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251A -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251A
KR20100054251A KR1020080113084A KR20080113084A KR20100054251A KR 20100054251 A KR20100054251 A KR 20100054251A KR 1020080113084 A KR1020080113084 A KR 1020080113084A KR 20080113084 A KR20080113084 A KR 20080113084A KR 20100054251 A KR20100054251 A KR 2010005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guide
electromagnet
vehicl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852B1 (ko
Inventor
이기창
강대욱
정연호
김종무
원진국
구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8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327Linear induction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60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means for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이 존재하지 않아 액츄에이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외란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진동, 소음, 먼지 등의 저감으로 고청정 응용이 가능한 동시에, 복수개의 이동부와 차체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곡선구간에서도 측면부위의 충돌 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지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기 이동부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고정부와; 본체프레임에 부상전자석과 선형유도전동기, 요우 제어 수단이 탑재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상전자석의 부상력과 선형유도전동기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장착되는 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체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부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각 이동부들이 모두 상기 차체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버 행잉 타입,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고정부, 이동부, 차체, 부상전자석, 선형유도전동기, 가이드 전자석, 회전축, 축-베어링 구조

Description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Magnetically levitat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over hanging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이동부가 하나의 차체에 결합되되, 각 이동부가 요우 제어 수단을 구비하면서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직선 및 곡선구간에서 원활한 주행이 가능한 완전 비접촉식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생산공정에서 고정밀도의 운동에서는 접촉에 의한 마찰이 큰 문제가 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마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기부상 시스템(Magnetic Levitation system, MAGLEV)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자기부상을 이용한 이송시스템에서는 차체를 자기력으로 부상(浮上)시켜 운행하므로 마찰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접촉이나 마찰 없이 무소음, 저진동, 초청정 이송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기부상 시스템에서는 마찰이 존재하지 않아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으 며,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는 부상력 및 안내력, 추진력이 요구되는데, 부상전자석으로부터 부상력 및 안내력을 제공받고, 선형유도전동기(Linear Induction Motor, LIM)로부터 추진력을 제공받는다.
즉, 전자석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부상전자석과 고정부간에 그 수직방향(부상력과 같은 방향)의 흡인력으로 일정 공극이 유지되도록 하는 부상력을 얻음과 동시에 부상전자석과 고정부간의 수평방향의 안내력을 발생시켜 이동부가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중에서 오버 행잉 타입(Over Hanging Type, OHT) 구조는 상측에 레일 역할의 고정부를 원하는 이동구간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 하측으로 설치된 이동부가 고정부에서 부상전자석의 부상력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선형유도전동기의 추진력에 의해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초청정 환경이 요구되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제품 제조라인과 같이 각종 공장 자동화 라인에서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을 이동시키는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의 활용 예로, 이동부에 차체를 고정하고 상기 차체에 이재로봇이나 클램프 장치 등을 장착하여, 이재로봇이나 클램프 장치가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 등의 물건을 픽업한 뒤 이동부 및 차체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장소에 이동시키는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이재로봇이나 클램프 장치 등이 대형인 경우 복수의 이송시스템을 하 나의 차체로 연결하여 이송차량을 구성한 뒤 상기 차체에 이재로봇이나 클램프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동방향(레일방향)의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두 이송시스템의 예를 들면, 전후 양측의 이동부 하측에 하나의 차체를 부착하여 연결한 뒤 상기 차체에 이재로봇이나 클램프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차체를 매개로 이재로봇 또는 클램프 장치를 지지한 상태에서 양측의 두 이동부가 동시에 고정부 및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이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후 이동부에 하나의 차체를 연결한 뒤 이재로봇이나 클램프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직선 주행만이 가능하다. 즉,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두 이동부 상호 간에, 그리고 이동부와 차체 간에 위치 및 자세가 모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두 이동부가 곡선의 고정부를 유연하게 이동할 수 없으며, 특히 곡선구간의 턴하는 시점에서 차체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전후 두 이동부의 이동궤적이 모두 레일궤적과 일치할 수 없고 어느 한쪽이 레일궤적을 벗어나는 형태(측방으로 간섭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곡선 주행이 불가하다.
