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175A -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 Google Patents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175A
KR20100068175A KR1020090083440A KR20090083440A KR20100068175A KR 20100068175 A KR20100068175 A KR 20100068175A KR 1020090083440 A KR1020090083440 A KR 1020090083440A KR 20090083440 A KR20090083440 A KR 20090083440A KR 20100068175 A KR20100068175 A KR 2010006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late
pair
shock absor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9659B1 (en
Inventor
강진구
Original Assignee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2009008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659B1/en
Publication of KR2010006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1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6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PURPOSE: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llision is provided to minimize damage to a vehicle, a person, and a structure by absorbing and eliminating striking energy by stages. CONSTITUTION: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llision comprises a guide rail(10), sliders(20), a shock post plate(50), a shock absorbing post plate(40), a stopper post plate(30), and a horizontal connector. The sliders are movably assembled in the guide rail. The shock post plate is fixed to be moved back along the sliders. The shock absorbing post plate is fixed to be moved back along the sliders. The stopper post plate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ing post plate and stops the movement of the shock absorbing post plate. The horizontal connector absorbs and eliminates striking energy by stages.

Description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Impact attenuator for vehicle collisio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분기점이나 중앙분리대의 시작지점 또는 터널입구와 같이 차량충돌이 예상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충돌사고 발생시 가로연결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주판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각 완충수단의 마찰, 절단, 충돌 등을 통해 그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연속 흡수 소멸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차량과 도로시설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vehicle collision is expected, such as a branch point of a road, a start point of a median separator, or a tunnel entrance, and more particularly, is supported by a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A vehicle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road facilities as well as securing the occupant's safety by continually absorbing and dissipating the impact energy through the friction, cutting, and collision of each buffer means while the plurality of prop plates are pushed backward. A crash shock absorber.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여 도로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드레일 또는 중앙분리대 등의 여러 가지 안전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various safety facilities such as guard rails or central separators are installed on the roads to protect road traffic in case of accidents.

또한, 도로의 갈림길 입구, 즉 지하차도나 고가도로, 터널 및 교량 하부의 교각 또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등과 같이 도로상에 설치된 시설물에 의해 차로가 구획된 갈림길의 진입위치에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이 구조물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충돌사고에 따른 탑승자의 인명보호와 설치된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대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entrance of the crossroads where roads are divided by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s, such as underground roads, overpasses, tunnels, bridges under bridges, and highway toll gates, the driver may inadvertently enter the structure.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s, guards are installed to protect the occupants' lives and protect the installed facilities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이러한 각종 안전시설물에 부딪히는 교통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엄청난 충 격에너지로 인해 차량파손과 인명피해가 크므로, 이러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이 요구되었다.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that hits these various safety facilities, vehicle damage and human damage due to the huge impact energy are great, and a shock absorbing means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such impact energy is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개의 타이어 또는 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완충물을 상기한 방호울타리의 전방에 설치하였으나, 상기 완충물은 구조물의 전방에 단순히 고정됨 없이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충돌 발생시 완충물에 구성된 타이어나 우레탄폼이 튀어나가며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또 다른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상기 완충물을 바닥면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할지라도 이러한 쿠션재질이 완충효과를 서서히 발생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차량이 튕겨져 나와 뒤따라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 2차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uffer using a plurality of tires or urethane foam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tective fence, but the buffer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tructure without being fixed simply. However, the urethane foam pops out and interferes with the safe operation of other vehicles, which causes another accident. Even if the cushioning material is fixed to the floor, the cushioning material does not gradually produce a cushioning effect. As a result, the vehicle bounced off, causing a second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being driven.

