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518Y1 -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518Y1
KR200323518Y1 KR20-2003-0014760U KR20030014760U KR200323518Y1 KR 200323518 Y1 KR200323518 Y1 KR 200323518Y1 KR 20030014760 U KR20030014760 U KR 20030014760U KR 200323518 Y1 KR200323518 Y1 KR 200323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water
intake
standb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4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Abstract

냉온 정수기의 정수, 냉수, 온수 및 이들이 혼합된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오작동에 의한 온수배출을 근복적으로 차단하여 온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 코크의 유입구와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의 배출구들 사이의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과 상기 취수 코크들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들과; 온수, 냉수, 정수, 냉온수 및 냉정수의 물을 선택하는 위치 상태를 엔코딩하여 취수대기 모드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다이얼과, 푸시스위칭에 응답하여 취수대기모드에 대응한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푸시스위치가 일체화된 푸시 엔코더 스위치와; 상기 푸시 엔코더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취수대기 모드신호와 밸브구동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중 해당 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푸시 엔코더 스위치의 작동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았을 때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자동 복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SELECTING OF WATER TEMPERATURE IN HOT-COLD PURIFIERS}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가 서로 다른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오작동에 의한 온수 배출을 근복적으로 차단하여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하여 오염과 생태계의 파괴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인 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사람들이 수질 악화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감이 늘어남에 따라 정수기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조금 더 편안하게 정수뿐만 아니라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시킨 냉수와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가열시킨 온수를 바로 취수할 수 있게 만들어진 냉온 정수기를 선호하게 되었다.
종래의 냉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하여 저정하는 냉수통과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 저정하는 온수통들에 각각 직접 연결되어진 냉수 코크 및 온수 코크를 작동시키는 냉수 취수 레버와 온수 취수 레버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온도의 물을 취수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냉수 취수 레버를 누르면 취수 코크로부터는 냉수통에 저장된 냉수를 배출하고, 온수 취수 레버를 누르면 취수 코크로부터는 온수통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는 그러한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냉온 정수기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예를 들면, 어린이나 노인의 오작동 혹은 실수로 온수 취수 레버를 누르게되면 약 90℃이상으로 유지되는 온수가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취수 코크로 배출됨으로써 노약자의 신체에 화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또다른 냉온수 정수기는 온수 안전 스위치를 부착하여 상기 온수 안전 스위치와 온수 취수 레버가 동시에 작동되었을 때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 것과, 어린이의 키 높이에 적외선 센서를 부착하여키가 작은 어린이가 냉온 정수기에 근접하였을 때 온수 밸브를 차단하여 온수의 취수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온수 안전 스위치를 부착하는 종래의 냉온 정수기는 온수 스위치와 온수 취수 레버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하는 관계로 두 손을 동시에 이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자세로 온수를 취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어린이 이외에 키가 작은 사람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적외선 센서에 의한 키 높이 감지가 부정확하여 온수에 의한 화상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푸시 엔코더 스위치의 선택 다이얼에 의해 냉수, 온수, 정수 및 이들이 적절하게 혼합된 냉정수 및 냉온수의 물을 선택하고, 취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선택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취수토록 하는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냉수, 온수, 정수 및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한 온도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하며, 취수가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푸시 엔코더 스위치의 작동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냉수 선택 모드로 복귀하도록 하여 오조작에 의한 온수의 배출을 차단하여 화상을 방지하는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공급되어 정수된물을 내부에 저장하는 정수통와,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낮추어 저장하는 냉수통과,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통을 구비한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 코크(coke)의 유입구(intake)와 상기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의 배출구(out-take)들 사이의 유로(passage)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과 상기 취수 코크들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들과; 