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286A -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286A
KR20200122286A KR1020200136047A KR20200136047A KR20200122286A KR 20200122286 A KR20200122286 A KR 20200122286A KR 1020200136047 A KR1020200136047 A KR 1020200136047A KR 20200136047 A KR20200136047 A KR 20200136047A KR 20200122286 A KR20200122286 A KR 2020012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nit
temperature
dischar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710B1 (ko
Inventor
염일수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14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7806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20013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는, 입수된 유체를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부;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다이얼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및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FLUID PROCESSING APPARATUS WITH IMPROVED USER INPUT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본 개시내용은 유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처리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유체 처리 장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 다양한 정수방법을 통하여 제거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유체 처리 장치는 저수조를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저수조형과 직수형으로 구분 된다. 저수조형 유체 처리 장치는 정수를 저수조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유체 배출부를 조작하였을 때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직수형 유체 처리 장치는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유체 배출부를 조작하였을 때 즉시 원수를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직수형 유체 처리 장치는 저수조형 유체 처리 장치에 비해 위생적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최근에는 직수형 유체 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유체 처리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눌러 물의 온도(예를 들어, 냉수/온수 등)를 결정할 수 있고, 버튼을 눌러 결정된 온도의 물을 출수 시킬 수 있다,
유체 처리 장치에 추가적인 기능이 많이 포함됨에 따라 유체 처리 장치의 조작은 점점 복잡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입력 모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KR 10-1770481은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정수기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목적들 중 하나는 새로운 사용자 입력 모듈로 조작 가능한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수된 유체를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부;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다이얼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및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하는,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입력 모듈을 갖는 유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하지만,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작 레버(40)의 동작에 따라 유체 배출부(20)이 움직이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2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4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 제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포함"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체 처리 장치”는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장치는 직수형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아 물을 저장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필터를 통해 물이 정화되는 정수기를 의미한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는 저수조형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형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에 저수조를 구비하고 있어,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출수하는 정수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원수”는 유체 처리 장치(1000)에 유입되는 액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돗물이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량”은 배관속에 포함된 하나의 면을 통해서 단위 시간에 흐르는 유체의 질량 또는 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 간의 조합을 통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외부로 돌출된 조작 레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유체 배출부(20)의 상하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다이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유체 배출 부재(200)가 움직이는 유체 처리 장치(10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다이얼부(300) 및/또는 유량 조절 레버(400)의 조작에 따라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1100), 필터 모듈(1100)에서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낮추어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모듈(1200) 및 필터 모듈(1100)에서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모듈(130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적어도 하나를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유체 배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배출부(20)는 코크(cock)나 파우셋 등의 유체 배출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10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원수(A)를 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모듈(1100)은 전처리 침전 필터, 프리 카본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및 역삼투압(R/O) 멤브레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 사이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어, 정화된 물이 필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모듈(1100)의 일 측부와 연결된 배관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입수 밸브(1)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 밸브(1)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open)되어 원수가 유체 처리 장치(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closed)되어 원수가 유체 처리 장치(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모듈(1100)은 배관을 통해 정수 배관(20),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어, 필터 모듈(1100)에 의해 정화된 물은 배관을 통해 정수 배관(22),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필터 모듈(1100)로부터 공급된 물을 활용하여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 모듈(1200)은 필터 모듈(1100)로부터 공급된 물의 온도를 낮추어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냉수 배관(11)과 연결되어, 냉수 모듈(1200)에 의해 생성된 냉수는 냉수 배관(11)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10)은 출수 배관(44)과 연결되어, 냉수 배관(11)으로 유입된 냉수는 출수 배관(44)으로 유출될 수 있고, 출수 배관(44)에 유입된 냉수는 유체 배출 부재(200)를 통해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수 배관(11)은 밸브(3)를 구비할 수 있다. 냉수 배관(10)에 구비된 밸브(3)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됨으로써 냉수 배관(11)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냉수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11)에 구비된 밸브(3)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됨으로써 냉수 배관(11)으로부터 출수배관(44)으로 냉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 배관(22)은 필터 모듈(1100)과 연결되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정수 배관(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수 배관(22)은 출수 배관(44)과 연결되어 있어, 정수 배관(22)으로 유입된 물은 출수 배관(44)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 배관(44)에 유입된 물은 유체 배출 부재(200)를 통해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 배관(22)은 밸브(2)를 구비할 수 있다.