또한, 충격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흡수하기 위해선 상당한 설치길이가 요구되나 도로의 여건상 제한된 공간 내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확실한 완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absorb shock energy stably enough, a considerable installation length is required,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definite cushioning effect because it must b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due to road condition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면적이 작으면서도 차량충돌시 다양한 형태의 완충작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그 충격에너지를 확실하게 흡수 소멸시킴으로서,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며, 차량과 구조물의 파손은 물론 탑승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while the installation area is small, but various types of shock absorbing action is carried out step by step during the vehicle crash to reliably absorb and destroy the impact energ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damage to the vehicle and structure Of cour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tha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passenger dama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호울타리와 같은 도로시설물의 시작지점에 연결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충격흡수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onfigured to complement the structurally weak shock absorbing power by installing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road facility, such as a fence f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는, 노면 위에 고정되고, 상면에 가이드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상의 가이드레일; 상기 각 가이드레일 내부에 적정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중 최전방 슬라이더 위에 고정되어 후퇴하는 상기 최전방 슬라이더를 따라 후퇴하는 하나 이상의 충격 지주판; 상기 충격 지주판의 슬라이더 중 후방 슬라이더 위에 고정되어 후퇴하는 상기 충격 지주판 충돌시 상기 후방 슬라이더를 따라 후퇴하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 지주판;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의 후퇴를 제지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 지주판; 및 상기 충격 지주판, 충격흡수 지주판 및 스토퍼 지주판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 지주판과 충격흡수 지주판의 후퇴에 따라 마찰과 함께 압축되는 1열 이상의 가로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on the road surface, the upper surface guide sli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tubular guide rail; A plurality of sliders which are assembled to be movable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guide rails, and a part of the body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slits of the guide rails; At least one impact strut plate retracted along the foremost slider which is fixed on the foremost slider among the sliders and retreats; At least one impact absorbing holding plate retracted along the rear slider when the impact holding plate collides to be fixed on the rear slider among the sliders of the impact holding plate; At least one stopper support plate fixed to the rear of the guide rail to restrain the retraction of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And at least one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impact strut plate,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and the stopper strut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essed together with friction as the impact strut plate and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are retrac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 충격 지주판, 충격흡수 지주판 및 스토퍼 지주판에 하나 이상의 연결바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바 거치부에는 쌍을 이루어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마찰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방에 위치한 각 지주판들의 연결바 거치부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 1쌍의 연결바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1쌍의 연결바는, 일단이 전방 지주판의 연결바 거치부에 이격되게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 지주판의 연결바 거치부에 설치된 마찰기둥 사이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ne or more connecting bar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on each of the impact holding plates,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s and the stopper holding plates, and each of the connecting bar mount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iction columns at appropriate intervals.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connecting bars installed horizontally, respectively, in the connection bar mounting portion of each of the strut plates 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guide rail, the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ne end of the front support plate The connection bar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mounted so a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friction pillar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bar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support plate.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주판들 양측에 일단은 상기 스토퍼 지주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 지주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바는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텔레스코픽 바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t least one guide ba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mpact support plat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s, each guide bar is a plurality of telescopic horizontally arranged side by sid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bars.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 지주판들 사이의 상기 가이드레일 내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되어 후퇴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ne or more shock absorbing pins are fixed to be horizontally penetrated horizontally through the guide rail between the respective holding plate is cut by the slider to retreat.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스토퍼 지주판에 관통 결합되고, 타단은 그 후방측에 위치한 도로 구조물에 연결 설치되는 H형강; 일단이 상기 H형강의 좌우 'ㄷ'자 홈에 각각 마찰되며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 기 충격흡수 지주판에 관통 결합되는 좌우 1쌍의 관상의 마찰부재; 및 일단이 상기 1쌍의 마찰부재 내부에 각각 마찰되며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 지주판에 고정되는 좌우 1쌍의 슬라이드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one end is penetrated through the stopper holding plat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ad structure located in the rear side H-shaped steel;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tubular friction members, one end of which is housed in the left and right 'c'-shaped grooves of the H-shaped steel so as to be movab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And one pair of left and right slide bars, one end of which is frictionally housed in the pair of friction member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mpact strut plate. And a control unit.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 1쌍의 슬라이드바는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바의 연결지지대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은 전방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지지대 절단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left and right pair of slide bars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connection supports therebetwee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to move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slide bar on the inner side, the shock absorbing The hol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utting piec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1쌍의 슬라이드바와 마찰부재는 그 사이의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air of slide bar and the fri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etween them is configured to narrow gradually toward the rear.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바 거치부는, 상기 각 지주판에 천공되는 관통공이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더 상단에 소정간격으로 좌우 1쌍의 지주판이 고정되고,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nnecting bar mounting portion is a through hole drilled in each of the support plates, or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lid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plates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은 나란히 배치되는 1쌍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각각 조립된 슬라이더 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trut plates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sliders respectively assembled in the pair of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은, 나란히 배치되는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각각 조립된 슬라이더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지지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 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left and right pair of holding plates,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sliders respectively assembled in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pport plate It is done.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좌우 1쌍의 연결바는 상기 스토퍼 지주판의 거치부 에 그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left and right pair of connecting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stopper holding plate is fixed side by side installed in the state spaced apart.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hock-absorbing stru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are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along the guide rail.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외장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n outer cover for covering each component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는, 설치면적이 작아 설치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으며, 차량충돌시 다양한 완충작용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상쇄함으로써, 차량과 구조물의 파손을 물론 탑승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area is small, reducing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cost, less space constraints, by offsetting the shock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various buffering ac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 vehicle and the structure Of cour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of the occupants.

