 원복되게 하여 승하강 개폐되며, 이것은 변좌(209)에 밀착되어 있던 다이아프램(22)의 패킹부재(221)를 변좌(209)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냉,온수입구(207)(208)에서 선택 공급되게 하여서 된다. 즉, 두 솔레노이드밸브(26)중 어느 하나에 전술한 조명출수부(1)의 냉,온수 레버(29)중 어느 하나에 근접된 컵등의 유무 신호에 따라 선택 작용하여 공급된 냉수 혹은 온수가 출수 되는 것이다.
상기 다이아프램(22)의 상방에는 밀착부재(23)이 조립되어 다이아프램(22)의 상방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6) 전체는 급수바디(20)에 고정된 브라켓(27)에 의하여 지지된다.
물론, 냉수공급시에는 별도 선택 조명이 이루어지고, 온수선택이 이루어지면 기 설치된 빛의 조명이 선택되어 조명이 이루어져 자신의 컵,용기가 냉수인지,온수인지 즉시 알려주게 된다.
미설명 부호 30은 레버(29)에 설치되어 컵등이 적당한 위치로 근접하면 이를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센서이며, 206은 볼트공, 211은 중간판체(21)의 고정공,작동공(212)이다.
첨부 도면중 도 6a,6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제1,제2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은 사용자가 레버(29)에 근접하여 컵등을 근접이동시키면 이를 적외선 센서(30)등이 검출하여 이를 PCB(143)내에 설치된 제어수단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로 입력되어 냉,온수챔버(201)(202)상에 밀착 폐쇄중인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26)중 냉수챔버상의 솔레노이드밸브 혹은 온수챔버상의 솔레노이드밸브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변좌(209)상의 패킹부재(221)을 열어 급수되게 하며, 급수로(203)을 통하여 조명출수부(1)의 급수로(12)에서 출수로(11)로 출수됨과 동시에 냉,온수별로 색상을 달리한 조명부재(14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적외선센서(30)외에도 리드스위치등의 다른 신호검출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신호를 전송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절환하는 수단은 알려진 여러가지 마이컴등의 제어수단이 적용된다.
도 1a는 종래 알려진 정수기의 조명장치이고, 도 1b는 종래 알려진 조명 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조명출수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조명출수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급수바디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급수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6a,6b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제1,제2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 정수기 콕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명출수부, 10:출구바디,11:출수로, 12:급수로, 13:연결부, 14:조명부,
141;조명공간, 142:조명부재,143:PCB, 144:전원공급단자,2:냉온수 공급부,
20;급수바디,21:중간판체,22:다이아프램,23:밀착부재,24:플런져,
25:탄성부재, 26:솔레노이그밸브, 27:지지브라켓, 28:볼트,29;레버,
201:냉수밸브시트(좌측변좌),202:온수밸브시트(우측변좌),203;출수구,
204:고정부, 205:고정홈,206:볼트공, 207:냉수입수구 208:온수입수구,
221:패킹,21:중간판체, 211;고정공, 212;작동공

Claims (5)

