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11A -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11A
KR20100059211A KR1020080117899A KR20080117899A KR20100059211A KR 20100059211 A KR20100059211 A KR 20100059211A KR 1020080117899 A KR1020080117899 A KR 1020080117899A KR 20080117899 A KR20080117899 A KR 20080117899A KR 20100059211 A KR20100059211 A KR 2010005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moving frame
unit glass
zone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11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211A/ko
Publication of KR2010005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마더 글래스 패널이 놓여지는 브레이킹 존 벨트,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픽업패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회전방향 앞쪽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픽업패드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픽업패드로부터 이송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을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이동 프레임 및 픽업패드의 이동경로가 매우 짧아지게 되어 총 택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 패널, 이동 프레임, 픽업패드, 브레이킹 존 벨트, 컨베이어, 보조, 택 타임

Description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FEEDING APPARATUS OF UNIT GLASS PANEL USING SECONDARY CONVEYOR}
본 발명은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라이빙 공정과 브레이킹 공정이 완료된 후 단위 글래스 패널을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용되는 LCD나 유기EL패널, 무기EL패널,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마더 글래스 패널(Mother Glass Panel, 또는 "모 기판"이라 함)을 소정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마더 글래스 패널의 절단공정은, 마더 글래스 패널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등으로 이루어진 공구를 이용하여 마더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과, 상기 마더 글래스 패널에 형성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중심으로 절단하는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을 포함한다.
이 경우, 스크라이빙 장치에 의해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진 글래스 패널은 스 크라이빙 영역의 스크라이빙 존 벨트(Scribing Zone Belt)로부터 브레이킹을 위해 브레이킹 영역의 브레이킹 존 벨트(Braking Zone Belt)로 이송된다.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는 메시형의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에서 브레이킹이 완료되면 마더 글래스 패널로부터 절단된 단위 글래스 패널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하,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로부터 단위 글래스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종래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를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마더 글래스 패널(1)이 놓여지는 브레이킹 존 벨트(3),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브레이킹 존 벨트(3)의 회전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4)과, 상기 이동 프레임(4)에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픽업패드(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에 의하면, 브레이킹 존 벨트(3) 위에 얹혀져서 브레이킹이 완료된 단위 글래스 패널(2)을 각각 픽업패드(5)가 하나씩 흡착하여 배출 컨베이어(6)로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 이동 프레임(4)은 브레이킹 존 벨트(3)의 회전방향, 즉 배출 컨베이어(6)를 향해 이동하고 픽업패드(5)는 이동 프레임(4)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 컨베이어(6)에 단위 글래스 패널(2)을 얹혀놓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에 따르면, 마더 글래스 패널(1)로부터 절단된 모든 단위 글래스 패널(2)을 위치가 정해져 있는 배출 컨베이어(6)로 이송해야 하므로 단위 글래스 패널(2)을 모두 이송하기 위한 이동 프레임(4)의 총 이송거리가 크고, 또한 그 이송속도도 정해져 있으므로 택 타임(Tact Time)이 길어져 생산성 향상에 제약이 있다.
특히, 대형 마더 글래스 패널에서 다수의 단위 글래스 패널이 생산되는 6세대 이상의 LCD용 마더 글래스 패널의 경우에는 택 타임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라이빙 공정과 브레이킹 공정이 완료된 후 브레이킹 존 벨트에서 픽업패드로 픽업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을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 및 픽업패드의 이동경로를 대폭 줄여서 총 택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는,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마더 글래스 패널이 놓여지는 브레이킹 존 벨트;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픽업패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회전방향 앞쪽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픽업패드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픽업패드로부터 이송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을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픽업패드는, 마더 글래스 패널의 임의의 코너에 인접한 단위 글래스 패널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첫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보조 컨베이어 위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첫째 열에서 마지막 단위 글래스 패널의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 글래스 패널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둘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이송하는 작업을 마지막 열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또한,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 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공정과 브레이킹 공정이 완료된 후 브레이킹 존 벨트에서 픽업패드로 픽업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을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 및 픽업패드의 이동경로가 매우 짧아지게 되어 총 택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100)는,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마더 글래스 패널(10)이 놓여지는 브레이킹 존 벨트(30),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40), 상기 이동 프레임(40)에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픽업패드(50),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회전방향 앞쪽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60) 및, 상기 픽업패드(50)와 브레이킹 존 벨트(30)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픽업패드(50)로부터 이송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20)을 배출 컨베이어(60)로 이송시키는 보조 컨베이어(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프레임(40)은 픽업패드(40)가 이동하는 크로스 바(Cross Bar)와, 상기 크로스 바의 양단에 컬럼이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컬럼은 상기 크로스 바의 양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도중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41)을 따라 이동 프레임(40)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프레임(40)에 볼 나사와 같은 나사식 이송수단(42)을 연결하고 상기 나사식 이송수단(42)을 모터(43)로 구동하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40) 상의 픽업패드(50)도 모터(미도시) 및 나사식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컨베이어(70)가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단위 글래스 패널(20)을 상기 배출 컨베이어(60)로 배출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 컨베이어(60)는 보조 컨베이어(7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조 컨베이어(70)가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단지 픽업패드(50)가 단위 글래스 패널(20)을 보조 컨베이어(70)에 올려놓는 동작에 의해 배출이 완료되기 때문에 택 타임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컨베이어(70)는 픽업패드(50)와 브레이킹 존 벨트(30) 사이에 설치되는데 마더 글래스 패널(10)이 진입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보조 컨베이어(70)가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식 이송수단(71)과 모터(72)를 설치하는 경우 브레이킹 존 벨트(30)의 상면으로부터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보조 컨베이어(70)의 길이는 마더 글래스 패널(10)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픽업패드(50)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70) 위에 얹혀지는 순간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브레이킹 존 벨트(30)에서 브레이킹 공정이 완료되면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다수개 얻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100)에 의해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배출 컨베이어(60)로 이송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에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이동 프레임(40)과 픽업패드(50)가 함께 작동하여 픽업패드(50)가 이송 대상(對象)인 단위 글래스 패널(20) 위로 이동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프레임(40)은 브레이킹 존 벨트(30)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픽업패드(50)는 이동 프레임(40)의 이동방향과 직각인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이송 대상인 단위 글래스 패널(20)은 보조 컨베이어(7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는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컨베이어(70)와 각 단위 글래스 패널(20)의 상대적 위치가 별도의 감지수단(미도시)에 의해 감지되고, 이와 같이 감지된 값이 제어부에 입력되어 단위 글래스 패널이 이송대상인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다음, 상기 픽업패드(50)는 이송대상 단위 글래스 패널(20)를 흡착 등의 방 식으로 인상한 후 이동 프레임(40)을 따라 이동하여 보조 컨베이어(70)로 운반한다.
이때, 상기 보조 컨베이어(70)는 픽업패드(50)에 인접한 위치에서 계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픽업패드(50)에 의해 올려진 단위 글래스 패널(20)은 곧바로 배출 컨베이어(60)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어부에 의해 또 다른 이송 대상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결정되면 위와 같은 과정이 되풀이되어 배출 컨베이어(60)로 연속 이송된다.
도 3에는 보조 컨베이어(70)가 일측에 있어서 타측에 배치된 단위 글래스 패널(20)을 이송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컨베이어(70)는 항상 픽업패드(50)와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이동하게 된다.
한편, 타측의 단위 글래스 패널(20)이 모두 배출된 경우에는, 일측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이송하기 위해 픽업패드(50)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보조 컨베이어(7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를 이용할 경우 택 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픽업패드(50)는, 마더 글래스 패널(10)의 임의의 코너(C)에 인접한 단위 글래스 패널(20a)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첫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보조 컨베이어(70) 위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첫째 열에서 마지막 단위 글래스 패널(20b)의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 글래스 패널(20c)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40)의 이동방향을 따라 둘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이송하는 작업을 마지막 열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픽업패드(50)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면 최단 시간에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작업이 완료되므로 택 타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종래구조 및 글래스 패널의 이송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패드의 바람직한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
10... 마더 글래스 패널
20... 단위 글래스 패널
30... 브레이킹 존 벨트
40... 이동 프레임
50... 픽업패드(pick-up pad)
60... 배출 컨베이어
70... 보조 컨베이어
100...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Claims (3)