또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방호울타리와 같은 도로시설물의 시작지점에 연결 설치하여 기존의 구조물을 철거하지 않고도 그대로 활용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충격흡수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road facility, such as a fence fence,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removing the existing structure to compensate for the structurally weak shock absorp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는, 노면 위에 고정되는 관상의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 일(1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그 최전방부와 중앙부에 각각 조립되는 슬라이더(20)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차량충돌시 상기 전방의 슬라이더(20)를 따라 후퇴하도록 그 위에 고정 설치되는 충격 지주판(50)과, 상기 후퇴된 충격 지주판(50)이 충돌했을 때 그 후방의 슬라이더(20)를 따라 후퇴하도록 그 위에 고정 설치되는 충격흡수 지주판(4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의 후방에서 후퇴하는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이 충돌하며 정지되는 스토퍼 지주판(30)과, 상기 충격 지주판(50), 충격흡수 지주판(40) 및 스토퍼 지주판(3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차량충돌시 충격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압축되며 마찰과 함께 가해진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상쇄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로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guide rail 10 is fixed on the road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10 The slider 20 is assembled to the foremost part and the center part so as to be movable at appropriate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bove the guide rail 10 so as to retreat along the front slider 20 when the vehicle crashes. The shock absorbing plate (50) fixedly installed thereon and the shock absorbing plate (40) fixedly installed thereon so as to retreat along the slider (20) at the rear thereof when the impacted holding plate (50) collides. And a stopper support plate 30 at which the impact absorbing support plate 40 retreating from the rear of the guide rail 10 collides and is stopped, the impact support plate 50, and an impact absorption support plate 40.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stopper holding plate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one or more transverse connecting members which are slidably compr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mpact and gradually absorb and offset the impact energy applied with friction.

상기 가이드레일(10)은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1쌍의 조립체(10a)(10b)가 내부공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어 상면에 가이드슬릿(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노면에 앵커볼트(13)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1)이 용접 등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1)은 필요시 복수개의 조립체를 적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guide rail 1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body, but preferably, a pair of assemblies 10a and 10b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re installed side by side at intervals so that the inner spaces face each other. Guide slit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plate 11 for fixing the anchor bolt 13 on the road surface is installed to protrude through welding or the like on both sides. In this case, the fixing plate 11 may be install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assemblies at appropriate intervals if necessary.

상기 슬라이더(2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웨브(web)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플랜지를 갖는 대략 I빔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웨브가 가이드레일(10)의 가이드슬릿(12)에 끼워짐으로써 상부플랜지가 가이드레일(10)의 상측으로 적절히 돌출되게 위치되고, 하부플랜지만이 가이드레일(10) 내부에 위치되는 구조를 갖 는다.The slider 20 has a shape of an approximately I-beam having a fl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web (web) arranged vertically, the web is fitted to the guide slit 12 of the guide rail 10 The upper flang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ange is properly positioned to protrude upwardly of the guide rail 10, and only the lower flange is positioned inside the guide rail 10.

상기 가이드레일(10)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충돌시 후퇴하는 슬라이더(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핀(15)이 추가로 설치된다.Preferably, the guide rail 1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hock absorbing pins 15 that are sequentially cut by the slider 20 that retracts when the vehicle crashes.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양측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충격흡수핀(15)들을 설치하기 위한 일군의 체결구멍들이 동축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구멍들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구비되며, 각 열의 체결구멍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는 각 충격흡수핀(15)들이 미세 간격으로 배치되어 작은 간격내에 대량으로 설치됨으로써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상쇄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10, a group of fastening holes for installing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pins 15 are formed coaxially, and preferably, the fastening holes are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10. It is provided in two rows along the direction, and the fastening holes of each row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pins 15 are disposed at minute intervals and are installed in a large amount in a small gap so as to offset and absorb shock energy in stages.

상기 충격 지주판(50)과 충격흡수 지주판(40)은 양측 선단에 후술하는 마찰부재와 슬라이더바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설치된 마찰부재와 슬라이더바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52a)(42a)이 절곡 형성된 지지편(52)(42)을 가지며, 상기 충격 지주판(50)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편(51)이,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 관통공(43)이 형성된다.The impact strut plate 50 and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40 are provided with a friction member and a slider ba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both ends, preferably one or more through-hole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riction member and the slider bar installed. (52a) (42a) has a support piece (52, 42) formed bent, the impact support plate (50) has a fixing piece (51) formed with a bolt hole, the front portion of the impact absorbing support plate (40) One or more friction member through holes 43 are formed.

한편, 상기 충격 지주판(50) 및 충격흡수 지주판(40)은 바람직하게는 강성보강을 위해 각 슬라이더(20)의 상부플랜지 위에 지지판(21)을 부착하고, 이러한 지지판(21) 위에 상기 충격 지지판(50) 및 충격흡수 지주판(40)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mpact holding plate 50 and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4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21 on the upper flange of each slider 20 for rigid reinforcement, the impact plate on the support plate 21 The support plate 50 and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40 are vertically fixed and installed.