  1. 조명 콕(cock)에 있어서,
    상방으로 조명공간(103)을 이루고, 중간 후방으로는 수평상의 급수로(12)를 형성한 연결구(13)을 이루고, 내부에는 이 연결부(13)에 연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출수로(11)를 형성한 주출구바디(10); 및
    상기 조명공간(103)으로 조명부재(142)가 위치하고, 이 조명부재(142)와, 전원공급단자(144) 및 제어수단등을 구비한 PCB(143)를 형성한 조명부(14)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부(14)를 상방에 조립하여 전원공급시 출수로(11)에 조명이 이루어지는 조명 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콕의 출수부분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콕.
  3. 제1항에 있어서,
    콕의 레버(29)에 리드스위치를 형성하여 주출 유무에 따라 냉,온수 조명을 선택하여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콕.
  4. 제1항에 있어서,
    콕의 레버에 검출센서를 형성하여 주출 유무에 따라 냉,온수 조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콕.
  5. 정수기 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챔버를 이루되 일측은 냉수입구(207)와 연통하는 냉수챔버(201)를 이루고, 타측은 온수입구(208)와 연통하는 온수챔버(202)를 이루며, 이들 각각의 냉,온수챔버(201)(202)는 격벽으로 구획된 변좌(209)를 이루며, 변좌(209)의 상부는 각각 패킹부재(221)로서 개폐되고, 이 패킹부재(221)는 다이아프램(22)로서 개폐되며, 다이아프램(22)은 솔레노이드(26)로서 승하강되며, 변좌(209)의 외측으로는 출수로(210)를 이루어 솔레노이드밸브(26)의 교호작동으로 냉,온수가 주출되는 냉,온수가 자동 절환되는 내,온수공급부(2);및
    상방으로 조명공간(103)을 이루고, 중간 후방으로는 수평상의 급수로(12)를 형성한 연결구(13)을 이루고, 내부에는 이 연결부(13)에 연통하여 직각 방향으로 출수로(11)를 형성한 주출구바디(10)와, 상기 조명공간(103)으로 조명부재(142)가 위치하고, 이 조명부재(142)와, 전원공급단자(144) 및 제어수단등을 구비한 PCB(143)를 형성한 조명부(14)로 이루어진 조명출수부(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콕.
KR1020080129127A 2008-12-18 2008-12-18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KR10114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27A KR101146626B1 (ko) 2008-12-18 2008-12-18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27A KR101146626B1 (ko) 2008-12-18 2008-12-18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40A true KR20100070540A (ko) 2010-06-28
KR101146626B1 KR101146626B1 (ko) 2012-05-16

Family

ID=4236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127A KR101146626B1 (ko) 2008-12-18 2008-12-18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663A (ko) * 2012-03-02 2013-09-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WO2017188632A1 (ko) * 2016-04-26 2017-11-02 김길호 수소수 전해조모듈을 내장한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28207B1 (ko) * 2017-02-17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69217B1 (ko) * 2018-02-02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685B1 (ko) * 2018-06-11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930Y1 (ko) * 1995-05-11 1998-07-01 김정욱 정수기의 발광코크
KR200327034Y1 (ko) 2003-06-17 2003-09-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 정수기의 인체감지장치
KR20050074212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KR200360771Y1 (ko) * 2004-05-24 2004-09-07 (주)원봉 냉.온 정수기 코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0663A (ko) * 2012-03-02 2013-09-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WO2017188632A1 (ko) * 2016-04-26 2017-11-02 김길호 수소수 전해조모듈을 내장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626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626B1 (ko)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US20210222417A1 (en) Toilet with overflow protection
EP1939558A1 (en) Water dispenser for illuminating a column of water
CN101680212B (zh) 可电操作的卫生配件
US6408881B2 (en) Faucet device to deliver and mix water
US5074520A (en) Automatic mixing faucet
JP2009097330A (ja) 自動水栓
MXPA06009592A (es) Ensamble de cierre de drenaje para bano.
US6883541B2 (en) Manual-automatic water faucet
US20130097773A1 (en) Light assembly for a steamhead
US11111656B2 (en) Temperature-regulating double-control automatic faucet
US6425415B2 (en) Device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water
AU2005287634A1 (en) Concealed sanitary fitting
US20050047143A1 (en) Single light illumination system for a fluid tap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CN110145619B (zh) 一种调温双控感应龙头
CA2291303C (en) Multiple discharge water faucet with self-contained filter
KR101118221B1 (ko)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CN109000023B (zh) 一种感应水龙头
KR100917103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GB2435406A (en) Indicating operating mode of liquid heating device
KR200412370Y1 (ko) 무드조명 기능이 있는 자동수전의 감지표시 시스템.
KR102365725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조작 시스템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102221049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수전 박스 및 이를 활용한 수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