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878A -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878A
KR20100055878A KR1020080114770A KR20080114770A KR20100055878A KR 20100055878 A KR20100055878 A KR 20100055878A KR 1020080114770 A KR1020080114770 A KR 1020080114770A KR 20080114770 A KR20080114770 A KR 20080114770A KR 20100055878 A KR20100055878 A KR 2010005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image forming
conveying pat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인
서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5878A/ko
Priority to US12/542,022 priority patent/US20100123906A1/en
Publication of KR2010005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2Attaching image data to computer messages, e.g. to e-m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송경로, 반송경로, 양면인쇄, 팩스기기

Description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MULTI-LINE FACSIMILE MACHIN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회선 팩스기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사용회선별로 출력되는 문서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선 팩스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 기능, 팩스 기능, 스캔 기능 및 인쇄 기능 중 적어도 둘 이상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이하 '복합기'라 함)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근래, 각종 정보기기의 네트워크화가 진전되고 처리하는 정보량이 증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입출력 정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급지트레이 및 배지트레이에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배지트레이에 대해 말하면, 대량의 배지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수 개의 배지트레이를 가질 수도 있고 출력되는 문서에 따라 배지트레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게 하는 것이 있다. 또한 배지트레이에 적재용량 보다 많은 양의 문서가 출력되는 경우 다른 배지트레이로 전환하여 문서를 출력하거나 팩스 또는 복사 기능별로 배지트레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있다.
한편, 현재 개발되고 있는 중대형 복합기에서는 다중회선 팩스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단일회선 팩스와 비교할 때 다중회선 팩스에서는 예컨데 A회선, B회선 등 각각의 회선으로부터 받은 문서는 별도의 소터(Sorter)등의 후처리장치(finisher)가 없다면 사용회선에 관계없이 섞어서 배출되게 된다. 만약 소터 등의 후처리장치가 있다면, 이를 통해 사용회선별로 출력물을 분류하여 서로 다른 배지트레이로 상기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회선별로 출력물을 분류하여 배출해야 하는 이유는 중대형 복합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용/사용의 두가지 회선 또는 내선/외선의 두가지 회선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거나, 2이상의 부서에서 복합기 한대를 공용으로 쓰는 상황에서 부서마다 사용회선이 각각 할당된 경우 사용회선별, 즉 부서별로 출력물을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사 및 인쇄 등의 사용량이 많지 않는 환경 또는 여러 사용자 또는 부서가 공용으로 복합기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후처리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후처리장치가 설치된 고급 모델의 복합기를 구매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기에 후처리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출력물을 사용회선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기가 필요하다.
또한, 단일회선 팩스기기가 장착된 복합기에 있어서도 인쇄물과 팩스 출력물의 구별이 가능한 복합기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 기에 후처리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출력물을 사용회선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단일회선 팩스기기가 장착된 복합기에 있어서도 인쇄물과 팩스 출력물의 구별이 가능한 복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지반송경로는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양면인쇄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팩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에 대한 양면인쇄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팩스기기는 2회선을 갖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팩스기기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양면인쇄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킨 제2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팩스기기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킨 제2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인쇄기능, 복사기능 및 팩스기능 중 적어도 2이상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과는 다른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양면인쇄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기 양면인쇄경로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인 화상형성장치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각 회선별로 문서를 출력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팩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팩스기기(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팩스기기는, 팩스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대방 팩스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팩스통신부(도시 안됨)와,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이하, 간략히 "용지"라고도 함)에 수신된 팩스정보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도 2의 60 참조)와, 송신용 용지 