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912A -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912A
KR20100068912A KR1020080127426A KR20080127426A KR20100068912A KR 20100068912 A KR20100068912 A KR 20100068912A KR 1020080127426 A KR1020080127426 A KR 1020080127426A KR 20080127426 A KR20080127426 A KR 20080127426A KR 20100068912 A KR20100068912 A KR 20100068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eight sensor
eccentric
base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912A/ko
Publication of KR2010006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과, 상기 시트 트랙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트랙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시트와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고, 나사선이 형성된 편심방지부를 포함하여, 한쪽 방향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높이가 줄어들어 소형 시트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유동으로 인한 오류가 적으므로 중량 계측이 쉬워 신뢰성 및 충돌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무게감지센서, 편심방지부, 베이스 브라켓, 체결부, 지지부

Description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WEIGHT SENS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감지센서가 상기 시트에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기 위해서 나사선을 한쪽 방향으로만 향하게 하여 전체적인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크기를 줄이도록 형성된 편심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사고 시 쿠션 작용을 이용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로서, 에어백이 설치된다.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백으로는 운전석에 승차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운전석용 에어백(DAB)과, 조수석에 승차한 조수석 승객을 보하기 위하여 조수석 앞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PAB)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은 고압의 전개 가스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풀기 때문에 그 전개압력이 과하면 오히려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바, 신체 조건에 따른 승 객 유형에 따라 적정 전개압력으로 전개되어 다양한 신체 조건의 승객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승객감지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무게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시트(1)를 지지하는 시트 트랙(3)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1)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무게감지센서(2)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감지센서(2)는 상하방향으로 길고 폭이 좁은 수직 구조로 상기 무게감지센서(2)의 외측으로 나사선(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감지센서(2)에는 상기 시트 트랙(3)에 너트에 의해 볼팅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상기 무게감지센서 수직 구조이기 때문에 불안정하여 미세하게나마 흔들리기 때문에 유동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되어 중량 계측이 어려워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충돌 안정성이 낮으며,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쪽 방향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무게감지센서의 높이가 줄어들어 소형 시트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유동으로 인한 오류가 적으므로 중량 계측이 쉬워 신뢰성 및 충돌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 볼팅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체결이 가능함으로 조립 공정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되는 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차량의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 상기 시트 트랙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트랙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시트와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고, 나사선이 형성된 편심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시트 트랙의 일측에 대향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정 간격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편심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이단 원기둥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제1편심방지부와; 상기 제1편심방지부의 좌우에 서로 같은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나사선 형성된 제2편심방지부 및 제3편심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되도록 모두 상기 너트에 의해 볼팅 체결된다.
상기 시트 트랙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라켓을 향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제1편심방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제2편심방지부 및 상기 제3편심방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볼트홀에 끼움 결합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과, 상기 시트 트랙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트랙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시트와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고, 나사선이 형성 된 편심방지부를 포함하여, 한쪽 방향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높이가 줄어들어 소형 시트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유동으로 인한 오류가 적으므로 중량 계측이 쉬워 신뢰성 및 충돌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센서가 상기 시트 트랙 바로 위에 위치함으로써, 중량 계측시 모멘트 등으로 인한 필요 없는 하중이 상기 무게감지센서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브라켓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 볼팅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체결이 가능함으로 조립 공정수를상당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인 무게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차량의 시트(미도시)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30)과, 상기 시트 트랙(3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무게감지센서(10)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트 랙(30)에 상기 무게감지센서(10)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차량의 상기 시트(미도시)에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고, 나사선(10a)이 형성된 편심방지부(14)(16)(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일측과 상기 시트 트랙(30)의 일측에 대향 배치되는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정 간격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편심방지부(14)(16)(18)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14)(16)(18)는 상기 지지부(12)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이단 원기둥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10a)이 형성된 제1편심방지부(14)와, 상기 제1편심방지부(14)의 좌우에 서로 같은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10a)이 형성된 제2편심방지부(16) 및 제3편심방지부(1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14)(16)(18)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관통홀(24)에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과 연결되도록 모두 상기 너트(4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시트 트랙(3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된 볼트홀(22)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을 향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40)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은 상기 제1편심방지부(14)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 홀(24)과, 상기 제2편심방지부(16) 및 상기 제3편심방지부(18)와 대응되는 상기 볼트홀(2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너트(4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차량의 시트(미도시)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30)과, 상기 시트 트랙(3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무게감지센서(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차량의 시트의 시트백(미도시) 및 시트 쿠션 내부(미도시)와 시트 발판 하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0)에 가해지는 압력 신호 패턴을 검출하여 사람의 앉은 자세 및 앉은키를 판단하고, 에어백 작동시 상기 앉은 자세 및 앉은키에 대응하는 에어백 팽창 가스량 조절밸브(미도시) 구동신호 및 에어백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점화 타이머 설정신호를 공급하여 에어백의 부풀려지는 속도 및 압력을 조절하게 한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센서(10)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시트 트랙(30)에 상기 무게감지센서(10)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차량의 상기 시트(미도시)에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하고, 나사선(10a)이 형성된 편심방지부(14)(16)(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센서(10)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일측과 상기 시트 트랙(30)의 일측에 대향되게 지지부(12)를 배치하고, 상기 지지부(12)의 일측에 수직하게 복수개의 상기 편심방지부(14)(16)(18)를 일정 간격 돌출 형성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14)(16)(18)는 상기 지지부(12)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하고 이단 원기둥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10a)이 형성된 제1편심방지부(14)와, 상기 제1편심방지부(14)의 좌우에 서로 같은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10a)이 형성된 제2편심방지부(16) 및 제3편심방지부(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14)(16)(18)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상기 관통홀(24)에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라켓(20)과 연결하도록 모두 상기 너트(40)에 의해 체결한다.
또한, 상기 시트 트랙(30)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의 일측에 복수개의 볼트홀(22)을 상기 시트 트랙의 체결부(32)에 대응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을 향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너트(40)와 체결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은 상기 제1편심방지부(14)에 대응되게 관통홀(24)을 형성하고, 상기 제2편심방지부(16) 및 상기 제3편심방지부(18)와 대응하는 상기 볼트홀(22)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너트(40)와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시트 트랙에 치우쳐 장착되기 때문에 베이스 브라켓이 복잡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는 베이스 브라켓의 형상이 단순하고, 불필요한 부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크기 및 길이 감소로 인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 제작 비용의 절감으로 종래의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구성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상당량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인 무게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인 무게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의 적용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무게감지센서 10a : 나사선
12 : 지지부 14 : 제1편심방지부
16 : 제2편심방지부 18 : 제3편심방지부
20 : 베이스 브라켓 22: 볼트홀
24 : 관통홀 30 : 시트 트랙
32 : 체결부 40 : 너트

