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559B1 -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559B1
KR102334559B1 KR1020180166571A KR20180166571A KR102334559B1 KR 102334559 B1 KR102334559 B1 KR 102334559B1 KR 1020180166571 A KR1020180166571 A KR 1020180166571A KR 20180166571 A KR20180166571 A KR 20180166571A KR 102334559 B1 KR102334559 B1 KR 10233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module
gear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243A (ko
Inventor
허주송
정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8016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5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이 구비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입수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부 모듈; 및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 레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YSTEM WITH MOVING OUTLETS}
본 개시내용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장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 다양한 정수방법을 통하여 제거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를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저수조형과 직수형으로 구분 된다. 저수조형 수처리 장치는 정수를 저수조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출수부를 조작하였을 때 저수조에 저장된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직수형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출수부를 조작하였을 때 즉시 원수를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직수형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형 수처리 장치에 비해 위생적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최근에는 직수형 수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수처리 장치의 출수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물을 받는 부분과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취출된 물이 물컵에 떨어지면서 일부가 물컵에 충돌한 이후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길이가 짧은 물컵의 경우, 더욱 많은 양의 물이 물컵 밖으로 튕겨져 나올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KR 10-1476210은 출수부가 이동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목적들 중 하나는 이동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수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부 모듈; 및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 레버; 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출수부가 이동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하지만,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작 레버(40)의 동작에 따라 출수부 모듈(20)이 움직이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모듈(2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4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포함"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처리 장치”는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장치는 직수형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를 구비하지 않아 물을 저장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필터를 통해 물이 정화되는 정수기를 의미한다. 또한, 수처리 장치는 저수조형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형 정수기는 정수기 내부에 저수조를 구비하고 있어,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마다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출수하는 정수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원수”는 수처리 장치(1000)에 유입되는 액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돗물이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량”은 배관속에 포함된 하나의 면을 통해서 단위 시간에 흐르는 유체의 질량 또는 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 간의 조합을 통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개념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1000)는 외부로 돌출된 조작 레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출수부의 상하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하측으로 이동 시키는 경우, 출수 부재(200)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상측으로 이동 시키는 경우, 출수부는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레버(40)에 대한 조작에 따라 출수 부재(200)가 움직이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장치(1000)는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감지하여 출수 부재(200)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1000)의 조작 레버(40)와 출수 부재(2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출수 부재(200)가 움직이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조작 레버(40)의 조작에 따라 출수 부재(200)가 움직이는 수처리 장치(10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1000)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1100), 필터 모듈(1100)에서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낮추어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모듈(1200) 및 필터 모듈(1100)에서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모듈(130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1000)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 모듈(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수부 모듈(20)은 코크(cock)나 파우셋 등의 출수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110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원수(A)를 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모듈(1100)은 전처리 침전 필터, 프리 카본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및 역삼투압(R/O) 멤브레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필터들 사이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어, 정화된 물이 필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모듈(1100)의 일 측부와 연결된 배관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입수 밸브(1)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 밸브(1)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open)되어 원수가 수처리 장치(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closed)되어 원수가 수처리 장치(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모듈(1100)은 배관을 통해 정수 배관(20),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어, 필터 모듈(1100)에 의해 정화된 물은 배관을 통해 정수 배관(22),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로 유입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필터 모듈(1100)로부터 공급된 물을 활용하여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 모듈(1200)은 필터 모듈(1100)로부터 공급된 물의 온도를 낮추어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냉수 배관(11)과 연결되어, 냉수 모듈(1200)에 의해 생성된 냉수는 냉수 배관(11)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10)은 출수 배관(44)과 연결되어, 냉수 배관(11)으로 유입된 냉수는 출수 배관(44)으로 유출될 수 있고, 출수 배관(44)에 유입된 냉수는 출수 부재(200)를 통해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수 배관(11)은 밸브(3)를 구비할 수 있다. 냉수 배관(10)에 구비된 밸브(3)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됨으로써 냉수 배관(11)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냉수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냉수 배관(11)에 구비된 밸브(3)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됨으로써 냉수 배관(11)으로부터 출수배관(44)으로 냉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 배관(22)은 필터 모듈(1100)과 연결되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정수 배관(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수 배관(22)은 출수 배관(44)과 연결되어 있어, 정수 배관(22)으로 유입된 물은 출수 배관(44)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 배관(44)에 유입된 물은 출수 부재(200)를 통해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수 배관(22)은 밸브(2)를 구비할 수 있다.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됨으로써 정수 배관(22)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됨으로써 정수 배관(22)으로부터 출수 배관(44)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필터 모듈(1100)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필터 모듈(1100)에 의해 정화된 물 중 적어도 일부는 온수 모듈(1300)에 유입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유입된 물을 활용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모듈(1300)은 유입된 물에 열을 가함으로써, 물의 온도를 증가시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에서 유출된 온수는 온수 배관(33)을 통해 출수 배관(44)으로 유입될 수 있고, 출수배관(44)에 유입된 온수는 출수 부재(200)를 통해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 밸브부(1,2,3,4......), 냉수 모듈(1200) 및 온수 모듈(1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1000)는 제어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0)는 전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다양한 전기적 모듈(미도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사용자가 수처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 가능한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수처리 장치(1000)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다.