그리고, 상기 스토퍼 지주판(30)은 후퇴하는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을 제지할 수만 있다면 실시예와 같은 철재구조물은 물론 콘크리트구조물 등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퇴하는 충격흡수 지주판(40)에 대한 제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하단이 가이드레일에 볼트로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가이드슬릿(11)에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고정판(32)이 돌출 설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측면으로부터 볼트(32a)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the stopper holding plate 30 may be composed of a steel structure as well as a concrete structure as in the embodiment as long as it can restrain the receding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40, in this embodiment, the shock absorbing retreating The lower end is bolted to the guide rail so as to improve the restraining force on the holding plate 40,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guide slit 11 of the guide rail 10, the fixing plate 32 is coupled Protruding installation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fixed by the bolt (32a) from the side of the guide rail (10).

그리고, 상기 스토퍼 지주판(30)은 상기 충격 지주판(50)과 충격흡수 지주판(40)의 관통공(52a)(42a)(43)과 평행하게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31)에는 바람직하게는 필요시 후방으로 연장하여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와 같은 도로 구조물의 연결부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H형강(6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support plate 30 has one or more through holes in parallel with the through holes 52a, 42a, 43 of the impact support plate 50 and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40, and the through hole. An end portion of the H-shaped steel 60, which is preferably extended rearward as necessary and can be utilized as a connecting member of a road structure such as a guardrail or a median, is fitted into the 31.

그리고,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차량충돌시 마찰과 함께 압축되며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스토퍼 지주판(30)에 설치된 H형강(60)의 좌우 'ㄷ'자 홈(61)에 각각 마찰되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에 형성된 관통공(42a)(43)에 끼워져 설치되며,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ㅁ'자형 단면을 갖는 좌우 1쌍의 마찰부재(70)와; 일단이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에 설치된 마찰부재(70) 내부에 각각 마찰되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 지주판(50)의 내측에 돌출 설치되는 고정편(51)에 고정볼트(81), 와셔(81a), 너트(81b)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좌우 1쌍의 슬라이더바(8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mpressed together with the friction during the vehicle crash to offset the impact energy in stages, one end of the 'c' shaped groove of the H-shaped steel 60 installed on the stopper holding plate 3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42a and 43 formed in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40, and the other end is rubbed to the slide 61 and is slidably movable. A pair of left and right friction members 70; One end is received in the friction member 70 installed in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40, respectively,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51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impact holding plate 50. A pair of left and right slider bars 80 fixed through the fixing bolt 81, the washer 81a, and the nut 81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좌우 1쌍의 슬라이더바(80)는 후퇴할 때 뒤틀리거나 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틈새에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대(82)가 설치되고, 이러한 연결바(82)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부재(7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72)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의 전면으로는 차량충돌시 상기 좌우 1쌍의 슬라이더바(80)가 후퇴하면서 상기 연결지지대(82)가 순차적으로 걸려 절단되며 그 충격에너지가 흡수 상쇄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결지지대 절단편(44)이 돌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pair of slider bar 8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connection support 82 is installed in the gap to minimize the warping or bending when retracted, the connection bar 82 is to be guided to be movable Guide grooves 72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iction member 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slider bars 80 at the front of the impact absorbing holding plate 40 when the vehicle crashes. The reinforcing support 82 is sequentially caught and cut while being retracted, and the supporting support cutting piece 44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mpact energy is canceled out.

상기 연결지지대(82)는 도면상에는 하부 1쌍의 슬라이더바에만 연결 설치되었으나, 필요시 상하 모든 슬라이더바에 적용하여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necting support 82 is connected to only one pair of lower slider bars in the drawing, but if necessary,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to all the upper and lower slider bar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슬라이드바(80)가 마찰부재(7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갈 때 상호 마찰력을 높이고, 상기 가이드레일(10)과, 마찰부재(70) 및 슬라이드바(80)의 형태변형을 최소화하며 지주판이 후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충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흡수 지주판(40)의 관통공(43)(42a) 및 H형강(30)의 설치 위치를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설계하여 상기 슬라이더바(80) 및 마찰부재(70)가 전광후협의 테이퍼진 형태로 설치되게 한 것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 bar 80 is pushed into the friction member 70 during a vehicle collision to increase mutual frictional force, the guide rail 10 and the friction member ( 70) an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slide bar 80 and to allow the support plate to be retracted to further improve the cushioning effect, through holes 43 (42a) and H-shaped steel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30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rear so that the slider bar 80 and the friction member 70 are installed in a tapered form of the all-light rear narrow.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바(80)로부터 마찰부재(70) 방향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이러한 구성은, 전방에서 가해진 충격에너지가 중앙으로 모이게 되는 작용을 함으로써 강한 충격에도 상기 슬라이더바(80)나 마찰부재(70) 등의 충 격완화요소들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부러지거나 튀어나가며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효과적인 완충작용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is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slider bar 80 becomes narrower from the slider bar 80 toward the friction member 70 acts to collect the impact energy applied from the front to the center, so that the slider bar 80 is subjected to a strong impact. B or a shock absorbing element such as the friction member 70 is to prevent the broken or popped out in an unexpected direction and lose its function and to have a more effective cushioning ac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이 예기치 않은 사고로 충격완충장치의 충격 지주판(50)의 전면에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한 힘으로 가이드레일(10)에 끼움 설치된 슬라이더(20) 및 그 상부에 고정 설치된 충격 지주판(50)이 후퇴하면서 슬라이더바(80)의 후부가 마찰부재(70)의 내부로 마찰과 함께 삽입되고, 이에 상기 슬라이더(20)의 웨브가 가이드레일(10) 내부에 설치된 충격흡수핀(15)를 절단함과 동시에 슬라이더바(80)의 연결지지대(82)가 절단편(44)에 의해 절단되면서 그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1차 흡수 상쇄하게 된다.If the vehicle inadvertently hits the front of the impact holding plate 50 of the shock absorber due to inadvertent driver's carelessness, the slider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r 20 fitted to the guide rail 10 by the impact force As the impact holding plate 50 fixedly retreats, the rear portion of the slider bar 80 is inserted together with friction into the friction member 70, and the web of the slid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rail 10. At the same time as cutting the shock absorbing pin 15, the connection support 82 of the slider bar 80 is cut by the cutting piece 44, thereby offsetting the primary energy step by step.

