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663A -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663A
KR20130100663A KR1020120073526A KR20120073526A KR20130100663A KR 20130100663 A KR20130100663 A KR 20130100663A KR 1020120073526 A KR1020120073526 A KR 1020120073526A KR 20120073526 A KR20120073526 A KR 20120073526A KR 20130100663 A KR20130100663 A KR 2013010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ion
container
sensor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023B1 (ko
Inventor
서인석
김종완
서혜민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정수기는, 추출 코크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과,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용기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WATER PURIFI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하고 있는 정수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나 냉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111, 112)과 선택된 온수 또는 냉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버튼(113)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110)과, 온수 또는 냉수가 추출되는 추출 코크(120), 물받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정수기(100)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물받이(130) 위에 컵(C)을 올려놓은 후 온수 버튼(111) 또는 냉수 버튼(112) 중 어느 하나를 눌렀다 뗀 후, 추출 버튼(113)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온수 또는 냉수는 추출 코크(120)를 통해 컵(C)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때 물의 양은 추출 버튼(113)을 누르는 시간에 비례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정수기(100)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온수 버튼(111) 또는 냉수 버튼(112) 중 원하는 버튼을 누른 후 물을 추출하게 되므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쳐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더욱 간편하게 사용자의 의도(즉 온수, 냉수 또는 정수 중 어느 하나)를 반영하여 원하는 물을 자동으로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컵과 같은 취수 용기를 진입시키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정수, 온수 또는 냉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추출 코크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용기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상기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용기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발생 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대하여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가 상기 측정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수신부는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출수 코크의 출수를 제어하는 추출 버튼에 입력디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출수 코크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추출을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상기 제1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동작방법은, 추출 코크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용기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상기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상기 용기가 존재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발생하는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에 대하여 발신부가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용기가 상기 진입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측정신호를 전송받지 못한 수신부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부가 생성한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출수코크의 출수를 제어하는 추출 버튼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추출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상기 제1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수기의 추출 코크의 하부에 설치된 센싱 모듈를 통해 추출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한 후, 진입 방향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의 위치에 따른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선택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전에 선택된 추출수가 제2 추출수인 경우 도 2의 경로 P1을 따라 컵(C)을 이동시킬 경우의 정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의 위치에 따른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선택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이전에 선택된 추출수가 제2 추출수(112)인 경우 도 2a의 경로 P1을 따라 컵(C)을 이동시킬 경우의 정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1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하나이며, 제2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제1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제1 추출수가 정수인 경우 제2 추출수는 냉수나 온수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추출수가 온수인 경우 제2 추출수는 정수나 냉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 추출수 및 제2 추출수는 커피, 주스, 탄산음료, 얼음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 중 어느 하나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 및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200)는, 추출 코크(120)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C)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140)과, 센싱 모듈(140)에서 감지된 용기(C)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 코크(120)를 통해 추출하는 제어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모듈(140)은 용기(C)의 진입 경로상(P1 또는 P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용기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센싱 모듈(140)의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는 제어 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모듈(14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C)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140a) 및 상기 수신부(140a)에 대하여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40b)는 상기 수신부(140a)에 대하여 각각 측정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용기(C)가 상기 진입경로 P1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 먼저 첫번째 수신부(141a)에 입력되는 측정신호가 상기 용기(C)에 의하여 차단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 및 세번째 수신부(143a)에 대한 측정신호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는 상기 수신부(140a)의 순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가 진입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 용기(C)의 진입경로가 P1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C)가 진입경로 P2를 따라 움직이게 되면, 상기 용기(C)에 의하여 상기 세번째 수신부(143a), 두번째 수신부(142a) 및 첫번째 수신부(141a)에 대한 측정신호가 순차적으로 차단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의 진입경로가 상기 P2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는 상기 수신부(140a)의 순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가 진입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신부(140a)는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수신부가 생성하는 상기 감지신호의 순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입경로 P1, P2에 따라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는 수신부(140a)를 달리하여 상기 추출되는 추출수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진입경로 P1을 따라 상기 용기(C)를 움직여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번째 수신부(143a)에 대한 측정신호는 차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진입경로 P2를 따라 용기(C)를 움직여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첫번째 수신부(141a)에 대한 측정신호는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첫번째 수신부(141a)와 두번째 수신부(142a)가 차단되면 제1 추출수를 선택하고,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와 세번째 수신부(143a)가 차단되면 상기 제2 추출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기(C)가 상기 진입경로 P1, P2 이외에 상기 정수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만 측정신호가 차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추출수 및 제2 추출수 이외에 제3 추출수가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추출수는 온수, 제2 추출수는 냉수, 제3 추출수는 정수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도2b에서 상기 발신부(140b)와 수신부(140a)의 