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221B1 -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221B1
KR101118221B1 KR1020070038860A KR20070038860A KR101118221B1 KR 101118221 B1 KR101118221 B1 KR 101118221B1 KR 1020070038860 A KR1020070038860 A KR 1020070038860A KR 20070038860 A KR20070038860 A KR 20070038860A KR 101118221 B1 KR101118221 B1 KR 10111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unting hole
discharge
water purifier
switch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423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한일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월드(주) filed Critical 한일월드(주)
Priority to KR102007003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2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상기 개수구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공을 관통시키고 장착공의 상부 외주연에 전환밸브를 체결하며 장착공의 측방으로 정수기의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장착공과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하여 장착공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공으로 공급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장착공 내부에 배출콕을 장착하되 배출공의 입구 단부에서 장착공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배치한 다음 배출콕의 상부와 편심되게 연결시킨 전환레버의 전후 방향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배출콕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출콕과 전환밸브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시킨 접지스위치의 접속상태가 결정되도록 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지스위치에서 인출시킨 전선을 전환레버의 내부에 형성시킨 인출공에 설치하여 상기 접지스위치가 상호 접속되면 전선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서 전환레버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전환레버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시킨 결합공에 설치된 조명LED로 구성한다.
정수기, 조명, 색상, 살균, 자외선램프

Description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DEVICE FOR LIGHTING HOT WATER LEVER OF WATER PURIFIER}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조명장치를 장착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의 전환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기 110 : 본체
120 : 개수구 130 : 저수통
200 : 조명장치 210 : 취수구
211 : 장착공 212 : 배출공
213 : 전환밸브 220 : 접속부
221 : 배출콕 221a : 플랜지
222 : 전환레버 222a : 결합공
222b : 인출공 223 : 접지스위치
224 : 스프링 230 : 조명LED
240 : 연결파이프 270 : 감지센서
본 발명은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취수구의 전환레버에 조명LED를 장착하고 상기 전환레버를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LED에 의해 전환레버의 내부에 조사된 빛을 통하여 냉,온수 구별 및 미려한 조명 분위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및 정수기는 급수밸브가 장착된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음료통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체에 장착된 급수밸브에는 냉수 및 온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적색과 청색 계열의 색깔이 도포되며, 또한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표시등이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수기 및 정수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급수밸브에 장착된 밸브를 작동시키면 냉수 및 온수 급수밸브가 개방되고, 원하는 냉수 및 온수는 음료통에서부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급수관을 통하여 급수밸브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자연 여과식, 직격 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이 있으며, 정수만을 공급하는 단순 정수기와 정수를 저온 상태로 공급하는 냉정수기 또는 정수를 저온과 고온의 두 가지 상태로 공급하는 냉온정수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는 밝은 조명 또는 태양광선 아래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급수밸브를 찾을 수 있으나 실내등이 소등된 야간의 경우에는 냉수 및 온수의 급수밸브를 식별하기 어렵고, 또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히 알수 없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이 넘치거나 온수의 경우 손에 화상을 입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물의 손실은 물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당한 주위를 기울여야만 하고, 별도의 조명장치를 작동하여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31652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냉,온수 취출버튼(41,42)의 작동으로 냉, 온수 취출구(11)를 개방시켜 정수를 배출되게 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주변의 광 밝기와 온도에 따라 감응하는 광검출소자(30)와 온도 감지소자(40)를 설치하되, 온도감지소자(40)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의 냉,온수 취출구(11) 주변에 부설한 적색 및 청색 계열의 램프(21,22)를 점등되게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정수기의 조명장치는 냉, 온수 취출버튼(41,42)을 누르게 되면, 냉,온수 제어부에서 취출구(11)을 개방시켜 정수된 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 때 정수기(10)에 설치된 광검출소자(30)는 주변의 광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고, 이의 저항값 변화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서 판단하여 그에 대한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소자(40)에서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대한 저항값 변화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서는 저항값에 따른 데이터에 설정 온도인가를 판단하여 한기가 느껴지는 온도일 경우에는 적색 램프(21)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빨간 불빛에 의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물이 따뜻하게 느껴지도록 한 것이고, 실내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청색 계열의 램프를 구동시켜 물이 시원하게 느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의 정수기의 조명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적색램프 및 청색램프는 냉, 온수 취출구(11)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출수되는 공급수에 빛을 간접적으로 조사된다.
즉, 정수기가 설치된 공간의 밝기와 온도에 의해 냉온수의 출수가 반응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출수되는 냉온수에 간접적으로 적색 또는 청색 조명을 부여하여 육안으로 확인시 공급수가 차갑게 또는 뜨겁게 느껴지도록 하는 시각적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였으나, 그 적색 또는 청색의 불빛을 발휘하는 램프가 냉, 온수 취출구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출수되는 공급수에 집중되지 못하고 냉,온수 취수구 외부 또는 주변으로 조사됨에 따라 빛의 집중도가 떨어져 빛의 색깔로 구분되었던 공급수의 온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체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출수할 경우 청색과 적색의 빛이 동시에 발휘 되면서 각각의 빛이 출수되는 공급수에 집중되지 못하고 분산되거나 섞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깔을 통하여 냉, 온수의 구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극대화시켰다.