이때, 상기 충격흡수핀(15)과 연결지지대(82)는 미세 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바, 전술한 절단동작이 미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일어남으로써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제거함과 더불어 차량의 속도로 그만큼 감속 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더(20)는 후퇴와 동시에 무작위적으로 휘어지며 절단되는 상기 충격흡수핀(15)에 간섭되어 충돌 반발력에 의한 탄발로 발생되는 차량의 2차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hock absorbing pin 15 and the connecting support 82 are continuously installed at minute intervals, and the above cutting operation occurs sequentially at minute intervals, thereby gradually absorbing and removing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It is decelerated by the speed, the slider 20 is bent at the same time as the retraction randomly bend and interfere with the impact absorbing pin 15 is cut effectively to prevent the secondary collis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repulsive force It becomes possible.

그리고, 차량의 충돌이 보다 세게 작용한 경우 이와 같은 1차 동작에 이어서 상기 1쌍의 마찰부재(70)가 H형강(60)의 좌우 'ㄷ'자 홈(61)으로 각각 마찰과 함께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40)이 충격 지주판(50)과 유 사한 작용으로 스토퍼 지주판(30)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후퇴하며 그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 상쇄시키게 되고, 이러한 이동과정 중에 발생되는 충격 지주판(50)과 충격흡수 지주판(40)의 충돌 및 충격흡수 지주판(40)과 스토퍼 지주판(30)의 충돌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에너지가 흡수 상쇄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cts harder, the pair of friction members 70 are inserted together with friction into the left and right 'c'-shaped grooves 61 of the H-shaped steel 60 after the first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ide is moved back until the impact absorbing holding plate 40 is stopped by the stopper holding plate 30 in a similar action to the impact holding plate 50, and the shock is secondary to absorb and offset the second movement, The impact energy is additionally offset by the impact of the impact strut plate 50 and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40 and the collision of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40 and the stopper strut plate 30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5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1쌍의 가이드레일(10)이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1쌍의 가이드레일(10) 내부에 서로 쌍을 이루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된 위치에 끼움 결합된 좌우 슬라이더(20)의 상면에 연결판(121)이 설치되며, 그 위에 일정간격으로 좌우 1쌍의 충격 지주판(119)과 충격흡수 지주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 후방에 스토퍼 지주판(100)이 설치되고, 상기 충격 지주판(119), 충격흡수 지주판(110) 및 스토퍼 지주판(100)은 그 사이에 상하로 이격된 1쌍의 연결부재(112)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다.A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guide rails 10 are installed side by side, each pair is fitt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to move in pairs at the same time inside the pair of guide rails 1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late 12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liders 2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impact support plates 119 and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s 1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reon, and the guide rails 10 are provided. A stopper support plate 100 is installed at a rear side thereof, and the impact support plate 119,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110, and the stopper support plate 100 are spaced vertically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112. Is connected by).

이때, 상기 연결부재(112)에는 쌍을 이루어 적정간격을 두고 1쌍의 마찰기둥(118)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friction pillars 118 are provided in the connection member 112 at a proper interval in pairs.

그리고, 상기 1쌍의 충격 지주판(119)의 내측면에는 좌우 1쌍의 연결바(130)가 그 일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볼트(115)에 의해 각각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후방에 위치한 충격흡수 지주판(110)의 연결부재(112) 위에 설치된 마찰기둥(118) 사이에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모아져 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connecting bars 130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impact strut plates 119 by bolts 115 with one e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t the rear. Between the friction pillars 118 installed on the connection member 112 of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110 has a structure that is collected and mounted so as to narrow the gap.