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됨으로써 정수 배관(22)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됨으로써 정수 배관(22)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필터 모듈(1100)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필터 모듈(1100)에 의해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는 온수 모듈(1300)에 유입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유입된 물을 활용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모듈(1300)은 유입된 물에 열을 가함으로써, 물의 온도를 증가시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에서 유출된 온수는 온수 배관(33)을 통해 출수 배관(44)으로 유입될 수 있고, 출수배관(44)에 유입된 온수는 유체 배출 부재(200)를 통해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 밸브부(1,2,3,4......),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제어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0)는 전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 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다양한 전기적 모듈(미도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사용자가 유체 처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한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유체 처리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를 둘러싸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다이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외부의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의 디바이스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의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1,2,3,4,……)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배관을 개방 하거나 또는 배관을 폐쇄시키는 전기적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1,2,3,4,……)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입수부에 위치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에 원수가 입수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2)는 정수 배관(22)에 위치하여 정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3,4,5)는 온수 배관(33)에 위치하여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냉수 배관(11)에 위치하여 냉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는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 처리 장치(1000)의 내부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제어부(1400)의 제어에 의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활용하여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 모듈(1200)은 열교환 방식을 통해 순간적으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제어부(1400)의 제어에 의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활용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모듈(1300)은 발열 부재를 통해 고온을 발생시켜 물의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네트워크 모듈(1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네트워크 모듈(1800)을 통해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모듈(1800)을 통해 외부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800)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1800)은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프로세서(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4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수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냉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0)는 입수 밸브(1)를 개방 시키고, 냉수 배관(11)에 구비된 밸브(3)를 개방 시킬 수 있으며, 냉수 모듈(1200)을 통해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수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400)는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를 개방 시켜 정수를 배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온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온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0)는 입수 밸브(1)를 개방 시키고, 온수 배관(30)에 구비된 밸브(4)를 개방 시킬 수 있으며, 온수 모듈(1300)을 제어 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섭씨 40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섭씨 75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온수 모듈(1300)에서 생성된 온수와 정수를 혼합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는 혼합되는 온수와 정수의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특정 온도의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온수 모듈(1300)의 성능을 조절함으로써 유체 처리 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온수 모듈(1300)의 성능을 낮춤으로써 섭씨 40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고, 온수 모듈(13000)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섭씨 85도의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0)는 다이얼부(300)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내지 도 1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오디오 출력부(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0)는 사용자에게 임의의 형태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16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과, 냉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과, 온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부(1600)는 바이노럴 비트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뇌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네트워크(1800)를 통해 수신되거나 내부/외부 저장 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사용자 단말기(2000)와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등)의 제어에 따른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유체 처리 장치(1000)의 동작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임의의 형태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오디오 출력부(16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클래식 음악, 재즈 음악, 악기 연주 음악 및 팝 음악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음악, 물 소리 및 새 소리 등의 자연의 소리, 및 바이노럴 비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오디오(audio)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이노럴 비트는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오디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0)는 오디오 출력부(16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체 배출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400)는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온도의 유체를 배출하면서 결정된 온도와 매칭되는 음원을 오디오 출력부(1600)가 출력하도록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원은 바이노럴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되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냉수를 배출하는 경우 출력되는 음원에 포함된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는 5Hz이고, 유체 처리 장치(1000)가 온수를 배출하는 경우 출력되는 음원에 포함되는 주파수는 10Hz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작 레버(40)의 동작에 따라 유체 배출부(20)이 움직이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레버(40)는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 에 의해 유체 배출부(20) 과 연결될 수 있다.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은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유체 배출부(20)에 전달하는 기어 박스(320)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 배출부 모듈에 구비된 돌출 부재(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함)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유체 배출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움직이는 경우, 발생된 구동력은 기어 박스(3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의해 유체 배출부(20)에 전달될 수 있다. 유체 배출부(20)은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와 유체 배출 부재(200)는 유체 배출부 샤프트(210)로 연결되어, 전달된 구동력은 유체 배출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배출부(20)은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의 적어도 일부와 치합되는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유체 배출 부재(200),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와 상기 유체 배출 부재(200)를 연결하는 유체 배출부 샤프트(210) 및 유체 배출부(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출 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는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에 포함된 기어와 치합되어 유체 배출부(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의 회전에 따라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 배출부 샤프트(210)를 통해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와 연결된 유체 배출 부재(20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배출부 샤프트(210)의 내부에는 유로가 구비되어, 유체 처리 장치(100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유체 배출 부재(200)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 배출부 랙기어(220)와 유체 배출부 샤프트(21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 배출 부재(2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유체 배출 부재(20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등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 부재(230)는 유체 배출부(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유체 배출부(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재(230)는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310)의 내부에 함입되어 움직임으로써, 유체 배출부(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은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유체 배출부(2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320) 및 유체 배출부(20)에 구비된 돌출 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유체 배출부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3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박스(320)의 내부에는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스타트 기어(322),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유체 배출부(20)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326) 및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3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어의 배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에서 개시한다.
