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604A -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604A
KR20100068604A KR1020080127010A KR20080127010A KR20100068604A KR 20100068604 A KR20100068604 A KR 20100068604A KR 1020080127010 A KR1020080127010 A KR 1020080127010A KR 20080127010 A KR20080127010 A KR 20080127010A KR 20100068604 A KR20100068604 A KR 2010006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rator
connector
electronic devi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319B1 (ko
Inventor
정준화
김모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런
주식회사 아이디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런, 주식회사 아이디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런
Priority to KR102008012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3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교류하고자 하는 양쪽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앞뒤면이 관통 개방된 개방홈 및 상기 개방홈을 좌우에서 밀폐하는 좌우 선단부를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홈 속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자, 상기 작동자의 양쪽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플러그 및,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 고정시켜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넥터가 흔들거리지 않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는 작동자가 케이스 속에 내장된 상태에서 쉽게 흔들려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작동자의 회동저지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는 상기 작동자를 회전시켜 케이스의 양쪽으로 돌출된 플러그를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밀착시키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스가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 고정되어 흔들거리지 않게 되므로, 커넥터와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고, 커넥터의 플러그와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는 작동자가 자유롭게 회전하지 못하는 회동저지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작동자를 케이스 속에 내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흔들거림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연결 플러그가 쉽게 바깥으로 노출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커넥터, USB포트, 24핀 포트, 플러그, 전자기기

