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950A - 불량 램프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램프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950A
KR20100065950A KR20080124552A KR20080124552A KR20100065950A KR 20100065950 A KR20100065950 A KR 20100065950A KR 20080124552 A KR20080124552 A KR 20080124552A KR 20080124552 A KR20080124552 A KR 20080124552A KR 20100065950 A KR20100065950 A KR 20100065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defective
robot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2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2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950A/ko
Publication of KR2010006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50Repairing or regenerating used or defective discharge tubes or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램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제조과정에서 램프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를 로봇(robot) 또는 램프 승강부에 의해 불량 램프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로 취출 할 수 있는 불량램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 블록, 액츄에이터, 램프, 척

Description

불량 램프 취출장치{System for taking out defective lamp}
본 발명은 불량 램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량 감지 센서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를 수직과 수평 운동이 가능한 로봇(robot) 또는 수직 운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actuator)와 블록(block)에 의해 불량 램프를 적재하는 저장부로 취출할 수 있는 불량램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광받고 있는 티에프티-엘시디(TFT-LCD) 모니터(monitor)에서 엘시디(LCD)는 자체발광 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Back Light)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의 일반적인 요구사항은 고휘도, 고효율, 휘도의 균일도, 긴수명, 박형, 가벼운 중량, 저렴한 가격 등이다.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노트북-PC용 백라이트의 경우 소모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고효율의 수명이 긴 램프(lamp)가 요구되며, 모니터와 TV용의 백라이트는 고휘도가 요구된다.
백라이트는 일반적인 형광체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를 배치하는 방식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다.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일반적인 형광체보다 개선된 기술인 CCFL은 6mA에서 50,000시간에 이르는 긴 수명과 고효율 및 30,000 cd/m2 정도의 고휘도의 성능을 발휘하며,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램프의 직경이나 길이의 조정이 자유롭고 형상변경이 용이하며, 자연광과 같은 따뜻한 색조는 물론 높은 연색성을 나타내는 장점들로 인하여, LCD, 액정TV와 같은 액정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백라이트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CCFL은 램프의 수명이 짧다는 것이 단점이며, 특히 에지(edge)형 방식은 CCFL 자체는 고휘도의 발광을 하지만 패널의 휘도는 낮아 대형 화면용 패널(panel)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하형 방식은 CCFL을 병렬 연결하여 단일 인버터로 구동할 수 없고, 패널의 적정 휘도를 위하여 평면에 배치되는 CCFL의 수를 제한하여 CCFL 간의 배치 간격이 크므로 특별한 구조의 반사판이 필요하고 동시에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확산판과 램프와의 거리가 커지므로 패널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화 추세의 액정디스플레이의 고휘도와 고효율을 보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긴 수명과 경량화를 가져다줄 수 있는 백라이트의 개발이 요구되어 제시된 것이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이다.
EEFL은 휘도가 400니트(nit) 이상으로 CCFL보다 60% 이상 뛰어나 고휘도를 필요로 하는 TV 등 TFT LCD의 응용분야를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극이 램프 안에 있는 CCFL과는 달리 전극이 외부에 있어 병렬로 작동하기에 유리, 램프 간의 전압편차를 줄여 고른 휘도 구현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특히, EEFL를 채택하면 기존 램프마다 필요로 했던 인버터를 한개로 줄일 수 있어 부품 수 감소에 따른 원가절감과 LCD 모듈의 무게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5만 시간 이상으로 길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EEFL은 CCFL에 비해 노이즈와 열이 높아지는 문제를 안고 있으나, 향후, CCFL의 품귀현상의 심화됨에 따라 EEFL의 채용이 보다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티에프티-엘시디 모니터의 백라이트로 사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형광램프나 티에프티-엘시디 모니터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EEFL, CCFL 등도 각각의 생산라인의 중간마다, 또는 최종적인 제품화 단계 이전에, 램프의 불량 여부에 대한 전수 검사 또는 샘플링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CCFL의 내부 전극이나, 램프의 형광막 표면에 결함, 예를 들어 크랙(crack)이나 스크래치(scratch) 존부를 작업자의 시각으로 판별 하여 양호한 경우에만 다음 공정을 진행하도록 하는 방법은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검사작업시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이 증대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0-017072호(이하 종래 기술 1)에서는 화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막의 양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형광막 검사방법 및 그 장치를 제시한바 있다.