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은 외부의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의 디바이스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의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1,2,3,4,……)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배관을 개방 하거나 또는 배관을 폐쇄시키는 전기적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부(1,2,3,4,……)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는 수처리 장치의 입수부에 위치하여, 수처리 장치(1000)에 원수가 입수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2)는 정수 배관(22)에 위치하여 정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3,4,5)는 온수 배관(33)에 위치하여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냉수 배관(11)에 위치하여 냉수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는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 장치(1000)의 내부의 다양한 곳에 위치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제어부(1400)의 제어에 의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활용하여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 모듈(1200)은 열교환 방식을 통해 순간적으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냉수 모듈(1200)은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온수 모듈(1300)은 제어부(1400)의 제어에 의해 필터 모듈(11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활용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모듈(1300)은 발열 부재를 통해 고온을 발생시켜 물의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처리 장치(1000)는 네트워크 모듈(1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처리 장치(1000)는 네트워크 모듈(1800)을 통해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모듈(1800)을 통해 외부의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모듈(1800)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1800)은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프로세서(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400)는 사용자 입력 모듈(15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수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400)는 수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냉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0)는 입수 밸브(1)를 개방 시키고, 냉수 배관(11)에 구비된 밸브(3)를 개방 시킬 수 있으며, 냉수 모듈(1200)을 통해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수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400)는 정수 배관(22)에 구비된 밸브(2)를 개방 시켜 정수를 배출 시킬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온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온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0)는 수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여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0)는 입수 밸브(1)를 개방 시키고, 온수 배관(30)에 구비된 밸브(4)를 개방 시킬 수 있으며, 온수 모듈(1300)을 제어 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1000)는 오디오 출력부(160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600)는 사용자에게 임의의 형태의 오디오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1600)는 수처리 장치(1000)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과, 냉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과, 온수가 출력되는 경우의 음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부(1600)는 바이노럴 비트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뇌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네트워크(1800)를 통해 수신되거나 내부/외부 저장 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사용자 단말기(2000)와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등)의 제어에 따른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1600)은 수처리 장치(1000)의 동작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임의의 형태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오디오 출력부(1600)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클래식 음악, 재즈 음악, 악기 연주 음악 및 팝 음악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음악, 물 소리 및 새 소리 등의 자연의 소리, 및 바이노럴 비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오디오(audio)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이노럴 비트는 뇌파를 조절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오디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작 레버(40)의 동작에 따라 출수부 모듈(20)이 움직이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레버(40)는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 에 의해 출수부 모듈(20) 과 연결될 수 있다.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은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출수부 모듈(20)에 전달하는 기어 박스(320)를 포함할 수 있고, 출수부 모듈에 구비된 돌출 부재(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함)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출수부 모듈(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움직이는 경우, 발생된 구동력은 기어 박스(3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의해 출수부 모듈(20)에 전달될 수 있다. 출수부 모듈(20)은 출수부 랙기어(22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출수부 랙기어(220)와 출수 부재(200)는 출수부 샤프트(210)로 연결되어, 전달된 구동력은 출수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부 모듈(20)은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의 적어도 일부와 치합되는 출수부 랙기어(220),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 부재(200), 출수부 랙기어(220)와 상기 출수 부재(200)를 연결하는 출수부 샤프트(210) 및 출수부 모듈(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출 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부 랙기어(220)는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에 포함된 기어와 치합되어 출수부 모듈(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의 회전에 따라 출수부 랙기어(22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출수부 샤프트(210)를 통해 출수부 랙기어(220)와 연결된 출수 부재(20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부 샤프트(210)의 내부에는 유로가 구비되어, 수처리 장치(100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출수 부재(200)로 이동할 수 있다.
출수부 랙기어(220)와 출수부 샤프트(21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수 부재(200)는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출수 부재(20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등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 부재(230)는 출수부 모듈(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출수부 모듈(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재(230)는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310)의 내부에 함입되어 움직임으로써, 출수부 모듈(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은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출수부 모듈(20)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320) 및 출수부 모듈(20)에 구비된 돌출 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출수부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3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박스(320)의 내부에는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스타트 기어(322),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출수부 모듈(20)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326) 및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3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어의 배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에서 개시한다.
가이드 부재(310)는 돌출 부재(2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310)의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돌출 부재(230)의 함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10)에는 돌출 부재(230)의 양면과 접하게 벽이 형성되어, 돌출 부재(2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40)는 ㄱ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40)의 일단(4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수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조작 레버(40)의 타단(420)은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30)에 전달할 수 있다.
