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193B1 - 정수기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93B1
KR100867193B1 KR1020070055246A KR20070055246A KR100867193B1 KR 100867193 B1 KR100867193 B1 KR 100867193B1 KR 1020070055246 A KR1020070055246 A KR 1020070055246A KR 20070055246 A KR20070055246 A KR 20070055246A KR 100867193 B1 KR100867193 B1 KR 10086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discharge hole
drinking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한일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월드(주) filed Critical 한일월드(주)
Priority to KR102007005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정수기 본체의 전면부에 개수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도록 측면 외주연에 연통파이프를 형성시키고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내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킨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상단면에 편심되게 부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전환밸브와, 상기 취수구의 연통파이프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상향으로 만곡시키고 그 전방으로 연장되어 취수구의 배출공 단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안내구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안내구 내부에 수납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취수되는 음용수의 배출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연결파이프 관로 사이에 설치하여 취수구의 전환밸브에 의해 연결파이프로 음용수가 제공되면 유량 흐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력선을 발생시켜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하여 발생한 기전력을 발광부로 송출하는 유량감지부로 구성한다.
Figure R1020070055246
정수기, 조명장치, 임펠러, 기전력수단, LED램프

Description

정수기용 조명장치{lighting system of water purifier}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기 101 : 개수구
102 : 저수통 103 : 연결파이프
110: 취수구 111 : 연통파이프
112 : 배출공 120 : 전환밸브
130 : 고정브라켓 131 : 가이드부재
131a : 안내홈 132 : 걸림돌기
133 : 안내구 133a : 결합공
140 : 발광부 141 : LED램프
142 : 전원선 143 : 입력단자
144 : 고정패킹 145 : 연통공
150 : 유량감지부 150 : 유량감지부
151 : 케이스 151a : 수납공간
151b : 유입관로 151c : 출수관로
152 : 임펠러 152a : 날개차
152b : 회전축 153 : 기전력수단
본 발명은 정수기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취수구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되 음용수의 취수시 유량흐름에 의해 자가발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장치의 자체 전력을 통한 조명 발휘를 가능하도록 하는 전수기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및 정수기는 급수밸브가 장착된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음료통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체에 장착된 급수밸브에는 냉수 및 온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적색과 청색 계열의 색깔이 도포되며, 또한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는 전원표시등이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수기 및 정수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급수밸브에 장착된 밸브를 작동시키면 냉수 및 온수 급수밸브가 개방되고, 원하는 냉수 및 온수는 음료통에서부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급수관을 통하여 급수밸브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자연 여과식, 직격 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이 있으며, 정수만을 공급하는 단순 정수기와 정수를 저온 상태로 공급하는 냉정수기 또는 정수를 저온과 고온의 두 가지 상태로 공급하는 냉온정수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냉온수기 및 정수기는 밝은 조명 또는 태양광선 아래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급수밸브를 찾을 수 있으나 실내등이 소등된 야간의 경우에는 냉수 및 온수의 급수밸브를 식별하기 어렵고, 또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정확히 알수 없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이 넘치거나 온수의 경우 손에 화상을 입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물의 손실은 물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당한 주위를 기울여야만 하고, 별도의 조명장치를 작동하여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31652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냉,온수 취출버튼(41,42)의 작동으로 냉, 온수 취출구(11)를 개방시켜 정수를 배출되게 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주변의 광 밝기와 온도에 따라 감응하는 광검출소자(30)와 온도 감지소자(40)를 설치하되, 온도감지소자(40)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의 냉,온수 취출구(11) 주변에 부설한 적색 및 청색 계열의 램프(21,22)를 점등되게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0)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정수기의 조명장치는 냉, 온수 취출버튼(41,42)을 누르게 되면, 냉,온수 제어부에서 취출구(11)을 개방시켜 정수된 물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정수기(10)에 설치된 광검출소자(30)는 주변의 광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고, 이의 저항값 변화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서 판단하여 그에 대한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소자(40)에서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대한 저항값 변화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0)에서는 저항값에 따른 데이터에 설정 온도인가를 판단하여 한기가 느껴지는 온도일 경우에는 적색 램프(21)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빨간 불빛에 의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물이 따뜻하게 느껴지도록 한 것이고, 실내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청색 계열의 램프를 구동시켜 물이 시원하게 느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의 정수기의 조명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적색램프 및 청색램프는 냉, 온수 취출구(11)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출수되는 공급수에 빛을 간접적으로 조사된다.
