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889A -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889A
KR20100056889A KR1020080115886A KR20080115886A KR20100056889A KR 20100056889 A KR20100056889 A KR 20100056889A KR 1020080115886 A KR1020080115886 A KR 1020080115886A KR 20080115886 A KR20080115886 A KR 20080115886A KR 20100056889 A KR20100056889 A KR 2010005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levator
movement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운학
Original Assignee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산아이엠티 filed Critical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to KR102008011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889A/ko
Publication of KR2010005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승강기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설치공간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와,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가이드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풀리와, 상기 승강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와이어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풀리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 설치공간, 이동가이드, 고정가이드

Description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A Falling Prevention System for A Stacker Crane Elevator}
본 발명은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이상발생으로 인한 규정속도 이상으로 승강기가 과속으로 승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건축물의 고층화에 따라 쉽게 공간을 이동할 목적으로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승강기는 유익한 시설로 이용되기는 하나 추락사고 및 안전사고 등을 항상 고려하여 유지 관리되어야 한다.
종래의 승강기에 사용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파지하는 클램프타입의 레일 브레이크가 통상 이용되고 있어, 구동용 와이어 로프가 끊어지는 결과로서 승강기가 추락할 때 승강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은 승강기의 이동경로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포스트(2)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와이어(4)가 끊어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6)의 작용에 의해 마찰판(8) 이 상승하여 상기 포스트(2)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승강기가 하강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승강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므로, 승강기 제작시 전체적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스트가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설치할 수 있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기 전체 시스템의 구조가 작아지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은, 승강기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설치공간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와,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가이드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풀리와, 상기 승강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와이어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풀리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 풀리, 이동가이드, 고정가이드, 탄성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면, 서로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바에 상기 체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마찰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얇은 판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에 추락 방지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어, 승강기 전체 시스템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얇은 판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에 추락 방지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어, 승강기 전체 크기가 작아지고 특히 상기 추락 방지 시스템이 작게 설치될 수 있어, 승강기 제작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은, 승강기(E)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고 내부에 설치공간(12)이 마련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설치공간(12)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커지도록 경사면(20a)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20)와, 상기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면(30a)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30)와, 상기 이동가이드(3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몸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풀리(42)와, 상기 승강기(E)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와이어(W)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풀리(42)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가이드(30)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30)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체인(44)과, 상기 승강기(E)의 이동경로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3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플레이트(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에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기(E)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기(E)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마련된다. 상기 설치공간(12)은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소정의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승강기(E)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설치공간(12) 내부에는 고정가이드(2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치공간(12)의 내측벽에 수직으로 상기 고정가이드(20)가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가이드(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일측면 즉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가이드(30)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경사면(20a)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2)의 내부에는 이동가이드(3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가이드(20)의 내측에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일측면 즉 상기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진 경사면(3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고정가이드(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고정가이드(20)의 반대 방향으로 즉 상기 설치공간(12)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아래에서 설명될 플레이트(P)에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P)는 상기 승강기(E)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기(E)의 이동경로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P)는 상기 설치공간(12)을 관통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플레이트(P)는 상기 이동가이드(3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30)는 상기 설치공간(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P)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30)의 일측면(30b)이 상기 플레이트(P)와 접촉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플레이트(P)와 접촉되는 면(30b)에는 마찰판(3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판(32)은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플레이트(P)에 접촉될 때, 접촉되는 면(30b)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30)에는 탄성부재(40)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이동가이드(30)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탄성재질의 어떤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스프링들을 들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30)의 하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풀리(42)가 마련된다. 상기 풀리(42)는 상기 몸체부(10)의 어디에도 구성될 수 있으나 다만 상기 이동가이드(30) 또는 상기 이동가이드(30)를 이동시키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바(50)과 동일한 위치 또는 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해야 한다. 이는 상기 풀리(42)를 통하여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탄성부재(40)의 힘을 역으로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에는 체인(44) 이 마련된다. 상기 체인(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44a)이 상기 승강기(E)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와이어(W)와 연결되고, 타단(44b)이 상기 이동가이드(30)에 연결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체인(44)은 상기 구동와이어(W)와 상기 이동가이드(30)를 연결하면서, 상기 풀리(42)를 경유하게 된다. 상기 풀리(42)를 경유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44)에 의해 상기 구동와이어(W)의 장력이 상기 이동가이드(30)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40)가 상기 이동가이드(3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힘보다 크므로 상기 이동가이드(30)는 상기 장력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플레이트(P)에서 이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풀리(42)는 상기 이동가이드(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인(44)에 의해 감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풀리(42)가 설치공간(12)의 내측벽 방향 즉 상기 플레이트(P)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가이드(30)가 하방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P)에서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에서 고정가이드(20), 이동가이드(30), 탄성부재(40), 풀리(42), 체인(44)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P)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제동력을 더욱 높아져 시스템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3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3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30)와 결합되어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가이드바(50)에 결합될 때,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플레이트(P)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50)가 마련되면, 상기 이동가이드(3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인(44)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바(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추락 방지 시스템에는 가이드롤러(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P)의 양면에 회전가능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30)와 상기 고정가이드(20)가 접촉되면 부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30) 또는 상기 고정가이드(20) 어느 일측에 롤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기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승강기(E)가 구동와이어(W)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다가, 구동와이어(W)가 절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추락 방지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와이어(W)가 절단되면, 체인(44)의 일단(44a)을 상방으로 끌던 힘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체인(44)의 타단(44b)이 풀리(42)에 의해 이동가이드(30)를 하방으로 끌리던 힘이 제거되면서, 탄성부재(40)가 탄성회복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가 탄성회복하게 되면, 상기 체인(44)에 의해 하방으로 지지되던 이동가이드(3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30)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바(50)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회복으로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가이드(30)의 경사면(30a)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20)의 경사면(20a)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가이드(30)는 상기 고정가이드(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레이트(P) 방향으로 밀착되게 된다. 상기 이동가이드(30)가 완전히 상기 고정가이드(20)의 상방으로 위치되면, 상기 이동가이드(30)의 일측면(30b)은 상기 플레이트(P)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상기 승강기(E)는 정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30)가 상기 플레이트(P)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승강기(E)는 더욱 안정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이 작동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도 4의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이 작동한 모습을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2: 설치공간
20: 고정가이드 30: 이동가이드
32: 마찰판 40: 탄성부재
42: 풀리 44: 체인
50: 가이드바 60: 가이드 롤러

