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460A - 유체 펌프 - Google Patents

유체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460A
KR20100058460A KR1020107002743A KR20107002743A KR20100058460A KR 20100058460 A KR20100058460 A KR 20100058460A KR 1020107002743 A KR1020107002743 A KR 1020107002743A KR 20107002743 A KR20107002743 A KR 20107002743A KR 20100058460 A KR20100058460 A KR 2010005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pump
housing
pump
flui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지코 콜리크
페터 쾨플러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5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13Cooling the contr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에서 흐르게 할 매체를 위한 공급부(Z)를 구비한 흡입측(S) 및 흐르게 할 매체를 배출시키는 토출측(D)을 포함하는 유체 펌프에 관한 것이다. 흡입측(S) 및 토출측(D)은 구동 가능한 임펠러(4)를 통해 유체역학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하우징(1)의 토출측(D)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a) 그리고 공급부(Z)의 영역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1b)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유체 채널(2)은 그 열이 방출되는 부품(3)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냉각수 펌프로서의 유체 펌프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펌프{FLUID PUMP}
본 발명은 유체 펌프 및 유체 펌프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유체 펌프는 이미 알려져 있다.
독일 공개 특허 공보 DE 103 47 302 A1에는 유체역학적으로 최적화 설계된 원심 펌프용 투피스형 나선형 하우징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 펌프는 일반적으로 전동식으로 구동되며, 전동 모터의 고정자는 건조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자는 습식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자는 이송시킬 유체로 채워진 습식 공간에서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유체 펌프에서는 가동 중에 가열되는 부품에서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상응하는 냉각장치가 배치되지만, 이 장치로 인해 유체 펌프의 설치 공간이 확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부품으로부터 열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는 유체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펌프의 상응하는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유체 펌프를 통해 달성되는데, 이 유체 펌프는 하우징에서 흐르게 할 매체를 위한 공급부(Z)를 구비한 흡입측(S) 및 흐르게 할 매체의 배출을 발생시키는 토출측(D)을 포함하며, 흡입측(S) 및 토출측(D)은 구동 가능한 임펠러를 통해 유체역학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하우징의 토출측(D)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공급부(Z)의 영역에 있는 입구가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유체 채널은 그 열이 배출되는 부품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흐르는 매체로서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체 펌프로서 예를 들어 축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 가능한 임펠러를 통해 흡입측(S)과 분리된 토출측(D)은 유체역학적으로 이 임펠러의 후단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통해 흐르게 할 매체의 부분 흐름이 배출되며 이 부분 흐름은 부품의 열배출에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설계적 조치를 통해 유체역학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판 또는 편향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 목적에서 하나의 단일 출구 및 하나의 단일 입구 및 단 하나의 유체 채널을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유체 채널도 구조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채널은 예를 들어 횡단면에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예를 들어 유체 펌프의 구동을 위한 전동 모터 둘레를 감싼다. 유체 채널에서 흐름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입구 사이의 차압을 통해 유지된다. 놀랍게도 부품에 정체된 열이 유체 펌프의 구조적 형상을 통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배출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거의 완전히 필요치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위한 단지 적은 추가적 설치 공간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필요한 추가적 설치 공간은 유체 펌프에 전체 소요 공간과 비교하면 거의 아무런 의미를 갖지 않는다. 유체 채널의 치수 결정과 관련하여 증발냉각을 통해 예를 들어 유체 펌프 내에서 직접 열배출이 구현되도록 구조적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냉각 수단이 전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부품으로서 유체 펌프의 가동을 위한 전자 부품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유체 펌프는 전동 모터로 구동되며 전동 모터의 제어 및 가동에 필요한 그 전자 부품은 가동 중에 가열된다. 이 유체 펌프에서는 전자 부품에서부터 유체 채널에서 연속적으로 흐르는 유체의 일부로의 직접적인 연속적 열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유체 펌프가 원심 펌프로서 형성되며 하우징으로서 나선형 하우징이 배치된다. 다양한 사용 목적에서 원심 펌프는 유체 펌프로서 그 성능이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도 이로써 흐르게 할 매체의 일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의 배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건조 공간(T) 내에 배치된 고정자와 연결되고 습식 공간(N) 내에 배치된 회전자와 임펠러가 결합되며 건조 공간(T)과 그를 감싸는 하우징 부분 사이에 또는 직접 그를 감싸는 하우징 부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이 배치되며 부품이 원심 펌프의 임펠러 대응측 정면에 배치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과 열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경우 유체 채널이 직접 유체 펌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설치 공간의 추가적인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부품을 원심 펌프의 임펠러 대응측 정면에 배치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과 접촉시키는 것은 열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유체 채널을 상응하게 공학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원심 펌프의 이 정면에서 증발냉각의 조절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냉각수 펌프로서의 유체 펌프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차량 냉각수 펌프는 장기간 고장 없이 작동해야 하며 상응하는 열배출을 통하여 전자 부품의 손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에서 냉각수 펌프로서 유체 펌프의 사용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부품으로부터 열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는 유체 펌프를 제공하는 효과와 또한 유체 펌프의 상응하는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그리고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면은 유체 펌프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유체 펌프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체 펌프는 하우징(1)에서 흐르게 할 매체를 위한 공급부(Z)를 구비한 흡입측(S) 및 흐르게 할 매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측(D)을 포함한다. 흡입측(S) 및 토출측(D)은 구동 가능한 임펠러(4)를 통해 유체역학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하우징(1)의 토출측(D)에서는 출구(1a) 그리고 공급부(Z)의 영역에서는 입구(1b)가 유체 채널(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유체 채널(2)은 그 열이 방출되는 부품(3)과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부품(3)은 유체 펌프의 가동을 위한 전자 부품이다. 유체 펌프는 원심 펌프로서 형성되며 하우징(1)으로서 나선형 하우징이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4)는 습식 공간(N) 내에 배치된 회전자(5)와 연결되며 이 회전자는 건조 공간(T) 내에 배치된 고정자(6)와 연결되어 있다. 유체 채널(2)은 건조 공간(T)과 그를 감싸는 하우징 부분(7)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서 유체 채널(2)을 그를 감싸는 이 하우징 부분(7) 내에 직접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도시되지 않음). 부품(3)은 원심 펌프의 임펠러(4) 대응측 정면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유체 채널(2)과 열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예를 들어 원심 펌프의 이 정면에서 증발냉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송할 매체 전체는 공급부(Z)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유체 펌프의 흡입측(S)에 도달한다. 흡입측(S)과 토출측(D) 사이의 차압으로 인해 흐르게 할 매체의 일부가 출구(1a)를 통해 유체 채널(2)을 거쳐 공급부(Z)의 영역에 있는 입구(1b)로 흐른다. 흐름 방향은 파선 화살표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펌프 내에서 일종의 냉각 회로가 형성되며, 이 회로를 통해 부품(3)에 정체된 열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전혀 필요치 않게 된다.
1 하우징
1a 출구
1b 입구
2 유체 채널
3 부품
4 임펠러
5 회전자
6 고정자
7 하우징 부분
Z 공급부
S 흡입측
D 토출측
N 습식 공간
T 건조 공간