상의 화상을 독출하기 위하여 스캔을 수행하는 스캔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이와 같은 팩스기기의 화상형성부 및 스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등의 용도로 활용 가능한, 이른바 복합기와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팩스기기(도시 안됨)는 2이상의 회선을 가지며, 이들 2이상의 회선을 통해서는 상호 독립적으로 팩스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팩스기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100)는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통해 팩스정보를 수신받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팩스정보의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 하기 위한 배출부(도 2의 20 참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장착하고 있어 각 회선을 통해 수신된 2이상의 팩스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부(60)를 통해 2이상의 용지 상에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부(20)를 통해 배출된다. 예컨데, 회선A를 통해 수신된 팩스정보와 회선B를 통해 수신된 팩스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에서 각각 용지 상에 인쇄된 후 배출되는데(이하,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인쇄물"이라고도 함), 상기 회선A를 통해 수신된 팩스정보에 기초한 인쇄물과 상기 회선 B를 통해 수신된 팩스정보에 기초한 인쇄물은 사용자 편의성 측면을 볼 때 상기 배출부(20)에서 구별되도록 적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팩스정보의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도 2의 10 참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급지부(10)는 급지될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용지급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출부(20)는 배출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용지배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용지(도 2의 P 참조)를 급지하는 용지급지함(도 2의 10 참조)과 화상이 형성된 상기 용지(P)를 배지하는 용지배지함(도 2의 20 참조)을 각각 1개씩 가진 화상형성장치(100)로서, 후술할 용지반송경로(도 2의 C 참조), 예컨데 용지 양면인쇄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용지(P)를 배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회선별 인쇄물을 상기 하나의 용지배지함(도 2의 20 참조)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100)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용지(P)의 인쇄경로인 이송경로(A) 및 반송 경로(C)를 나타낸다. 먼저, 화상형성장치(100)의 용지이송경로(A)를 설명한다. 용지이송경로(A)는 예컨대 용지(P)의 단면 인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부(10)에 적재된 용지(P)를 픽업하는 픽업롤러(7)와, 픽업된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롤러(23, 28)와, 용지(P) 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는 가열롤러(41) 및 가압롤러(42)와, 용지(P)의 배지를 위하여 용지(P)를 감지하는 배지센서(44)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배지하는 한 쌍의 배지롤러(6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부(60)는 화상데이터에 기초한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32)와, 용지(P)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롤러(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지부(10)에 적재된 용지(P)는 픽업롤러(7) 및 이송롤러(23, 28)를 통해 한장씩 화상형성부(60)로 이송된다. 상기 용지(P)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담지체(32) 및 전사롤러(66)에 의해 그 한쪽 면, 즉 상담지체(32)와 대향하는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이 형성된 상기 용지(P)는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로 이루어진 정착기를 통해 토너 화상이 용지(P)에 고착화된 후 배지센서(44) 및 한쌍의 배지롤러(63,64)를 통해 배출부(20)에 배출된다. 종합하면 단면 인쇄의 경우에는 상기 용지(P)가 용지이송경로(A), 즉 인쇄경로를 통해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된다.
다음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용지반송경로(C)를 설명한다. 용지반송경로(C)는 용지이송경로(A)와는 다른 이송경로로서, 예컨대 용지(P)의 양면 인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P)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플래퍼(54)와, 용지반송경로(C)를 따라 용지(P)를 이송하는 역이송롤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상기 배지롤러(63,64)가 역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상기 용지(P)를 상기 배출부(20)에 배출하지 않고 역이송롤러(70) 측으로 역이송한다. 즉, 상기 배지롤러(63,64)의 역방향 구동 및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플래퍼(54)를 통해 상기 용지(P)는 역이송롤러(70)가 위치한 용지반송경로(C), 즉 양면인쇄경로 진입한다. 그 후 상기 용지(P)는 다시 상기 용지이송경로(A)로 합류하게 되는데, 상기 용지(P)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60)의 상류 측 지점(이송롤러(28) 부근)으로 이동된다. 상기 용지이송경로(A)로 진입한 상기 용지(P)는 상기 화상형성부(60)를 통해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한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정착기(41,42) 및 배지롤러(63,64)를 거쳐 상기 배출부(20)에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이러한 용지이송경로(A) 및 용지반송경로(C)의 특성을 이용하여, 배출부(20)에 용지(P)를 적재할 때 2개의 회선에 대하여 화상이 형성된 용지(P)의 면(이하, "인쇄면"이라고도 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배출부(20)에의 적재 시 2개의 회선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대해서는 용지(P)의 인쇄면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회선에 대해서는 용지(P)의 인쇄면이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방향의 경우, 배출부(20)에서의 적재 시 사용자의 관점에서 용지(P)의 인쇄면이 보이지 않게 아래로 향하도록 적재되고, 제2방향의 경우, 용지(P)의 인쇄면이 보이게 위로 향하도록 적재될 수 있다.
