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132A -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132A
KR20100065132A KR1020100048985A KR20100048985A KR20100065132A KR 20100065132 A KR20100065132 A KR 20100065132A KR 1020100048985 A KR1020100048985 A KR 1020100048985A KR 20100048985 A KR20100048985 A KR 20100048985A KR 20100065132 A KR20100065132 A KR 2010006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cavated soil
soil
mixer
sol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951B1 (ko
Inventor
신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렉스
신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렉스, 신영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렉스
Priority to KR102010004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9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처리하는 굴착토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상부에 저장되는 오탁수를 슬러리 저장조(30)로 이송하는 오탁수 분리단계;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하는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 및 주변의 지하수 및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오염된 물인 오탁수가 굴착공사 중인 바닥에 유출되어 공사장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상기 오탁수가 공사장 바닥에 유출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THE METHOD OF EXCAVATION SOIL SOLIDIFICATION}
본 발명은 각종 터널굴착 공사 중 터널굴착기에서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에 혼합되어 있는 오탁수를 분리한 후 굴착토사를 고화처리 후 반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굴착토사에서 오탁수를 분리하는 공정을 거친 후 굴착토사는 고화제를 투입하여 고화처리 후 외부로 반출하고, 오탁수에 포함된 슬러리는 응집제와 혼합한 후 고형화하여 반출하고, 오탁수에서 슬러리가 제거된 정화된 청등수는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작업수로 재활용하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터널 굴착공사 중에는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와 주변의 지하수 및 각종 장비에서 작업수로 사용된 뒤 배출되는 오염된 물인 오탁수가 굴착공사 중인 바닥에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굴착토사를 조기에 반출하기 위해서는 오탁수를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쳐 제거한 후 반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기술인 굴착토 처리 방법 및 장치에는 “버력 분리 장치 및 그 방법(등록번호:10-0908067)”, “터널 오탁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등록번호:10-0912596)”이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굴착토사를 세척공정을 통하여 세척 후 분류하여 골재로 사용하거나, 폐기물로 외부로 반출시키는데, 이 때 굴착토사는 오탁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공사장 및 주변에 누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굴착공사 중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 주변의 지하수 및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오염된 물인 오탁수가 굴착공사 중인 바닥에 유출되어 공사장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개선하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처리하는 굴착토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상부에 저장되는 오탁수를 슬러리 저장조(30)로 이송하는 오탁수 분리단계;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하는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 및 주변의 지하수 및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오염된 물인 오탁수가 굴착공사 중인 바닥에 유출되어 공사장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상기 오탁수가 공사장 바닥에 유출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전체 흐름도
도 2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설비 배치도
본 발명은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처리하는 굴착토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상부에 저장되는 오탁수를 슬러리 저장조(30)로 이송하는 오탁수 분리단계;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하는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탁수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어 슬러리 저장조(30)에 저장된 오탁수는 수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 침전후 탈수처리 방법으로 고형화하여 탈수케익 상태로 반출하고, 상기 오탁수에서 고형분이 제거된 수처리된 청등수는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작업수로 재활용하되, 상기 슬러리 저장조(20)로 이송되어 저장된 오탁수는 상기 슬러리 저장조(2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로 상기 오탁수를 교반시키며, 또한 상기 슬러리 저장조(10)에 저장된 오탁수를 상기 슬러리 저장조(10)와 연결되어 설치된 인라인믹서(40)를 통하여 응집제와 혼합시킨 후, 상기 오탁수를 상기 인라인믹서(40)와 연결된 고속침전조(50)에 통과시키는데, 이 때 상기 인라인믹서(40)를 통과하면서 응집제와 혼합된 오탁수가 플록화 되어 상기 고속 침전조(50)의 상부에는 청등수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탁수에 미세한 토사가 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된 큰 덩어리인 플록이 형성된 상태로 있게 되며, 상기 고속 침전조(50) 상부에 형성된 청등수는 상기 고속 침전조(50)에 인접하여 설치된 청등수 저장조(60)로 이송되어 저장되며, 상기 오탁수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는 압력여과기(70)로 이송되어 상기 플록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탈수하여 고형화한 후 외부로 반출하고, 상기 고속침전조(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정화된 청등수는 중화처리 공정인 PH처리 후 방류 또는 작업수로 재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는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한 후 고화제를 투입하여 고형화한 후 반출시키되,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된 굴착토사는 굴착토사에 포함된 수분의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를 함께 투입하여 혼합하며, 또한 상기 고화용 믹서기(20)에 투입된 상기 굴착토의 수분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의 투입량과 혼합 시간을 조정하며, 또한 상기 고화용 믹서기(20)에서 고화된 상기 굴착토를 배출하여 반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굴착토 고화처리 방법 전체 흐름도, 도 2는 굴착토 고화처리 방법 설비 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종 굴착기에서 발생된 굴착토사를 임시로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pit)를 만들어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는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임시로 저장하는데, 상기 굴착토사는 굴착시 발생되는 파쇄된 암반 조각과 미세한 암반가루 및 각종 흙이 지하수와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작업수로 오염된 탁한 물인 오탁수와 서로 혼합되어 반죽된 상태로 서로 엉겨 붙어 있는 상태로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피트(pit)에 저장되는데, 상부에는 상기 오탁수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굴착토가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pit)에서 상부에 저장되어 있는 오탁수를 펌프로 흡입하여 정화처리 공정으로 이송하면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pit)의 하부에는 굴착토사가 남게 되는데, 자갈, 모래, 암반가루 등이 혼합된 반죽 상태로 서로 엉겨 붙어 있는 상기 굴착토사를 상기 굴착토 저장용 구덩이(pit)에 인접하여 지면에 설치된 고화용 믹서기로 이송시킨 후 고화제와 혼합하여 고화시켜 상기 굴착토사를 고화처리 후 외부로 반출시킨다. 상기 고화용 믹서기는 굴착토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량 즉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 양을 조절하여 투입한 후 고화용 믹서기를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 하로 움직이며 고화처리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굴착토사를 완전히 고화하여 반출시킨다.