또한 곡선 주행에 있어서 측면부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이 필요하고, 전후 두 이동부의 원활한 곡선 주행을 위한 구조 및 외란에 안정적이고 소음 등이 저감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의 개선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이송시스템에서는 케이블 베이를 이용한 전원공급방식으로 인해 마찰손실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마찰이 존재하지 않아 액츄에이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외란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진동, 소음, 먼지 등의 저감으로 고청정 응용이 가능한 동시에, 복수개의 이동부와 차체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곡선구간에서도 측면부위의 충돌 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지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기 이동부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고정부와; 본체프레임에 부상전자석과 선형유도전동기, 요우 제어 수단이 탑재되고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상전자석의 부상력과 선형유도전동기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장착되는 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체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부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각 이동부들이 모두 상기 차체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지상에 설치된 수직기둥 또는 천장구 조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하측으로 조립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측으로 조립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조립되는 백아이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면부와 각 이동부의 본체프레임에는 고정부에서 이동부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이동부의 위치감지수단으로서 바코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위치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비접촉식 위치센서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 측면부에 전체 구간을 따라 부착되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지와; 상기 각 이동부에 상기 바코드지를 향해 설치되고 이동부의 이동 동안에 바코드지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이동부의 위치정보로서 제어기에 전달하는 바코드 리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이동부에서 본체프레임의 중앙에 선형유도전동기가 장착되면서 중앙의 상기 선형유도전동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부상전자석이 장착되어 상기 부상전자석과 선형유도전동기가 상기 백아이언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백아이언 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선형유도전동기의 대응부위인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 전 구간에 걸쳐 2차측 도체판이 길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아이언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면수직판이 설치되고, 상기 각 이동부의 본체프레임에는 요우 제어 수단으로서 고정부의 좌우 양측 상기 각 측면수직판에 대해 일정 공극이 유지되도록 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 전자석과, 이동부의 이동 동안에 상기 각 측면수직판과의 가이드 공극을 측정하여 제어기에 전달하는 가이드 갭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각 가이드 갭 센서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이드 전자석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동부의 본체프레임과 고정부의 측면수직판 간 공극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 갭 센서가 상기 가이드 전자석과 전후 위치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 전자석의 직상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전자석과 가이드 갭 센서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부상전자석과 부상 갭 센서, 선형유도전동기, 그리고 상기 가이드 전자석과 가이드 갭 센서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조립되어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하측의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메인프레임과 차체 사이에 구비되는 축-베어링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하측에 수평판 형태로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부상전자석과 선형유도전동기가 장착되며 상기 축-베어링 구조를 매개로 차체와 결합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좌우 양 측면쪽에 각각 고정부의 측면수직판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가이드 전자석과 가이드 갭 센서가 설치되는 측면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상전자석은 댐퍼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베어링 구조는 상기 하부지지대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을 차체측의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된 베어링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전자석은 이동부의 회전중심과 이동부의 진행 양쪽방향으로 거리 d만큼의 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에 필요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전자석은 각 이동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거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고, 일정 공극의 유지를 위해 가이드 갭 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가이드 전자석의 구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기가 전후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좌우 1쌍의 두 가이드 갭 센서의 신호에 대해 차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가이드 전자석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마찰이 존재하지 않아 액츄에이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외란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진동, 소음, 먼지 등의 저감으로 고청정 응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개의 이동부와 차체를 회전 가능한 구 조로 구성하여 곡선구간에서도 측면부위의 충돌 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제조라인, 디스플레이 제품의 제조라인 등 공장자동화 