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24A -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24A
KR20100067324A KR1020080125827A KR20080125827A KR20100067324A KR 20100067324 A KR20100067324 A KR 20100067324A KR 1020080125827 A KR1020080125827 A KR 1020080125827A KR 20080125827 A KR20080125827 A KR 20080125827A KR 20100067324 A KR20100067324 A KR 2010006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fresh air
waste
air
storag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287B1 (ko
Inventor
신인백
Original Assignee
신인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백 filed Critical 신인백
Priority to KR102008012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농수산물이 저장되는 농축산물저장실에는 신선한 공기가 도입하는 신선공기도입구와 오염된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공기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와의 사이에는 건조기능장치를 설치하고, 건조기능장치dhk 함게 냉동기능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을 건조실 또는 냉장실(냉동실) 겸용 건조실(건조실 겸용 냉동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로, 농수산물의 특성과 계절의 건조 등에 따라 건조기능장치 또는 냉동기능장치를 가동시켜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에 저장되는 농축산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신선공기(외기)를 예열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히팅장치의 가동비용(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냉기)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외기)를 예냉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응축기의 가동비용 즉, 냉동(냉장)저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25827
농산물건조보관장치. 농산물보관실. 신선공기도입구. 폐공기배출구. 건조기능장치. 냉동기능장치.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A DryㆍCooling Safekeeping System For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온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시키고 보관하며, 냉풍을 이용하여 냉동보관실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농수산물이 저장되는 농축산물저장실에는 신선한 공기가 도입하는 신선공기도입구와 오염된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공기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와의 사이에는 건조기능장치하고, 상기 건조기능장치와 함께 냉동기능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을 건조실로 사용하거나 또는 냉장실(냉동실)겸용 건조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공기의 열기에 의해 신선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고 배출되는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켜 건조실에 공급하여 내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능장치와,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응축기와 증발기를 설치하여 신선공기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켜 내장된 농수산물을 냉동(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동기능장치를 구비하여, 농수산물의 특성과 계절의 건조 등에 따라 건조기능장치 또는 냉동기능장치를 가동시켜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을 건조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산물 건조장치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41267호, 특허등록 제10-332479호ㆍ특허등록 제10-445162호ㆍ특허등록 제10-869578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21309호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41267호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건조판이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기본체의 내부에는 보일러의 온수관과 배기관을 설치하여 온수관을 순환되는 온수의 열기와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시키도록 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332479호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함체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건조선반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건조실의 외벽에 연소실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시키고, 건조실의 내부에는 흡기팬에 의해 외기를 공급하여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445162호의 감압식 농산물 건조장치는, 건조선반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실의 내부에 전기히타와 송풍팬으로 된 열풍장치를 설치하여 열풍장치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시키고, 건조실의 외부에는 감압블로워를 건조실과 연통되는 배충구에 설치하여 건조실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건 조실의 내부 압력을 감압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869578호의 농산물 건조장치는, 채반이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실의 밑면에 온풍공급을 설치하여 온풍을 건조실의 내부 바닥에서 공급하고, 건조실의 상면(천장)에는 배기관이 구비된 배기통을 설치하여 건조실의 내기를 배기시키며, 건조실의 양 측면에는 온풍입구부와 송풍구를 설치하여 온풍입구부에서 온풍을 공급하고 송풍구에서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농산물 건조장치들은, 건조실에 공급되어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실내공기(열기)를 외부에 방출시키므로 실내공기에 잔류하는 열기를 활용하지 못하고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외기를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시켜 건조실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가열장치를 강력하게 가동시켜야 하고, 외기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켜야 하므로 가동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건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따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8-21309호의 농산물 건조기는, 건조실의 내부에 다단으로 굴대 설치된 건조드럼을 모타를 이용하는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고, 건조실의 일측면에는 열풍열기실을 상하 이단으로 형성하여 상측열풍열기실에는 덕트를 설치하여 건조실의 실내공기를 하측열풍열기실로 공급하고, 하측열풍열기실에는 히터를 구비하여 덕트에서 공급되는 습한 실내공기를 히팅시켜 건조실의 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건조실의 습한 실내공기를 덕트에 의해 하측열풍열기실로 공급하여 히터에 의해 재차 히팅시켜 건조실의 하단으로 공급하므로, 습한 실내공기를 건조 하게 가열시키기 위해 가열장치를 강력하게 가동시켜야 하고, 습한 실내공기를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켜야 하므로 가동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건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이 저장되는 농축산물저장실에는 신선한 공기가 도입하는 신선공기도입구와 오염된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공기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와의 사이에는 건조기능장치를 설치하고, 건조기능장치오 함게 냉동기능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을 건조실 