  1.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마더 글래스 패널이 놓여지는 브레이킹 존 벨트;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픽업패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회전방향 앞쪽에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픽업패드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픽업패드로부터 이송된 각 단위 글래스 패널을 배출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보조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패드는, 마더 글래스 패널의 임의의 코너에 인접한 단위 글래스 패널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첫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보조 컨베이어 위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첫째 열에서 마지막 단위 글래스 패널의 브레이킹 존 벨트의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 글래스 패널로부터 시작하여 이동 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둘째 열의 단위 글래스 패널을 차례로 이송하 는 작업을 마지막 열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KR1020080117899A 2008-11-26 2008-11-26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KR20100059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99A KR20100059211A (ko) 2008-11-26 2008-11-26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899A KR20100059211A (ko) 2008-11-26 2008-11-26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11A true KR20100059211A (ko) 2010-06-04

Family

ID=4236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899A KR20100059211A (ko) 2008-11-26 2008-11-26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2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688A (zh) * 2018-05-29 2018-10-09 海宁酷彩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印花自动送料装置
CN109019025A (zh) * 2018-08-28 2018-12-18 杜鑫 一种建筑安装用玻璃转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688A (zh) * 2018-05-29 2018-10-09 海宁酷彩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印花自动送料装置
CN109019025A (zh) * 2018-08-28 2018-12-18 杜鑫 一种建筑安装用玻璃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95B1 (ko)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JP4957453B2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WO2002057192A1 (ja) 分断装置および分断システム
JPH09307286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397487B1 (ko) 분단 장치
JP2019197815A (ja) 搬送装置、実装装置、搬送方法
JP4922863B2 (ja) 表面実装装置
JP6349548B2 (ja) 部品実装ライン及び部品実装装置並びに部品実装方法
KR20100059211A (ko) 보조 컨베이어를 이용한 단위 글래스 패널의 이송장치
JP2011091288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5447992B2 (ja) 基板分断装置
JP5721071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基板製造方法
WO2012046494A1 (ja) 電子部品実装機
CN107185896B (zh) 板边清洗系统
JP4494910B2 (ja) 表面実装装置
JP4626368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US9943020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H076311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6086073B2 (ja) 搬送装置
JP5304919B2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20120034295A (ko) 글래스 패널의 스크라이빙 방법
JP5832960B2 (ja) アイドル装置
JP6435669B2 (ja) 基板加工装置
JP2002271091A (ja) 実装機
JP4772636B2 (ja) 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