라인에서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을 이송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에서 이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은 도 2와 도 3의 'A-A'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며, 도 3의 도면부호 300은 차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은,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기 이동부(200)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고정부(100)와,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LIM)(230)가 탑재되고 상기 고정부(100)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상전자석(220)의 부상력과 선형유도전동기(230)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200)와, 상기 이동부(200)의 하측에 장착되는 차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차체(300)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부(200)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특히 각 이동부(200)들이 모두 상기 차체(3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우선, 상기 고정부(100)는 이동부(200)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지상에 설치된 수직기둥 또는 천장구조물에 지지되어 이동구간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에 하측으로 조립되며 지지대(110)와 함께 이동구간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0)과,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하측으로 조립되는 지지축(130)과, 상기 지지축(130)의 하단에 조립되어 이동구간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백아이언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10)는 이동구간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I' 혹은 'H' 단면 형상의 빔 구조물이 될 수 있으며, 소정 높이로 설치된 지상의 수직기둥(미도시) 또는 천장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장착되어 고정부(100)의 최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지지대(110)와 마찬가지로 이동부(200)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설치는 구성요소로서, 양 측면부를 구비한 구조로 설치되며, 일 측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부(200)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Contractless Power Supply, CPS)(10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부(100)와 이동부(200) 사이의 완전한 비접촉 구현을 위해 상기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가 사용되는 것이며, 이 비접 촉식 전원공급장치(101)는 고정부(100)의 고정프레임(120)과 이동부(200)의 본체프레임(210)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부(100)에서 이동부(200)로 비접촉 방식에 의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를 통해 고정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200)의 부상전자석(220), 가이드 전자석(240), 선형유도전동기(23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CPS)(101)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케이블 베이를 이용한 전력공급에 비해 마찰손실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동부(200)의 위치감지수단으로서 바코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위치센서(이하, 바코드 위치센서라 칭함)(Barcode Positioning System, BPS)(102)가 사용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타 측면부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지(103)가 부착된다.
상기 바코드지(103)는 용이한 부착을 위해 바코드가 표시된 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고정프레임(120)의 측면부에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측면부에 전체 구간을 따라 부착된다. 첨부한 도 4는 바코드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지지대(11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20)의 측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바코드지(103)가 연속되게 부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부(200)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104)가 이동부(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바코드지(103)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제어기(미도시함)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기는 바코드 리더(104)가 바코드지(103)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이동부(2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코드 리더(104)가 바코드지(103)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는 이동부(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30)은 백아이언 플레이트(140)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프레임(120)에 하측으로 수직 설치되는 축으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의 관 구조를 가진 지지축(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축(130)의 하단부에 수평판 형태의 백아이언 플레이트(140)가 조립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축(130)은 고정프레임(120)의 전체 구간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동부의 이동구간을 따라 연속되게 배치되는 상기 백아이언 플레이트(140)는 후술하는 이동부와 차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지지 구조물의 역할과, 이동부(200)의 부상전자석(220)에 대해 가이드측(레일측) 자속 경로가 되는 코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지 구조물 역할 및 부상전자석(220)의 자속 경로 역할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이동부(200)의 선형유도전동기(230)에 대해 2차 도체로 흐르는 자속의 양을 증가시키는 백아이언(Back Iron) 역할을 동시에 하며, 강자성체로 설치된다.
결국,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의 하측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200)의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가 배치됨으로써, 부상전자석(220)의 가이드측 코어(전자석 플레이트)와 선형유도전동기(230)의 백아이언이 하나의 백아이언 플레이트(140)로 일체화된 구조가 된다.