위치가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발신부(140b)와 하나의 수신부(140a)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신부(140b)와 수신부(140a) 모두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모듈(200)은 제1 센서(141) 또는 제2 센서(142)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0)은 경로 P1을 따라 용기(C)가 진입할 경우 제1 추출수를 선택하며, 경로 P2를 따라 용기(C)가 진입할 경우 제2 추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수신부(140a)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어 모듈(200)은 상기 수신부(140a)에 의하여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00)은,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추출 버튼(113)에 입력이 인가되면 추출 밸브(Intaking Valve, IN)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 코크(120)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추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선택된 추출수가 상기 용기(C)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추출 버튼(113)를 직접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용기(C)를 상기 출수 코크(120)의 하단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추출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온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별도의 추출 버튼(113)을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추출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상기 용기(C)에 추출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유량의 추출수를 상기 용기(C)에 제공하거나, 상기 용기(C)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수위의 추출수를 상기 용기(C)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2b의 경우에는,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두번째 수신부(142a)가 생성하는 감지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대기 모드로의 전환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는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가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용기(C)가 추출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택된 추출수는 조작 패널(110)의 해당 버튼(111, 112)를 통해 발광됨으로써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추출수가 선택된 경우 제1 버튼(111)이 발광되거나, 제2 추출수가 선택된 경우 제2 버튼(112)이 발광됨으로써,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출밸브(IN)의 개폐를 제어하는 하나의 추출버튼만을 구비하거나, 상기 선택된 추출수가 자동으로 추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C)에 제공하는 유량은 정량제어 또는 정위제어를 통하여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의 위치에 따른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선택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사용자가 용기(C)를 왼쪽에서 오른쪽, 즉 도 2에 도시된 경로 P1과 같이 통과시킬 경우 위치별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가 선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제1 센서(141)에 의해 용기(C)가 감지되며, 이때 제1 센서(141)는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도 2의 2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용기(C)는 제2 센서(142)의 감지 영역으로 진입한 상태는 아니므로, 제2 센서(142)는 용기(C)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센서(141)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 모듈(도 2의 200)은 제1 추출수를 선택한 후, 제1 버튼(111)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1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3의 (b)의 위치로 용기(C)가 이동할 경우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 모두에 의해 감지 신호가 감지되며, 이 경우 제어 모듈(도 2의 200)은 이전의 선택(즉, 제1 추출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200)은, 선택된 제1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추출 버튼(113)에 입력이 인가되면 추출 밸브(Intaking Valve, IN)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제1 추출수를 추출 코크(120)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출수밸브를 개방하여 정해진 유량 또는 정해진 수위까지 상기 용기(C)에 제1 추출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량센서, 수위감지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용기(C)에 정해진 양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c)는 용기(C)가 이동하여 제2 센서(142)에 의해서만 용기(C)가 감지되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제2 센서(142)는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용기(C)는 제1 센서(141)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상태이므로, 제1 센서(141)는 용기(C)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센서(142)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 모듈(200)은 제2 추출수를 선택한 후, 제2 버튼(112)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2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 모듈(200)은, 선택된 제1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도 3의 (c)에서는 제1 센서(141)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추출수의 추출을 정지시킴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2b의 경우에는,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두번째 수신부(142a)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가 상기 추출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가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C)가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추출수 공급을 유지하고, 상기 두번째 수신부(142a)가 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C)가 상기 출수코크(120)의 하단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추출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의 (d)는 용기(C)가 이동하여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의 감지 영역을 모두 벗어난 상태이며, 이 경우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는 모두 용기(C)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200)은 이전의 선택(즉, 제2 추출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버튼(112)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2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최종적으로 발생된 감지 신호에 따라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이전에 선택된 추출수가 제2 추출수인 경우, 도 2의 경로 P1을 따라 컵(C)을 이동시킬 경우의 정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용기(C)는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의 감지 영역을 모두 벗어난 상태이며, 이 경우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는 모두 용기(C)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200)은 이전의 선택(즉, 제2 추출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버튼(112)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2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b)을 참조하면, 제1 센서(141)에 의해서만 용기(C)가 감지되므로, 제어 모듈(도 2의 200)은 제1 버튼(111)을 발광시킴으로써, 제1 추출수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c)를 참조하면, 용기(C)가 이동하여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 모두에 의해 감지 신호가 감지되며, 이 경우 제어 모듈(200)은 이전의 선택(즉, 제1 추출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200)은,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추출 버튼(113)에 입력이 인가되면 추출 밸브(Intaking Valve, IN)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제1 추출수를 추출 코크(120)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출수밸브를 개방하여 정해진 유량 또는 정해진 수위까지 상기 용기(C)에 제1 추출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유량센서, 수위감지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용기(C)에 정해진 양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d)를 참조하면, 용기(C)가 이동하여 제2 센서(142)에 의해서만 용기(C)가 감지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2 센서(142)는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도 2의 2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용기(C)는 제1 센서(141)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상태이므로, 제1 센서(141)는 용기(C)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센서(142)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 모듈(도 2의 200)은 제2 추출수를 선택한 후, 제2 버튼(112)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2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의 (e)를 참조하면, 용기(C)는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의 감지 영역을 모두 벗어난 상태이며, 이 경우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는 모두 용기(C)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도 2의 200)은 이전의 선택(즉, 제2 추출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버튼(112)을 발광시킴으로써, 선택된 제2 추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수기의 추출 코크의 하부에 설치된 센싱 모듈를 통해 추출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한 후, 진입 방향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사항과 중복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센싱 모듈(140)은 추출 코크(120)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S510). 