따라서, 차량충돌시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전방의 충격 지주판(119)과 그 하단의 슬라이더(20)들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후퇴하면서, 상측에 가로방향 으로 설치된 1쌍의 연결바(130)가 마찰기둥(118)에 마찰되면서 후방측에 벌어진 상태로 위치한 연결바(130)의 틈새로 삽입됨과 동시에 벌어져 끼워지게 된다.Therefore, the impact strut plate 119 and the sliders 20 at the bottom thereof retreat along the guide rails 10 due to the impact applied during the vehicle collision, and a pair of connecting bars 13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 Is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connection bar 130,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ide while being rubbed against the friction column 118, and is inserted and opened at the same time.

이후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110)이 밀리면서 상기 충격흡수 지지판(110)에 설치된 1쌍의 연결바(130)가 그 후방에 위치한 스토퍼 지주판(100)에 설치된 연결바(120) 사이에 동일 작용을 통해 완전히 후퇴하여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여분의 충격에너지까지 확실하게 흡수 상쇄되는 것이다.Since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110 is pushed, a pair of connecting bars 130 installed on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110 are identical between the connecting bars 120 installed on the stopper holding plate 100 located at the rear thereof. In the process of retracting completely and being inserted in close contact, the extra shock energy is reliably offset.

이때, 최후방에 설치되는 연결바(120)들은 앞서 후퇴된 다수의 연결바(130)들이 틈새에 삽입 끼워지게 되므로 테이퍼진 쐐기형태가 아닌 평행한 형태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ng bars 120 installed at the rear end are inserted into the gaps, the connecting bars 130 are retracted earlier, so that they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a parallel form rather than in a tapered wedge shape to improve stability. Do.

또한, 상기한 충격완충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충격흡수 지주판(110)과 이에 설치되는 연결바(130)를 복수개 추가 확장함으로써 도로상황에 따라 길게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can be install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impact absorbing holding plate 110 and the connection bar 130 is installed along the guide rails as necessary, depending on the road situation as necessar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판들을 좌우 1쌍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연결부재(112)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연결부재(112) 위에 연결바(120)(130)가 설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시 지주판을 광폭으로 하나만 설치하고, 상기 지주판에 관통공을 천공하여 연결부재(112)의 마찰기둥(118) 및 연결바(120)(130)가 설치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o form a pair of left and right struts,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112 therebetween to show the connection bar 120, 13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member 112 described However, if necessary, only one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a wide width,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friction pillars 118 and the connection bars 120 and 130 of the connection member 112 are installed. You may.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가이드레일 내부에 구비된 충격흡수핀(15)은 앞선 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pin 15 provided in the guide rail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또한, 상기 충격 지주판(119), 충격흡수 지주판(110) 및 스토퍼 지주판(10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200)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guide bars 20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impact support plate 119,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110, and the stopper support plate 100.

상기 가이드바(200)는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다단식 텔레스코픽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조립체(210)(220)(230)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조립체(210)(220)(230)는 지주판에 볼트 등을 통해 그 단부가 직접 결합되거나, 그 단부에 플랜지(220a)(230a)가 돌출 형성되어 지주판 측면에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 지주판(100)의 경우 설치된 조립체(230)가 후퇴할 수 있도록 조립체(230) 단부 둘레를 둘러싸는 가이드터널(240)이 추가로 설치된다.The guide bar 200 preferably consists of a plurality of assemblies 210, 220, 230 coupled in a plurality of multistage telescopic forms arranged side by side horizontally, each assembly 210, 220. The end 230 is direct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through a bolt or the like, or flanges 220a and 230a protrudingly formed at the end thereof and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through bolts, etc., and the stopper support plate 100. In this case, a guide tunnel 240 surrounding the end of the assembly 230 is additionally installed so that the installed assembly 230 can retreat.

한편,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부를 완전히 덮어주는 외장커버가 함께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uter cover that completely covers the outside.

이러한 외장커버는 충격완충장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도로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충돌시 후퇴하는 지주판들을 따라 압축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상관없다.The exterior cover is intended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road aesthetically deteriorated by the beautiful appearance of the shock absorber,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compressed along the receding support plates during a vehicle crash.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외장커버는 일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각 지주판(119)(110(100)과 가로연결부재의 설치구간을 덮어주는 복수의 중간커버(320)(330)와, 최전방 충격 지주판(119)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방커버(310) 및 필요시 스토퍼 지주판(100)을 덮어주는 후방커버(도시생략)들이 텔레스코픽 형태로 결합되어 충돌사고시 각 커버들이 순차적으로 중첩되면서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exterio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vers 320 covering each installation plate 119 (110 (100) and the installation sec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330, the front cover 310 to shield the front of the front impact strut plate 119 and the rear cover (not shown) covering the stopper strut plate 100, if necessary, is combined in a telescopic form each cover in the event of a crash Are sequentially pushed back while overlapping.