상기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의 하면에는 선형유도전동기(230)의 대응부위인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 전 구간에 걸쳐 2차측 도체판(143)이 길게 고정 설치되는데, 2차측 도체판(143)의 재질로는 선형유도전동기(230)와 고정부(100) 사이의 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도전성이면서 비자성 혹은 약자성의 재료, 예컨대 구리,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백아이언 플레이트(140) 및 2차측 도체판(143)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측면수직판(141)이 설치되는데, 서로 평행한 좌우 양측의 두 측면수직판(141) 사이에는 보강용 로드(142)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용 로드(142)는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에서 수직 설치되는 측면수직판(141)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200)는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210), 부상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상전자석(220), 그리고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주된 구성요소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부상전자석(220)과 부상 갭 센서(233), 선형유도전동기(230), 그리고 이동부(200)의 요우 제어 수단인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211)과, 상기 메인프레임(211)에 조립되어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와 바코드 위치센서(102)가 장착되는 측면프레 임(212)과, 상기 메인프레임(211)이 하측의 상기 차체(3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1)과 차체(300) 사이를 연결하는 축-베어링 구조(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11)은 하측에 수평판 형태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대(211a)와, 상기 하부지지대(211a)의 좌우 양 측면쪽에서 각각 고정부(100)의 측면수직판(14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측면지지대(211b)가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대(211a)의 상면에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각 측면지지대(211b)에서 상부에는 이동부(200)의 원활한 곡선 주행을 위한 가이드 전자석(240)이 설치되고, 이와 함께 상기 각 측면지지대(211b)에서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의 상측으로는 고정부 측면수직판(141)과의 가이드 공극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 갭 센서(241)가 설치된다. 도면부호 260은 백업용 베어링을 나타낸다.
첨부한 도 5와 도 6은 2대의 이동부(200)에 하나의 차체(300)가 연결된 시스템에서 이동부(200)가 고정부(100)를 따라 곡선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고정부(100), 이동부(200), 차체(300),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은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에서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G1 ~ G8로 구분 표시하였다.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은 부상 이동시에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를 통 해 전력을 인가받아 고정부(100)의 측면수직판(141)과의 사이에서 일정 공극이 유지되도록 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며, 이동부(200)의 직선 또는 곡선 주행 중에 가이드 갭 센서(241)의 센싱 값을 입력받는 제어기에 의해 가이드 전자석(240)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고정부(100)의 측면수직판(141)과 이동부(200)의 측면지지대(211b)가 일정 공극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은 각 이동부(200)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거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되는 경우에서 2개의 가이드 전자석(240)은 이동부(200)의 각 측면지지대(211b)에 전후로 배치된다.
전후로 배치되는 2대의 이동부(200)가 하나의 차체(300)에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가이드 전자석(240)는, 각 이동부(200)에 상기와 같이 2개 또는 4개씩이 설치되므로, 하나의 차체(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체 2대의 이동부(200)에 총 4개 또는 8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전자석(240)을 복수개로 설치함에 있어서 가이드 갭 센서(241)는 각각의 가이드 전자석(240)마다 그 직상방 위치에 하나씩 설치된다. 즉, 가이드 갭 센서(241)가 각 가이드 전자석(240)의 상측 위치에 하나씩 설치되되, 전후방향(이동방향/주행방향) 기준으로 가이드 전자석(240) 위치와의 전후 위치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가이드 전자석(240)과 수직선상에 설치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가이드 갭 센서(241)의 센싱 위치와 전자석 액츄에이터 역할을 하 는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위치를 전후 편차 없이 일치시킴으로써, 이동부(200)가 주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센서와 액츄에이터의 런 아웃(run out)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는 메인프레임(211)의 하부지지대(211a)에 탑재된 상태에서 고정부(100)의 자기 부상을 위한 백아이언 플레이트(140) 하측으로 배치되며, 특히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중앙에 배치하고 이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부상전자석(220)이 배치된다.