Description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A CONNNECTOR FOR CONNECTING BETWEEN ELECTRONIC EQUIPMENT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종 또는 동종의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 연결 플러그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MP, 네이게이션, 컴퓨터 또는 TV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는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거나 충전을 하기 위한 연결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결 포트의 종류에는 24핀 리셉터클 및 USB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플러그가 결합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포트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위 연결 포트에 맞는 플러그가 구비된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의 일예로 휴대폰과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존의 커넥터는 한쪽 선단에는 USB 포트에 끼워 맞추어지는 USB 플러그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 선단에는 24핀 플러그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기존의 커넥터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는 별도의 다른 곳에 지지되지 못하고 단지 연결 포트와 플러그의 결합에 의해서만 지지되게 되므로, 커넥터와 양쪽 전자기기의 연결이 단단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커넥터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작은 외력이라도 가해지는 경우에는 연결부분이 쉽게 빠져서 정보의 교환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포트 또는 플러그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커넥터는 USB 플러그와 24핀 플러그가 사용하지 않을 때도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플러그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다음번 사용할 때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전자기기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연결용 플러그를 케이스 속에 내장설치하여 필요할 때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며,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스와 전자기기의 연결상태를 단단히 할 수 있게 한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속에 내장된 연결플러그가 가벼운 외력에 의해 쉽게 바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 플러그를 안전하며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커넥터는 앞뒤면이 관통 개방된 개방홈 및 상기 개방홈을 좌우에서 밀폐하는 좌우 선단부를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홈 속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자, 상기 작동자의 양쪽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플러그 및,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 고정시켜 전자기기의 연결포트에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넥터가 흔들거리지 않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는 작동자가 케이스 속에 내장 된 상태에서 쉽게 흔들려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작동자의 회동저지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는 상기 작동자를 회전시켜 케이스의 양쪽으로 설치된 플러그를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밀착시키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스가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 고정되어 흔들거리지 않게 되므로, 커넥터와 전자기기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고, 커넥터의 플러그와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플러그는 USB 플러그와 24핀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는 각종 통신 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 삽입 연결할 수 있는 연결 플러그가 설치된 작동자가 케이스 속에 회전할 수 있도록 내장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휴대하기에 간편하고, 커넥터를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결합하였을 때, 고정수단에 의해 전자기기의 몸체에 간단하게 고정 부착되게 함으로써, 커넥터가 외력에 의해 흔들거림 등으로 인하여 연결 포트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는 작동자가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하는 회동저지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작동자를 케이스 속에 내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흔들거림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회동하 여 연결 플러그가 쉽게 바깥으로 노출되어, 플러그가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는, 앞뒤 면이 관통 개방된 개방홈(1)과 상기 개방홈(1)을 좌우에서 밀폐하는 좌우 선단부(2, 3)를 갖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홈(1) 속에 회전축(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자(20), 및 상기 작동자(20)의 양쪽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플러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홈(1)은 케이스(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케이스(10)의 중앙에 오목한 오목부(6)를 형성하고, 케이스(10)의 윗면에 덮개(7)를 덮어 줌으로 개방홈(1)이 간단하게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개방홈(1) 속에 작동자(20)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회전축(5)은 개방홈(1)의 상하에서 돌출되어 작동자(20)를 지지하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5)은 작동자(20)의 상하에 돌출 설치되고, 케이스(10)의 저면과 덮개(7)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자(20)에 구비된 플러그(30)는 일반적인 전자기기에 설치된 연결 포트에 알맞은 것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바, 예컨대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USB 플러그(31) 및 핸드폰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24핀 플러그(32)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이들 양쪽의 플러그(30)는 작동자(20)의 내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커넥터를 사용할 때는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내장된 작동자(20)를 회전시켜 작동자(20)의 양쪽에 구비된 플러그(31, 32)가 케이스(10)의 바깥으로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PMP나 컴퓨터 또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에 꽂아 사용하면 된다.
도면 3은 휴대폰(101)과 PMP(102)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자(20)를 회동시켜 양쪽의 플러그(31,32)가 휴대폰(101)과 PMP(102)에 삽입연결되게 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양쪽 선단부(2,3)에는 고정부재(64)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6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케이스(10)가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양쪽 선단 내부에 삽입 설치한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을 고정부재(64)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금속 몸체 또는 케이스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본 발명의 커넥터가 전자기기의 몸체에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커넥터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1,32)가 끼워지는 전자기기의 몸체를 이루는 USB 포트 또는 24핀 리셉터클과 같은 연결 포트의 주변의 금속 케이스 또는 자성물질과 상기 고정부재(64)가 자력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와 전자기기의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의 USB 포트 또는 24핀 리셉터클 주변, 즉 전자기기의 측면과 결속부재중 어느 하나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를 금속물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구비된 결속 부재(64)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전자기기의 측면을 금속물질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결속 부재가 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가 전체적으로 일정 수준의 자력을 띠게 되므로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를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면에 편리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하기가 편하다는 등의 이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상호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도면에서는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연결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PMP, 휴대전화, 네비게이션,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전자기기간 데이터의 전송 및 충전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경우 케이스 내부에 결합 배치된 작동자(20)가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10)의 바깥으로 출몰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중력이나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작동자가 쉽게 회전하여 연결 플러그(31,32)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흔들리는 등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서는 회동저지수단을 설치하여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또는 이동하는 상태에서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작동자가 케이스(10)의 바깥으로 회동하여 플러그(31,32)가 케이스(10)의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회동저지수단은 작동자(20)를 사용한 후에 케이스(10) 속으로 자동복원하게 하는 기능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회동저지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를 휴대하는 중에 중력이나 작은 외력에 의해 작동자가 쉽게 회전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해줌과 더불어, 작동자를 사용한 후에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저지수단으로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비틀림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과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을 제시하도록 한다.
도면 4a, 도면 4b 및 도면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2 실시예에 따라 구비한 회동저지수단의 제1변형예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회동저지수단에 대한 제1변형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와 작동자(20)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61)이 설치되어 상기 작동자(20)가 케이스(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61)은 회전축(5)에 감긴 상태에서 그 한쪽 선단에 개방홈(1)의 윗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핀(62)에 걸려 지지 되고, 상기 스프링(61)의 다른 한쪽 선단은 작동자(20)에 돌출 형성된 걸림핀(63)에 걸려 지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61)을 도면 4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자(20)와 함께 회전축(5)에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스(10)에 형성된 오목홈(6)의 깊이를 좀 더 깊게 하여, 기본적인 작동자(20)와 함께 스프링(61)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스프링(61)은 상기 작동자(20)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또는 작동자(20)를 사용하기 위해 케이스(10)의 바깥으로 인출하여 회전시키면,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61)이 양쪽 돌출핀(62)과 걸림핀(63)에 의해 비틀려 감겨지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작동자(20)를 회동하지 못하게 하는 한편, 사용할 때 억지로 작동자(20)를 바깥으로 인출한 경우에 작동자(20)를 자연 상태로 두면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케이스(10) 속으로 돌아오게 되므로, 작동자(20)의 흔들거림으로 인한 플러그(31,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5a 및 도면 5b는 상기 회동저지기구의 제2변형예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 5a는 작동자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면 5b는 도면 5a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 사용하는 회동저지기구의 제2변형예는 연결 플러그(31,32)가 설치된 작동자(20)의 양쪽 측면에 자성물체(41)를 설치하고, 작동자(20)가 내장되는 케이스(10)의 양쪽 내측면에도 마그네틱(42)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동저지기구의 제2변형예는 작동자(20)가 케이스(10) 속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자(20)에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작동자(20)에 설치된 자성물체(41)와 케이스(10)의 내면에 설치된 마그네틱(42)의 상호간 인력에 의해, 작동자(20)가 쉽게 케이스(10)의 바깥으로 이탈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틀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동자(20)가 쉽게 흔들려 케이스(10)의 바깥으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스프링(61)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물체(41)는 간단한 금속 물체로 이루어지게 하고, 마그네틱(42)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데, 상기 마그네틱(42)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10)에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상기 고정수단(64)의 마그네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 6a와 도면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양쪽 선단부(2,3)에 설치된 고정수단(64)의 대신에 전자석(69)을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69)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5)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6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51,52)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자(20)를 사용할 때 커넥터가 전자기기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달라붙어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함으로써, 커넥터의 사용중에 커넥터의 플러그와 전자기기의 연결 포트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도면 7은 도면 6의 제어부(65)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65)는 프로세서(66)와 PWM 전류조절회로(67) 및 메모리(68)로 구성되며, 프로세서(66)는 24핀 플러그(32) 또는 USB 플러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전류를 조절하여 전자석(64)의 세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68)는 해당 크기 정보를 저장하여 반영구적으로 설정값을 유지하게 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어부(65) 및 전자석(64)의 가동에 필요한 전체 전력은 USB 플러그(31)를 통하여 공급받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커넥터는 USB 플러그와 24핀 플러그를 갖춘 작동자가 케이스 속에 회전할 수 있게 내장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휴대하기에 간편하면서, 케이스 속에 회동할 수 있게 내장된 작동자가 쉽게 외력에 의해 흔들거리지 않게 함으로써, 작동자에 구비된 USB 플러그 와 24핀 플러그가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의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b는 도면 1a의 정면도.
도 1c는 도면 1a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서 작동자가 회동하여 케이스의 바깥으로 노출된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를 사용하여 휴대폰과 컴퓨터를 연결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기용 연결 커넥터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회동저지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도 4c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회동저지기구가 장착된 작동자가 케이스의 바깥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회동저지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에서 몸체를 전자기기에 임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 전자석을 채택한 경우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
도 7은 도면 6에 도시한 전자석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이다.