종래 기술 1은 CCD 카메라로 검사 내면에 형성된 형광막의 화상을 픽업하는 수단과, CCD 카메라로 픽업된 화상을 해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얻어진 형광막의 화상데이터와 시료의 양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사시료의 양,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검사시료의 양, 불량판단 수단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패널에 형광막 형성작업이 완료된 후 막의 양,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형광막 검사방법을 제안한바 있다.
또한, 상기 화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형광막 검사방법을 통해, 검사시료(20)가 불량품으로 판단한 경우, 검사시료를 불량품 이송 컨베어(10B)로 이동시키는 공압 실린더(40) 및 시료 이송축(50)과, 양품(20A)과 불량품(20B)의 시료이송 컨베어(10B)를 격리시키는 격벽(60)과, 상기 컴퓨터에서 검사시료를 판단한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모니터와 데이터 출력부 및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막 자동 검사 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종래 기술 1에 의하여, 작업자가 생산되는 제품을 하나씩 별도의 불량 여부 판별을 위한 작업대로 옮긴 후, 육안으로 직접 판별해야 하는 종래의 불량 여부 검사 방법의 문제점인 작업 능률과 정확성의 저하를 해결한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1은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램프 등의 제품을 취출하기에는 구조상 적용이 곤란하며, 패널 또는 이와 유사한 사각형 형상의 제품에만 적용이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공보 제 407473호(이하 종래 기술 2)에서는 냉음극 형광램프용 전극의 주요부를 화상분석을 통해 불량 여부를 자동판별하고 선별처리 가능한 냉음극 형광램프용 전극체 검사장치를 제시한바 있다.
즉, 냉음극 형광램프(CCFL)의 내부에 사용되는 전극체에 대한 검사공정은 전극체의 각 주요부의 항목을 체크하는 것으로서, 전극체의 크기가 매우 작고 미세한 관계로 작업자가 핀셋을 이용하여 각 전극체를 작업대에 하나씩 올려놓은 후에 확대경이나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전극체의 불량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종래의 검사방법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극체 검사방법은 작업자가 핀셋으로 전극체를 하나씩 작 업대로 옮긴 다음 육안으로 직접 판별을 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검사도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극체를 핀셋으로 집어서 작업대로 올려놓는 과정에서 전극이 핀셋에 의해 눌려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전극체 검사자체가 오히려 불량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2에서는 전극체를 직립상태로 순차공급하는 슈트; 슈트로부터 순차 투입되는 전극체들을 자력으로써 외주면에 부착시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회전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체의 주요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조명장치를 구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화상데이터들을 전송받아 불량부위별로 전극체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불량발생 신호에 따라 선별적으로 동작되어 불량 부위별로 전극체를 취출하는 취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 2는 CCFL의 내부 전극과 같은 작은 부품에 대한 결함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전극을 취출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이 유리관 등과 결합된 상태에서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그 적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719445호(이하 종래 기술 3)에서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내부 전극을 자동으로 로딩하고 카메라 등으로 표면 영상을 획득하여 양, 불량을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구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내부전극 자동검사장치를 제시한바 있다.
종래 기술 3에서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내부 전극 검사 작업을 자동화하여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보다 정밀한 검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 2와 유사하다.
즉, 종래 기술 3의 구성은 내부전극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부분인 피딩부와 내부전극의 표면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내부전극을 장착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내부전극을 회전부에 장착하기 위한 로딩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양·불량을 판별하는 제어부와 내부전극을 양·불량상태에 따라 구분적재하는 언로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 운동이 가능한 로봇과 램프 저장부 또는 램프 승강부와 걸림쇠가 형성된 램프 저장부에 의해, 보다 신속 정확하고, 경제적이며 공간 활용도가 높고 램프뿐만 아니라 기타 제품에 대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불량 램프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램프 저장부;
램프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램프를 상기 램프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언로딩 로봇(unloading robot);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언로딩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로봇은 수평 및 수직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로봇의 일단에는 액츄에이터(actuator)와 척(chuck)으로 이루어진 램프 취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램프 저장부;
램프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램프를 상기 램프 저장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램프 승강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승강부는 블록(block)과 액츄에이터(actua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저장부의 저면부와 힌지(hinge) 연결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 승강부의 블록에 얹혀지는 램프에 의해 상기 걸림쇠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불량 램프 취출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불량 램프의 판단과 취출 단계가 자동화 공정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연속적인 제품의 생산이 가능, 생산성이 향상된다.
(2)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의 취출을 위해, 별도의 작업자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생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취출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3) 종래의 작업자에 의지하는 수작업에 비해, 불량 램프의 취출 시간을 단 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 램프 취출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4) 취출 시스템을 블록과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구성할 경우, 설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의 가능성이 감소한다.
