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410A -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 Google Patents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410A
KR20100058410A KR1020090113580A KR20090113580A KR20100058410A KR 20100058410 A KR20100058410 A KR 20100058410A KR 1020090113580 A KR1020090113580 A KR 1020090113580A KR 20090113580 A KR20090113580 A KR 20090113580A KR 20100058410 A KR20100058410 A KR 20100058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ryostat
superconducting
ferromagnetic materia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922B1 (ko
Inventor
라이너 소이카
마크 슈템레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10005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203Permanent superconducting devices comprising high-Tc ceram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0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superconducting apparatus, e.g. coils, lines,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도체(1)와 초전도 스크린(3)으로 이루어진 초전도 케이블(SK)을 구비하며, 상기 초전도 스크린은 유전체(2)를 사이에 넣은 상태로 상기 초전도 도체를 둘러싸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서로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금속 튜브(4, 5)로 이루어진 저온유지장치(KR)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과 상기 저온유지장치 사이에는 냉매가 지나가는 자유공간(FR)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금속 튜브 사이에는 진공 절연부(6)가 형성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에 있어서, 강자성 물질의 밀폐된 튜브 층(7, 8)이 케이블(S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스크린(3)의 외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 층은 상기 저온유지장치(KR)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도체, 스크린

Description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ARRANGEMENT HAVING A SUPERCONDUCTIVE CABLE}
본 발명은, 초전도 도체와 초전도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초전도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초전도 스크린은 유전체를 사이에 넣은 상태로 상기 초전도 도체를 둘러싸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냉매가 지나가는 자유공간이 중간에 포함된 상태에서 서로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금속 튜브로 이루어진 저온유지장치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두 개의 금속 튜브 사이에는 진공 절연부가 형성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국제특허공보 WO 03/052775 A1).
현대 기술에 의하면 초전도 케이블은,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초전도 상태에 들어갈 수 있는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체를 갖고 있다. 충분히 냉각을 함으로써, 특정 전류 강도를 초과하지 않는 한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도체의 전기 DC 저항은 0이 된다. 적절한 세라믹 물질의 예로서 이트륨-바륨-구리 산화물(YBCO: yttrium-barium-copper oxide) 또는 비스무트-스트론튬-칼슘-구리 산화물(BiSCCO(bismuth-strontium-calcium-copper oxide)을 들 수 있다. 물질을 초전도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있어서 충분히 낮은 온도는 예를 들어 67K 내지 110K 정도가 된다. 적절한 냉매로서는 질소, 헬륨, 네온, 및 수소, 또는 이들을 혼합한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국제특허공보 WO 03/052775 A1에서는, 냉각 유전체를 갖는 초전도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이 케이블은 튜브형 캐리어 상에 형성된 내측 도체와 이와 동심으로 배열된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 도체와 스크린은 유전체(절연부)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호 분리되어 있다. 내측 도체와 스크린은 예를 들어 YBCO 또는 BiSCCO와 같은 초전도 물질의 밴드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밴드들은 서로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부를 둘러싸고 긴 피치로 감겨 있다. 이러한 공지의 초전도 케이블은 섭동이 없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동안 초전도 도체의 자기장을 초전도 스크린이 외부에서 차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스크린은 임피던스를 바꾸어 도체의 자기장이 더 이상 완전히 차단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단락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과열로 인한 연소)될 뿐만 아니라, 저온유지장치의 외부에서 전자기 섭동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구조체에 있어서 단락이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저온유지장치의 외부에서도 전자기 섭동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강자성 물질의 밀폐된 튜브 층이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스크린 외부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강자성 물질은 상대 투자율 μx이 10 보다 큰 모든 물질이다. 단락이 발생한 경우, 케이블의 스크린은 스크린(차단) 기능을 거의 상실한다. 따라서, 바깥에 배열된 강자성 물질의 층은 케이블의 도체가 생성하는 자기장으로 들어가게 되어, 직접적으로 도체의 인덕턴스를 크게 증가시키게 되고, 즉 전기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체에 흐르는 단락 전류가 뚜렷하게 그리고 급속히 제한된다. 이에 따라 강력한 단락 전류에 의해 종래의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가열현상은 감소된다. 다른 단락 전류를 제한하는 효과는 초전도 케이블이 AC 케이블일 때 강자성 물질의 층에서 발생하는 재자화 손실에 의해 더욱 증가된다. 강자성 물질은 또한 케이블의 도체의 자기장을 외부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저온유지장치의 외부에 위치된 장치에 대해서 전자기 섭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나아 가, 부근에서 케이블의 상(phase)에 작용하는 힘도 감소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자성 물질의 층이 저온유지장치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온유지장치의 외측 튜브 자체가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은 상대 투자율 μx을 갖는 물질이 바람직하게 강자성 물질로 사용된다. 높은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갖는 물질 또는 낮은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갖는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단락 발생시 요구되는 케이블 반응에 따라 결정된다. 모든 금속 물질과 같이, 강자성 물질의 층은 또한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띤다. 따라서, 강자성 물질의 층은 케이블의 도체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AC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에디 전류 및 자기 히스테리시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은 저온유지장치의 외부에서 발생하고, 따라서 케이블 자체 및 냉매는 가열되지 않는다. 그 결과 가열이 감소하기 때문에, 다시 냉각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케이블은 보다 신속하게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될 수 있다. 가열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구조체의 여러 요소에 대해 가해질 수 있는 기계적인 응력도 또한 줄어들게 된다. 마지막으로, 냉매도 강자성 층의 가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단락 전류가 감소되므로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도 약간만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냉각 시스템의 구조도 또한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매우 낮은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갖는 물질이 강자성 물질의 층에 대해 사용 되면, 이 층은 케이블의 도체가 일으킬 수 있는 AC 장에 의해 아주 조금만 가열될 것이다. 이러한 물질은 높은 상태 투자율 μx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의 경우, 특히, 강자성 물질의 층은 저온유지장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의 스크린을 직접 둘러싸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케이블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저온유지장치의 내측 튜브는 강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락 및 전자기 섭동현상이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상이한 두 개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구조체는 초전도 케이블(SK)과 이를 둘러싸는 저온유지장치(KR)로 구성되어 있다. 저온유지장치(KR)는 또한 자유공간을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자유공간을 통해 작동중에 질소와 같은 냉매가 공급된다.
