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662A -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662A
KR20100066662A KR1020080125065A KR20080125065A KR20100066662A KR 20100066662 A KR20100066662 A KR 20100066662A KR 1020080125065 A KR1020080125065 A KR 1020080125065A KR 20080125065 A KR20080125065 A KR 20080125065A KR 20100066662 A KR20100066662 A KR 2010006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ool magazine
gripper
block
positio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희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6662A/ko
Publication of KR2010006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는, 공작기계의 툴을 다수 수납하는 툴 매거진(10)과 툴 매거진(10)으로부터 공급받은 툴을 장착하여 회전 운동하는 스핀들(70)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툴 매거진(10)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블록(110), 고정 블록(11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측에 제1 경사부(126)가 형성된 승강 부재(120), 고정블록(110)의 한쪽에 배치되어 승강부재(12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130), 툴 매거진(10)의 한쪽에 고정 블록(110)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승강 부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가 형성되며 승강부재(120)가 하강할 때 승강부재(120)가 삽입구에 삽입되는 받침 블록(170) 및 승강 부재(120)의 제1 경사부(126)와 대응하게 제2 경사부(202)가 형성되고 스핀들(70)의 한쪽에 설치되는 가동 블록(200)을 포함한다.
툴 매거진,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Description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Positioning device of Gripper for tool magazine}
본 발명은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에서 공구를 교환할 때에 그리퍼의 위치를 정위치로 위치 결정시키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툴 매거진에 여러 개의 공구가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공구는 공구 교환장치에 의해 교환되어 스핀들에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툴 매거진에는 체인의 한쪽에 그리퍼가 설치되고 각각의 그리퍼에는 공구가 장착되며, 공구 교환이 이루어질 때에는 소망하는 공구가 공구교환 위치로 이동되어 공구교환 장치에 의해 공구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특히 공구가 교환될 때에는 공구 교환위치가 특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특정한 위치에 공구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소망하는 공구가 장착된 그리퍼가 특정한 위치로 위치결정되어야 하며 그리퍼의 위치를 결정짓기 위해서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가 이용된다.
종래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20)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툴 매거진(10)의 한쪽에서 공구교환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툴 매거진(10)은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에 체인(22)이 설치되고, 체인(22)의 링크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26)가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26)의 바깥쪽 끝부분에는 그리퍼 조립체(50)가 설치된다.
특히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20)는 체인(22)이 이동되어 공구교환위치에 진입되었을 때에 해당 위치의 그리퍼 조립체(5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위치결정하기 위해 고정시키게 되고, 일례로서 체인(22)의 외측에 가이드 블록(30)이 고정되며, 내측에 가압 블록(32)이 배치되고, 가압 블록(32)은 액추에이터(34)에 의해 진퇴할 수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34)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유공압 실린더 일 수 있고, 또는 솔레노이드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체인(22)은 체인 핀(23)의 하측에 제1 롤러(24)가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체인 핀(23)의 상측에는 상술한 플레이트(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플레이트(26)의 내측에는 제2 롤러(2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레임(12)의 한쪽에는 제1, 제2 가이드 웨이 부재(36)(40)가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제1 가이드 웨이 부재(36)는 상술한 제1 롤러(24)를 받치는 형태로 안내하며, 제2 가이드 웨이 부재(40)는 상술한 제2 롤러(28)를 안내하는 것 이다.
상술한 그리퍼 조립체(50)는 공구(60)가 탈착되는 것이다.
이하 종래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2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구교환 지령이 내려지면, 공구가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공구가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고, 일례로 공구가 장착되는 예를 먼저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퍼 조립체(50)에는 공구(60)가 비워진 상태에서 대기하게 되고, 이때 액추에이터(34)는 신장 구동되어 체인(22)을 가이드 블록(30)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체인(22)은 제1, 제2 가이드 웨이 부재(36)(40)의 안내를 받아 진입한 상태일 수 있다.
스핀들(70)에는 공구(60)가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공구(60)는 제1 툴 싱크(62)와 그리퍼 조립체(50)의 레벨이 맞춰진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2에서 X 방향으로 표한한 바와 같이 진입하는 것이다.
