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744A -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744A
KR20100054744A KR1020090109565A KR20090109565A KR20100054744A KR 20100054744 A KR20100054744 A KR 20100054744A KR 1020090109565 A KR1020090109565 A KR 1020090109565A KR 20090109565 A KR20090109565 A KR 20090109565A KR 20100054744 A KR20100054744 A KR 2010005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heet
winding
cutter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786B1 (ko
Inventor
고이치 가가와
가쓰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오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aroun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2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the sheet or web-like material being supported by a moving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 B29C63/1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aroun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ining step and the severing step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나열한 복수개의 통재(P)에 시트재(S)를 연속적으로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일 수 있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10)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재(P)를 각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수단(3A∼3E)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일렬로 나열하고,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 (P)의 바깥둘레면에 통재(P)끼리의 간극(G)보다 큰 폭(W)을 갖는 시트재(S)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이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가,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를 지나 간극(G)을 넘어,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 감아 붙인 후로서, 간극(G)으로 지지수단(3B∼3D)에 접촉하기 전에, 이 시트재(S)를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에서 제 1 커터(5)로 자르는 동시에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서 제 2 커터(6)로 자르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METHOD FOR WINDING SHEET MATERIAL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액정 디스플레이용 필름, 프린트 기반용 필름 등의 고기능성 필름을 롤 감는데 이용하는 권심으로서, 예를 들면 ABS 수지제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수지제의 띠 형상의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여서 이루어지는 복합 권심이 사용되고 있다. 이 복합 권심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필름의 감기 시작에 발생하는, 이른바 필름 단차 자국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감아 붙임 장치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5544호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압출 성형법에 의해서 한 개의 통재를 연속 성형하면서, 그 바깥둘레면에 시트재를 연속적으로 감아 붙여 가는 것으로, 이 장치에 따라서는,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통재에 연속적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여 갈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일렬로 나열한 복수개의 통재에 시트재를 연속적으로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여 갈 수 있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축회전하는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 공급수단에 의해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공급하면서, 상기 시트재 공급수단을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으로서,
복수의 통재를, 각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일렬로 나열하고,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하나의 통재와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이 되는 다른 통재와의 간극보다 큰 폭을 갖는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상기 하나의 통재에 감아 붙인 상기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재의 감아 붙인 진행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 부를 지나, 상기 간극을 넘어,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 감아 붙인 후로서, 상기 간극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시트재를,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에서 제 1 커터로 자르는 동시에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서 제 2 커터로 자르는 것에 의해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에 연속적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감기 시작측' 및 '감기 끝난측'이란, 본 발명에 관한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이고, '감기 시작측'이란, 통재의 축방향에서 시트재를 감기 시작하는 측을 표시하고, '감기 끝난측'이란, 통재의 축방향에서 시트재를 감기 끝내는 측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회전하는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 공급수단에 의해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공급하면서, 상기 시트재 공급수단을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로서,