가이드 부재(310)는 돌출 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310)의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돌출 부재(230)의 함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10)에는 돌출 부재(230)의 양면과 접하게 벽이 형성되어, 돌출 부재(2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는 ㄱ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40)의 일단(4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조작 레버(40)의 타단(420)은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유체 배출부 상하이동 모듈(30)에 전달할 수 있다.
조작 레버(4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티타늄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부(2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박스(320)는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스타트 기어(322),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유체 배출부(20)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326),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은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될 수 있다.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회전력은 연결 기어(324)를 회전 시킬 수 있고, 연결 기어(324)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니언 기어(326)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기어부(326a)와 전달받은 회전력을 유체 배출부(20)에 전달하는 제 2 기어부(3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부(326a)의 회전 반경보다 제 2 기어부(326b)의 회전 반경이 더 클 수 있어서, 유체 배출부(20)의 이동 변위는 증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4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430)는 조작 레버(40)와 결합하는 레버 결합 부재(432) 및 레버 결합 부재(432)에 구비되는 마찰 부재(43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430)는 스타트 기어(322)와 조작 레버(40)사이에 위치하여, 조작 레버(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조작한 이후, 조작 레버(40)는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스타트 기어(322)와 조작 레버(40)사이에 미끄럼 방지부(430)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레버 결합 부재(432)의 일측은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의 타 측에는 레버 결합 부재(432)의 원주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홈에는 마찰 부재(434)가 위치할 수 있다.
마찰 부재(434)는 기어 박스(320)에 구비된 레버 부재 결합홈(326)의 내벽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마찰 부재(434)와 레버 부재 결합홈(326)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조작 레버(40)의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찰 부재(434)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434)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부(300)는 유체 처리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20)와 고정부를 돌러싸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0)에는 디스플레이부(19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조작하는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고정부(3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체 처리 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회전부(310)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는 결정될 수 있고,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 및 도 13에서 개시된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유체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돌출된 유량 조절 레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유체 배출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이 경우 배출되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유체 배출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이 경우 배출되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사용자는 유량 조절 레버(400)를 이동시킴으로써 직관적으로 유량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 레버(400)는 사용자의 눈에 띄기 쉽도록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손쉽게 배출되는 유체의 량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배출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은 4단계로 구분될 있고, 사용자가 유량 조절 레버(40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유체의 양의 단계가 결정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유체의 양의 단계가 변경되는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1900)에 변경된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은 유량 조절 레버(400)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유량 조절 레버(400)가 이동하는 경우, 유량 조절 레버(400)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의 화면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나타낼 수 있도록 유체 처리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1900)의 화면을 계속해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900)에는 회전부(31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은 아이콘(324), 문자 정보, 및 프로그레스 바(3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는 기본적으로 정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는 경우, 기본 상태에서 회전부(310)를 왼쪽으로 돌리는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를 냉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상태에서 회전부(31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를 섭씨 40도의 온수, 섭씨 75도의 온수, 섭씨 85도의 온수로 차례대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변경된 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0)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사전 결정된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키더라도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유체 처리 장치가 배출할 수 있는 최고 온도(예를 들어, 섭씨 85도의 온수)인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키더라도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의 온도를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최고 온도(예를 들어, 섭씨 85도의 온수)로 유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도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최고 온도(예를 들어, 섭씨 85도의 온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유체 처리 장치가 배출할 수 있는 최저 온도(예를 들어, 냉수)인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왼쪽으로 더 회전시키더라도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를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최저 온도(예를 들어, 냉수)로 유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도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최저 온도(예를 들어,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310)를 회전시킨 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의 온도는 기본 온도로 재설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가 표시하는 화면은 재설정된 기본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킨 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지나는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의 온도는 기본 온도로 재설정 된다. 