즉, 정수기가 설치된 공간의 밝기와 온도에 의해 냉온수의 출수가 반응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출수되는 냉온수에 간접적으로 적색 또는 청색 조명을 부여하여 육안으로 확인시 공급수가 차갑게 또는 뜨겁게 느껴지도록 하는 시각적 현상을 일으키도록 하였으나, 그 적색 또는 청색의 불빛을 발휘하는 램프가 냉, 온수 취출구 주변에 설치됨에 따라 출수되는 공급수에 집중되지 못하고 냉,온수 취수구 외부 또는 주변으로 조사됨에 따라 빛의 집중도가 떨어져 빛의 색깔로 구분되었던 공급수의 온도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체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출수할 경우 청색과 적색의 빛이 동시에 발휘되면서 각각의 빛이 출수되는 공급수에 집중되지 못하고 분산되거나 섞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깔을 통하여 냉, 온수의 구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극대화시켰다.
또한, 정수기의 정수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9795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정수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콕과 상기 배출콕을 개폐하는 콕레버가 장착되는 취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콕과 배출되는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배출콕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배출콕의 내외부에 증식하는 세균을 살균함과 아울러 출수되는 공급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자외선램프가 정수기 외부에 장착되어 있어 자외선이 인체에 노출되어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종래기술의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정수기에는 자외선램프의 자외선이 외부로 방사되지 않도록 차단막을 형성하나 자외선이 배출콕으로 조사되도록 차단막의 일부를 개구시킴에 따라 컵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배출콕 하부에 위치될 때 자외선에 인체의 손이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자외선에 의해 단백질로 이루어진 피부의 아미노산의 파괴를 유발시켜 인체에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정수기의 LED램프를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하는 취수구의 배출공에 내부에 장착하여 색상을 갖는 빛을 출수되는 음용수와 동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켜 빛을 갖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취수구에 LED램프를 손쉽고 편리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명을 발휘하는 발광부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통에서 취수구측으로 음용수를 안내하는 연결파이프 내부에 유량감지부를 설치하여 외부로 취수되는 음용수의 유량 흐름에 의해 자체 전력 발생시켜 LED램프측으로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본체의 전면부에 개수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도록 측면 외주연에 연통파이프를 형성시키고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내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킨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상단면에 편심되게 부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전환밸브와, 상기 취수구의 연통파이프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를 상향으로 만곡시키고 그 전방으로 연장되어 취수구의 배출공 단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안내구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안내구 내부에 수납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취수되는 음용수의 배출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연결파이프 관로 사이에 설치하여 취수구의 전환밸브에 의해 연결파이프로 음용수가 제공되면 유량 흐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력선을 발생시켜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하여 발생한 기전력을 발광부로 송출하는 유량감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브라켓은 상부로 개구된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재의 상부 양측단에 연통파이프와 동일형상의 내주연을 갖는 걸림돌기를 한 쌍으로 대칭되게 만곡시켜 연통파이프 외주연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측에 연장되어 형성시킨 안내구에는 내부에는 배출공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는 유량감지기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선에 연결된 입력단자를 고정패킹의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내부 침투시킨 다음 LED램프를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LED램프가 고정패킹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되, LED램프가 장착된 고정패킹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의 반호 형상을 갖는 연통공을 형성시켜 배출공을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안내구의 결합공으로 출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량감지부는 연결파이프와 연결 이음되도록 내부에 형성시킨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관로와 출수관로를 각각 외주연에 형성시킨 케 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날개차가 형성시켜 유입관로로 제공된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자석을 일체로 고정시켜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되 자석의 둘레에 이격되어 복수회로 코일을 권선시킨 기전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기(100)는 정수필터(미도시)가 내부에 장착되고 전면부에 개수구(101))를 형성시킨 본체(11)와, 상기 정수기(100) 본체) 상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0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수기(100)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정수기(100) 의 개수구(101)에 노출되어 연결파이프(103)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취수구(110)와, 상기 취수구(110)에 장착되어 음용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공급차단을 실행시키는 전환밸브(120)와, 상기 취수구(110)의 배출공(112) 단부에 결합시킨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안내를 받아 배출공(112)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광부(140)와, 상기 연결파이프(103) 내부에 장착되어 유량의 공급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을 발광부(140)로 인가시키는 유량감지부(150)로 구성한다.