또한, 정수기용 조명기구에서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되는 취수구의 입구 부분에 장착한 조명장치는 이미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조명LED를 설치하기 위하여 정수기 본체 자체의 설계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키는 투명재질의 전환레버에 조명LED를 장착하여 조사된 빛을 통하여 냉,온수 구별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으로 조사되는 조명LED를 통하여 전환레버로 침투 및 통과시켜 정수기를 통하여 미려한 조명 분위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본체의 전면부에 개수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개수구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공을 관통시키고 장착공의 상부 외주연에 전환밸브를 체결하며 장착공의 측방으로 정수기의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장착공과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하여 장착공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공으로 공급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장착공 내부에 배출콕을 장착하되 배출공의 입구 단부에서 장착공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배치한 다음 배출콕의 상부와 편심되게 연결시킨 전환레버의 전후 방향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배출콕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출콕과 전환밸브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시킨 접지스위치의 접속상태가 결정되도록 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지스위치에서 인출시킨 전선을 전환레버의 내부에 형성시킨 인출공에 설치하여 상기 접지스위치가 상호 접속되면 전선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전환레버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전환레버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시킨 결합공에 설치된 조명LED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조명장치를 장착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취수구의 전환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기(100)는 정수필터(미도시)가 내부에 장착되고 전면부에 개수구(120)를 형성시킨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본체(110)의 전면부에 개수구(120)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130)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120)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개수구(120)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공(211)을 관통시키고 장착공(211)의 상부 외주연에 전환밸브(213)를 체결하며 장착공(211)의 측방으로 정수기(100)의 저수통(130)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240)를 장착공(211)과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하여 장착공(211)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공(212)으로 공급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구(210)와, 상기 취수구(210)의 장착공(211) 내부에 배출콕(221)을 장착하되 배출공(212)의 입구 단부에서 장착공(211)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배치한 다음 배출콕(221)의 상부와 편심되게 연결시킨 전환레버(222)의 전후 방향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배출콕(22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출콕(221)과 전환밸브(213)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시킨 접지스위치(223)의 접속상태가 결정되도록 하는 접속부(220)와, 상기 접지스위치(223)에서 인출시킨 전선을 전환레버의 내부에 형성시킨 인출공(222b)에 설치하여 상기 접지스위치(223)가 상호 접속되면 전선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전환레버(222)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전환레버(222)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시킨 결합공(222a)에 설치된 조명LED(230)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개수구(120)가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공(211)을 관통시키고 장착공(211)의 상부 외주연에 전환밸브(213)를 체결하며 장착공(211)의 측방으로 정수기(100)의 저수통(130)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240)를 장착공(211)과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하여 장착공(211)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공(212)으로 공급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구(210)와, 상기 정수기(100)의 전면패널에 장착되어 정수기(100) 전방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70)와, 상기 취수구(210)의 장착공(211) 내부에 배출콕(221)을 장착하되 배출공(212)의 입구 단부에서 장착공(211)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배치한 다음 배출콕(221)의 상부와 편심되게 연결시킨 전환레버(222)의 전후 방향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배출콕(22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출수를 결정하는 접속부(220)와, 상기 전환레버(222)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내설되어 감지센서(270)의 신호에 의해 전환밸브(213)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는 조명LED(230)로 구성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전환레버(222)의 상단부 양측에는 결합공(222a)을 형성시켜 조명LED(230)를 내입하여 투명 재질의 전환레버(222) 내부로 조명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접지스위치(223)에서 인출된 전선은 전환레버(222)의 내부에 형성시킨 인출공(222b)에 내입되어 조명LED(230)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되, 상기 인출공(222b)은 배출콕(221)과 연결된 전환레버(222) 힌지 결합 부분에서 후방향으로 분기되어 결합공(222a)측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급수를 받기 위하여 컵을 이용하여 정수기(100)의 개수구(120)에 위치한 전환레버(222)를 밀어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면 상기 전환레버(222)와 편심 결합되어 있는 배출콕(221)이 장착공(211)의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공(212) 단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해제시켜 배출공(212)을 개방시켜 저수통(130)과 연결된 연결파이프(240)를 통하여 공급수는 배출공(212)으로 출수된다.