Claims (6)

  1. 차량의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시트 트랙;
    상기 시트 트랙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무게감지센서;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트랙에 상기 무게감지센서를 고정하도록 일측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시트와 편심되지 않게 결합하도록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되고, 나사선이 형성된 편심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센서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일측과 상기 시트 트랙의 일측에 대향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정 간격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편심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이단 원기둥 형상으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제1편심방지부와;
    상기 제1편심방지부의 좌우에 서로 같은 형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나사선 형성된 제2편심방지부 및 제3편심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편심방지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되도록 모두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트랙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라켓을 향해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제1편심방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제2편심방지부 및 상기 제3편심방지부와 대응되는 상기 볼트홀에 끼움 결합되어 체결되는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KR1020080127426A 2008-12-15 2008-12-15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KR20100068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26A KR20100068912A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426A KR20100068912A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912A true KR20100068912A (ko) 2010-06-24

Family

ID=4236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426A KR20100068912A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9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42A (zh) * 2014-10-16 2016-06-15 现代摩比斯株式会社 乘客识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442A (zh) * 2014-10-16 2016-06-15 现代摩比斯株式会社 乘客识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761A (en) Airbag restraint system
EP1568545B1 (en) Twin airbag apparatus
US7029030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631891B2 (en) Driver-side airbag device
JP4079479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KR20100068912A (ko) 차량의 하중 감지장치
US6345838B1 (en) Inflatable knee bolster cover
US20050104341A1 (en) Occupant protecting device
JPH05213142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100698682B1 (ko) 에어백장치
JPH0538998A (ja) エアバツグセンサの配置構造
KR100216918B1 (ko) 자동차 사이드에어백의 인플레이터 하우징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100814672B1 (ko) 사이드에어백
KR19980060282A (ko) 에어백 작동용 탑승자 위치 감지장치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20020105178A1 (en) Combination sensor systems for occupant sensing
JPH0752739A (ja) 車両の衝突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KR100381251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9980075215A (ko)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KR20240044805A (ko) 차량용 안전장치
KR200420435Y1 (ko) 사이드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고정 브래킷
KR100850921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