여기서, 취수구(110)는 저수통(102)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103)에 결합되도록 측면 외주연에 연통파이프(111)를 형성시키고 연결파이프(103)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내부에 배출공(112)을 형성시킨 다음 정수기(100)의 개수구(101)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전환밸브(120)는 취수구(110)의 상단면에 편심되게 부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배출공(112)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도록 하며, 통상적으로 취수자가 컵을 취수구(11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컵을 통하여 전환밸브(120)를 전방으로 밀면 전환밸브(120)의 회전각도가 가변되면서 배출공(112)을 개방시켜 음용수를 외부로 출수 가능하도록 하고, 반대로 전환밸브(120)의 가변된 회전각도를 해제할 경우 상기 전환밸브(120)가 원래의 회전각도로 복원되어 취수구(110)의 배출공(112)을 밀폐시켜 음용수의 배출을 차단시킨다.
아울러, 고정브라켓(130)은 취수구(110)의 연통파이프(11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배출공(112) 단부와 일치되게 연장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30) 은 상부로 개구된 안내홈(131a)을 갖는 가이드부재(131)의 상부 양측단에 연통파이프(111)와 동일형상의 내주연을 갖는 걸림돌기(132)를 한 쌍으로 대칭되게 만곡시켜 연통파이프(111) 외주연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31)의 선단측에 연장되어 형성시킨 안내구(133)에는 내부에는 배출공(112)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공(133a)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발광부(140)는 고정브라켓(130) 안내구(133) 내부에 수납되어 배출공(112)을 통하여 취수되는 음용수의 배출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킨다.
즉, 발광부(140)는 유량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선(142)에 연결된 입력단자(143)를 고정패킹(144)의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내부 침투시킨 다음 LED램프(141)를 입력단자(143)에 연결하여 LED램프(141)가 고정패킹(144)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되, LED램프(141)가 장착된 고정패킹(144)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의 반호 형상을 갖는 연통공(145)을 형성시켜 배출공(112)을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안내구(133)의 결합공(133a)으로 출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량감지부(150)는 상기 연결파이프(103) 관로 사이에 설치하여 취수구(110)의 전환밸브(120)에 의해 연결파이프(103)로 음용수가 제공되면 유량 흐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력선을 발생시켜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하여 발생한 기전력을 발광부(140)로 송출한다.