이후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왼쪽으로 돌리는 경우, 제어부(1400)를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를 냉수로 결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도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킨 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지나는 경우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의 온도는 기본 온도로 재설정 된다. 이후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하는 유체를 섭씨 40도의 온수, 섭씨 75도의 온수, 섭씨 85도의 온수로 차례대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변경된 온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는 경우, 제어부(1400)는 유량 조절 레버(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유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량 조절 레버(400)를 가장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00)에는 120ml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유량 조절 레버(4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400)는 유체 배출부(2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120ml에서 250m;, 550ml, 및 1L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도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모듈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유체 처리 장치(1000)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배출 제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수 배출을 제한할 것을 입력한 경우,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온수 배출 제한을 나타내는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가 온수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의 온수 중 특정 온도 이상의 온수의 배출의 제한을 입력한 경우,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특정 온도 이상의 온수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는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가 특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체 처리 장치(1000)가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의 온수 중 특정 온도의 온수의 배출의 제한을 입력한 경우,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특정 온도의 온수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는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체 처리 장치(1000)가 특정 온도의 온수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특정 온도 이외의 온도의 온수의 배출은 제한 하지 않을 수 있다.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배출 제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배출 제한 정보가 나타내는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은 사전 설정된 사용 제한 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13(a)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온수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온수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온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400)는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온수OFF 화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310)가 오른쪽으로 더 회전하더라도, 제어부(1400)는 사용 제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900)에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OFF를 나타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오른쪽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디스플레이부(1900)에는 온수OFF를 나타내는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사전 설정된 온도 이상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사전 설정된 온도 이상의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사전 결정된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400)는 사전 결정된 온도의 유체의 배출을 제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0)는 회전부(31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더라도 사용 제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900)에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유체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씨 75도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오른쪽으로 더 회전시키더라도, 디스플레이부(1900)에는 섭씨 75도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는 화면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특정 온도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유체 배출 제한부(1420)는 유체 처리 장치(1000)가 특정 온도의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400)는 특정 온도의 유체의 배출을 제한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310)가 오른쪽으로 더 회전하여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0)는 결정된 온도의 유체 배출을 허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900)에 결정된 온도의 유체 배출을 허용하는 화면이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부(19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0)는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프로그레스 바(322)의 길이를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온수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은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 및 온수 OFF를 나타내는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삼분의 일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삼분의 이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온수 OFF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사전 결정된 온도 이상(예를 들어, 섭씨 75도 이상)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은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 섭씨 45도를 나타내는 화면, 섭씨 75도 이상의 배출 OFF를 나타내는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사분의 일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사분의 이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섭씨 40도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사분의 삼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섭씨 75도 이상의 배출 OFF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는 경우, 배출 제한 정보는 특정 온도(예를 들어, 섭씨 75도)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은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 섭씨 45도를 나타내는 화면, 섭씨 75도의 배출 OFF를 나타내는 화면, 및 섭씨 85도의 배출을 나타내는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냉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오분의 일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정수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오분의 이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섭씨 40도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전체 길이의 오분의 삼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섭씨 75도의 배출 OFF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오분의 이 지점까지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9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섭씨 85도의 배출을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 프로그레스 바(322)는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수된 유체를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부;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상하이동 가능한 유량 조절 레버;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며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다이얼부;