또는 냉장실(냉동실) 겸용 건조실(건조실 겸용 냉동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공기의 열기에 의해 신선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고 배출되는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켜 건조실에 공급하여 내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능장치와,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폐공기의 냉기를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응축기와 증발기를 설치하여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공기의 냉기를 회수하여 신선공기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켜 내장된 농수산물을 냉동(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동기능장치를 구비하여, 농수산물의 특성과 계절의 건조 등에 따라 건조기능장치 또는 냉동기능장치 를 가동시켜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에 저장되는 농축산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신선공기(외기)를 예열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히팅장치의 가동비용 즉,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냉기)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외기)를 예냉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응축기의 가동비용 즉, 냉동(냉장)저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농수산물조장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장되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 저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하고,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 치;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건조보관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농수산물조장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장되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 저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하고,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치와;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 저장된 농수산물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폐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냉시키고, 폐냉각공기에 의해 예냉된 신선공기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킨 냉기를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냉동기능장치;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건조보관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농수산물이 저장되는 농축산물저장실에는 신선한 공기가 도입하는 신선공기도입구와 오염된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폐공기배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와의 사이에는 건조기능장치를 설치하고, 건조기능장치와 함께 냉동기능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 여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을 건조실 또는 냉장실(냉동실) 겸용 건조실(건조실 겸용 냉동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공기의 열기에 의해 신선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고 배출되는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켜 건조실에 공급하여 내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능장치와,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폐공기의 냉기를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응축기와 증발기를 설치하여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공기의 냉기를 회수하여 신선공기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켜 내장된 농수산물을 냉동(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동기능장치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농수산물의 특성과 계절의 건조 등에 따라 건조기능장치 또는 냉동기능장치를 가동시켜 상기 농축산물저장실에 저장되는 농축산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신선공기(외기)를 예열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시키기 위한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히팅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히팅장치의 가동비용(건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수산물저장실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냉기)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외기)를 예냉시켜 줌으로써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키고, 응축기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응축기의 가동비용 즉, 냉동(냉장)저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출입문 또는 개폐문이 구비된 농수산물저장실(2)에는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를 이격되게 형성(설치)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에 의해서는 신선한 공기를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시키도록 하였고, 폐공기배출구(4)에 의해서는 농수산물저장실(2)의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와의 사이에는, 농수산물저장실(2)에 저장된 농수산물(5)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고,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치(10)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상기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와의 사이에는, 농수산물저장실(2)에 저장된 농수산물(5)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폐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냉시키고, 폐냉각공기에 의해 예냉된 신선공기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하는 냉동기능장치(20)를 설치하였다.
상기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를 예열시킨 후에 가열하여 공급시키는 건조기능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신선공기도입구(3)에는 도입되는 외기(신선공기)를 예열시키기 위한 열교환기(11)와 상기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예열된 외기(신선공기)를 히팅시켜 주는 히팅장치(15)를 입구에서 내측으로 설치하였고, 폐공기배출구(4)에는 배출되는 폐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2)를 설치하였다.
상기 신선공기도입구(3)에 설치된 열교환기(11)와 폐공기배출구(4)에 설치된 열교환기(11)는 온수공급관(13-1)과 냉수배출관(13-2)으로 된 예열수순환관(13)으로 연결하여, 폐공기배출구(4)측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를 온수공급관(13-1)을 통해 신선공기도입구(3)의 열교환기(10)에 공급하고, 신선공기도입구(3)의 열교환기(10)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냉수배출관(13-2)을 통해 폐공기배출구(4)측의 열교환기(12)에 공급하도록 하되, 특히 온수공급관(13-1)에는 순환펌프(14)를 장착하여 상기 온수와 냉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를 냉각시켜 공급시키는 냉동기능장치(2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신선공기도입구(3)에는 도입되는 외기(신선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21)를 설치하였고, 폐공기배출구(4)에는 배출되는 폐공기에 의해 예냉되는 증발 기(22)를 설치하였다.