Claims (5)

  1. 하우징(1)에서 흐르게 할 매체를 위한 공급부(Z)를 구비한 흡입측(S) 및 흐르게 할 매체의 배출을 발생시키는 토출측(D)을 포함하는 유체 펌프로서, 흡입측(S) 및 토출측(D)은 구동 가능한 임펠러(4)를 통해 유체역학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하우징(1)의 토출측(D)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출구(1a) 및 공급부(Z)의 영역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입구(1b)가 최소한 하나의 유체 채널(2)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유체 채널은 그 열이 배출되는 부품(3)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펌프의 가동을 위한 전자 부품이 부품(3)으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펌프가 원심 펌프로서 형성되며 하우징(1)으로서 나선형 하우징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건조 공간(T) 내에 배치된 고정자(6)와 연결되며 습식 공간(N) 내에 배치되는 회전자(5)와 임펠러(4)가 연결되며 건조 공간(T)과 그를 감싸는 하우징 부분(7) 사이에 또는 직접 그를 감싸는 하우징 부분(7) 내에 최소한 하나의 유체 채널(2)이 배치되며 부품(3)이 원심 펌프의 임펠러(4) 대응측 정면에 배치되고 여기에서 최소한 하나의 유체 채널(2)과 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5. 차량 냉각수 펌프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펌프의 사용.
KR1020107002743A 2007-08-02 2008-06-27 유체 펌프 KR201000584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6240.6 2007-08-02
DE102007036240A DE102007036240A1 (de) 2007-08-02 2007-08-02 Flüssigkeitspum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60A true KR20100058460A (ko) 2010-06-03