(5) 취출 시스템을 블록과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구성할 경우, 제품 생산 공정에서 생산 라인의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다.
(6) 블록과 액츄에이터 조합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램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7) 로봇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의 경우, 불량 램프에 대한 취출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축 로봇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일축 로봇(10b), 상기 일축 로봇(10b)과 결합한 제 1 액츄에이터(20)와 척(30), 램프 저장부(100), 램프 이송부(40)와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일축 로봇(10b)에 의한 불량 램프의 취출 과정을 도 3a와 3b, 3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생산공정에서 제조되는 램프(50)는 연속적으로 램프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 트(conveyor belt)와 같은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램프(50)는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램프 이송부(4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50)의 불량 여부 검사를 위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는 씨씨디 카메라(CCD camera)를 이용한 비전(vision)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램프(50) 가운데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일축 로봇(10b)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라는 하강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일축 로봇(10b)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1 액츄에이터(20)는 목표로 하는 불량 램프를 향해 하강한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에 결합된 척(chuck)(30)도 같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한다.
목표로 하는 불량 램프에 도달한 상기 척(30)은 하강을 멈춘 후, 상기 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척(30)을 벌리게 되고, 상기 램프가 상기 척(30) 내부에 들어오게 되면, 다시 상기 척(30)을 오무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램프는 상기 척(30)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는 상기 램프(50)를 상기 척(30)에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상승한다.
상기 일축 로봇(10b)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의 하단부에 결합한 상기 척(30)에 상기 램프(50)를 고정한 상태에서, 램프 저장부(100)가 위치한 곳을 향해 수평 방향 운동을 시작한다.
상기 일축 로봇(10b)은 일정 거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램프 저장부(100)가 위치한 곳의 상부 공간에 도달 한 후, 정지한다.
상기 일축 로봇(10b)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의 하단부에 결합한 상기 척(30)에 고정된 램프(50)를 상기 램프 저장부(100)에 내려놓기 위해, 일정 거리를 하강한다.
상기 일축 로봇(10b)은 일정 거리를 하강한 후, 상기 척(30)에 고정된 램프(50)를 상기 척(30)에서 분리하여, 상기 램프 저장부(100)에 내려놓는다.
상기 램프(50)를 상기 척(3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는 일정 거리를 상승하며, 상기 일축 로봇(10b)은 수평 방향으로 복귀 운동을 하여 불량 램프를 취출하기 위해 정해진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일축 로봇(10b)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에 감지된 불량 램프가 있을 경우, 상기 일축 로봇(10b)과 상기 제 1 액츄에이터(20)와 상기 척(30)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로봇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다축 로봇(10a), 램프 저장부(100), 램프 이송부(40)와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축 로봇(10a)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과정을 도 2a와 2b, 2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공정에서 제조되는 램프(50)는 연속적으로 램프를 이송하는 콘베이어 벨트(conveyor belt)와 같은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램프(50)는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램프 이송부(4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50)의 불량 여부 검사를 위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는 씨씨디 카메라(CCD camera)를 이용한 비전(vision) 검사 시스템을 이용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램프(50) 가운데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다축 로봇(10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라는 하강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다축 로봇(10a)의 수직 암(arm)(16)은 목표로 하는 불량 램프를 향해 하강한다.
상기 다축 로봇(10a)의 수직 암(arm)(16)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수직 암(16)의 하단부에 결합된 로봇의 그립부(grib)(17)도 같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한 다.
목표로 하는 불량 램프에 도달한 상기 로봇의 그립부(17)는 하강을 멈춘 후, 상기 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로봇의 그립부(17)를 일정한 폭만큼 벌리게 되고, 상기 램프가 상기 로봇의 그립부(17) 내부에 들어오게 되면, 다시 로봇의 그립부(17)를 오무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램프는 상기 로봇의 그립부(17)에 고정된다.
상기 다축 로봇(10a)의 수직 암(16)은 상기 램프(50)를 상기 로봇의 그립부(17)에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상승한다.
상기 다축 로봇(10b)은 상기 수직 암(16)의 하단부에 결합한 상기 그립부(17)에 상기 램프(50)를 고정한 상태에서, 램프 저장부(100)가 위치한 곳을 향해 수평 방향 운동을 시작한다.
이러한 로봇의 수평 방향 운동은 상기 로봇의 수평 암(arm)(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다축 로봇(10a)은 일정 거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램프 저장부(100)가 위치한 곳의 상부 공간에 도달 한 후, 정지한다.
