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194A -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194A
KR20100062194A KR1020080120660A KR20080120660A KR20100062194A KR 20100062194 A KR20100062194 A KR 20100062194A KR 1020080120660 A KR1020080120660 A KR 1020080120660A KR 20080120660 A KR20080120660 A KR 20080120660A KR 20100062194 A KR20100062194 A KR 2010006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ir conditioner
cover
circuit board
ty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형주
김강영
윤주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2194A/ko
Publication of KR2010006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공기흡입부 및 공기토출부가 전면 이외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설치된 운전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아가 공기조화기의 작동 및 정지를 할 수 없게 하고, 운전 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가 편리하다.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프론트 패널, 운전스위치, 홀더

Description

스탠드형 공기조화기{Stand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운전스위치를 설치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바, 최근에는 공기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를 본체의 전면 이외의 부분에 설치하고, 본체의 전면에는 설치되는 공간의 미감을 위해서 디자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상의 일체감을 형성하거나, 디자인상의 이유로 공기조화기의 외관에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고, 리모컨만으로 공기조화기를 작동하도록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컨을 분실하거나 일시적으로 리모콘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및 정지를 입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운전 스위치를 본체에 설치를 하더라도 유아가 조작을 하역공기조화기를 작동 및 정지를 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운전 스위치가 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서 본체를 분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운전스위치를 구비하여, 유아가 공기조화기의 작동 및 정지를 할 수 없게 하고, 운전 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공기흡입부 및 공기토출부가 전면 이외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설치된 운전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장식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커버를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운전스위치를 보호하는 스위치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스위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커버에는 상기 버튼을 홀더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커버의 상부의 일부는 함몰 형성되고, 상기 버튼홀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은 장식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커버를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운전스위치가 결합되는 운전스위치 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스위치는 상부에 스위치가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설치부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설치부 및 상기 회로기판 설치부에 상부에 형성된 버튼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설치부는 상기 회로기판 설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운전스위치를 구비하여 유아가 임의 로 공기조화기를 동작 및 정지시킬 수 없다.
둘째,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운전스위치가 구비되어, 운전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서 본체를 분리하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운전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운전스위치가 노출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상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고, 디자인상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상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1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이다. 즉 본체(2)는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 및 공기토출부는 본체의 전면 이외의 부분에 설치된다.
프론트 패널(100)은 본체(2)의 전면 전방에 설치되어 본체의 전면을 덮는다. 프론트 패널(100)은 본체(2)의 전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면에 설치된 후, 회전되면서 본체의 전면을 개방할 수도 있고, 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공기흡입부 또는 공기토출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100)의 상부에는 운전스위치(20)가 설치된다. 운전스위치(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작동 및 정지시킨다. 그리고 운전스위치(20)를 통한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실내온도, 풍량 등의 운전모드는 기설정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스위치(20)가 프론트 패 널(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가 공기조화기의 작동 및 정지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100)은 본체에서 분리가 용이하고, 운전스위치(20)의 고장시 본체(2)를 분리하여 수리를 하지 않고, 프론트 패널(100)만을 분리하여 수리를 할 수 있다.
도3는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으프론트 패널의 상부 확대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운전스위치의 결합후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의 상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3내지 도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100)은 프론트 커버(10), 프론트 프레임(70) 및 홀더(30,40,50,60)을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10)은 프론트 패널(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는 장식부가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70)은 프론트 커버(10)의 배면에 설치되어 프론트 커버(10)를 지지한다. 프론트 프레임(70)의 상부에는 운전스위치(20)가 결합되는 운전스위치 설치부(73,74,75)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편, 운전스위치(20)는 회로기판(21) 및 회로기판(21)에 설치된 스위치(23) 및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25)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 스위치 설치부(73,74,75)는 회로기판(21)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설치부(73) 및 버튼 설치부(75)를 포함한다.
회로기판 설치부(73)은 프론트 프레임(70)의 배면에 회로기판(21)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21)의 좌측 끝단이 삽입되 면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후면과 우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과 회로기판(21)의 우측끝단이 삽입되면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후면과 좌측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이 회로기판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버튼 설치부(75) 또한 후술하는 버튼(25)의 지지리브(25b)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 설치부(73)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버튼(25)는 스위치(23)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 버튼 설치부(75)는 회로기판 설치부(73)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운전스위치 설치부(73,74,75)는 회로기판(21)을 고정시키는 고정후크(74)를 더 포함한다. 고정후크(74)는 회로기판 설치부(73)의 하부에 설치된다. 고정후크(74)는 프론트 프레임(70)이 배면에서 회로기판(21)의 전, 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후크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리고 회로기판(21)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회로기판(21)을 고정한다.
한편, 프론트 프레임(70)에는 컨트롤박스(80)가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71)가 개구 형성된다. 컨트롤 박스(80)에는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형성되고, 리모컨의 신호는 프론트 커버(10) 및 개구 형성된 컨트롤 박스 설치부(71)를 통하여 컨트롤 박스(80)의 리모컨 수신부로 입력된다.
컨트롤 박스 설치부(71)의 일측에는 컨트롤 박스(80)의 일측이 삽입되는 홈(7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 설치부(71)의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80)의 타측이 걸리면서 결합되는 후크(7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 박스(80)의 일측을 홈(71a)에 끼우고 컨트롤 박스(80)의 타측을 후크(71b)에 걸면서 컨트롤 박스(80)을 컨트롤 박스 설치부(71)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프레임(70)의 배면 중 컨트롤 박스 설치부(71)와 회로기판 설치부(73)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전선 등을 고정하는 고정돌기(7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80)를 본체 내부의 형성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하는 전선 등을 고정하는 고정돌기(72b)도 형성된다.
운전 스위치(20)는 회로기판(21) 및 회로기판(21)에 설치된 스위치(23) 및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25)을 포함한다. 스위치(23)는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탯스위치(23)가 사용된다.
버튼(25)은 누름부(25a), 탄성부(25c), 탄성홀(25d) 및 지지리브(25b)를 포함한다.
누름부(25a)는 외력에 의해서 상하방향 이동하면서 스위치(23)에 압력을 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누름부(25a)는 탄성부(25c)와 탄성홀(25d)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되면서 탯스위치(23)에 압력을 가하고,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25c)와 탄성홀(25d)에 의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리브(25b)는 버튼(25)을 버튼 설치부(75)에 고정을 하면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탄성부(25c)와 탄성홀(25d)이 상하이동을 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30,40,50,60)는 프론트 커버(10)와 프론트 프레임(70)을 결합한다. 홀더(30,40,50,60)는 상, 하,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프론트 커버(10)와 프론트 프레임(70)을 상, 하, 좌, 우측에서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각 홀 더(30,40,50,60)는 프론트 커버(10)와 프론트 프레임(70)의 둘레부를 둘러싸면서 양자를 결합시킨다. 결국 각 홀더(30,40,50,60)는 프론트 패널(10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운전스위치(20)는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스위치(20)는 프론트 프레임(70)의 상부에 설치가 되고,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100)의 상부를 통하여 누름부(25a)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누름부(25a)는 테두리부를 통과하여 노출이 되어야 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홀더(60)를 통하여 누름부(25a)가 상부 홀더(60) 외부로 노출이 되어야 한다.
상부 홀더(60)는 프론트 커버(10)와 프론트 프레임(70)의 상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홀더(60)에는 프론트 프레임(70)의 상부에 형성되는 운전스위치(20)를 보호하는 스위치 커버(6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스위치 커버(62)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상부 홀더(60)의 배면 중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운전 스위치(20)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스위치 커버(62)의 상면에는 버튼홀(6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버튼(25)의 누름부(25a)는 버튼홀(64)를 통하여 스위치 커버(62)의 외부로 노출이 된다. 결국 사용자는 스위치 커버(62)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25a)에 외력을 가하여 눌려서 공기조화기를 작동을 시키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커버(62)의 후면에는 고정후크 회피부(66)가 돌출 형성된 다. 고정후크 회피부(66)는 스위치 커버(62)가 고정후크(74)를 회피하면서 운전 스위치(20) 전체를 덮으면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스위치 커버(62)의 상부의 일부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도7참조). 그리고 버튼홀(64)는 상기 함몰 형성된 부분(62a)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보았을 때 본체(2)의 상부에 누름부(25a)가 노출되지 않아서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의 외관의 일체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커버의 상부의 함몰 정도는 누름부(25a)가 버튼홀(64)를 통하여 노출되는 높이보다 깊게 함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상부의 부분사시도;
도3는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으프론트 패널의 상부 확대사시도;
도5는 도4의 운전스위치의 결합후의 사시도;
도6은 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의 상부 후방 사시도;
도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프론트 패널의 상부 후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10: 프론트 커버
20: 운전스위치 21: 회로기판
23: 스위치 25: 버튼
25a: 누름부 25b: 지지리브
25c: 탄성부 25d: 탄성홀
30,40,50,60: 홀더 62: 운전스위치 커버
64: 버튼홀 66: 고정후크 회피부
70: 프론트 프레임 71: 컨트롤 박스 설치부
72: 고정돌기 73: 회로기판 설치부
74: 고정후크 75: 버튼 설치부
80: 컨트롤 박스 100: 전면패널