또한, 필요시 상기 각 중간커버(320)(330)들은 대응하는 가이드바 또는 지주 판에 볼트 등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전방커버(310)는 최전방 충격 지주판(119)에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후방커버는 최후방 중간커버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intermediate covers 320 and 330 may be fastened to the corresponding guide bar or the support plate through bolts, and the front cover 310 may be fastened to the foremost impact support plate 119 with bolts. The rear cover may be bolted to the rear middle cover.

그리고, 상기 각 중간커버(320)(330)는 단일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로 분할된 분할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분할체(320)의 결합단부에 다른 분할체(330)의 결합단이 포개어지도록 하여 양자를 볼트(332)로 체결함으로써 중간커버(320)(330)를 구성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intermediate covers 320 and 3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divided bodies as shown.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covers 320 and 330 are configured by fastening the two ends with the bolts 332 so that the coupling ends of the other partitions 330 are superimposed on the coupling ends of one of the partitions 320.

그리고, 이와 같은 중간커버(320(330)의 양측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복수개의 보강비드(3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방커버(310)의 전면에는 야광 또는 반사물질로 이루어진 안전표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331 for strength reinforcement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cover 320 (3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310 is provided with a safety sign made of luminous or reflective material. This is prefer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of course apply and modify the same.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연결부재를 상하 2열로 설치하여 충격완충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충격완충장치가 설치되는 도로상황이나 방호울타리의 여건에 따라 공사비용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단일구조 또는 3열 이상의 구조로 추가 설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in two rows up and down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function, but this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st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road conditions or protective fences in which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Additional installations can be made in structures or in three or more rows.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이드레일(10)은 1개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필요시 상부에 지지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히 2열 이상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guide rai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ut when necessary, two or more guide rails 1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supporting state of all the components supported thereon. have.

그리고, 상기 각 지주판들은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 위에 너비방향으로 동시에 고정되는 지지판을 설치하여 장폭의 지주판을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등 구조물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든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And, each holding plate is installed on each of the guide rails 10, or as described above to install a support plate that is fixed at the same tim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guide rails to install each of the long holding plate, such as one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like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ll of these will have the same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작용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FIG.

도 4는 도 1에 의한 충격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충장치의 도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도 7은 도 5의 작용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FIG.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충장치에 외장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ior cover is mounted on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충격완충장치 10 ; 가이드레일One ; Shock absorber 10; Guide rail

12 ; 가이드슬릿 13 ; 앵커볼트12; Guide slit 13; Anchor bolt

15 ; 충격흡수핀 20 ; 슬라이더15; Shock absorbing pin 20; Slider

30, 100 ; 스토퍼 지주판 40, 110 ; 충격흡수 지주판30, 100; Stopper holding plates 40, 110; Shock Absorption Strut

50, 119 ; 충격 지주판 60 ; H형강50, 119; Impact strut plate 60; H-beam

70 ; 마찰부재 80 ; 슬라이드바70; Friction member 80; Slide bar

118, 마찰기둥 120, 130 ; 연결바118, friction column 120, 130; Connecting bar

200 ; 가이드바 310 ; 전방커버200; Guide bar 310; Front cover

320, 330 ; 중간커버320, 330; Middle cover

Claims (12)