상기 다축 로봇(10a)은 상기 로봇의 수직 암(16)의 하단부에 결합한 상기 로봇의 그립부(17)에 고정된 램프(50)를 상기 램프 저장부(100)에 내려놓기 위해, 일정 거리를 하강한다.
상기 다축 로봇(10a)은 일정 거리를 하강한 후, 상기 로봇의 그립부(17)에 고정된 램프(50)를 상기 로봇의 그립부(17)에서 분리하여, 상기 램프 저장부(100) 에 내려놓는다.
상기 램프(50)를 상기 척(30)에서 분리한 후 상기 로봇의 수직 암(16)은 일정 거리를 상승하며, 상기 다축 로봇(10a)은 상기 로봇의 수평 암(15)에 의해 수평 방향 복귀 운동을 하여 불량 램프를 취출하기 위해 정해진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다축 로봇(10a)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에 감지된 불량 램프가 있을 경우, 상기 다축 로봇(10a)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승강부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는 다음과 같다.
램프 저장부(100),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저면부(105)와 연결되는 걸림쇠(115)와, 램프(50)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200), 블록에 얹혀지는 램프(50)에 의해 상기 걸림쇠(115)를 개폐하는 램프 승강부(300), 상기 센서부(200)의 불량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 승강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램프 승강부(300)는 V 블록(310)과 제 2 액츄에이터(32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램프 승강부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에 따른 불량 램프의 취출에 대해 도 4와 도 5a, 도 5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저면부(105)와 상기 램프 승강부(300)에 얹혀지는 상기 램프(50)에 의해 개폐되는 걸림쇠(115)는 힌지(120)에 의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공정에서 제조되는 램프(50)는 콘베이어 벨트와 같은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램프(50)는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의해 각 제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램프 이송부(4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램프(50)의 불량 여부 검사를 위한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는 비전(Vision) 검사 시스템을 이용하며, 다른 방식의 검사 시스템 또는 센서도 가능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는 제 2 액츄에이터(320)와 상기 램프(50)의 고정 수단으로 이용되는 V 블록(3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서 나온 불량 감지 신호와 연동하는 램프 승강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승과 하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램프(50)의 고정 수단으로, 단면에 V자 형상이 있는 V 블록(310)을 사용함이 램프가 고정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진공에 의한 흡입 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5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에 의해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50)가 상기 램프 저장부(100)로 취출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불량으로 판단된 램프에 대해, 상기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200)는 상기 램프 승강부 제어부(미도시)에 상기 램프 승강부(300)에 상승하라는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승 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 승강부(300)는 상승을 시작한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는 상승을 계속하여 상기 램프 이송부(40)에 있는 불량 램프(50)는 상기 램프 승강부(300)를 이루는 V 블록(310)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불량 램프(50)는 상기 V 블록(310)에 형성된 V자 틈새(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에 얹혀진 램프(50)에 의해 상기 걸림쇠(115)가 회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 6a와 도 6b,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상기 V 블록(310)의 V자 틈새(미도시)에 의해 고정된 상기 램프(50)는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걸림쇠(115)의 하단면(116)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량 램프 적재 램프 저장부(100)의 저면부(105)와 상기 걸림쇠(115)는 힌지(120)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걸림쇠(115)는 한쪽 방향으로의 회동만 가능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승강부(300)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V 블록(300)의 V자 틈새(미도시)에 고정된 상기 램프(50)는 상기 걸림쇠(115)의 하단면(116)를 밀어 올린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115)는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램프 저장부 공간부(130)인 램프 저장부의 안쪽으로 회동시킨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상승부(300)의 원활한 승강과 상기 걸림쇠(115)이 상기 V 블록(300)과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쇠(115)의 길이는 상기 램프(50)의 길이 보다 작게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 승강부(300)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하여야 한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가 계속 수직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쇠(115)는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상기 공간부(130)의 안쪽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을 한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승강부(300)가 일정한 위치까지 상승한 후, 다시 수직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램프(50)는 상기 걸림쇠(115)의 상단면(117)에 놓이게 된다.