상기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통재를 일렬로 나열하는 복수의 지지수단과,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와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이 되는 다른 통재와의 간극에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에서 자르는 제 1 커터와, 상기 간극에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다른 통재 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서 자르는 제 2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간극보다 큰 폭을 갖는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상기 하나의 통재에 감아 붙인 상기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재의 감아 붙인 진행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를 지나, 상기 간극을 넘어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 감아 붙인 후로서, 상기 간극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시트재를 상기 제 1 커터 및 제 2 커터로 자르는 것에 의해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에 연속적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이, 기초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축받이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고, 상기 통재의 단부의 통내면을 유지하는 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통재를 일렬로 나열하여, 이들 복수의 통재끼리의 간극에서 시트재를 제 1 커터 및 제 2 커터로 자르면서,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간극에서 시트재가 각 지지수단에 접촉할 것도 없이,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에 시트재를 연속적으로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게다가,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통재 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가, 감기 끝난측에 위치하는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 감아 붙인 후에, 이 측가장자리부를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에서 제 1 커터로 자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트재를 다른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일 때, 그 장력 등이 변동하는 일도 없이, 복수의 통재에 걸쳐서 보다 균일한 감아 붙임 조건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각 통재마다 그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통재를 보다 정확하게 동심상태로 일렬로 나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복수의 통재를 각 통재에 심봉(心棒)을 끼워 통과시켜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와 같이 심봉이 복수의 통재의 중량에 의해서 휘어져 버려 동심상태가 손상되는 문제도 없고, 복수의 통재에 걸쳐서 보다 균일한 감아 붙임 조건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의 지지 프레임을, 통재의 축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복수의 통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일렬로 나열할 수 있어,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는,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S)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장치이다. 이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에 의하면, 예를 들면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것이 가능해져서, 이것에 의해서, 이른바 필름 단차 자국을 방지하기 위한 고기능성 필름용 권심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는 주로,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S)를 공급하는 시트재 공급수단(1)과, 이 시트재 공급수단(1)을 통재(P)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과, 통재(P)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통재(P)를 동심상태로 일렬로 나열하는 복수의 지지수단 (3A∼3E)과, 이들 지지수단(3A∼3E)으로 지지한 통재(P)를 일제히 축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4)과,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S)를 각 지지수단(3B∼3E)의 위치에서 자르는 복수의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3A∼3E)에 의해서, 합계 2개의 비교적 긴 장통재(P1)를 중간 정도부에 나열하고, 그 양단에 합계 2개의 비교적 짧은 단통재(P2)를 나열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수단의 수를 증감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중간 정도부에 3개 이상의 장통재(P1)를 나열하고, 그 양단에 합계 2개의 단통재(P2)를 나열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중간 정도부의 장통재(P1)에는, 그 바깥둘레면의 전체면에 시트재(S)가 감아 붙여지는 것에 비해, 양단의 단통재(P2)에는, 그 바깥둘레면의 일부에만 시트재(S)가 감아 붙여진다. 이들 양단의 단통재(P2)에 감아 붙여진 시트재(S)는 절단단이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의 각 구성부에 대해서 상 세하게 설명한다.
시트재 공급수단(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시트재(S)가 미리 감아 돌려진 릴부(11)와, 릴부(11)로부터 풀어내어진 시트재(S)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2)를 구비하고 있고, 시트재(S)를 통재(P)의 축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공급한다.
이동수단(2)은, 이송나사기구(21)와, 이 이송나사기구(21)의 나사축(22)을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재 공급수단(1)을, 통재(P)의 축회전과 동기시켜 통재(P)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는, 축회전하는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 공급수단(1)에 의해서 시트재(S)를 비스듬하게 공급하면서, 시트재 공급수단(1)을 이동수단(2)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S)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여 간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도면을 향하여 좌측에서 시트재(S)를 감기 시작하여, 도면의 우측에서 감아 끝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도면 좌측이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에서의 '감기 시작측'이 되고, 도면 우측이 '감기 끝난측'이 된다. 도 3 내지 도 8, 도 10, 도 11, 도 1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지지수단(3A∼3E)은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초대(7)상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31)과, 지지 프레임(31)의 상단부에 베어링(32)을 사이에 두고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축받이된 원통형상의 지지축(33)과, 지지축(33)의 단부 에 설치되고, 통재(P)의 단부의 통내면을 유지하는 척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초대(7)상에 합계 5개의 지지수단(3A∼3E)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수단(3A∼3E)중, 가장 좌측(감기 시작측)에 위치하는 지지수단(3A)은, 그 지지축(33)의 한쪽의 단부에만 척부(3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의 지지수단(3B∼3E)은, 그 지지축(33)의 양측의 단부에 한 쌍의 척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척부(3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33)의 통내에 축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341)과, 피스톤(341)을 후퇴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342)과, 피스톤(341)의 선단에 고정된 이동편(343)과, 지지축 (33)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편(345)과, 이동편(343)의 테이퍼면(344)과 고정편(345)의 테이퍼면(346)과의 사이에 배치된 C자형 형상의 척편(347)과, 척편(347)의 바깥둘레홈에 끼워맞춤된 O링(3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부(34)는, 도 4중의 일점쇄선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42)의 미는 힘(f)으로 피스톤(341)을 후퇴시키고, 이동편(343)의 테이퍼면을 고정편(345)의 테이퍼면에 접근시켜 양 테이퍼면에서 척편(347)을 지지축(33)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서, 척편(347)으로 통재(P)의 통내면을 유지한다. 