이러한 유량감지부(150)의 구성은 상기 유량감지부(150)는 연결파이프(103)와 연결 이음되도록 내부에 형성시킨 수납공간(151a)과 연통되는 유입관로(151b)와 출수관로(151c)를 각각 외주연에 형성시킨 케이스(151)와, 상기 케이스(151)의 수납공간(151a)에 회전축(152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날개차(152a)가 형성시켜 유입관로(151b)로 제공된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52)와, 상기 임펠러(152)의 하부에 자석(154)을 일체로 고정시켜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되 자석(154)의 둘레에 이격되어 복수회로 코일을 권선시킨 기전력수단(15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용수를 취수할 목적으로 컵을 취수구(110)의 배출공(112) 하부위치 배치시킨 후 컵을 통하여 전환레버(12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전환레버(120)의 회전각도가 가변되면서 취수구(110)의 배출공(112)을 개방시켜 저수통(102)에 충진된 음용수가 연결파이프(103)를 통하여 배출공(112)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공(112)의 개방에 의해 연결파이프(103)로 흐름되는 음용수의 유량 흐름이 유량감지부(150)의 유입관로(151b)를 통하여 음용수가 케이스(151) 내부로 유입되면서 날개차(152a)를 갖는 임펠러(15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임펠러(152)와 연동하는 자석(154)이 회전하면서 코일이 권선된 기전력수단(153)에서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자기장내에 있는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수단(153)은 자기장의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전압이 유도가 되며, 이것은 자석(154)의 자장과 코일과의 상대속도에 의한 것이므로 자석(154)을 고정하고 기전력수단(153)을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상기 기전력수단(153)을 고정하고 자석(154)을 움직이도록 하여 기전력을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전력수단(153)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은 전원선(142)을 따라 LED램프(141)측으로 인가되어 자체 발광을 시킴으로써, 취수구(110)의 배출공(112)에서 출수되는 음용수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정수기(100)를 통하여 음용수를 취수할 경우에만 기전력수단(153)을 통하여 음용수의 유량 흐름에 의해 자체 전력을 발생시킨 다음 이를 LED램프(141)측으로 인가시켜 조명빛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조명빛에 의해 냉수와 온수의 취수구(110) 구별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음용수를 취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음용수의 유량 흐름이 발생하지 않아 기전력수단(153)을 통하여 자체 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조명빛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정수기의 LED램프를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하는 취수구의 배출공에 내부에 장착하여 색상을 갖는 빛을 출수되는 음용수와 동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시켜 빛을 갖는 음용수를 제공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조사되는 빛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에 대한 편리성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고정브라켓을 통하여 취수구에 LED램프를 손쉽고 편리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명을 발휘하는 발광부의 유지관 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정수기용 조명장치는 저수통에서 취수구측으로 음용수를 안내하는 연결파이프 내부에 유량감지부를 설치하여 외부로 취수되는 음용수의 유량 흐름에 의해 자체 전력 발생시켜 LED램프측으로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전력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본체의 전면부에 개수구를 형성하고 상부에 안착시킨 저수통에 충진된 공급수가 개수구측으로 배출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저수통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도록 측면 외주연에 연통파이프를 형성시키고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내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킨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상단면에 편심되게 부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전환밸브와,
    상기 취수구의 연통파이프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상향으로 만곡시키고 그 전방으로 연장되어 취수구의 배출공 단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안내구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안내구 내부에 수납되어 배출공을 통하여 취수되는 음용수의 배출방향으로 빛을 조사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연결파이프 관로 사이에 설치하여 취수구의 전환밸브에 의해 연결파이프로 음용수가 제공되면 유량 흐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력선을 발생시켜 전자기 유도현상을 통하여 발생한 기전력을 발광부로 송출하는 유량감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은 상부로 개구된 안내홈을 갖는 가이드부재의 상부 양측단에 연통파이프와 동일형상의 내주연을 갖는 걸림돌기를 한 쌍으로 대칭되게 만곡시켜 연통파이프 외주연에 탄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측에 연장되어 형성시킨 안내구에는 내부에는 배출공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량감지기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선에 연결된 입력단자를 고정패킹의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내부 침투시킨 다음 LED램프를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LED램프가 고정패킹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되, LED램프가 장착된 고정패킹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의 반호 형상을 갖는 연통공을 형성시켜 배출공을 통하여 제공되는 음용수가 안내구의 결합공으로 출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부는 연결파이프와 연결 이음되도록 내부에 형성시킨 수납공간 과 연통되는 유입관로와 출수관로를 각각 외주연에 형성시킨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외주연에 복수개의 날개차가 형성시켜 유입관로로 제공된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자석을 일체로 고정시켜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되 자석의 둘레에 이격되어 복수회로 코일을 권선시킨 기전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조명장치.