온수, 냉수, 정수, 냉온수 및 냉정수의 물을 선택하는 위치 상태를 엔코딩하여 취수대기 모드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다이얼과, 푸시스위칭에 응답하여 취수대기모드에 대응한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푸시스위치가 일체화된 푸시 엔코더 스위치와; 상기 푸시 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취수대기 모드신호와 밸브구동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중 해당 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엔코더 스위치의 작동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았을 때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자동 복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냉수선택모드, 온수선택모드, 정수선택모드, 냉정수선택모드, 냉온수선택모드를 표시하는 램프들을 가지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온수, 냉수, 정수, 냉온수 및 냉정수의 물을 선택하는 선택 다이얼의 위치 상태를 엔코딩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램프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푸시 엔코더 스위치의 선택 다이얼에 의해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의 출구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선택하기 위한 취수대기 모드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푸시 엔코더 스위치의 푸시스위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취수대기 모드에 대응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함으로서 취소코크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물이 취수되어진 후 상기 푸시 엔코더 스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되지 않았을 때 취수대기모드를 상기 냉수통의 출구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취수대기모드로 자동 절환함으로써 취수를 위한 푸시스위치가 오조작되더라도 냉수가 배출되게 하여 온수를 취수한 후 오조작이 발생되더라고 온수배출에 의한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푸시 엔코더 스위치 및 선택표시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2는 정수된 물(정수)를 내부에 저장하는 정수통이고, 14는 상기 정수된 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수통, 16은 상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보관하는 온수통이다. 상기 냉수통 14는 외주에 냉각코일이 감겨져 있으며, 그 상부가 보온재로 덮혀져 내부에 담아진 정수를 내장하여 보관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온수통 16의 내부에 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보온재로 덮혀져 있다. 이러한 정수통 12, 냉수통 14 및 온수통 16의 배출구들과 취수 코크 18의 유입의 유로 20 사이에는 밸브구동신호 SV1~SV3들의 입력에 각각 응답하여 개방되는 솔레노드 밸브들 22, 24 및 26들이 연결되어 있다.
참조번호 28은 로타리형(rotary type)의 선택 다이얼와 푸시 스위치(push button switch)가 내장되며 상기 선택 다이얼 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수, 냉수, 온수, 냉정수(냉수와 정수가 혼합된 물) 및 냉온수(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물) 취수대기 모드신호를 발생하고, 푸시스위치의 누름에 응답하여 해당 취수모드에 대응한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푸시 엔코더 스위치(push and encoder switch)(이하 "엔코더 스위치"라 칭함)이다.
참조번호 30은 상기 취수대기 모드신호와 상기 푸시스위치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엔코더 스위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취수모드에 대응하는 모드표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이다.
끝으로, 참조번호 32는 상기 제어부 3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드표시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램프(display lamp)를 점등하여 현재 설정된 취수대기모드를 표시하는표시기이다. 상기 표시램프는 서로 다른 빛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엔코더 스위치 28내의 선택다이얼을 회전시켜 정수, 냉수, 온수, 냉정수, 냉온수 취수 대기모드들중 하나를 선택한 후 푸시스위치를 누르면, 제어부 30이 상기 선택된 취수대기 모드신호에 대응하여 정수통 12, 냉수통 14 및 온수통 16의 배출구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 20~24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해당 온도의 물을 취수 코크 28로 배출되게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자 온수취수 대기모드를 선택하여 푸시스위치를 소정시간 눌렸다면, 제어부 30은 솔레노이드밸브 24만을 소정시간 동안 구동하여 온수통 16에 저장된 물을 취수코크 18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선택된 취수 대기모드의 상태는 선택표시기 32의 표시램프에 의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엔코더 스위치 28내의 푸시스위치에서 손을 떼어 복귀시키면, 제어부 30은 솔레노이드 밸브 20~22들로 출력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 SV1~SV3의 출력을 차단하여 취수코크 18로 배출되는 물을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초)을 카운트를 시작한다. 이와 같은 타임카운트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내에 다시 선택다이얼이 작동되지 않거나 푸시스위치가 눌려지지 않는 경우 이전에 설정된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자동 전환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이전에 온수를 취수한 상태에서 10초 이내에 다시 푸시스위치가 눌려진 경우 상기 제어부 30은 온수통 16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 24만을 구동하여 온수가 취수되도록 한다. 그러나,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0초가 경과되도록 엔코더 스위치 28내의 선택다이얼 혹은 푸시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 30은 이전에 선택된 취수대기모드를 자동으로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선택표시기 32에 위치된 냉수취수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현재의 취수모드를 표시한다. 