만일, 용지이송경로(A)를 통해 용지(P)의 어느 한면에 화상을 형성하고, 바로 용지(P)를 배출부(20)에 적재하면, 용지(P)의 인쇄면의 방향은 통상적인 단면 인쇄의 경우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지(P)가 용지이송경로(A)에서 그 한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용지반송경로(C)를 통해 상기 화상형성부(60)로 재진입했을 때, 상기 화상형성부(60)에서 상기 용지(P)의 다른 한면에 화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면 상기 배출부(20)에 배지된 상기 용지(P)의 인쇄면의 방향은 통상적인 단면 인쇄의 경우와는 반대가 된다.
이와 같이 용지이송경로(A) 및 용지반송경로(C)를 이용하면 배출부(20)에 배출된 용지 인쇄면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배출부(20)를 가진 화상형성장치(100)라도 인쇄물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회선별로 수신된 팩스 출력물을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용지반송경로(C)를 이용하여 하나의 배출부(20)에서 인쇄면의 방향을 바꾸어 배출한다면 사용자는 팩스 출력물이 어떤 회선을 통해 온 것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회선A를 통해 수신된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P)가 상기 급지부(10),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고, 회선B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P)가 상기 급지부(10)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A)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C),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 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도록 제어하면, 회선A를 통한 팩스 출력물은 도 2를 기준으로 그 인쇄면이 아래로 향한 상태(제1방향)로 배출부(20)에 배출되고 회선B를 통한 팩스 출력물은 그 인쇄면이 위를 향한 상태(제2방향)로 배출부(20)에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팩스 출력물이 어떤 회선을 통해 출력된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양면 인쇄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상기 인쇄면의 방향에 따른 사용자 인지가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팩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에 대한 양면인쇄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양면인쇄기능의 비활성화의 경우, 용지이송경로(A) 및 용지반송경로(C)의 어느 경로를 이용하든지 용지(P)의 한면에만 팩스정보의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팩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고자 하고자 하는 등 아래의 방법을 통해 회선의 구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배출부(20)에 용지(P)를 적재할 때 2개의 회선에 대하여 용지(P)에 형성되는 화상의 회전각도를 서로 상이하도록 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배출부(20)에의 용지(P) 적재 시 2개의 회선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대해서는 용지(P)에 형성되는 화상의 회전각도가 제1각도가 되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회선에 대해서는 용지(P)에 형성되는 화상의 회전각도가 제1각도와는 다른 제2각도가 되도록 한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는, 회선A를 통한 팩스정보에 대해서는 팩스정보의 화상을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하는 한편, 회선B를 통한 팩스정보에 대해서는 원화상에 대하여 180도 회전된 화상을 용지(P)에 형성하도록 한다.