초전도 케이블(SK)은 초전도 도체(1)와, 초전도 도체를 둘러싸고 절연부의 역할을 하는 유전체(2)와, 유전체 위에 배치된 초전도 스크린(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온유지장치(KR)는 서로 동심원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금속 튜브(4, 5)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이 튜브는 강철로 구성되며, 저온유지장치(KR)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저온유지장치(KR)의 내측 튜브(4)와 외측 튜브(5) 사이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진공 절연부(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강자성 물질의 밀폐된 튜브 층(7)이 저온유지장치(KR)의 외측 튜브(5) 상에 형성되어 있다. 튜브 층(7)은 구조물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튜브(5)의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싼다. 따라서, 튜브 층(7)은 밀폐된 튜브형태의 덮개(shell)가 된다. 튜브 층은 구조물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단락시, 케이블(SK)의 스크린(3)은 스크린(차단) 기능을 거의 잃게 된다. 외부에 형성된 강자성 물질의 튜브 층(7)이 케이블(SK)의 도체(1)가 생성하는 자기장내로 들어가게 되어, 직접적으로 도체(1)의 인덕턴스의 증가를 유발시키게 되고, 즉 전기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체(1)에 흐르는 단락 전류가 뚜렷하게 그리고 급속히 제한된다. 단락 전류에 의해 케이블(SK)과 주변부가 가열되는 현상은 상대적으로 줄게 되고, 따라서 단락을 해결한 후에 구조물을 다시 냉각시키는데 드는 에너지 소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강자성 물질의 튜브 층(7)은 외부적으로 도체(1)의 자기장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저온유지장치(KR)의 외부에 배치된 장치에 대해 전자기적 섭동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초전도 케이블(SK)이 AC 케이블인 경우에는, 강자상 물질의 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자화 손실(remagnetization losses)로 인해, 단락 전류를 제한하는 효과 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튜브 층(7)은 예를 들어 튜브(5)를 둘러싸면서 가장자리가 서로 겹치는(overlapping edges) 형태로 감겨 있는 마그네펌(Magneperm)과 같은 강자성 물질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물질은 50 Hz에서 μx=450,000 인 상대 투자율(permeability)을 갖는다. 튜브 층(7)은 또한 이러한 물질로 된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밴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밴드는 겹치는 지점이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방식으로 튜브(5)를 완전히 둘러싼다.
강자성 물질의 층두께는 0.1m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강자성 물질의 상대 투자율 μr은 10 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강자성 물질은 높은 상대 투자율 μx 을 갖는 특성이 있다. 이와 별개로, 강자성 물질은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을 갖고 있는데, 이는 B-H 다이어그램 상에서 둘러싸여 있는 영역으로 제공된다. 상대 투자율과 히스테리시스 손실의 크기는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상대 투자율 μx 와 히스테리시스 손실 사이에는 어떠한 상호관련성도 없다.