한편, 도 4중의 일점쇄선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35)을 통하여 지지축(33)의 통내에 압축공기(A)를 공급하고, 그 공기압(a)에 의해서 피스톤(341)을 코일 스프링(342)에 저항하여 전진시키고, 이동편(343)의 테이퍼면을 고정편(345)의 테이퍼면으로부터 이반시키는 것에 의해서, 척편(347)의 지지축(33)의 지름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척편(347)에 의한 통재(P)의 유지를 해제한다. 한편, 도 4에서는, 통재(P)를 유지 고정한 상태를, 동 도면의 일점쇄선의 좌측에 도시하고, 또한, 통재(P)의 유지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일점쇄선의 우측에 도시하고 있지만, 지지수단(3B∼3E)의 한 쌍의 척부(34)는, 압축공기(A)의 공급의 유무에 따라서 동시에 작동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은, 통재(P)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기초대(7)상에는, 통재(P)의 축방향과 평행한 가이드 레일(311)이 부설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311)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더(312)상에 베이스(313)가 고정되고, 이 베이스(313)상에 지지 프레임(31)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311)의 소요 위치에 스테이(314)가 고정되고, 이 스테이(314)에 유체압 실린더(315)가 설치되고, 이 유체압 실린더(315)의 진퇴 로드가 상기 베이스(31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유체압 실린더(315)의 진퇴 로드를 진퇴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각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을 통재(P)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3A∼3E) 사이에 각각, 통재(P)를 간단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각 통재(P)의 양단부를 지지수단(3A∼3E)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통재(P)를 동심상태로 일렬로 나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3A∼3E)에 의해서 복수의 통재(P)를 일렬로 나열했을 때,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P)와 이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에서 서로 이웃이 되는 다른 통재(P)와의 사이에는, 각 지지수단(3B∼3D)에 의한 간극(G)이 생긴다.
또한, 각 지지수단(3B∼3E)은, 그 스테이(314)가 가이드 레일(311)을 따라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통재(P)의 길이에 따라서 스테이 (314)의 고정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통재(P)의 길이 변경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회전구동수단(4)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초대(7)상에 설치된 모터 (41)와, 이 모터(41)의 출력축과 지지수단(3A)의 지지축(33)과의 사이에 풀리를 사이에 두고 걸쳐진 구동 벨트(4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수단(3A∼3E)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축받이된 지지축(33)의 척부(34)에 의해서 통재(P)의 양단이 유지 고정되므로, 가장 감기 시작측에 위치하는 지지수단(3A)의 지지축(33)을 모터(41)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통재(P)를 일제히 축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지지수단(3A)의 지지축(33) 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지지수단(3B∼3E)의 지지축도 회전 구동시켜도 좋다.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지지수단(3B∼3E)에 설치되어 있고,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S)가 각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과 접촉하지 않도록 시트재(S)를 자른다. 제 1 커터(5)는,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에서 시트재(S)를 자르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2 커터(6)는, 감기 끝난측의 다른 통재 (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서 시트재(S)를 자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대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지지수단(3B∼3E)의 베이스(313)에 레버(51)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레버(51)에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가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51)를 일으키고 쓰러뜨리는 것에 의해서,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를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대해 진퇴 이동시킬 수 있어 필요시에 시트재(S)를 각각의 위치에서 자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에 의한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3B∼3E)의 각 지지 프레임(31)을 순서로 진퇴 이동시키고, 각 척(34)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복수의 통재(P)를, 각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수단(3A∼3E)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일렬로 나열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P)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 위에, 통재(P)끼리의 간극(G)보다 큰 폭 (W)을 갖는 시트재(S)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인다. 여기에서는, 시트재(S)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를 감아 붙이는 것에 의해서, 시트재(S)를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이도록 하고 있지만, 미리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점착층을 형성해 두고, 이 점착층상에 시트재(S)를 감아 붙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점착층을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를 이용하여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여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의 시트재(S)의 감아 붙임을 진행시키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 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가,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를 지나, 간극(G)을 넘어,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 감아 붙인 후(도 7중의 부호 B참조), 이 시트재(S)를 그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 (L1)로부터,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에서 제 1 커터(5)로 자르기 시작한다(도 7중의 부호 C 참조). 한편, 도면 중, 부호 L2에서 지시하는 것은, 시트재(S)의 감기 시작측의 측가장자리부이다.