상기 배출콕(221)이 상부로 이동하게 될 때 배출콕(221)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시킨 플랜지(221a)와, 취수구(210)의 전환밸브(213) 하부면에 설치한 한 쌍의 접지스위치(223)가 접지에 의해 통전되면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접지스위치(223)와 전선을 통하여 조명LED(230) 측으로 인가됨에 따라 투명재질의 전환레버(222)의 내부로 빛을 침투 또는 통과시켜 전환레버(222)가 다양한 색상의 조명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조명LED(230)를 취수구(210)의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공급수가 출수 될 경우에만 동시에 외부로 빛을 발휘하도록 함에 따라 외부로 출수되는 공급수 자체에 냉수를 알리는 청색 조명과, 온수를 알리는 적색 조명을 각각 집중적으로 조사시켜 공급수가 색을 직접적으로 갖으며 출수되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급수를 공급받고 난 후 컵을 전환레버(222)에서 이탈시키면 배출콕(213)의 외주연에 장착한 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환레버(22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배출콕(221)을 통하여 배출공(212)을 밀폐시켜 공급수의 출수 상태를 오프시키고 동시에 한 쌍의 접지스위치(223)의 접지상태를 해제시켜 공급수의 출수 중단과 더불어 조명LED(230)의 빛의 조명상태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는 상기 전환밸브(213)의 작동방법을 제외한 작동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음용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정수기(100)에 근접하면 상기 정수기(100) 전면에 장착된 감지센서(270)는 사용자의 근접 상황을 감지한 신호를 조명LED(230)측에 인가시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명LED(230)가 빛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용수를 출수 후 감지센서(270)에서 감지물체를 일정시간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조명LED(230)의 조명상태를 오프(OFF)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정수기(100)의 조명장치(200)는 정수기(100)의 전면에 장착한 감지센서(270)에 의해 정수기(100) 전방에 근접되는 물체에 의해 감지 신호가 생성될 경우에만 전환레버(222) 내부에서 조명LED(230)가 조명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정수기(100)에 근접할 경우 전환레버(222)에 조명 발휘하여 상기 전환레버(222)를 통하여 냉수와 온수의 취수구(210) 구별을 가능하도록 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전환레버(213)를 통하여 외부로 간접적인 조명 빛을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키는 투명 재질의 전환레버에 조명LED를 장착하여 조사된 빛을 통하여 냉,온수 구별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는 다양한 색상으로 조사되는 조명LED를 통하여 전환레버로 빛을 침투 및 통과시켜 정수기를 통하여 미려한 조명 분위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본체의 전면부에 개수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개수구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공을 관통시키고 장착공의 상부 외주연에 전환밸브를 체결하며 장착공의 측방으로 정수기의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를 장착공과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하여 장착공 하단부에 연통시킨 배출공으로 공급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장착공 내부에 배출콕을 장착하되 배출공의 입구 단부에서 장착공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배치한 다음 배출콕의 상부와 편심되게 연결시킨 전환레버의 전후 방향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배출콕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출콕과 전환밸브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시킨 접지스위치의 접속상태가 결정되도록 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지스위치에서 인출시킨 전선을 전환레버의 내부에 형성시킨 인출공에 설치하여 상기 접지스위치가 상호 접속되면 전선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서 전환레버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전환레버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시킨 결합공에 설치된 조명LED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취수구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38860A 2007-04-20 2007-04-20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KR10111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60A KR101118221B1 (ko) 2007-04-20 2007-04-20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60A KR101118221B1 (ko) 2007-04-20 2007-04-20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23A KR20080094423A (ko) 2008-10-23
KR101118221B1 true KR101118221B1 (ko) 2012-03-16

Family

ID=4015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60A KR101118221B1 (ko) 2007-04-20 2007-04-20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929B1 (ko) * 2009-09-07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48613B1 (ko) * 2013-11-19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388584B1 (ko) 2019-12-27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652A (ko) * 1997-10-14 1999-05-06 윤홍구 정수기의 조명장치
KR200173091Y1 (ko) 1999-09-21 2000-03-15 청호정밀주식회사 자동 램프 점등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200275498Y1 (ko) * 2002-02-07 2002-05-11 정휘철 조명 취수레버를 가지는 정수기
KR100628705B1 (ko) 2005-07-15 2006-10-02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652A (ko) * 1997-10-14 1999-05-06 윤홍구 정수기의 조명장치
KR200173091Y1 (ko) 1999-09-21 2000-03-15 청호정밀주식회사 자동 램프 점등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200275498Y1 (ko) * 2002-02-07 2002-05-11 정휘철 조명 취수레버를 가지는 정수기
KR100628705B1 (ko) 2005-07-15 2006-10-02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23A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1176B2 (en) Water purifier
JP2949818B2 (ja) 吐水装置
US20040032749A1 (en) Night light for plumbing fixtures
EP1939558A1 (en) Water dispenser for illuminating a column of water
KR20080074612A (ko) 정수기용 조명 및 살균장치
KR102600070B1 (ko) 조그 다이얼 방식의 조작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 캐비닛 장치
KR101118221B1 (ko)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CN106256766B (zh) 净水器
CN101978120A (zh) 水龙头装置
JP2017158829A (ja) 殺菌容器
KR101648613B1 (ko) 정수기
US20050047143A1 (en) Single light illumination system for a fluid tap
KR100510593B1 (ko) 살균 및 발광용 수도꼭지
KR102123683B1 (ko) 출수모듈
KR200323518Y1 (ko)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CN1615778B (zh) 液体加热容器中的照明
KR200237689Y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인디케이터를 겸비한 조명장치
KR20050074212A (ko)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7193B1 (ko) 정수기용 조명장치
CN203297752U (zh) 带出水照明装置的电热水龙头
KR200327034Y1 (ko) 이온 정수기의 인체감지장치
KR200374373Y1 (ko) 정수 파우셋용 램프장치
US20140259376A1 (en) Lighting system for a sink and lighted sink kit
KR102129072B1 (ko) 출수모듈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