이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60)는 그리퍼 조립체(50)에 장착되고 스핀들(7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Z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핀들(70)에서 공구(60)가 탈거 된다.
상술한 스핀들(70)은 내부의 설치된 클램프 부재가 설치되고 이러한 클램프 부재에는 상술한 공구(60)의 제2 툴 싱크(64)가 장착되는데, 이때 공구(60)의 끼임 현상 또는 고착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60)가 스핀들(70)에서 끼임 현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공구(60)를 그리퍼 조립체(50)에 장착시킨 후에 스핀들(70)이 상승할 때에 공구(60)를 끌고 올라가려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플레이트(26)가 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핀들(70)의 상승에 의해 공구(60)가 스핀들에서 온전하게 분리된 직후에 플레이트(26)는 반동이 발생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반동은 공구(60)가 그리퍼 조립체(50)에서 낙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2)이 고정되는 위치는 가이드 블록(30)과 가압 블록(32)에 의한 것이고, 반동이 일어나는 부분은 플레이트(26)의 끝 부분으로서 그 거리가 상당히 멀고, 특히 체인 핀(23)을 매개로 고정되기 때문에 비록 체인(220은 견고하게 고정되어도 그리퍼 조립체(50)의 흔들림까지는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가이드 웨이 부재(36)(40)는 상술한 체인(22) 또는 플레이트(26)의 진출입을 안내하는 것에 불과하고 플레이트(26)를 고정시키지는 못하므로 플레이트(26)에서 발생하는 반동을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질 때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34)를 구동시켜야 하고, 이러한 액추에이터(34)를 구동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방향전환밸브, 유공압 발생장치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툴 매거진을 구성함에 있어서 많은 비용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구교환이 이루어질 때에 그리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공구교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리퍼 조립체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별도의 에너지(전원, 유공압 등)를 가하지 않고서도 그리퍼 조립체를 위치 결정시킬 수 있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는, 공작기계의 툴을 다수 수납하는 툴 매거진과 상기 툴 매거진으로부터 공급받은 툴을 장착하여 회전 운동하는 스핀들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툴 매거진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측에 제1 경사부가 형성된 승강 부재; 상기 고정블록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 링; 상기 툴 매거진의 한쪽에 상기 고정 블록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할 때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받침 블록; 및 상기 승강 부재의 제1 경사부와 대응하게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한쪽에 설치되는 가동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승강 부재의 사이에 베어링 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부재는 하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의 하측에 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핀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이 상기 핀 홈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는 공구교환이 이루어질 때에 그리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공구의 낙하를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상태에서 공구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는 그리퍼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부 에너지(전원 또는 유공압 등)를 가하지 않고서도 스핀들의 진퇴에 의해 그리퍼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예시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장치(100)는 툴 매거진(10)의 한쪽에 설치된다.
상술한 툴 매거진(10)은 프레임(12)의 외주에 체인(140)이 주행될 수 있도록 체인 가이드 부재(180)가 설치되고 체인(140)에는 링크와 핀 및 부싱 롤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부싱 롤러(142)는 상술한 체인 가이드 부재(180)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될 수 있고, 체인(140)을 구성하는 링크는 상술한 체인 가이드 부재(180)의 상하측면에서 활주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툴 매거진(10)의 상측에 고정 블록(110)이 설치되고, 상술한 고정 블록(11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승강부재(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10)과 상기 승강 부재(120)의 사이에 베어링 부 재(112)가 더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승강부재(120)는 상측에 제1 경사부(126)가 형성되고 하측에 테이퍼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부재(120)는 상술한 테이퍼부(124)의 하측에 핀(12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고정블록(110)의 한쪽에는 압축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압축 스프링(130)은 상술한 승강 부재(12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또한, 상술한 고정 블록(110)에는 스프링 수용 홈(114)이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스프링 수용 홈(114)에 상술한 압축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압축 스프링(130)이 정렬되어 흐트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 부재(120)의 한쪽에는 스프링 지지편(128)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스프링 지지편(128)에 상술한 압축 스프링(130)의 한쪽이 닿을 수 있어 압축 스프링(130)이 더욱 효과적으로 승강 부재(120)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툴 매거진(10)의 한쪽에는 상술한 고정 블록(110)과 이격되게 받침 블록(170)이 설치될 수 있고, 받침 블록(170)에는 상술한 테이퍼부(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핀 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체인(140)의 한쪽에 제1 플레이트(150)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50)의 한쪽에는 롤러(15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툴 매거진(10)의 프레임(120)에는 상술한 롤러(152)가 주행될 수 있는 롤러 가이드 부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롤러(152)는 체인(140)에 가해지는 자중을 받치면서 주행하는 것으로 체인(140)이 더욱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플레이트(150)의 상측에 제2 플레이트(160)가 설치될 수 있고, 상술한 제2 플레이트(160)는 상술한 테이퍼부(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테이퍼 홀(162)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그리퍼 조립체(50)가 구비되며 상술한 받침 블록(170)의 상측에 활주될 수 있다.