그리고, 그대로 시트재(S)의 감아 붙임을 진행시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를, 또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서 제 2 커터(6)로 자르기 시작한다(도 8중의 부호 D 참조). 이와 같이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를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로 각각 자르는 것에 의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재(S)의 절단단(T)을 통재(P)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어, 시트재(S)가 간극(G)에서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과 접촉하여 감아 붙임 작업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재(S)를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로 자르면서 시트재(S)의 감아 붙임을 진행시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아 붙임 장치(10)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그대로, 시트재(S)를 감기 끝난측의 다른 통재(P)의 바깥둘레면 위에 감아 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P)에 시트재(S)를 연속적으로 감아 붙여 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 및 감아 붙임 장치(10)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수단(3A∼3E)에 의해서 복수의 통재(P)를 일렬로 나열하고, 이 들 복수의 통재(P)끼리의 간극(G)에서 시트재(S)를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로 자르면서, 시트재(S)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임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간극 (G)에서 시트재(S)가 각 지지수단(3B∼3D)의 지지 프레임(31)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P)에 시트재(S)를 연속적으로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따라서, 시트재를 통재에 한 개마다 감아 붙이는 경우에 비해, 보다 균일한 감아 붙임 조건으로 시트재를 각 통재에 감아 붙여 갈 수 있고, 또한, 시트재의 감기 시작측 및 감기 끝난측에서의 절단단의 낭비를 보다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 및 감아 붙임 장치(10)에 의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기 시작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가, 감기 끝난측에 위치하는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 감아 붙인 후에, 제 1 커터(5)로 측가장자리부(L1)를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에서 자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시트재(S)를 다른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일 때, 시트재(S)의 장력등이 변동할 것도 없고, 복수의 통재(P)에 걸쳐서보다 균일한 감아 붙임 조건으로 시트재(S)를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 및 감아 붙임 장치(10)에 의하면, 지지수단(3A∼3E)에 의해서 각 통재(P)마다 그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통재(P)를 보다 정확하게 동심상태로 일렬로 나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복수의 통재를 각 통재에 심봉을 끼워 통과시켜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와 같이, 심봉이 복수의 통재의 중량에 의해서 휘어져 버려 동심상태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도 없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통재(P)에 걸쳐서 보다 균일한 감아 붙임 조건으로 시트재(S)를 감아 붙여 갈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10)에서는, 지지수단 (3B∼3E)의 지지 프레임(31)이, 통재(P)의 축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통재(P)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일렬로 나열할 수 있고, 시트재 (S)의 감아 붙임 작업을 능률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 및 감아 붙임 장치(10)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외의 형태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재(P)의 축방향에서 간극(G)과 같은 간격을 두고,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재(P)의 둘레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커터(5)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가, 감기 끝난측에 위치하는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 감아 붙인 후로서, 이 측가장자리부(L1)가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 (E1) 부근에서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에 접촉하기 전에, 이 측가장자리부(L1)를 하나의 통재(P)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E1)에서 자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도 12 중의 범위 R5 참조). 다른 한편, 제 2 커터(6)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통재(P)의 바깥둘레면에 감아 붙인 시트재(S)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L1)가, 감기 끝난측에 위치하는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 감아 붙인 후로서, 이 측가장자리부(L1)가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 부근에서 지지수단(3B∼3E)의 지지 프레임(31)에 접촉하기 전에, 이 측가장자리부(L1)를 다른 통재(P)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E2)에서 자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도 12중의 범위 R6 참조). 