Claims (7)

  1. 실내에 세워져 설치되고, 공기흡입부 및 공기토출부가 전면 이외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측 테두리부에 설치된 운전스위치;
    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장식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커버를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운전스위치를 보호하는 스위치 커버가 형성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운전스위치는 상기 운전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커버에는 상기 버튼을 상기 스위치 커버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홀이 형성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커버의 상부의 일부는 함몰 형성되고,
    상기 버튼홀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장식부를 갖는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커버를 지지하는 프론트 프레임 및 프론트 커버와 프론트 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운전스위치가 결합되는 운전스위치 설치부가 형성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5에 있어서,
    운전스위치는 상부에 스위치가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 스위치 설치부는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설치부 및 상기 회로기판 설치부에 상부에 형성된 버튼 설치부를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설치부는 상기 회로기판 설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후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20080120660A 2008-12-01 2008-12-01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20100062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60A KR20100062194A (ko) 2008-12-01 2008-12-01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60A KR20100062194A (ko) 2008-12-01 2008-12-01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94A true KR20100062194A (ko) 2010-06-10

Family

ID=4236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660A KR20100062194A (ko) 2008-12-01 2008-12-01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32A (ko)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132A (ko) 2017-02-02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3339B2 (ja) 天井ユニット
KR20100062194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175512B2 (ja) ショーケース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KR100814026B1 (ko) 공기조화기
JP2002034686A (ja) キッチンユニット
KR101861669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KR20080055464A (ko) 공기조화기
JP4339496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66178A (ko) 공기조화기
KR101827134B1 (ko) 조명 조절 구조의 조립식 컴퓨터 책상
JP2008298382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KR20080026811A (ko) 공기조화기
KR101339518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3335A (ko) 공기조화기
JP2000205596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JP2007051822A (ja) 空気調和機
KR10110575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설치구조
CN101482296A (zh) 空调机
JP201706731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0088790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장치
JP2003310401A (ja) ショーケース
JP5342476B2 (ja) 表示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30027235A (ko) 공기조화기용 디스플레이 기판 안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