예들 들면, 이전에 온수를 선택하여 취수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선택 다이얼과 푸시 스위치가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 30은 자동으로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고, 선택표시기 32내의 표시램프를 구동하여 냉수취수 대기모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취수모드가 냉수취수모드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엔코더 스위치 28의 푸시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 30은 냉수통 14의 배출구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 22를 구동하는 구동신호 SV2를 출력함으로써 취수코크 18로부터는 냉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약 90℃로 가열된 온수를 취수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온수배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상 등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은 도 1의 제어부 내의 롬 영역에 마스크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 스위치 및 선택표시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참조부호 52는 온수취수 대기모를표시하는 LED이고, 54는 정수취수 대기모드를 표시하는 LED이며, 56은 냉수취수 대기모드를 표시하는 LED로서 구동 시에는 빨강, 노랑, 녹색으로 점등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28은 엔코더 스위치, 28a는 로타리 타입의 선택다이얼, 28b는 푸시스위치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지금, 도 1과 같은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가 동작되면 정수통 12, 냉수통 14 및 온수통 16의 내부에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수된 물, 냉각된 물 및 가열된 물들이 저장되어 진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제어부 30은 초기 도 2의 34과정을 수행하여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설정하여 선택표시기 32내의 LED 56을 점등시켜 냉수취수모드임을 표시한다.
상기 도 2의 36과정을 수행한 제어부 30은 36과정에서 엔코더 스위치 28의 출력을 읽어 엔코딩 신호 ES 혹은 푸시스위치 28b의 선택신호 SS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엔코딩 신호 ES는 선택 다이얼 28a가 회전 위치에 대응하는 취수모드신호, 예컨대, 정수, 냉수, 온수, 냉정수 및 냉온수 취수 대기모드 신호로 출력되며, 제어부 30은 이를 감지하여 취수대기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과정에서 엔코더 스위치 28이 동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34과정을 수행하여 냉수취수 대기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36과정에서 엔코더 스위치 28내 푸시스위치 28b가 눌려졌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 30은 38과정에서 설정된 취수대기모드에 대응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냉수취수 대기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푸시스위치 28b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 30은 도 2의 38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 SV2를 솔레노이드 밸브 24로 출력하여 유로를 개방한다. 따라서, 냉수통 14내의 물이 솔레노이드 밸브 24를 통해 취수코크 18을 통해 배출된다. 이후, 40과정에서 상기 푸시스위치 28b가 "오프"되어졌는지를 검색하여 "오프"된 경우, 42과정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14로 출력하였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 SV2를 차단하여 냉수의 취수를 종료한다.
상기 과정에서 냉수 취수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24를 오프한 제어부 30은 50과정을 수행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0초를 다운카운팅하여 10초가 경과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 30은 전술한 34과정을 수행하여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복귀하고 선택표시기 32내의 LED 54를 점등시켜 냉수취수 대기모드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36과정에서 엔코더 스위치 28내의 선택 다이얼 28a가 동작되는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 30은 44과정에서 선택 다이얼 위치에 대응하는 취수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예컨대, 정수, 냉수, 온수, 냉정수 및 냉온수 취수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취수대기모드를 설정한 제어부 30은 46과정에서 선택된 취수대기모드에 대응한 모드표시신호를 선택표시기 32로 출력하여 현재 선택된 취수모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표시는 도 3과 같이 배열된 LED 52, 54 및 5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취수대기모드를 설정한 제어부 30은 도 2의 48과정에서 푸시 스위치 28b가 눌려졌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푸시스위치 28b가 눌려진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28은 전술한 38과정 이후를 수행하여 선택 다이얼 28a에 의해 선택된 취수대기모드의 물이 취수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온수취수 대기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푸시스위치 28b가 "온"된 경우라고 판단되면, 제어부 30은 솔레노이드 밸브 26을 "온"시켜 온수통 16내의 온수가 취수코크 18로 배출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48과정에서 푸시스위치 28b가 "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 30은 50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 30은 상기 44과정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조정에 의한 물이 선택 취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50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30은 전술한 34과정을 수행하여 이전에 설정된 온수취수 대기모드를 자동으로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냉수를 제외한 물의 종류에서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내에 아무런 동작이 없을 때 초기 상태인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자동 복귀시킴으로써 오조작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예컨대, 엔코더 스위치 28의 