도 1에서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부상전자석(220)을 도시하였고, 좌측에는 부상전자석(220)의 전방에 위치된 부상 갭 센서(233)를 도시하였으나(도 1은 도 3의 'A-A' 방향에서 취한 것임), 부상전자석(220)과 부상 갭 센서(23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즉 좌우 양측에 동일하게 설치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이송시스템에 탑재되는 자기부상용 전자석, 즉 상기 각 부상전자석(220)은 '
Figure 112008078666498-PAT00001
' 형상의 코어(221)에 좌우 양측으로 각각 코일(222)을 감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상전자석(220)의 전후 각 위치에는 부상시 공극 측정을 위한 부상 갭 센서(233)가 대응부위인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의 하면과 공극을 두고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부상전자석(220)은 외란의 최소화를 위하여 하부지지대(211a)의 상면에 고무(엘라스토머(elastomer) 포함, 예, RUBLOC®) 또는 플라스틱, 종이 등의 방진용 소재로 제작된 댐퍼(250)를 개재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댐퍼(250)는 고유진동수의 진동주파수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발생한 외란으로 인한 발산을 막기 위해 삽입된다.
상기 각 부상 갭 센서(233)는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와의 공극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상 갭 센서(233)들의 센싱 값을 입력받는 제어기에 의해 각 부상전자석(220)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자기부상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형유도전동기(230)는 하부지지대(211a)의 상면에서 중앙에 배치되며, 특히 추진을 위한 고정부(100)의 2차측 도체판(143) 하측에 배치된다. 추진력 발생을 위한 선형유도전동기(23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1차측 코어(231)와 코일(232)을 주된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이동부(200)의 본체프레임(210)에서 메인프레임(211)에 조립된 일측 측면프레임(212)의 상부 내측면에는 부상전자석(220) 및 가이드 전자석(240), 선형유도전동기(230)의 코일에 전력공급을 위한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11)에서 상기 일측 측면프레임(212)의 반대쪽에 대향되게 조립되는 타측 측면프레임(212)의 상부 내측면에는 바코드 리더(10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타측 측면프레임(212)은 바코드지(103)가 부착된 고정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측면부 바깥면과 마주보도록 수직 설치되는데, 상기 바코드 리더(104)가 상기 타측 측면프레임(212)의 상부 내측면에서 바코드지(103)를 향해 설치됨으로써 고정부(100)의 고정프레임(120) 측면부 바깥면에 부착된 바코드지(103) 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송시스템에서는 이동방향(주행방향/진행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복수개의 이동부(200)(첨부도면의 실시예에서는 2대의 이동부가 사용됨)가 하나의 차체(300)에 연결된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바, 곡선구간의 턴하는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부(200)와 고정부(100) 간 측방간섭이나 측면부위의 충돌 없이, 복수개의 이동부(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부(100)의 곡선구간을 원활히 주행할 수 있도록 각 이동부(200)를 차체(300)와 회전 가능한 축으로 연결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즉, 이동부(200)와 차체(300) 간 회전 가능한 구조의 구현을 위해서, 상기 각 이동부(200)에는 메인프레임(211)의 하부지지대(211a)에 회전축(214)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214)을 차체측의 지지플레이트(310)에 설치된 베어링(215)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215)은 차체측 지지플레이트(31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4)은 상단부가 메인프레임(211)의 하부지지대(211a) 중앙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측 부분이 상기 차체(300)측의 베어링(215)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결국, 전후로 배치된 두 이동부(200)가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 이동부(200)에 고정된 회전축(214)이 베어링(215)에 의해 차체(300)측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서, 전후의 두 이동부(200)가 각각 차체(300)측과는 독립적으로 곡선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체(300)에 대해 각 이동부(200)가 회전축(214)(차체측의 베어 링에 결합됨) 및 베어링(215)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전후의 두 이동부(200) 상호 간에도 독립적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이에 하나의 차체(300)로 연결된 두 이동부(200)가 곡선구간에서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전후의 두 이동부(200)가 고정부(100)의 곡선구간에서 각각 턴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 이동부(200) 상호 간의 독립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전후의 두 이동부(200), 그리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하나의 차체(300)가 원활히 곡선 주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전후로 배치되는 두 이동부(200)가 회전 가능한 회전축(214)을 매개로 하나의 차체(300)에 연결되므로, 두 이동부(200)는 소정 곡률반경의 고정부 곡선구간을 이동할 때 고정부 곡선구간이 어떠한 형태이든 고정부(100)를 추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활한 곡선 주행을 위해 각 이동부(200)의 정확한 방향전환 제어, 즉 회전축(214)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이동부(200)의 정확한 요우(Yaw) 제어가 필요하다. 즉, 곡선 주행시라 하더라도 이동부(200)와 고정부(100)의 측면 간 공극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이동부(200)의 주행시 일정 공극 유지를 위해서 회전축(214)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이동부(200)의 요우 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이동부(200)와 고정부(100)의 측면 간 공극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 갭 센서(241)와, 요우 제어를 위한 액츄에이터 역할을 하는 가이드 전자석(240)이 사용된다.