Claims (7)

  1. 앞뒤면이 관통 개방된 개방홈 및 상기 개방홈을 좌우에 밀폐하는 좌우 선단부를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홈 속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 작동자, 상기 작동자의 양쪽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플러그 및, 상기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몸체에 임시 고정시켜 전자기기의 포트에 상기 결합시킨 상태에서 흔들거리지 않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케이스에 내장되어 전자기기의 도체로 이루어진 몸체에 부착하는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가 케이스 속에 내장된 상태에서 쉽게 흔들려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작동자의 회동저지수단이 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저지수단이 케이스와 작동자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이 작동자의 회전축에 감긴 상태에서 그 한쪽 선단이 개방홈의 윗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걸려지지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다른 한쪽 선단은 작동자에 돌출 형성된 걸림핀에 걸려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저지수단이 양쪽 선단면에 설치된 자성물체와 케이스의 좌우 선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케이스의 양쪽 선단에 설치된 전자석에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석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연결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CPU의 PWM 전류조절회로 및 메모리로 구성되고, 상기 CPU는 24핀 플러그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PWM 방식으로 전류를 조절하여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기용 연결 커넥터
KR1020080127010A 2008-12-15 2008-12-15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KR10099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10A KR100999319B1 (ko) 2008-12-15 2008-12-15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10A KR100999319B1 (ko) 2008-12-15 2008-12-15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04A true KR20100068604A (ko) 2010-06-24
KR100999319B1 KR100999319B1 (ko) 2010-12-08

Family

ID=4236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010A KR100999319B1 (ko) 2008-12-15 2008-12-15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8777A1 (en) * 2012-11-19 2014-05-22 Intel Corporation Multi-platform connector
WO2017073918A1 (ko) * 2015-10-27 2017-05-04 이동훈 Usb 플래시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1048A (ja) 2002-12-27 2004-08-05 Teac Corp 記憶装置
JP4099473B2 (ja) 2003-11-05 2008-06-11 株式会社東芝 Usb端子を有する機器
KR200439788Y1 (ko) 2006-12-28 2008-05-06 주식회사 솔로젠 멀티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8777A1 (en) * 2012-11-19 2014-05-22 Intel Corporation Multi-platform connector
WO2017073918A1 (ko) * 2015-10-27 2017-05-04 이동훈 Usb 플래시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319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28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ver having open/close structure using magnetic force
JP2004071400A (ja) シャッター付きコネクタ
JP4511609B2 (ja) ドッキング装置
EP4096235A1 (e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0999319B1 (ko) 전자기기 연결용 커넥터
JP2008171652A (ja) 小型マグネットコネクター
KR20070020789A (ko)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70582A1 (en) Rotating power receptacle
CN214429562U (zh) 一种保护壳及磁吸式充电装置
CN212063813U (zh) 电源适配器
KR100872030B1 (ko) 외장형 심카드 젠더
JP2005158331A (ja) 電気コネクタ装置
CN207218769U (zh) 一种可拉伸充电头的充电保护套
CN113871961A (zh) 连接组件及电子设备组件
JP2012238419A (ja) コンセント
CN109888546A (zh) 电子产品的连接器及电子设备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CN107785945B (zh) 一种接口位置可调的底座
US20120250243A1 (en) Disk drive mounting assembly
JP3560785B2 (ja) 電池収納装置
JP2012199102A (ja) 電子機器
KR200443691Y1 (ko) Usb인터페이스 장치
KR101890881B1 (ko) 전자기기용 충전기
KR200330226Y1 (ko) 자력을 이용한 자동 카킷 덮개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JP6009780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