용지(P)의 양면 인쇄의 경우, 회선A를 통한 팩스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도 2의 30 참조)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회선B를 통한 팩스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예컨데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킨 제2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면, 배출부(20)에 배출된 팩스출력물이 어떤 회선을 통해 출력된 것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팩스 이미지정보의 내용은 그림, 사진과 같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예에서는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그 외의 각도, 예컨데 90도 로 회전시킨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상술한 양면 인쇄 뿐만 아니라 단면 인쇄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면 인쇄의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용지반송경로(C)를 통과할 필요는 없고 용지이송경로(A), 즉 인쇄경로만 통과하면 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정보의 방향을 바꾸어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외에, 회선A으로부터 수신한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가 급지부(10), 용지이송경로(A) 및 양면인쇄경로(C)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고, 회선B로부터 받은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가 상기 급지부(10),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C)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 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A), 상기 양면인쇄경로(C)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선B를 통한 팩스 출력물은 상기 회선A를 통한 팩스 출력물에 비해 한번더 양면인쇄경로(C) 및 용지이송경로(A)를 거치게 됨으로써, 회선B를 통한 팩스 출력물은 도 2를 기준으로 두번째 페이지가 인쇄된 면이 위를 향하게 되지만 회선A를 통한 팩스 출력물은 첫번째 페이지가 인쇄된 면이 위를 향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팩스 출력물이 어떤 회선을 통해 출력된 것인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팩스기기에서의 회선 구별 방법은 상기 각 회선별 팩스 출력물의 구별 뿐만 아니라 팩스, 인쇄 및 복사기능별 출력물 구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출력물이 팩스를 통해 받은 문서인지 인쇄명령을 통해 출력된 문서인지 아니면 복사명령을 통해 출력된 문서인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10),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과는 다른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10)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A)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C),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도록 하면 된다.
또는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10),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10)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A)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C), 상기 용지이송경로(A) 및 상기 배출부(20)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회선 식별 방법 내지 기능 식별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각 실시예에서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픽업롤러(7), 이송롤러(23, 28), 가열롤러(41), 가압롤러(42), 배지센서(44), 배지롤러(63,64) 및 화상형성부(6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ROM과 같은 비휘발성메모리(도시 안됨)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RAM과 같은 휘발성메모리(도시 안됨)와, 휘발성메모리에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각 회선별로 문서를 출력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 내의 용지의 이송경로 및 반송경로를 나타낸다.

Claims (9)

  1.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반송경로는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 록 하는 양면인쇄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에 대한 양면인쇄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기기는 2회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팩스기기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양면인쇄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킨 제2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팩스기기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이미지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180도 회전시킨 제2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장치.
  7. 인쇄기능, 복사기능 및 팩스기능 중 적어도 2이상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과는 다른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2이상의 회선을 갖는 팩스기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며, 상기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양면인쇄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제1 회선으로부터 수신한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고,
    상기 2이상의 회선 중 상기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부터 받은 팩스정보를 상기 용지의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양면인쇄경로를 거치면서 그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기 양면인쇄경로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인쇄기능, 복사기능 및 팩스기능 중 적어도 2이상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 치로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화상형성부가 위치하고 상기 급지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연장되는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용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류 측에 위치한 상기 용지이송경로 상의 일지점까지 연장되는 용지반송경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기능 또는 복사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화상이 형성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팩스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용지는 상기 급지부 및 상기 용지이송경로를 거치면서 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용지반송경로, 상기 용지이송경로 및 상기 배출부를 차례로 거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14770A 2008-11-18 2008-11-18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00055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770A KR20100055878A (ko) 2008-11-18 2008-11-18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542,022 US20100123906A1 (en) 2008-11-18 2009-08-17 Facsimile machine with multiple lin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770A KR20100055878A (ko) 2008-11-18 2008-11-18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878A true KR20100055878A (ko) 2010-05-27

Family

ID=4217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770A KR20100055878A (ko) 2008-11-18 2008-11-18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23906A1 (ko)
KR (1) KR20100055878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7573B1 (en) * 1999-12-03 2011-01-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image-form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020191B2 (ja) * 2001-09-21 2007-12-12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3211748A (ja) * 2001-11-09 2003-07-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3906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47350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における排紙制御方法
JP2020108036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57327A (ja) シート再利用システム、消色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
US642152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hift stacking discharged sheet bundle
US2007009135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9047269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316787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0534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method of transporting documen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2020120193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47596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における排紙制御方法
JP3902985B2 (ja) 画像形成装置
US9906665B1 (en) Document handler having opposing belts maintaining constant sheet contact for scanning small and delicate sheets
JP2020115605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55878A (ko) 다중회선 팩스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20043428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2755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9290551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46361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5550A (ja)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70814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仕分けプログラム
JP2005239361A (ja) 自動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197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5778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3137459A (ja) 記録媒体送り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98808A (ja) 原稿搬送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