또한, 스핀들(70)의 한쪽에는 가동 블록(200)이 설치될 수 있고, 상술한 가동 블록(200)의 한쪽에는 상술한 승강 부재(120)의 제1 경사부(126)와 대응하게 제2 경사부(2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부(202)의 하측에는 수평면(20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승강 부재(120)의 핀(122)은 상기 테이퍼 홀(162)을 관통하여 상기 핀 홈(17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플레이트(160)의 한쪽에 가이드 롤러(164)가 더 설치되고, 상술한 툴 매거진(10)의 한쪽에 설치되어 가이드 웨이 부재(16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웨이 부재(166)는 상술한 가이드 롤러(164)의 주행을 안내하고, 특히 상기 제2 플레이트(16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한다.
상술한 제2 플레이트(160)의 기울어짐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리퍼 조립체(50)에 공구(60)가 비어있을 때에는 체인(140)의 무게중심이 비교적 중앙에 위치되기 때문에 체인(140)이 주행할 때에 치우치지 않고 주행될 수 있지만, 그리퍼 조립체(50)에 공구(60)가 장착되면 무게 중심이 외측으로 치우칠 수 있고 이렇게 무게 중심이 치우칠 때에 제2 플레이트(160)가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가이드 롤러(164)와 가이드 웨이 부재(166)는 제2 플레이트(160)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구(60)가 낙하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고정장치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으로서 도 7은 그리퍼 조립체(50)에 공구(60)가 비어있는 상태이고, 도 8은 그리퍼 조립체(50)와 스핀들(70)의 사이에서 공구(60)를 넘기는 상태이며, 도 9는 그리퍼 조립체(50)에 공구(60)가 장착된 상태이다.
공구(60)의 이동경로는 툴 매거진(10)에서 스핀들(70)로 이동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스핀들(70)에서 툴 매거진(10)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스핀들(70)에서 툴 매거진(10)으로 공구가 이동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툴 매거진(10)에서는 공구(60)를 받아드릴 비어있는 그리퍼 조립체(50)가 공구교환 위치에 위치된다.
이후 스핀들(70)에는 공구(60)의 제2 툴 싱크(64)가 장착된 상태로 그리퍼 조립체(50)에 접근하게 되며, 공구(60)의 제1 툴 싱크(62)는 그리퍼 조립체(50)의 높낮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접근한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70)이 그리퍼 조립체(50)쪽으로 접하면 가동 블록(200)과 승강블록(120)은 캠 작용을 하여 승강 블록(120)이 하강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스핀들(7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X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동 블록(200)의 제2 경사부(202)는 승강 블록(120)의 제1 경사부(126)와 닿게 되고 이로써 승강 블록(120)은 하강하고, 이후 스핀들(70)이 더 진행하면 제2 경사부(202)는 승강 블록(120)을 더 이상 하강시키지 않는다.