센싱 모듈(140)은 용기(C)의 진입 경로상(P1 또는 P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용기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센싱 모듈(140)의 제1 센서(141)와 제2 센서(142)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는 제어 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C)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140a) 및 상기 수신부(140a)에 대하여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C)에 의하여 측정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측정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기 수신부(140a)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C)의 진입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00)은 센싱 모듈(140)에서 감지된 용기(C)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S520).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0)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41) 또는 제2 센서(142)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발생 순서에 기초하여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200)은,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한 후, 추출 버튼(113)에 입력이 인가되면 추출 밸브(Intaking Valve, IN)를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 코크(120)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S530). 이때, 제어 모듈(200)은, 선택된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도 3의 (c)에서는 제1 센서(141)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추출을 정지시킴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수기의 추출 코크의 하부에 설치된 센싱 모듈를 통해 추출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한 후, 진입 방향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정수기 110: 조작 패널
111: 제1 버튼 112: 제2 버튼
113: 추출 버튼 120: 추출 코크
130: 물받이 140: 센싱 모듈
141: 제1 센서 142: 제2 센서
200: 제어 모듈

Claims (12)

  1. 추출 코크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에서 감지된 용기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상기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용기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와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발생 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대하여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가 상기 측정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상기 수신부는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하는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출수 코크의 출수를 제어하는 추출 버튼에 입력디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출수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추출을 정지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상기 제1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중 하나인 정수기.
  7. 추출 코크의 하부로 진입하는 용기의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용기의 진입 방향에 따라 소정 온도의 제1 추출수 또는 상기 제1 추출수와 다른 온도의 제2 추출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고유의 감지 영역 내에 상기 용기가 존재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발생하는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감지하는 정수기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의 진입 경로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신부에 대하여 발신부가 측정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용기가 상기 진입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측정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측정신호를 전송받지 못한 수신부가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부가 생성한 감지신호의 발생순서에 따라 상기 용기의 진입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의 추출을 대기하는 추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출수코크의 출수를 제어하는 추출 버튼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상기 추출 코크를 통해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추출수 또는 제2 추출수를 추출하는 중에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추출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동작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제1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2 추출수는 정수, 온수 및 냉수 중 상기 제1 추출수를 제외한 나머지 중 하나인 정수기의 동작 방법.
KR1020120073526A 2012-03-02 2012-07-05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KR101977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819 2012-03-02
KR1020120021819 2012-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663A true KR20130100663A (ko) 2013-09-11
KR101977023B1 KR101977023B1 (ko) 2019-09-10

Family

ID=4945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526A KR101977023B1 (ko) 2012-03-02 2012-07-05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80B1 (ko) 2023-06-28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엠티 실시간 수질분석을 통해 필터 교체와 음용적합여부를 알려주는 무전원 가정용 정수기와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87A (ko) * 1996-07-22 1998-04-30 김광호 냉온 정수기의 취수 장치
KR20100070540A (ko) * 2008-12-18 2010-06-28 이성주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87A (ko) * 1996-07-22 1998-04-30 김광호 냉온 정수기의 취수 장치
KR20100070540A (ko) * 2008-12-18 2010-06-28 이성주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KR101146626B1 (ko) * 2008-12-18 2012-05-16 이성주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80B1 (ko) 2023-06-28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엠티 실시간 수질분석을 통해 필터 교체와 음용적합여부를 알려주는 무전원 가정용 정수기와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023B1 (ko)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415B2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529911B (zh) 一种用于输出多种不同热饮的自动热饮机
US7673661B2 (en) Sensor system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KR101441240B1 (ko) 정수기용 자동 취수 장치 및 그 자동 취수 방법
US20120103071A1 (en) Stream detection and/or characterization for beverage dispensing in a refrigerator
CN103185398A (zh) 储水式电热水器自动检测热水可用时间装置
CN100562483C (zh) 饮料机以及饮料机的警报发出装置
US20130067657A1 (en) Automatic faucet
KR101977023B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동작 방법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US11542148B2 (en) Free-standing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KR20120006041U (ko) 감지 및 터치 혼용 자동수전
KR102046479B1 (ko)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010074381A (ko)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58463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lecting operations for a dispenser based on path of travel
US20110061766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dispenser for beverages and/or ice
CN106642966B (zh) 冷柜内饮品温度判断方法
KR101313440B1 (ko)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KR20160088258A (ko) 컵 기울기에 대응한 급수 유량 제어 기능을 구비한 급수 장치
US20220219966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KR20160055527A (ko) 물 배출 장치
CN101865580A (zh) 制冰机的给料方法
KR102388584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ITMI20100409A1 (it) "macchina distributrice di bevande e metodo per il suo funzionamento con risparmio energetico"
CN211066209U (zh) 一种具有自动判断功能的智能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