또한, 고화용 믹서기에는 콘트롤 판넬이 설치되어, 고화용 믹서기에 투입된 굴착토의 수분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의 투입량과 혼합 시간을 조정한다.
한편,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pit)의 상부에 형성된 오탁수는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pit)에 인접하여 지면에 설치되고 오탁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슬러리 저장조로 펌프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는데, 상기 슬러리 저장조 상부에는 교반용 모터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교반용 모터와 임펠러가 연결되어 상기 교반용 모터에 의하여 슬러리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오탁수를 교반시킨다. 상기 슬러리 저장조의 크기는 굴착토의 양에 따라 조정하여 설치되며, 또한 구조와 사용 방법은 현재 산업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용의 슬러리 저장용 탱크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리 저장조에는 저장된 오탁수를 응집제와 혼합하는 인라인믹서가 연결 설치되는데, 오탁수는 인라인믹서를 통과하면서 응집제와 혼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라인믹서와 응집제 또한 산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용의 것을 사용하며 응집제 투입 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하나 일례로 노즐을 이용한 관용의 분사방식으로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인라인믹서를 통과하면서 응집제와 혼합된 오탁수는 미세한 토사가 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된 큰 덩어리 토사인 플록이 형성되면서 상기 슬러리 저장조와 인접하여 지상에 설치된 고속 침전조로 이송되며, 이 때 상기 고속 침전조의 상부에는 청등수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오탁수에 미세한 토사가 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된 큰 덩어리인 플록이 형성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상기 고속 침전조 상부에 형성된 청등수는 고속 침전조에 인접하여 설치된 청등수 저장조로 이송되어 저장되며, 상기 고속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된 상태인 플록은 상기 고속 침전조와 인접하여 지상에 설치된 압력여과기로 이송되어 플록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남는 토사는 고형화하여 탈수케익 상태로 외부로 반출하고, 탈수된 여과수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로 이송되어 저장된 후 고속 침전조로 재투입되어 재차 침전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속 침전조의 상부에 형성된 청등수를 중화처리인 PH처리 후 외부로 방출하거나, 작업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청등수 저장조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굴착시 발생되는 굴착토사 및 주변의 지하수 및 각종 장비에서 나오는 오염된 물인 오탁수가 굴착공사 중인 바닥에 유출되어 공사장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상기 오탁수가 공사장 바닥에 유출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굴착토를 고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화제, 콘트롤 판넬, 고화용 믹서, 슬러리 탱크, 청등수 탱크, 고속침전조, 압력여과기(필터프레스)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관용의 장치 및 제품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지관용의 고속침전조와 압력여과기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유입관을 통해 고속침전조의 상부로 유입된 오탁수는 다수의 경사판을 통과하면서 플록을 형성하여 고속침전조 하부로 이동되어 저장되며, 플록과 분리된 청등수는 청등수 저장조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하부에 형성된 플록은 압력여과기(필터프레스)로 이동되어 고형화되어 반출된다. 압력여과기는 필터프레스라고도 통칭하며, 몇 장부터 수십 장의 거름판과 여과테를 수평으로 교대로 병렬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거름천을 끼운 다음 단단히 죄어 고정시킨다. 걸러야 할 액체를 여과테 속에 압입하게 되면, 여과액은 거름천을 통과해서 거름판 쪽으로 흐르고 찌꺼기는 거름천에 쌓인다. 압력여과기의 여과판을 죄는 동력은 보통 유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압력여과기 하부에는 콘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 고형화된 플럭을 반출한다. 상기 관용의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기술적 기재는 생략하는 바이다.