상기 증발기(22)는 건조기능장치(10)의 열교환기(12)의 후측 진행방향에 설치하여, 폐공기가 폐공기배출구(4)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기(12)를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되고, 열교호나기(12)를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된 폐공기에 의해 증발기(4)를 냉각시키도록 하여 예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신선공기도입구(3)의 응축기(21)와 폐공기배출구(4)의 증발기(22)를 기액순환관(23)인 냉매관(23-1)과 액관(23-2)으로 서로 연결하여, 액관(23-2)에 의해서는 응축기(21)에서 변환되는 액체를 증발기(22)에 공급하고, 냉매관(23-1)에 의해서는 증발기(22)에 의해 예냉된 냉매를 응축기(21)에 공급하여 응축(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냉매관(23-1)에는 콤프레셔(25)를 장착하여 증발기(22)ㄹ르 통과하면서 예냉된 냉매를 응축기(21)에 강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액관(23-2)에는 팬창변(26)을 장착하여 응축기(21)로 부터 공급된 액상을 팽창(분무)시켜 증발기(22)에 공급함으로써 예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출입문 또는 개폐문이 구비된 농수산물저장실(2)에는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를 이격되게 형성(설치)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에 의해서는 신선한 공기를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시키도록 하였고, 폐공기배출구(4)에 의해서는 농수산물저장실(2)의 폐공기를 외부로 배출시 키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와의 사이에는, 농수산물저장실(2)에 저장된 농수산물(5)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고,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치(10)만을 설치하였다.
상기 건조기능장치(10)는 도 1에 예시된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의 건조기능장치(10)와 동일한 구조를 설치하였으며, 따라서 도 2에 예시된 건조기능장치(10)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도 1의 실시 예에서 농수산물저장실(2)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에는 응축기(21)와 증발기(22)만을 설치하고, 이들 응축기(21)와 증발기(22)를 냉매관(23-1)과 액관(23-2)으로 된 기액순환관(23)으로 연결시킨 냉동기능장치(20)만을 설치하여 농산물저장실(2)을 냉동보관실로 사용(활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에서, 신선공기도입구(3)의 선단부에 필터링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살균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설치하게 되면, 신선공기도입구(3)의 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필터링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필터링하고, 필터링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신선공기(외기)를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하며, 이와 같이 필터링 및 살균된 신선공기(외기)를 히팅 또는 냉각시켜 농수산물저장실(2)에 공급하게 되면 저장된 농수산물이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 또는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를 건조장치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농수산물저장실(2)에 농수산물(5)을 저장하고,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켜 건조기능장치(10)를 가동시킨다.
건조기능장치(10)의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키면, 히팅장치(15)는 열을 발생시키고, 순환펌프(14)가 작동하면 물은 예열수순환관(13)으로 연결된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에 설치된 열교환기(11)(12)와의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송풍기와 같은 송풍장치의 작동에 의해 외기(신선공기)가 신선공기도입구(3)로 유입(도입)되고, 신선공기도입구(3)로 유입(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는 열교환기(11)와 접촉되면서 열교환되어 예열되며, 예열된 신선공기(외기)는 히팅장치(15)에 의해 소정의 고온으로 히팅되어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된다.
히팅장치(15)에 의해 소정의 고온으로 히팅되어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되는 고온 신선공기(열풍)는 저장된 농수산물(5)을 통과하면서 농수산물(5)을 건조 시키게 되고, 농수산물(5)을 통과하면서 농수산물(5)을 건조시키고 다소 온도가 낮아진 폐열풍은 폐공기배출구(4)로 유입된다.
농수산물(5)을 건조시키고 폐공기배출구(4)로 유입되는 온도가 낮아진 폐열풍은 열교환기(12)와 접촉되면서 열교환하여 열교환기(12)를 가열시킨다.
폐공기배출구(4)로 배출되는 폐열풍에 의해 열교환기(12)가 가열되면, 순환펌프(14)의 작동에 의해 예열수순환관(13)의 냉수배출관(13-2)에서 공급되는 저온수는 열교환기(12)를 통과하면서 예열되며, 열교환기(12)를 통과하면서 예열되는 온수는 온수공급관(13-1)을 통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의 열교환기(11)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1)를 예열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가 열교환기(12)를 통과하면서 폐열풍에 의해 예열되어 온수공급관(13-1)을 통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의 열교환기(11)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1)가 예열되는 상태에서, 신선공기도입구(3)로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는 예열된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예열되며,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예열된 신선공기(외기)는 히팅장치(15)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고온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신선공기도입구(3)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예열되고, 히팅장치(15)를 통과하면서 열풍으로 변환되어 농수산물건조실(2)로 공급되며,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되는 열풍은 저장된 농수산물(5)을 건조시킨 후에 저온열풍으로 변환되어 폐공기배출구(4)로 배출된다.