상기 램프 승강부(30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램프(50)는 상기 V 블록(300)의 V자 틈새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V 블록(300)의 V자 틈새로부터 분리된 상기 램프(50)는 자연스럽게 상기 걸림쇠의 상면부(117)를 따라서 상기 램프 저장부(100)의 램프 저장부 공간부(130)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램프 승강부(300)의 상승과 하강에 의해, 상기 램프 저장 부(100)의 걸림쇠(115)는 회동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로봇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의 실시예.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축 로봇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의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로봇이 하강하며 불량램프를 고정하는 실시예.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로봇이 상승하며 고정된 불량램프를 이동하는 실시예.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로봇에 의해 고정된 불량램프를 수평방향으로 램프 저장부로 이동하는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축 로봇이 하강하며 불량램프를 고정하는 실시예.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축 로봇이 상승하며 고정된 불량램프를 이동하는 실시예.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축 로봇에 의해 고정된 불량램프를 수평방향으로 램프 저장부로 이동하는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승강부에 의한 불량 램프 취출 장치의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저장부의 실시예.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저장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승강부가 상승하는 실시예.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승강부가 하강하는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승강부가 상승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승강부가 하강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 1에 의한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다축 로봇 10b : 일축 로봇
15 : 로봇의 수평 암(arm) 16 : 로봇의 수직 암(arm)
17 : 로봇의 그립부(grib) 18 : 로봇의 그립부 내측
20 : 제 1 액츄에이터(actuator)
30 : 척(chuck) 40 : 램프 이송부
50 : 램프 100 : 램프 저장부
105 : 램프 저장부의 저면부
110 : 램프 저장부의 측면부 115 : 걸림쇠
116 : 걸림쇠의 하단면 117 : 걸림쇠의 상단면
120 : 힌지 130 : 램프 저장부의 공간부
200 : 램프 불량 감지 센서부 300 : 램프 승강부
310 : V 블록(block) 320 : 제 2 액츄에이터

Claims (6)

  1. 램프 저장부;
    램프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램프를 상기 램프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언로딩 로봇(unloading robot);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언로딩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로봇은 수평 및 수직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로봇의 일단에는 액츄에이터(actuator)와 척(chuck)으로 이루어진 램프 취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4. 램프 저장부;
    램프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램프를 상기 램프 저장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램프 승강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램프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승강부는 블록(block)과 액츄에이터(actua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저장부의 저면부와 힌지(hinge) 연결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 승강부의 블록에 얹혀지는 램프에 의해 상기 걸림쇠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램프 취출 장치
KR20080124552A 2008-12-09 2008-12-09 불량 램프 취출장치 KR20100065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4552A KR20100065950A (ko) 2008-12-09 2008-12-09 불량 램프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4552A KR20100065950A (ko) 2008-12-09 2008-12-09 불량 램프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50A true KR20100065950A (ko) 2010-06-17

Family

ID=4236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4552A KR20100065950A (ko) 2008-12-09 2008-12-09 불량 램프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9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80A1 (ko) 2013-10-30 2015-05-0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CN109756697A (zh) * 2017-11-02 2019-05-14 上海允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机房it设备故障智能巡检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80A1 (ko) 2013-10-30 2015-05-0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CN109756697A (zh) * 2017-11-02 2019-05-14 上海允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机房it设备故障智能巡检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61B1 (ko) Led 및 웨이퍼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JP5490052B2 (ja) 表示装置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166828B1 (ko) 평판표시장치용 검사장비 및 검사 방법
KR101232157B1 (ko) Lcd 검사 장비
US74397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94305B1 (ko) 표시장치용 검사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KR102044788B1 (ko) 글라스 기판 검사 장치
CN106873195B (zh) 探针单元更换装置
US20070046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54015B1 (ko) 프로브 카드 수납 장치
WO2009125896A1 (en) Wafer testing apparatus and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KR20170004551A (ko) 제품의 분류 장치
KR20100065950A (ko) 불량 램프 취출장치
KR101720007B1 (ko) 글라스 검사장치
WO2019054345A1 (ja) 検査装置
US20130010104A1 (en) Visual inspector for inspect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visual insp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87641Y1 (ko) 엘시디 백라이트 유니트 자동검사장치
KR101042936B1 (ko) 테스트 트레이를 이용한 엘이디 테스트방법
CN101165546B (zh) 基板检查装置
KR101435750B1 (ko) Lcd 패널의 이동 및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자동 비젼 검사 장치
KR100480482B1 (ko) 제논 검사시스템의 유리 기판 로딩/언로딩장치
KR20130006405A (ko) 평판표시장치 검사장비용 다규격 패널 이송장치
KR20180015203A (ko) 액정표시패널의 양면 검사장치
KR10117845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 검사장치
KR10084157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램프 장착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 유닛용 램프 장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