Claims (6)

  1. 승강기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설치공간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풀리;
    상기 승강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와이어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풀리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풀리, 이동가이드, 고정가이드, 탄성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가이드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바에 상기 체인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안내되도록 가이드롤러가 더 마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방향에 마찰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0080115886A 2008-11-20 2008-11-20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KR20100056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86A KR20100056889A (ko) 2008-11-20 2008-11-20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86A KR20100056889A (ko) 2008-11-20 2008-11-20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89A true KR20100056889A (ko) 2010-05-28

Family

ID=4228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86A KR20100056889A (ko) 2008-11-20 2008-11-20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8451A (zh) * 2022-07-24 2022-09-27 湖北工业大学 一种具有断裂保护功能的建筑升降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8451A (zh) * 2022-07-24 2022-09-27 湖北工业大学 一种具有断裂保护功能的建筑升降设备
CN115108451B (zh) * 2022-07-24 2023-02-28 湖北工业大学 一种具有断裂保护功能的建筑升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108946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levator safety brake
WO2017094102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640331B2 (en)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US10059567B2 (en) Traveling cable sway prevention
JPWO2006054328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64856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922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764927B2 (en) Elevator
JP580975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4315839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用管制装置
KR20100056889A (ko) 스택커 크레인 승강기의 추락 방지 시스템
EP1748017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JP5189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2008094606A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79681B1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JP427005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73389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620406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16849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016011179A (ja) 戸開走行防止装置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WO2011125206A1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振幅抑制装置及び管制運転装置
JP622994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