조작 레버(40)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철, 티타늄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 모듈(2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박스(320)는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스타트 기어(322),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출수부 모듈(20)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326),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기어(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은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될 수 있다. 스타트 기어(322)에 전달된 회전력은 연결 기어(324)를 회전 시킬 수 있고, 연결 기어(324)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326)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니언 기어(326)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기어부(326a)와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수부 모듈(20)에 전달하는 제 2 기어부(3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부(326a)의 회전 반경보다 제 2 기어부(326b)의 회전 반경이 더 클 수 있어서, 출수부 모듈(20)의 이동 변위는 증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4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430)는 조작 레버(40)와 결합하는 레버 결합 부재(432) 및 레버 결합 부재(432)에 구비되는 마찰 부재(434)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430)는 스타트 기어(322)와 조작 레버(40)사이에 위치하여, 조작 레버(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레버(40)를 조작한 이후, 조작 레버(40)는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스타트 기어(322)와 조작 레버(40)사이에 미끄럼 방지부(430)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레버 결합 부재(432)의 일측은 조작 레버(40)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의 타 측에는 레버 결합 부재(432)의 원주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홈에는 마찰 부재(434)가 위치할 수 있다.
마찰 부재(434)는 기어 박스(320)에 구비된 레버 부재 결합홈(326)의 내벽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마찰 부재(434)와 레버 부재 결합홈(326)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조작 레버(40)의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찰 부재(434)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434)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수된 물을 정화하는 필터 모듈;
    상기 필터 모듈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부 모듈;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 레버;
    상기 출수부 모듈과 상기 조작 레버를 연결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하이동을 조정하는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 및
    상기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과 상기 조작 레버 사이에 위치하여, 조작 레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 모듈은: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치합되는 출수부 랙기어;
    상기 출수부 모듈의 하단에 배치되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출수 부재;
    상기 출수부 랙기어에서부터 상기 출수 부재까지 일직선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출수부 랙기어의 하단 일측과 접촉하고, 하단이 상기 출수 부재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출수부 랙기어와 상기 출수 부재를 연결하고, 내부에 유로를 포함하는 출수부 샤프트; 및
    일단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단 영역이 상기 출수부 랙기어의 하단 일측에 연결되며 일단의 전체 영역 중에서 하단 영역이 상기 출수부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출수부 랙기어 및 상기 출수부 샤프트의 후면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의 후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 상하이동 모듈은:
    상기 조작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출수부 모듈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 및
    상기 기어 박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 부재 및 출수부 모듈의 이동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부재의 타단이 함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 부재의 타단이 상기 내부 공간에 함입되어 상기 출수부 모듈의 상측 및 하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돌출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출수부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조작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스타트 기어;
    상기 스타트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스타트 기어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연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상기 출수부 모듈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연결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연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 기어부; 및
    상기 제 1 기어부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상기 출수부 모듈에 전달하는 제 2 기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부의 회전 반경은 상기 스타트 기어의 회전 반경,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 반경 및 상기 제 1 기어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크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조작 레버와 결합하는 레버 결합 부재; 및
    상기 레버 결합 부재에 구비된 홈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 부재;
    를 포함하는,
    상기 레버 결합 부재는 일측이 상기 스타트 기어의 타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조작 레버에 배치되어 상기 스타트 기어 및 상기 조작 레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어 박스에는 상기 조작 레버가 결합되는 레버 부재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레버 결합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 부재 결합홈의 내벽과 접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66571A 2018-12-20 2018-12-20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334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71A KR102334559B1 (ko) 2018-12-20 2018-12-20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571A KR102334559B1 (ko) 2018-12-20 2018-12-20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43A KR20200077243A (ko) 2020-06-30
KR102334559B1 true KR102334559B1 (ko) 2021-12-03

Family

ID=7112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571A KR102334559B1 (ko) 2018-12-20 2018-12-20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4811A (ja) * 2017-02-22 2018-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267B1 (ko) * 1999-01-25 2001-09-26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20120070286A (ko) * 2010-12-21 2012-06-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출수부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
KR101643872B1 (ko) * 2013-12-11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4811A (ja) * 2017-02-22 2018-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243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91224U (zh) 用于分配uv被处理材料的系统
KR102265710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EP3428126A1 (en) Water treat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omestic water treatment device
US10685646B2 (en) Voice control of a flotation tank
KR102223509B1 (ko) 출수부 모듈이 이동하는 경우 유로가 유지되는 수처리 장치
KR102334559B1 (ko) 이동하는 출수부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303156B1 (ko) 복수개의 레이어로 형성되고 이동하는 출수 부재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CN203704316U (zh) 无压净水热水两用机
KR102178062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38489B1 (ko)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US10870590B2 (en) Ion exchange water softener
KR102195018B1 (ko) 출수부 살균이 가능한 살균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CN105565576A (zh) 一种家庭式饮用水净化工艺及其设备
CN105060536B (zh) 一种净水器
CN205461322U (zh) 一种可多点取水式饮用水净水系统
CN202322338U (zh) 一种新型恒温分液漏斗
CN206739594U (zh) 一种超滤净水热水器
CN203737222U (zh) 反应釜
TWI522157B (zh) High efficiency filter
KR102019564B1 (ko) 스팀 기능을 제공하는 수처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235306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CN204237652U (zh) 一种多功能净水器
WO20212500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a purification state of tap water
RU2547482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CN108652444A (zh) 一种防儿童烫伤的户用型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