즉, 가동 블록(200)의 수평면(204)과 승강 블록(120)이 접하면서 승강블록(120)은 하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승강 블록(120)이 하강되면서 승강 블록(120)의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부(124)는 상술한 제2 플레이트(160)의 테이퍼 홀(162)에 삽입되어 제2 플레이트(160)는 정렬되면서 위치결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2 플레이트(160)는 받침 블록(170)의 상측에서 활주되는 상태이므로 받침 블록(170)의 상측에 제2 플레이트(160)가 배치되고 이때 상술한 테이퍼부(124)는 테이퍼 홀(162)에 삽입되면서 가압하므로 결국 제2 플레이트(160)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핀(122)은 상술한 테이퍼 홀(16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160)를 정렬시킬 수도 있고, 이후 테이퍼 홀(162)을 관통하여 받침 블록(170)의 핀 홈(172)에 삽입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160)를 더욱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정밀한 위치에 위치 결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70)이 상승(Z방향)하면 공구(60)는 스핀들(60)에서 분리되어 그리퍼 조립체(50)에 남게 된다.
이때, 스핀들(70)이 상승이 시작될 때에 승강 부재(120)도 함께 상승이 시작되지만, 승강 부재(120)의 테이퍼부(124) 또는 핀(122)은 제2 플레이트(160)에서 곧바로 이탈되는 것이 아니며 승강 부재(120)가 제2 플레이트(160)의 테이퍼 홀(162)에서 온전하게 이탈되기 전까지는 제2 플레이트(160)를 정렬이 유지되는 것이다.
즉, 스핀들(70)과 공구(60)의 사이에 끼임현상이 발생하여 제2 플레이트(160)의 외측이 들리는 방향으로 저항력을 받더라도 제2 플레이트(160)는 짧은 순간이지만 제2 플레이트(160)를 억누르고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억누름에 의해 공구(60)가 스핀들(70)에서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스핀들(70)이 더욱 상승하여 그리퍼 조립체(50)에 공구(60)가 장착되고, 승강 부재(120)는 압축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초기위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후 툴 매거진(10)의 구동에 의해 체인(140)은 주행하게 되고, 공구교환 대 상의 공구(60)가 장착된 그리퍼 조립체(50)를 공구교환 지점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하, 공구(60)가 툴 매거진(10)에서 스핀들(70)쪽으로 이동될 때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140)의 주행에 의해 공구교환 대상의 공구(60)가 공구교환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핀들(7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70)이 하강하면서 제2 툴 싱크(64)는 스핀들(70)의 내부로 끼워져 크램핑 수단에 의해 공구(60)가 클램핑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70)이 하강할 때에 가동 블록(200)은 승강 부재(120)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가동 블록(200)의 수평면(204)이 승강 부재(120)의 상측에 닿게 되므로 승강 부재(120)는 가동 블록(200)에 밀려서 곧바로 하강하게 된다.
특히, 승강 부재(120)가 하강되면 테이퍼부(124)와 핀(122)은 제2 플레이트(160)의 테이퍼 홀(162)에 삽입되면서 제2 플레이트(160)를 정렬시키면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그리퍼 조립체(5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테이퍼부(124)가 테이퍼 홀(162)에 온전하게 삽입되면 제2 플레이트(160)는 받침 블록(170)의 상측에 억압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특히 핀(122)은 받침 블록(170)의 핀 홈(17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2 플레이트(16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60)가 위치결정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서 그리퍼 조립체(5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핀들(70)에 공구(6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70)이 외측방향(X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구(60)를 그리퍼 조립체(50)에서 뽑아 내게 된다.