이와 같이 제 1 커터(5) 및 제 2 커터(6)는, 반드시 통재(P)의 둘레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지지수단(3F)과 같이, 각 지지수단을 기초대(7)에 대해 자유롭게 탈착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로써, 일렬로 나열하는 통재(P)의 개수에 따라서, 기초대(7)에 배치하는 지지수단의 수를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어, 통재(P)의 개수의 변경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수단(2)에 의해서 시트재 공급수단(1)을 통재(P)에 대해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시트재 공급수단(1)에 대해서 통재(P)를 그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지지수단(3A∼3E)을 통재(P)의 축회전과 동기시켜 통재(P)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작용 또는 효과를 이루는 범위내에서 몇 개의 발명 특정사항을 다른 기술로 치환한 형태로 실시하더라도 좋고, 또한,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발명 특정사항을 복수의 부재로 구성하거나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발명 특정사항을 일체로 구성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지지수단의 척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통재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작업을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에 의한 감아 붙임 방법을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제 1 커터 및 제 2 커터의 통재의 둘레방향에서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의 실시 변형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
1 : 시트재 공급수단
2 : 이동수단
3A∼3F : 지지수단
31 : 지지 프레임
33 : 지지축
34 : 척부
4 : 회전 구동 수단
5 : 제 1 커터
6 : 제 2 커터
P : 통재
E1 :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
E2 :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
G : 통재끼리의 간극
S : 시트재
W : 시트재의 폭
L1 :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
L2 : 시트재의 감기 시작측의 측가장자리부

Claims (4)

  1. 축회전하는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 공급수단에 의해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공급하면서, 상기 시트재 공급수단을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으로서,
    복수의 통재를, 각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일렬로 나열하고,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하나의 통재와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이 되는 다른 통재와의 간극보다 큰 폭을 갖는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상기 하나의 통재에 감아 붙인 상기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재의 감아 붙인 진행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를 지나, 상기 간극을 넘어,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 감아 붙인 후로서, 상기 간극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시트재를,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에서 제 1 커터로 자르는 동시에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서 제 2 커터로 자르는 것에 의해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에 연속적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
  2. 축회전하는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시트재 공급수단에 의해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공급하면서, 상기 시트재 공급수단을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로서,
    상기 통재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복수의 통재를 일렬로 나열하는 복수의 지지수단과,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와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이 되는 다른 통재와의 간극에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에서 자르는 제 1 커터와,
    상기 간극에서, 상기 시트재를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서 자르는 제 2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통재 중 감기 시작측의 하나의 통재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간극보다 큰 폭을 갖는 시트재를 나선 형상으로 감아 붙이고, 상기 하나의 통재에 감아 붙인 상기 시트재의 감기 끝난측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시트재의 감아 붙인 진행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통재의 감기 끝난측의 단부를 지나, 상기 간극을 넘어 상기 다른 통재의 감기 시작측의 단부에 감아 붙인 후로서, 상기 간극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시트재를 상기 제 1 커터 및 제 2 커터로 자르는 것에 의해서, 일렬로 나열한 복수의 통재에 연속적으로 시트재를 감아 붙이는 것을 특징 으로 한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기초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축받이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고, 상기 통재의 단부의 통내면을 유지하는 척부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통재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시트재의 감아 붙임 장치.