건조기능장치(10)는, 폐공기배출구(4)를 통해 배출되는 폐공기(저온열풍)에 의해 열교환기(11)(12)의 사이를 순환하는 물을 가열시키고, 신선공기도입구(3)로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예열된 후에 히팅장치(15)에 의해 히팅되므로, 신선공기(외기)를 소정의 고온 열풍으로 신속하게 변환시킬 수 있고 히팅장치(15)에 의한 히팅효율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산물건조보관장치(1)를 냉동(냉장)보관장치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냉동기능장치(20)를 가동시킨다.
냉동기능장치(20)의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키면, 응축기(21)와 증발기(22) 및 기액순환관(23)의 냉매관(23-1)에 장착된 콤프레셔(25)가 작동하여 냉매를 순환시킨다.
송풍기와 같은 송풍장치의 작동에 의해 외기(신선공기)가 신선공기도입구(3)로 유입(도입)되고, 신선공기도입구(3)로 유입(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는 응축기기(21)와 접촉되면서 냉각되어 냉풍(냉기)으로 변환되며, 냉각된 냉풍(냉기)은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된다.
응축기(21)에 의해 소정의 저온으로 냉각되어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되는 냉풍(냉기)은 저장된 농수산물(5)을 냉각시키게 되고, 저장된 농수산물을 냉각시키는 냉풍(냉기)은 응축기(21)를 통과할 때보다 다소 높아진 온도를 유지하지만 여전히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농수산물(5)을 냉각시킨 폐냉풍은 폐공기배출구(4)로 유입되어 증발기(22)와 접촉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신선공기도입구(3)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가 응축기(2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냉풍으로 변환되면서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되 고, 농수산물저장실(2)로 공급되는 냉풍이 저장된 농수산물을 냉각시킨 후에 폐공기배출구(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에, 신선공기도입구(3)와 폐공기배출구(4)와의 사이에 설치된 냉동기능장치(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신선공기도입구(3)에 설치된 응측기(21)에서 액관(23-2)으로 배출되는 냉매액은 액상 상태로 변환되어 배출되고, 응측기(21)에서 액관(23-2)으로 배출되는 냉매액은 공기배출구(4)에 설치된 증발기(22)로 공급되는데, 냉매액이 액관(23-2)의 중간에 장착된 팽창변(26)에 의해 팽창(분무)되어 연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매액이 응측기(21)에서 액관(23-2)을 통과할 때에 팽창변(26)에 의해 팽창(분무)되어 연무상태로 폐기배출구(4)의 증발기(22)에 공급될 때에, 상기 폐기배출구(4)에 설치된 증발기(22)는 폐공기배출구(4)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냉풍에 의해 냉각되어 냉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액관(23-2)을 통하여 폐기배출구(4)의 증발기(22)로 유입되는 냉매분무액은 냉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다소 낮은 온도로 냉각 되고, 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다소 낮은 온도로 냉각된 냉매기체로 신속하게 변환되며, 증발기(22)를 통과하여 기체상태로 냉각 변환된 냉매기체는 냉매관(23-1)을 통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의 응축기(21)로 공급된다.