또한, 스핀들(70)이 외측으로 이동될 때에 가동 블록(200)의 수평면(204)이 승강 블록(120)을 누르고 있으므로 승강 블록(120)은 수평면(204)을 벗어날 때 까지 하강상태가 유지되고 이후 제2 경사부(202)와 승강 블록(120)이 닿기 시작하면서부터 승강블록(120)은 상승을 시작하여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100)는 공구 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그리퍼 조립체(50)의 위치를 정밀하게 위치결정시킬 수 있고, 특히 그리퍼 조립체(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서처럼 액추에이터(34)를 구동시키지 않고도 스핀들(70)의 이동에 의해 기구적으로 그리퍼 조립체(50)를 억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는 공구교환이 이루어지는 툴 매거진의 한쪽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툴 매거진 12: 프레임
20: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22: 체인
24: 제1 롤러 26: 플레이트
28: 제2 롤러 30: 가이드 블록
32: 가압 블록 34: 액추에이터
36: 제1 가이드 웨이 부재 40: 제2 가이드 웨이 부재
50: 그리퍼 조립체 60: 공구
62: 제1 툴 싱크 64: 제2 툴 싱크
70: 스핀들
100: 그리퍼 위치 결정 장치
110: 고정 블록 112: 베어링 부재
114: 스프링 수용 홈 120: 승강 부재
122: 핀 124: 테이퍼부
126: 제1 경사부 128: 스프링지지편
130: 압축 스프링 140: 체인
142: 부싱롤러 150: 제1 플레이트
160: 제2 플레이트 162: 테이퍼 홀
164: 가이드 롤러 166: 가이드 웨이 부재
170: 받침 블록 172: 핀 홈
180: 체인 가이드 부재 190: 롤러 가이드 부재
192: 가이드 웨이
200: 가동 블록 202: 제2 경사부

Claims (3)

  1. 공작기계의 툴을 다수 수납하는 툴 매거진(10)과 상기 툴 매거진(10)으로부터 공급받은 툴을 장착하여 회전 운동하는 스핀들(70)을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툴 매거진(10)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 블록(110);
    상기 고정 블록(11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측에 제1 경사부(126)가 형성된 승강 부재(120);
    상기 고정블록(110)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재(12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130);
    상기 툴 매거진(10)의 한쪽에 상기 고정 블록(110)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 부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120)가 하강할 때 상기 승강부재(120)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받침 블록(170); 및
    상기 승강 부재(120)의 제1 경사부(126)와 대응하게 제2 경사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70)의 한쪽에 설치되는 가동 블록(200);
    을 포함하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110)과 상기 승강 부재(120)의 사이에 베어링 부재(112)가 더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120)는 하측에 테이퍼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124)의 하측에 핀(122)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핀 홈(172)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122)이 상기 핀 홈(172)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KR1020080125065A 2008-12-10 2008-12-10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KR20100066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065A KR20100066662A (ko) 2008-12-10 2008-12-10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065A KR20100066662A (ko) 2008-12-10 2008-12-10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662A true KR20100066662A (ko) 2010-06-18

Family

ID=4236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065A KR20100066662A (ko) 2008-12-10 2008-12-10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66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6039A (zh) * 2019-12-19 2020-03-31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激光加工自动定位夹紧工装装置
KR20220153763A (ko) 2021-05-12 2022-11-21 현대위아 주식회사 체인구동 공구 매거진용 위치결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6039A (zh) * 2019-12-19 2020-03-31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激光加工自动定位夹紧工装装置
CN110936039B (zh) * 2019-12-19 2021-09-03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激光加工自动定位夹紧工装装置
KR20220153763A (ko) 2021-05-12 2022-11-21 현대위아 주식회사 체인구동 공구 매거진용 위치결정장치
KR20230047073A (ko) 2021-05-12 2023-04-06 현대위아 주식회사 위치결정장치를 구비하는 체인구동 공구 매거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50B1 (ko) 이중클립 조립장치
KR20130119736A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US20050252887A1 (en) Small hol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equipment automatic electrode change device and method
JP5580432B2 (ja) ピストン組付け装置
JP2013119441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KR100904855B1 (ko) 파이프 홀 가공 장치
KR20100066662A (ko) 툴 매거진의 그리퍼 위치결정 장치
KR101248313B1 (ko) 헤드 교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시스템
KR100992700B1 (ko) 툴 교환장치
CN106711733B (zh) 一种堵头导电片的安装装置
CN116372394B (zh) 自动化在线激光打孔设备
JP2018122374A (ja) 部品組立装置
JP2011143443A (ja) ワーク分離装置
GB2285759A (en) Apparatus for pushing chip components into holding plate
CN211478223U (zh) 存储盒装置及具有其的样本分析仪
KR101100350B1 (ko) 박판 소재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CN211464414U (zh) 一种钢板弹簧加工用推送装置
JPH081446A (ja) 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H11207537A (ja) 止め輪装着装置
WO2019208146A1 (ja) 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装置に備えられるリムーバー
KR102325052B1 (ko) 비대칭 부재의 정렬-삽입 장치
CN111390523B (zh) 活塞上部环分料、组装装置
CN216470757U (zh) 开夹治具
KR100726763B1 (ko) 노즐교환기
CN218753405U (zh) 物料转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