KR1020070055246A 2007-06-05 2007-06-05 정수기용 조명장치 KR10086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46A KR100867193B1 (ko) 2007-06-05 2007-06-05 정수기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46A KR100867193B1 (ko) 2007-06-05 2007-06-05 정수기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193B1 true KR100867193B1 (ko) 2008-11-06

Family

ID=4028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246A KR100867193B1 (ko) 2007-06-05 2007-06-05 정수기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17B1 (ko) * 2011-07-21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사이펀을 구비한 냉장고
CN111141884A (zh) * 2020-02-20 2020-05-12 江南大学 一种微流控场效应管的饮用水传感设备用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903A (ko) * 1994-11-09 1996-06-17 신창식 주석 진공증착 강판의 연속 제조방법
KR19980020375A (ko) * 1996-09-09 1998-06-25 이영서 정수기의 자동조명 제어장치
JP3668271B2 (ja) 1995-02-03 2005-07-0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浄水器
KR20050074212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8705B1 (ko) 2005-07-15 2006-10-02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KR20070103282A (ko) * 2006-04-18 2007-10-23 김영환 콕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903A (ko) * 1994-11-09 1996-06-17 신창식 주석 진공증착 강판의 연속 제조방법
JP3668271B2 (ja) 1995-02-03 2005-07-0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浄水器
KR19980020375A (ko) * 1996-09-09 1998-06-25 이영서 정수기의 자동조명 제어장치
KR20050074212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8705B1 (ko) 2005-07-15 2006-10-02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KR20070103282A (ko) * 2006-04-18 2007-10-23 김영환 콕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17B1 (ko) * 2011-07-21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사이펀을 구비한 냉장고
CN111141884A (zh) * 2020-02-20 2020-05-12 江南大学 一种微流控场效应管的饮用水传感设备用检测装置
CN111141884B (zh) * 2020-02-20 2024-05-28 江南大学 一种微流控场效应管的饮用水传感设备用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458B2 (en) Night light for plumbing fixtures
US8833670B2 (en) Intelligent thermostatic water outflowing device
US20070209984A1 (en) Water Purifier
CA2716172C (en) A generator
TW201700901A (zh) 使用點水處理系統
CN108006318B (zh) 水龙头
KR100867193B1 (ko) 정수기용 조명장치
KR20080074612A (ko) 정수기용 조명 및 살균장치
WO2020198896A1 (es) Dispositivo para ducha, compuesto por una carcasa, un regulador de temperatura, una pantalla lcd, un anillo led, dos llaves de apertura; una entrada de agua caliente y fría; válvula de tres vías, un caudalímetro conectado a una bomba; un válvula termostática un servomotor; y una tarjeta de circuito integrado; procedimiento
US20050047143A1 (en) Single light illumination system for a fluid tap
KR101118221B1 (ko) 정수기용 취수구 조명장치
CN216768537U (zh) 一种带有温控挡位阀的旋钮装置
JP2006144325A (ja) 自動水栓
JP4584684B2 (ja) 自動水栓装置
JP4584685B2 (ja) 水栓
CN212619351U (zh) 集成式进出水装置及热水器
CN108561615B (zh) 具有无机械触点旋转把手的水龙头
CN108006265B (zh) 水龙头
CN217408500U (zh) 水龙头结构和饮水机
CN215763601U (zh) Uv紫外线杀菌净水龙头
JP4672338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
CN217429788U (zh) 一种即热式饮水机
CN218294675U (zh) 防烫水龙头
CN212476196U (zh) 一种净水器饮水端uvc紫外线杀菌水龙头
CN219734343U (zh) 一种紫外线杀菌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