    상기 고정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및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유량 조절 레버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하는,
    유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장치는,
    음원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에, 배출되는 유체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결정하는,
    유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바이노럴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유체의 온도에 기초하여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유체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출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 처리 장치에서 배출 되는 유체의 온도를 제한하는 유체 배출 제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제한 정보는 온수 배출 제한, 사전 결정된 온도 이상의 유체 배출 제한, 특정 온도의 유체 배출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유체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한 정보가 온수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온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전 설정된 사용 제한 화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 제한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회전부가 오른쪽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사용 제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계속해서 표시되는,
    유체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한 정보가 사전 설정된 온도 이상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사전 결정된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전 설정된 사용 제한 화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 제한 화면이 표시된 경우, 상기 회전부가 오른쪽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사용 제한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계속해서 표시되는,
    유체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한 정보가 특정 온도의 유체의 배출 제한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전 설정된 사용 제한 화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 제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회전부가 오른쪽으로 더 회전하여 결정된 유체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결정된 온도의 유체 배출을 허용하고 디스플레이부에 결정된 온도의 유체 배출을 허용하는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는,
    유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사전 결정된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유지되는,
    유체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상기 유체 처리 장치가 배출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유지되는,
    유체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결정한 유체의 온도가 상기 유체 처리 장치가 배출할 수 있는 최고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유지되는,
    유체 처리 장치.

KR1020200136047A 2019-01-07 2020-10-20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6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47A KR102265710B1 (ko) 2019-01-07 2020-10-20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484A KR102178062B1 (ko) 2019-01-07 2019-01-07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0200136047A KR102265710B1 (ko) 2019-01-07 2020-10-20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484A Division KR102178062B1 (ko) 2019-01-07 2019-01-07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286A true KR20200122286A (ko) 2020-10-27
KR102265710B1 KR102265710B1 (ko) 2021-06-16

Family

ID=7313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47A KR102265710B1 (ko) 2019-01-07 2020-10-20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328B1 (ko) * 2021-12-17 2022-05-02 정문갑 정수기
WO2024043508A1 (ko) * 2022-08-23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출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704B1 (ko) * 1996-08-08 1999-06-15 윤주홍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23518Y1 (ko) * 2003-05-13 2003-08-21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JP4821620B2 (ja) * 2007-01-16 2011-11-24 東レ株式会社 浄水器
KR101486383B1 (ko) * 2012-09-17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704B1 (ko) * 1996-08-08 1999-06-15 윤주홍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23518Y1 (ko) * 2003-05-13 2003-08-21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냉온 취수 온도 선택 제어 장치
JP4821620B2 (ja) * 2007-01-16 2011-11-24 東レ株式会社 浄水器
KR101486383B1 (ko) * 2012-09-17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328B1 (ko) * 2021-12-17 2022-05-02 정문갑 정수기
WO2024043508A1 (ko) * 2022-08-23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의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출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710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710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JP2021073391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105036432B (zh) 多功能台面式净水机
CN206391224U (zh) 用于分配uv被处理材料的系统
KR102178062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38489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TW2011085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hannel filter selectivity and performance using voltage variable impedance elements
EP2161484A3 (en) Device for the controlled distribution of liquids
KR102223509B1 (ko)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US8807167B2 (en) Digital fluid control valve
KR102303156B1 (ko) 복수개의 레이어로 형성되고 이동하는 출수 부재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KR102334559B1 (ko)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TW201942531A (zh) 刨冰供給系統及刨冰供給方法
KR100890213B1 (ko) 탄산광천수 생성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JP2010230245A (ja) 音声案内装置
WO2009057854A1 (en) Water purifier
KR102195018B1 (ko) 출수부 살균이 가능한 살균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SE20506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a purification state of tap water
JP2009249946A (ja) 水栓装置
CN217732831U (zh) 用于沐浴机的过滤组件及沐浴机
KR20140047994A (ko) 얼음물추출제어방법
EP3532435B1 (en) Ozone generator for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539477B1 (ko) 멀티 컬럼을 갖는 연수기
CN115998156A (zh) 多功能饮水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372557Y1 (ko) 음용수 공급장치의 냉수꼭지 살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