노면 위에 고정되고, 상면에 가이드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상의 가이드레일;One or more tubular guide rails fixed on the road surface and having guide slits longitudinally formed thereon; 상기 각 가이드레일 내부에 적정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몸체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슬릿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A plurality of sliders which are assembled to be movable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guide rails, and a part of the body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slits of the guide rails; 상기 슬라이더 중 최전방 슬라이더 위에 고정되어 후퇴하는 상기 최전방 슬라이더를 따라 후퇴하는 하나 이상의 충격 지주판;At least one impact strut plate retracted along the foremost slider which is fixed on the foremost slider among the sliders and retreats; 상기 충격 지주판의 슬라이더 중 후방 슬라이더 위에 고정되어 후퇴하는 상기 충격 지주판 충돌시 상기 후방 슬라이더를 따라 후퇴하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 지주판;At least one impact absorbing holding plate retracted along the rear slider when the impact holding plate collides to be fixed on the rear slider among the sliders of the impact holding plate;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의 후퇴를 제지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 지주판; 및At least one stopper support plate fixed to the rear of the guide rail to restrain the retraction of the shock absorbing support plate; And 상기 충격 지주판, 충격흡수 지주판 및 스토퍼 지주판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 지주판과 충격흡수 지주판의 후퇴에 따라 마찰과 함께 압축되는 1열 이상의 가로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One or more horizontal connection members connected to the impact strut plate,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and the stopper strut plate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compressed together with friction as the impact strut plate and the shock absorbing strut plate are retrac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가로연결부재는,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일단이 상기 스토퍼 지주판에 관통 결합되고, 타단은 그 후방측에 위치한 도로 구조물에 연결 설치되는 H형강;One end is penetrated through the stopper holding plat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ad structure located on the rear side H-shaped steel; 일단이 상기 H형강의 좌우 'ㄷ'자 홈에 각각 마찰되며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에 관통 결합되는 좌우 1쌍의 관상의 마찰부재; 및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tubular friction members, one end of which is frictionally housed in the left and right 'c'-shaped grooves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impact absorbing support plate; And 일단이 상기 1쌍의 마찰부재 내부에 각각 마찰되며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 지주판에 고정되는 좌우 1쌍의 슬라이드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One pair of left and right slide bars, one end of which is housed in the pair of friction members and is movably receiv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mpact strut plat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우 1쌍의 슬라이드바는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내측면에 상기 슬라이드바의 연결지지대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은 전방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지지대 절단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pair of left and right slide bars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connection supports therebetwee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to move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slide bar on the inner surface, the shock absorbing holding plate is the front surfac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iece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쌍의 슬라이드바와 마찰부재는 그 사이의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pair of slide bar and the friction member is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etween them is configured to gradually narrow toward the re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주판들 양측에 일단은 상기 스토퍼 지주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충격 지주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바는 수 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텔레스코픽 바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At least one guide bar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plate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mpact support plate, and each guide bar includes a plurality of telescopic bars arrang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지주판들 사이의 상기 가이드레일 내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되어 후퇴하는 슬라이더에 의해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하나 이상의 충격흡수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And at least one shock absorbing pin which is sequentially cut by a slider which is fixed to penetrate horizontally through the guide rails between the respective holding plates and is retra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바 거치부는 상기 각 지주판에 천공되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connection bar mounting portion is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perforated in each hold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바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더 상단에 소정간격으로 좌우 1쌍의 지주판이 고정되고,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connection bar mounting portion is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trut plat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lider, th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trut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은 나란히 배치되는 1쌍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각각 조립된 슬라이더 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The pair of left and right struts is fixed to each of the sliders assembled in the pair of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좌우 1쌍의 지주판은, 나란히 배치되는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 내부에 각각 조립된 슬라이더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지지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 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sliders respectively assembled in the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rails arranged side by side, the vehicle impact impact,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pport plate Shock absor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우 1쌍의 연결바는 상기 스토퍼 지주판의 거치부에 그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on bar is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stopper holding plate fixed to b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spaced apart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격흡수 지주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The impact absorbing strut plate is a vehicle impac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installed at a suitable interval along the guide rai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가이드레일, 슬라이더, 충격 지주판, 충격흡수 지주판, 스토퍼 지주판 및 가로연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외장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And an exterior cover for covering the guide rail, the slider, the impact strut plate, the impact absorbing strut plate, the stopper strut plate,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090083440A 2009-09-04 2009-09-04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KR1010796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440A KR101079659B1 (en) 2009-09-04 2009-09-04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440A KR101079659B1 (en) 2009-09-04 2009-09-04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464A Division KR100944566B1 (en) 2008-12-12 2008-12-12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175A true KR20100068175A (en) 2010-06-22
KR101079659B1 KR101079659B1 (en) 2011-11-03

Family

ID=4236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440A KR101079659B1 (en) 2009-09-04 2009-09-04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6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076B1 (en) * 2018-03-14 2018-12-31 강진군 Apparatus for collision testing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57B1 (en) 2002-05-13 2003-11-14 Woojeon Green Co Ltd Road safety gu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659B1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66B1 (e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JP4000148B2 (en) Vehicle shock absorber
KR100707914B1 (en) Sliding stopper device of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WO2015068985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KR101203068B1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for car crash
KR102298946B1 (en) Vehicle shock absorbing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of front support retraction resistance
CN114364843A (en) Crash attenuator system and method
KR20080109207A (en) Guide rail device having a impact absorbing function
KR101879200B1 (en) Shock absorbers for roadway
KR20150111765A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100668759B1 (en) Do impact absorption chapter
KR102100439B1 (en) Shock absorber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KR102057125B1 (en) Crash-Cushion
KR101079659B1 (e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KR101022863B1 (en) Impact attenuator for installation along road
KR101644909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KR101267446B1 (en) Shock-absorbing device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at the front of the guardrail
KR101411424B1 (en)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equipped with brake pad for crash barrier
KR101872271B1 (en) Road safety guard using guardrail
JP4349753B2 (en) Guard fence end shock absorber
KR20150051778A (en) Crash cusion
KR100872039B1 (en) Shock Absorption Rail
KR101875505B1 (en) an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a road
KR102150498B1 (en) Crash cushion apparatus
KR101360646B1 (en) Elastic vehicles shock absorp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