10 : 굴착토 저장용 구덩이 20 : 고화용 믹서기
30 : 슬러리 저장조 40 : 인라인 믹서
50 : 고속침전조 60 : 청등수 탱크
70 : 압력 여과기 80 : 진공펌프

Claims (3)

  1. 각종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처리하는 굴착토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사 중에 발생되는 굴착토사를 저장하는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상부에 저장되는 오탁수를 슬러리 저장조(30)로 이송하는 오탁수 분리단계;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하는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어 슬러리 저장조(30)에 저장된 오탁수는 수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 침전후 탈수처리 방법으로 고형화하여 탈수케익 상태로 반출하고, 상기 오탁수에서 고형분이 제거된 수처리된 청등수는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작업수로 재활용하되, 상기 슬러리 저장조(20)로 이송되어 저장된 오탁수는 상기 슬러리 저장조(2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로 상기 오탁수를 교반시키며, 또한 상기 슬러리 저장조(10)에 저장된 오탁수를 상기 슬러리 저장조(10)와 연결되어 설치된 인라인믹서(40)를 통하여 응집제와 혼합시킨 후, 상기 오탁수를 상기 인라인믹서(40)와 연결된 고속침전조(50)에 통과시키는데, 이 때 상기 인라인믹서(40)를 통과하면서 응집제와 혼합된 오탁수가 플록화 되어 상기 고속 침전조(50)의 상부에는 청등수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탁수에 미세한 토사가 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된 큰 덩어리인 플록이 형성된 상태로 있게 되며, 상기 고속 침전조(50) 상부에 형성된 청등수는 상기 고속 침전조(50)에 인접하여 설치된 청등수 저장조(60)로 이송되어 저장되며, 상기 오탁수에 혼합되어 있는 슬러지는 압력여과기(70)로 이송되어 상기 플록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탈수하여 고형화한 후 외부로 반출하고, 상기 고속침전조(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정화된 청등수는 중화처리 공정인 PH처리 후 방류 또는 작업수로 재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굴착토사 분리단계는 상기 굴착토사 저장용 구덩이(10) 하부에 남아 있던 굴착토사를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한 후 고화제를 투입하여 고형화한 후 반출시키되, 고화용 믹서기(20)에 이송된 굴착토사는 굴착토사에 포함된 수분의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를 함께 투입하여 혼합하며, 또한 상기 고화용 믹서기(20)에 투입된 상기 굴착토의 수분 함수비에 따라 고화제의 투입량과 혼합 시간을 조정하며, 또한 상기 고화용 믹서기(20)에서 고화된 상기 굴착토를 배출하여 반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KR1020100048985A 2010-05-26 2010-05-26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KR10103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85A KR101033951B1 (ko) 2010-05-26 2010-05-26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85A KR101033951B1 (ko) 2010-05-26 2010-05-26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132A true KR20100065132A (ko) 2010-06-15
KR101033951B1 KR101033951B1 (ko) 2011-05-11

Family

ID=4236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85A KR101033951B1 (ko) 2010-05-26 2010-05-26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53B1 (ko) * 2010-05-26 2011-05-11 신영구 굴착토사 고화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899A (ja) * 1999-12-02 2001-06-12 Hanshin Expressway Public Corp 底泥の処理装置
KR100872058B1 (ko) 2008-04-14 2008-12-05 주식회사 아이렉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슬러리 장치
KR100850257B1 (ko) * 2008-04-14 2008-08-04 주식회사 아이렉스 암반용 쉴드 공사에서 발생하는 굴착토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로 분산 및 응집하는 방법
KR101033953B1 (ko) * 2010-05-26 2011-05-11 신영구 굴착토사 고화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53B1 (ko) * 2010-05-26 2011-05-11 신영구 굴착토사 고화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951B1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6658A (zh) 一种黑臭河道底泥的原地清洗、回用设备及方法
CN211676669U (zh) 盾构渣土处理系统
KR100872058B1 (ko)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슬러리 장치
KR100850257B1 (ko) 암반용 쉴드 공사에서 발생하는 굴착토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로 분산 및 응집하는 방법
KR100327749B1 (ko) 하천오니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33953B1 (ko) 굴착토사 고화처리 장치
CN106977073B (zh) 生态清淤集成系统
KR101033951B1 (ko) 굴착토사 고화처리 방법
JP4593259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
JP2003334533A (ja)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KR20050034668A (ko)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100639042B1 (ko) 준설퇴적물의 정화시스템
JP2001062330A (ja) 土木泥水泥土の処理方法
CN212609938U (zh) 一种tbm施工隧洞污水处理系统
JP5080734B2 (ja) 泥水処理方法、泥水処理装置及び泥水処理用海藻ペースト
CN209940567U (zh) 一种物理化学凝聚法污水处理装置
KR20080015907A (ko) 준설선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공법
JPH0290911A (ja) 泥水処理装置
CN201648086U (zh) 一种泥水处理装置
KR101066959B1 (ko) 폐수 처리 장치
CN217528676U (zh) 一种适用于复合污染土壤的多级异位淋洗修复装置
CN115448557B (zh) 一种清淤河道底泥的处理系统及方法
JPH10183683A (ja) 建設汚泥の減容化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256984A (ja) 泥水工法における二次処理土の改善方法及び泥水処理施設
JP4761180B2 (ja) 廃棄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