이때, 선형유도전동기(230)와 부상전자석(220)의 작동 등 이송시스템 작동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각 고정부(100)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갭 센서(241) 로부터 센싱 값을 입력받고 가이드 갭 센서(241)의 신호를 토대로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전자석(2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은 이동부 메인프레임(211)의 각 측면지지대(211b)에 설치되어, 고정부 측면수직판(141)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으로 고정부(100)와 이동부(200), 보다 명확히는 가이드 전자석(240)에서 고정부 측면수직판(141) 간의 공극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공극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00)가 회전축(214)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전되어야 하는바, 가이드 전자석(240)의 흡인력에 의한 회전토크 발생을 위해서 각 가이드 전자석(240)은 상기 회전축(214)과 거리 d만큼의 편차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즉, 이동부(200)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역할의 가이드 전자석(240)은 이동부(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회전축(214)과 거리 d만큼의 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편차가 존재할 경우에만 곡선구간에서 이동부(200)를 가이드할 수 있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는, 각 이동부(200)에서 회전축(214)과 거리 d만큼의 편차를 가지는 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로 각각 1개씩 총 2개(전자석과 센서 각각 2개)가 설치되거나, 전후 각 위치에서 좌우 1개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좌우 1개씩을 쌍으로 하여 전후 위치에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정 공극의 유지를 위해 가이드 갭 센서(241)의 신호를 토대로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전후 위 치를 기준으로 좌측, 우측에서 동일 위치에 설치된 좌우 1쌍의 두 가이드 갭 센서(241)의 신호에 대해 차분 제어를 수행하여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G1s-G2s, G3s-G4s, G5s-G6s, G7s-G8s의 차분 제어를 통해 일정 공극 유지를 위한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여기서, G1s~G8s은 센서 G1~G8의 검출신호(갭 신호)임).
한편, 차체(300)에는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을 픽업할 수 있는 이재로봇 혹은 클램프 장치(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동부(200)가 고정부(100)를 따라 이동할 때 차체(300)와 함께 이재로봇 또는 클램프 장치가 이동하여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320은 차체(300)측의 지지플레이트(310)와 차체(300)측에 고정 결합된 브라켓(330) 간에 설치되는 현가장치를 나타낸다. 차체(300)는 브라켓(330)에 조립되어 지지되고, 상기 브라켓(330)은 현가장치(320)를 매개로 베어링(215)이 관통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10)와 결합되는데, 상기 현가장치(320)는 지지플레이트(310) 상면에서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어 상단부에 브라켓(330)이 체결되며, 베어링(215)을 매개로 연결된 이동부(200)와 차체(300) 간의 진동을 적절히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러한 완전 비접촉식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제조라인, 디스플레이 제품의 제조라인 등 공장자동화 라인에서 부품 혹은 반제품, 제품을 이송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은 마찰이 존재하지 않아 액츄에이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외란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진동, 소음, 먼지 등의 저감으로 고청정 응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부(200)와 차체(300)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곡선구간에서도 측면부위의 충돌 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에서 이동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 시스템에서 바코드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2대의 이동부에 하나의 차체가 연결된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서 이동부가 고정부를 따라 곡선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서 고정부, 이동부, 차체, 가이드 전자석과 가이드 갭 센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에서 가이드 전자석과 가이드 갭 센서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부 101 :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102 : 위치감지수단(바코드 위치센서) 103 : 바코드지
104 : 바코드 리더 110 : 지지대
120 : 고정프레임 130 : 지지축
140 : 백아이언 플레이트 141 : 측면수직판
142 : 보강용 로드 143 : 2차측 도체판
200 : 이동부 210 : 본체프레임
211 : 메인프레임 211a : 하부지지대
211b : 측면지지대 212 : 측면프레임
213 : 축-베어링 구조 214 : 회전축
215 : 베어링 220 : 부상전자석
221 : 코어 222 : 코일
230 : 선형유도전동기 231 : 코어
232 : 코일 233 : 부상 갭 센서
240 : 가이드 전자석 241 : 가이드 갭 센서
250 : 댐퍼 260 : 백업용 베어링
300 : 차체 310 : 차체측 지지플레이트
320 : 현가장치 330 : 브라켓

Claims (12)

  1.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기 이동부(200)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고정부(100)와;
    본체프레임(210)에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 요우(Yaw) 제어 수단이 탑재되고 상기 고정부(100)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상전자석(220)의 부상력과 선형유도전동기(230)의 추진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200)와;