튜브 층(7)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고, 도 1에 나타난 구조를 변형시킨 실시예로서, 저온유지장치(KR)의 실제 외측 튜브(5)가 예를 들어 50 Hz에서 μx=1000 인 상대 투자율을 갖는 강철과 같은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니켈과 철의 합금이 소량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실시예에서 중요한 점은, 강유전성 물질로 된 층이 초전도 스크 린(3)의 외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층으로서 형성되어 단락이 발생할 경우 도체(1)의 자기장 내에 놓여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강유전성 물질의 층은 저온유지장치(KR)의 내부에 배열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스크린(3) 외부에 형성되는 튜브 층(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튜브 층(8)의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아주 조금만 가열이 되도록 매우 낮은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갖는 물질이 사용된다. 튜브 층(8)은 스크린(3)과 동일한 전위(potential)로 접속될 수 있다. 튜브 층(8)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저온유지장치(KR)의 내측 튜브(4)를 강자성 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저온유지장치(KR) 내부에 있는 강자성 물질에 의해, 도 1의 구조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도체(1)내 흐르는 단락 전류가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Claims (7)

  1. 초전도 도체와 초전도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초전도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초전도 스크린은 유전체를 사이에 넣은 상태로 상기 초전도 도체를 둘러싸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서로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금속 튜브로 이루어진 저온유지장치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과 상기 저온유지장치 사이에는 냉매가 지나가는 자유공간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금속 튜브 사이에는 진공 절연부가 형성되어 있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에 있어서, 강자성 물질의 밀폐된 튜브 층(7, 8)이 케이블(S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스크린(3)의 외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물질의 상대 투자율은 10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물질의 튜브 층(7)은 저온유지장치(KR)의 외측 튜브(5)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유지장치(KR)의 외측 튜브(5)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물질은 저온유지장치(KR)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 물질의 튜브 층(8)은 스크린(3)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유지장치(KR)의 내측 튜브(4)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KR1020090113580A 2008-11-24 2009-11-23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KR101590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291104.1 2008-11-24
EP08291104A EP2202761B1 (de) 2008-11-24 2008-11-24 Anordnung mit einem supraleitfähigen Ka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10A true KR20100058410A (ko) 2010-06-03
KR101590922B1 KR101590922B1 (ko) 2016-02-02

Family

ID=4040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580A KR101590922B1 (ko) 2008-11-24 2009-11-23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8877B2 (ko)
EP (1) EP2202761B1 (ko)
KR (1) KR101590922B1 (ko)
AT (1) ATE505798T1 (ko)
DE (1) DE502008003201D1 (ko)
DK (1) DK22027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6676A1 (de) * 2010-09-02 2012-03-07 Nexans 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supraleitfähigen Kabel
WO2014137422A1 (en) * 2013-03-08 2014-09-12 Rolls-Royce North Americantechnologies, Inc. Aircraft and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n aircraft electrical load
CN109065257A (zh) * 2018-08-27 2018-12-2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双层电磁屏蔽高温超导电缆
WO2022108820A1 (en) 2020-11-18 2022-05-27 VEIR, Inc. Conductor systems for suspended or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s
AU2021381889A1 (en) 2020-11-18 2023-06-08 VEI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of superconducting power transmission lines
AU2021381750A1 (en) 2020-11-18 2023-06-08 VEIR, Inc. Suspended superconducting transmission lin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4577B1 (en) * 1988-08-11 1996-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US4966142A (en) * 1989-06-30 1990-10-30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Method for electrically joining superconductors to themselves, to normal conductors, and to semi-conductors
US6448501B1 (en) * 1998-03-30 2002-09-10 Mcintyre Peter M. Armored spring-core superconducting cab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AU2002222365A1 (en) 2001-12-17 2003-06-30 Pirelli & C S.P.A. Electric power transport system comprising a cold dielectric sup erconducting cable
JP4880229B2 (ja) 2005-01-31 2012-02-22 株式会社ワイ・ワイ・エル 超伝導送電ケーブル及び送電システム
EP1865516B1 (de) * 2006-06-07 2013-04-10 Nexans System mit einem supraleitfähigen 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5798T1 (de) 2011-04-15
KR101590922B1 (ko) 2016-02-02
US20100279874A1 (en) 2010-11-04
EP2202761B1 (de) 2011-04-13
EP2202761A1 (de) 2010-06-30
DK2202761T3 (da) 2011-07-25
US8588877B2 (en) 2013-11-19
DE502008003201D1 (de)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2152B2 (ja) 超伝導ケーブルを備える装置
JP4620637B2 (ja) 抵抗型超電導限流器
JP3984303B2 (ja) 高温超伝導体及び該高温超伝導体の使用法
US7598458B2 (en) Super-conductive cable
US8112135B2 (en) Superconductive electrical cable
CN101136266B (zh) 具有超导性电缆的系统
KR101590922B1 (ko) 초전도 케이블을 갖는 구조체
US8304650B2 (en) Arrangement for current limiting
JP2011238613A (ja) 超伝導ケーブルを有する伝送システム
JP2006313924A (ja) 高温超電導コイル、これを用いた高温超電導マグネットおよび高温超電導マグネットシステム
KR20090129979A (ko) 초전도 코일 및 그것에 이용되는 초전도 도체
JPH0523485B2 (ko)
EP1275122A1 (en) A superconducting transformer
JP2011134921A (ja) 超電導磁石
KR101620495B1 (ko) 전류 제한 장치
US3766502A (en) Cooling device for superconducting coils
JP2010272745A (ja) 超電導コイル及び超電導マグネット装置
KR100742499B1 (ko) 자기 차폐형 초전도 케이블 코아 및 이를 구비하는 초전도케이블
JP2011113757A (ja) 超伝導ケーブルを備える装置
US980651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erconductive cable
Kosaki et al. Development and tests of extruded polyethylene insulated superconducting cable
JPH08125242A (ja) 永久電流スイッチ
Hillmann et al. Coil performance of multifilamentary Nb 3 Sn conductors
JPH01276706A (ja) 化合物超電導コイル
JPS5857886B2 (ja) 超電導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