냉매관(23-1)을 통하여 신선공기도입구(3)의 응축기(21)로 공급되는 냉매기체는 신선공기도입구(3)를 통하여 도입되는 신선공기(외기)를 냉각시켜 냉풍으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냉풍은 농산물저장실(2)에 저장된 농수산물(5)을 냉각시키며, 따라서 농산물저장실(2)에 저장된 농수산물(5)을 냉각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농산물건조보관장치 2: 농산물보관실 3: 신선공기도입구
4: 폐공기배출구 5: 농수산물 10: 건조기능장치
11: 열교환기 12: 열교환기 13: 예열수순환관
15: 히팅장치 20: 냉동기능장치 21: 응축기
22: 증발기 23: 기액순환관 25: 콤프레셔

Claims (10)

  1. 농수산물조장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장되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는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농수산물저장실에 저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하고, 폐공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치를 설치한 것과;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농수산물저장실에 저장된 농수산물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폐냉각공기를 이용하여 순환하는 냉매를 예냉시키고, 예냉된 냉매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며, 냉각된 냉매에 의해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켜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냉동기능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2. 농수산물조장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장되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는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저장된 농수산물을 건조시킨 후 배출되는 폐공기를 이용하여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예열하고, 폐공 기에 의해 예열된 신선공기를 히팅장치에 의해 히팅시킨 후에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건조기능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3. 농수산물조장실에 열풍을 공급하여 저장되는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수산물저장실에는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를 형성한 것과;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는, 저장된 농수산물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폐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예냉시키고, 예냉된 냉매를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시키며 냉각된 냉매에 의해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켜 농수산물저장실에 공급하는 냉동기능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설치되는 건조기능장치는;
    농수산물저장실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에 설치되어 신선공기도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예열시키는 열교환기와;
    농수산물저장실에 형성된 폐공기배출입구에 설치되어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공기의 폐열에 의해 예열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에 설치된 열교환기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예열되어 공급되는 신선공기를 소정의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는 히팅장치와;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각각 설치된 열교환기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결시키는 온수공급관과 냉수배출관으로 형성된 예열수순환관과;
    상기 예열수순환관에 장착되어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각각 설치된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물을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설치되는 냉동기능장치는;
    농수산물저장실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에 설치되어 신선공기도입구를 통해 도입되는 신선공기를 냉각시키는 응축기와;
    농수산물저장실에 형성된 폐공기배출입구에 설치되어 폐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냉기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로 부터 공급되는 냉매액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각각 설치된 응축기와 증발기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서로 연결시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냉매관 및 액관과;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를 서로 연결시켜 증발기의 냉매가스를 응축기에 공급하는 냉매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가스를 강제 송풍시키는 컴프레셔;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폐공기배출구에 설치되는 건조기능장치의 열교환기를 냉동기능장치의 증발기 보다 내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산물조장실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의 내부 선단에는 필터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산물조장실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의 내부 선단에는 살균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산물조장실에 형성된 신선공기도입구의 내부 선단에는 필터장치와 살균장치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신선공기도입구와 폐공기배출구에 설치되는 응축기와 증발기를 서로 연결시켜 응축기의 냉매액을 증발기에 공급하는 액관에는 공급되는 냉매액을 분무상태를 변환시켜 주는 팽창변을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KR1020080125827A 2008-12-11 2008-12-11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KR10121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27A KR101218287B1 (ko) 2008-12-11 2008-12-11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27A KR101218287B1 (ko) 2008-12-11 2008-12-11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24A true KR20100067324A (ko) 2010-06-21
KR101218287B1 KR101218287B1 (ko) 2013-01-09

Family

ID=4236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827A KR101218287B1 (ko) 2008-12-11 2008-12-11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237A (ko) 2020-12-28 2022-07-06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농축산 부산물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001B2 (ja) * 1996-09-17 2000-07-24 ミサト株式会社 被乾燥体の乾燥装置
KR100458005B1 (ko) * 2002-02-28 2004-11-18 대한민국 농산물 건조기의 배풍열 회수장치
KR200279596Y1 (ko) * 2002-03-20 2002-06-24 황재호 직분사 방식의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30078826A (ko) * 2003-09-04 2003-10-08 홍찬희 농산물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6646B2 (en) 2015-04-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device for the outdo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287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807B1 (ko) 건조장치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KR20180064059A (ko)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KR101060475B1 (ko) 자연제상을 이용한 농수산물용 냉난방시스템
KR200297847Y1 (ko) 건조장치
KR101218287B1 (ko)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JP6324657B2 (ja) 食品用冷却システム
JP6159579B2 (ja) 水加熱装置
KR100657431B1 (ko) 가스히트펌프를 이용한 도장부스용 크린에어 공급장치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CN104634066A (zh) 多功能空调、热泵烘干及除湿装置
KR101310939B1 (ko)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KR20140014957A (ko)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를 열원으로 활용하는 건조실
RU169552U1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грегат
KR101097974B1 (ko)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KR20100009086A (ko) 냉동장치를 이용한 건조시스템 및 건조장치
KR20100124490A (ko) 히트펌프방식을 이용한 냉온전환식 건조기
KR100606765B1 (ko) 온장고를 겸비한 냉장고
KR101169928B1 (ko) 건조기겸 냉·난방장치
CN101303165A (zh) 工业用复式废热回收装置
CN206338969U (zh) 一种室内冷却和造雪二合一系统
KR200385443Y1 (ko) 온수 히터를 갖는 절전형 공기조화기
KR200385279Y1 (ko) 스팀 히터를 갖는 절전형 공기조화기
CN102278797A (zh) 外蒸发节能环保换气空调
KR100505750B1 (ko) 온수 히터를 갖는 절전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