선택 다이얼 28a를 조정 온수취수모드를 선택하고 푸시 스위치 28b를 소정시간 동안 눌려 온수를 취수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선택 다이얼 28a 및 푸시 스위치 28b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온수취수모드를 자동으로 냉수취수모드로 복귀함으로써 오조작에 의한 온수 배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수를 취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냉수취수대기 상태로 자동 복귀됨으로써 어린이 또는 노약자의 실수에 의한 작동으로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 등의 신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의 공급되어 정수된 물을 내부에 저장하는 정수통와,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낮추어 저장하는 냉수통과,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통을 구비한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 코크의 유입구와 상기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의 배출구들 사이의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정수통, 냉수통 및 온수통들과 상기 취수 코크들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들과;
    온수, 냉수, 정수, 냉온수 및 냉정수의 물을 선택하는 위치 상태를 엔코딩하여 취수대기 모드신호를 발생하는 선택다이얼과, 푸시스위칭에 응답하여 취수대기모드에 대응한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푸시스위치가 일체화된 엔코더 스위치와;
    상기 엔코더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취수대기 모드신호와 밸브구동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중 해당 밸브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상기 엔코더 스위치의 작동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았을 때 취수대기모드를 냉수취수 대기모드로 자동 복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는 냉수선택모드, 온수선택모드, 정수선택모드, 냉정수선택모드, 냉온수선택모드를 표시하는 램프들을 가지는 표시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온수, 냉수, 정수, 냉온수 및 냉정수의 물을 선택하는 선택 다이얼의 위치 상태를 엔코딩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램프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KR20-2003-0014760U 2003-05-13 2003-05-13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KR200323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60U KR200323518Y1 (ko) 2003-05-13 2003-05-13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60U KR200323518Y1 (ko) 2003-05-13 2003-05-13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518Y1 true KR200323518Y1 (ko) 2003-08-21

Family

ID=4941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760U KR200323518Y1 (ko) 2003-05-13 2003-05-13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51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35B1 (ko) 2009-12-07 2012-08-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502651B1 (ko) * 2011-07-08 2015-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03877B1 (ko) * 2017-03-20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85426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200122286A (ko) * 2019-01-07 2020-10-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200122287A (ko) * 2020-10-20 2020-10-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35B1 (ko) 2009-12-07 2012-08-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502651B1 (ko) * 2011-07-08 2015-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03877B1 (ko) * 2017-03-20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00085426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200122286A (ko) * 2019-01-07 2020-10-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178062B1 (ko) * 2019-01-07 2020-11-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65710B1 (ko) 2019-01-07 2021-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200122287A (ko) * 2020-10-20 2020-10-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38489B1 (ko) 2020-10-20 2021-04-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9558B1 (en) Human body sensitive touch-controlled water outle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63641A1 (en) Enhanced aesthetics for water dispensing illumination
KR200323518Y1 (ko)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US8225437B2 (en) Mixing faucet system for aircraft
KR100533275B1 (ko) 냉장고의 필터교환정보 표시장치
WO2019170102A1 (zh) 饮水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203468336U (zh) 一种管线机
JPH11281146A (ja) 給湯機
CN114052499B (zh) 一种定制水杯的净水机
KR102123683B1 (ko) 출수모듈
JP7190289B2 (ja) 水栓装置
JP7190288B2 (ja) 水栓装置
JP3052854B2 (ja) 電気貯湯容器
JPH10211488A (ja) 紫外線殺菌装置
JP2010052745A (ja) ウォータサーバ
JP2009138986A (ja) 湯沸器
JP2007070962A (ja) 自動水栓
JP7190290B2 (ja) 水栓装置
JP3615483B2 (ja) 浄水装置
JP3997457B2 (ja) 省電力機能付き給湯機
JPH07102609A (ja) 機器における機能部の異常表示方法
JPS62206330A (ja) 給湯装置
KR102129072B1 (ko) 출수모듈
JP2003082720A (ja) 自動水栓
KR200301154Y1 (ko) 이온수 제조가 가능한 냉온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