    상기 이동부(200)의 하측에 장착되는 차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체(300)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동부(200)에 결합되어 장착되고, 각 이동부(200)들이 모두 상기 차체(3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지상에 설치된 수직기둥 또는 천장구조물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에 하측으로 조립되며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0)과;
    상기 고정프레임(120)에 하측으로 조립되는 지지축(130)과;
    상기 지지축(130)의 하단에 이동부(200)의 이동구간을 따라 길게 조립되는 백아이언 플레이트(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일 측면부와 각 이동부(200)의 본체프레임(210)에는 고정부(100)에서 이동부(200)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200)의 위치감지수단으로서 바코드를 이용한 비접촉식 위치센서(102)가 구비되며,
    상기 비접촉식 위치센서(102)는,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타 측면부에 전체 구간을 따라 부착되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바코드지(103)와;
    상기 각 이동부(200)에 상기 바코드지(103)를 향해 설치되고 이동부(200)의 이동 동안에 바코드지(103)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이동부(200)의 위치정보로서 제어기에 전달하는 바코드 리더(10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200)에서 본체프레임(210)의 중앙에 선형유도전동기(230)가 장착되면서 중앙의 상기 선형유도전동기(23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부상전자석(220)이 장착되어 상기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가 상기 고정부(100)의 백아이언 플레이트(140)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100)의 백아이언 플레이트(140) 하면에는 상기 선형유도전동기(230)의 대응부위인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 전 구간에 걸쳐 2차측 도체판(143)이 길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아이언 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면수직판(141)이 설치되고,
    상기 각 이동부(200)의 본체프레임(210)에는 요우 제어 수단으로서 고정부(100)의 좌우 양측 상기 각 측면수직판(141)에 대해 일정 공극이 유지되도록 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 전자석(240)과, 이동부(200)의 이동 동안에 상기 각 측면수직판(141)과의 가이드 공극을 측정하여 제어기에 전달하는 가이드 갭 센서(241)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각 가이드 갭 센서(241)의 센싱 값을 입력받아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동부(200)의 본체프레임(210)과 고정부(100)의 측면수직판(141) 간 공극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갭 센서(241)가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과 전후 위치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 전자석(240)의 직상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상기 부상전자석(220)과 부상 갭 센서(233), 선형유도전동기(230), 그리고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211)과;
    상기 메인프레임(211)에 조립되어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101)가 구비되는 측면프레임(212)과;
    상기 메인프레임(211)이 하측의 차체(30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되도 록 메인프레임(211)과 차체(300) 사이에 구비되는 축-베어링 구조(2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11)은,
    하측에 수평판 형태로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부상전자석(220)과 선형유도전동기(230)가 장착되며 상기 축-베어링 구조(213)를 매개로 차체(300)와 결합되는 하부지지대(211a)와;
    상기 하부지지대(211a)의 좌우 양 측면쪽에 각각 고정부(100)의 측면수직판(141)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가이드 전자석(240)과 가이드 갭 센서(241)가 설치되는 측면지지대(211b);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상전자석(220)은 댐퍼(250)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하부지지대(211a)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축-베어링 구조(213)는 상기 하부지지대(211a)에 회전축(214)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14)을 차체(300)측의 지지플레이트(310)에 설치된 베어링(215)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11. 청구항 5에서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은 이동부(200)의 회전중심과 이동부(200)의 진행 양쪽방향으로 거리 d만큼의 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에 필요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은 각 이동부(200)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거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고,
    일정 공극의 유지를 위해 가이드 갭 센서(241)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기가 전후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 측에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좌우 1쌍의 두 가이드 갭 센서(241)의 신호에 대해 차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가이드 전자석(2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시스템.