Family

ID=3994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43A KR20100058460A (ko) 2007-08-02 2008-06-27 유체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71284A1 (ko)
JP (1) JP5174907B2 (ko)
KR (1) KR20100058460A (ko)
DE (1) DE102007036240A1 (ko)
WO (1) WO200901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3872B1 (it) * 2009-04-22 2012-05-11 Ansaldo Ricerche S P A Sistema di raffreddamento per motore elettrico ad alta densita' volumetrica di potenza, in particolare motore elettrico a flusso assiale
DE102012212423A1 (de) 2012-07-16 2014-01-16 Mahle International Gmbh Flüssigkeitspumpe
DE102012220448A1 (de) * 2012-11-09 2014-06-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r Temperaturregelung
ES2868892T3 (es) * 2013-01-25 2021-10-22 Daikin Ind Ltd Dispositivo de fluido
DE102014205930A1 (de) * 2014-03-31 2015-10-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 Maschine
CN107288929A (zh) * 2016-04-11 2017-10-24 广东顺德思客乐施电器科技有限公司 区分叶轮腔和加热腔的洗碗机水泵
EP3488672B1 (en) * 2016-07-20 2021-10-20 Stackpole International Engineered Products, Ltd. Pump assembly having integrated controller and motor with internal active cooling
DE102018219253A1 (de) * 2018-11-12 2020-05-14 KSB SE & Co. KGaA Elektromotor
CN111120339B (zh) * 2019-12-26 2020-10-13 江苏盐邦泵业制造有限公司 一种卧式水泵
LU101956B1 (de) * 2020-07-27 2022-01-27 Wilo Se Kreiselpum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2729C3 (de) * 1986-12-13 1997-05-07 Grundfos Int Pumpenaggregat zur Förderung von Flüssigkeiten oder Gasen
JPH05187385A (ja) * 1992-01-09 1993-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ポンプ
DE19639098A1 (de) * 1996-09-24 1998-03-26 Wilo Gmbh Motorpumpe mit gekühltem Frequenzumformer
US5997261A (en) * 1997-10-31 1999-12-07 Siemens Canada Limited Pump motor having fluid cooling system
GB2388404B (en) * 2002-05-09 2005-06-01 Dana Automotive Ltd Electric pump
DE10347302A1 (de) 2003-10-08 2005-05-12 Siemens Ag Spiralgehäuse für eine Kreiselpumpe
DE102005034341A1 (de) * 2005-07-22 2007-01-25 Ksb Aktiengesellschaft Tauchmotorpumpe mit Kühlman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5957A1 (de) 2009-02-05
EP2171284A1 (de) 2010-04-07
JP5174907B2 (ja) 2013-04-03
DE102007036240A1 (de) 2009-02-05
JP2010535305A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8460A (ko) 유체 펌프
US8147216B2 (en) Motor-pump unit
KR101601099B1 (ko) 냉각수 유동 통로를 갖는 전동식 워터 펌프
US6986648B2 (en) Electric pump
JP6630385B2 (ja) 駆動装置の冷却構造
US9197115B2 (en) Electric machine cooling
CN107453551B (zh) 带有增强的空气冷却的具有切向结构的电机
US8920138B2 (en) Motor pump unit
US20210408871A1 (en) Electric Motor
US7694775B2 (en) Power steering gear cooling
WO2015159723A1 (ja) 電動ポンプ
KR20100058463A (ko) 유체 펌프
JP7029437B2 (ja) 内部能動冷却機能付きコントローラおよびモータ内蔵ポンプアセンブリ
JP2006233836A (ja) ポンプ
KR101120696B1 (ko) 부품으로부터 열을 배출시키는 장치
CN110863981B (zh) 模块化电机泵单元
JP2019529803A (ja) 共通の冷却装置を有するスクリュコンプレッサならびに電気モータを含む、商用車のためのシステム
CN113196635A (zh) 具有湿式电机的循环泵
WO2023030623A1 (en) Electrical automotive side-channel fluid pump
WO2023237203A1 (en) Electric fluid pump
CN117940676A (zh) 液压单元
KR19980048777U (ko) 파워스티어링 오일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