KR1020090109565A 2008-11-14 2009-11-13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 KR101355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1691A JP5185781B2 (ja) 2008-11-14 2008-11-14 シート材の巻付け装置
JPJP-P-2008-291691 2008-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744A true KR20100054744A (ko) 2010-05-25
KR101355786B1 KR101355786B1 (ko) 2014-01-24

Family

ID=4227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65A KR101355786B1 (ko) 2008-11-14 2009-11-13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85781B2 (ko)
KR (1) KR101355786B1 (ko)
CN (1) CN101759067B (ko)
TW (1) TWI4815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1608A (zh) * 2013-02-05 2013-05-29 吴江南玻华东工程玻璃有限公司 一种石棉绳缠绕机
CN105129545A (zh) * 2015-07-23 2015-12-09 江苏华神特种橡胶制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节位置的橡胶帘布裹缠装置
MY197330A (en) * 2018-01-23 2023-06-13 Fook Yuen Lee Method and machine for manufacturing of an article used in a surface treatment appliance
CN109278277A (zh) * 2018-11-21 2019-01-29 无锡海天机械有限公司 缠绕装置
CN111578030B (zh) * 2020-04-16 2021-06-11 安徽益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尿素加热管加热丝缠绕装置
CN111483889B (zh) * 2020-04-22 2021-06-15 南京溧水高新产业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路灯灯杆缠绕保护膜和麻绳装置
CN112259834A (zh) * 2020-09-25 2021-01-22 深圳市西盟特电子有限公司 一种叠片式电池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29B (zh) * 1985-03-05 1989-08-23 巴马格·巴默机器制造股份公司 卷绕方法
JPH03117512A (ja) * 1989-09-30 1991-05-20 Sekisui Chem Co Ltd 樹脂複合管の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CN1193195A (zh) * 1997-03-11 1998-09-16 富士摄影胶片株式会社 加工电池卷绕体的装置及传送电池卷绕体的装置和方法
JP2003205544A (ja) * 2002-01-10 2003-07-22 Mitsui Chemicals Inc 補強材を巻付けた熱可塑性樹脂製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7976233B2 (en) * 2005-11-24 2011-07-12 Canon Kabushiki Kaisha Win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9067B (zh) 2015-06-24
JP2010116252A (ja) 2010-05-27
JP5185781B2 (ja) 2013-04-17
TW201018638A (en) 2010-05-16
CN101759067A (zh) 2010-06-30
TWI481544B (zh) 2015-04-21
KR101355786B1 (ko) 201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86B1 (ko) 시트재의 감아 붙임 방법과 그 장치
CN101522548B (zh) 薄膜自动卷绕装置、切开卷绕系统及卷绕薄膜的制造方法
CN202186781U (zh) 膜卷放卷装置
CN114084723B (zh) 一种环保型缠绕膜的复卷工艺
JP2930718B2 (ja) 紙又はカートンから成る帯状材料を巻取りスリーブに巻き取るための巻き取り機
CN103950779B (zh) 一种转塔分切机
CN112978469B (zh) 一种高分子薄膜生产分切工艺
JPH06503547A (ja) 材料ウェブ、特に紙ウェブまたはカートンウェブを巻き取るための巻取り機
JP6125787B2 (ja) 巻鉄心製造装置
WO2019126272A1 (en) Low tension application coiler
JP2001522767A (ja) ロ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状連続製品の巻き取り装置
KR102219005B1 (ko) 코드 밴드 절단용 슬리터
CN219314093U (zh) 一种可利用复卷机进行分切作业的放卷辊
WO2008116311A9 (en) Web processing system with adjustable multiple slit web separation and redirection system and/or with automatic rewind and/or automatic unwind roll transfer system
JP3094333U (ja) 帯状ベルト体の裁断装置
ITMI20130092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l&#39;avvolgimento di una pluralita&#39; di rotoli di sacchi pretagliati su un unico asse
CN220316832U (zh) 一种不干胶标签纸立式分条机
KR20130109051A (ko) 권취장치
CN212863484U (zh) 一种捆扎膜专用分切机
CN212639338U (zh) 一种覆膜机的纠偏装置
CN217626757U (zh) 一种高精度双动力覆膜带分切机
CN216027193U (zh) 一种开卷纵剪收卷线
CN114751228A (zh) 一种切割分卷装置
CN219585498U (zh) 一种钢丝绳芯输送带垫胶封边条的加工装置
CN214166768U (zh) 一种用于pet保护膜生产的分切机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