KR1020080113084A 2008-11-14 2008-11-14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KR101031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4A KR101031852B1 (ko) 2008-11-14 2008-11-14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4A KR101031852B1 (ko) 2008-11-14 2008-11-14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251A true KR20100054251A (ko) 2010-05-25
KR101031852B1 KR101031852B1 (ko) 2011-05-02

Family

ID=4227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084A KR101031852B1 (ko) 2008-11-14 2008-11-14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04A1 (ko) * 2012-12-31 2014-07-03 한국기계연구원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자기부상 반송 장치
CN113186759A (zh) * 2021-04-27 2021-07-30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永磁轨道的组装系统及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9101U (ko) * 1989-03-30 1990-10-24
JPH0332307A (ja) * 1989-06-28 1991-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磁気浮上搬送車
JPH05260614A (ja) * 1992-03-12 1993-10-08 Shinko Electric Co Ltd 磁気浮上式搬送装置
JPH0678413A (ja) * 1992-07-06 1994-03-18 Fujitsu Ltd 磁気浮上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04A1 (ko) * 2012-12-31 2014-07-03 한국기계연구원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자기부상 반송 장치
KR101534210B1 (ko) * 2012-12-31 2015-07-06 한국기계연구원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자기부상 반송 장치
CN113186759A (zh) * 2021-04-27 2021-07-30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永磁轨道的组装系统及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852B1 (ko) 201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927B1 (ko)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KR101049222B1 (ko) 수직형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자기부상 반송장치
EP2726320B1 (en) Drive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ystem
JP2013102562A (ja) リニアコンベア
KR101197257B1 (ko) 정지 성능이 향상된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KR101101917B1 (ko) 자기부상 반송 장치
EP3471996B1 (en) Magnetic suspension for a vehicle
KR100875945B1 (ko) 최적 공극제어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철도차량시스템
US8217538B2 (en) Linear motor having a slidable element
KR20110049936A (ko) 자기부상 및 자기베어링을 이용한 직선이송장치
KR101031852B1 (ko) 오버 행잉 타입의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KR101208660B1 (ko) 곡선 주행 성능이 향상된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KR101031853B1 (ko) 다양한 자세 제어가 가능한 자기부상 이송시스템
KR101182354B1 (ko) 스프링을 갖는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KR100985159B1 (ko) 흡인식 모형 자기 부상 열차 장치
JPS61150601A (ja) 荷搬送設備
KR101455297B1 (ko) 급전선 보지 구조체
JP2012044774A (ja) 磁気浮上式列車の超電導磁石の起磁力制御システム
CN101875463B (zh) 磁性引导装置
KR102213655B1 (ko) 자기 부상이송 장치
KR20210004923A (ko) 자기 부상이송 장치
JP4323087B2 (ja) X−yステージ装置
JPS62171403A (ja) リニアモ−タ利用の搬送設備
CN210162684U (zh) 一种智能输送实训单元
JPS62166706A (ja) 磁気浮上式のリニアモ−タ利用の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