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927B1 -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927B1
KR100840927B1 KR1020060026152A KR20060026152A KR100840927B1 KR 100840927 B1 KR100840927 B1 KR 100840927B1 KR 1020060026152 A KR1020060026152 A KR 1020060026152A KR 20060026152 A KR20060026152 A KR 20060026152A KR 100840927 B1 KR100840927 B1 KR 10084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wer supply
supply system
sensor
lin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667A (ko
Inventor
이병송
김형철
박영
문대섭
이형우
박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2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927B1/ko
Priority to PCT/KR2006/005550 priority patent/WO2007108586A1/en
Publication of KR2007009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하는 전기차량 및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전동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 및 이동하는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는 집전부와 송전부와의 공극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로 유지하고 최소화함으로써 추진 효율 및 급전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선형 추진력을 공급하고,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철도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가동자, 및 상기 가동자와 마주보며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고정자를 포함한 선형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송전부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고정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극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선형전동기, 고정자, 회전자, 가동자, 공극, 센서, 전기차량, 비접촉, 공극, 급전, 집전

Description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System of railway vehicle using Linear motor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형전동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공극가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선형전동기의 회로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의 급전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형전동기의 공극의 크기에 대한 추진력의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공극의 크기에 대한 급전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 및 급전시스템을 장착한 철도차량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전부 20 : 집전부
30 : 리액션 플레이트 40 : 계자
50 : 공극제어부 60 : 부하
11 : 비자성체 12 : 1차코일
21 : 철심 22 : 2차코일
23 : 비자성체 51 : 제어기
52 : 센서 55 : 변위조절기
56 : 압전모터 57 : 전력증폭기
61 : 레일 62 : 바퀴
본 발명은 이동하는 전기차량 및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전동기의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 및 이동하는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는 집전부와 송전부와의 공극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로 유지하고 최소화함으로써 추진 효율 및 급전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이나 물류산업 등에서 물품의 반송 또는 물품의 위치결정 등의 작업에 있어서, 전기자동차를 이동하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하는 방법으로는 회전형모터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을 이동체의 바퀴에 전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소음이 심하며 고장이 잦고 추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이 적으며 추진 효율이 좋은 선형전동기가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다.
선형전동기는 크게 고정자 및 가동자의 배치구조에 따라, 선형유도전동기와 선형동기전동기로 나눌 수 있다.
선형유도전동기는 계자(이동자계를 발생하는 철심 및 권선)가 이동하는 부하(전기차량)에 배치되며, 리액션 플레이트(알루미늄)가 레일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선형유도전동기는 건설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차량에 전자석 코일이 설치되므로 차체가 무거워지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며 속도도 빠르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선형동기전동기는 고정자(전자석)가 레일에 배치되며, 가동자(영구자 석)가 이동하는 부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선형동기전동기는 계자와 전기자 사이에 전력의 교환이 없기 때문에 공극을 크게 할 수 있고, 동적 단부효과(dynamic end effect)가 없기 때문에 효율이 좋으며, 선형유도전동기 방식에 비해 추진력이 매우 커서 시속 500㎞의 고속용에 적합하다. 그러나 동기를 위한 위치신호가 필요하며, 레일 전체에 걸쳐 전자석 코일을 설치해야 하므로 건설비용이 높아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선형유도전동기 및 선형동기전동기는 이동시의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하여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의 공극의 크기가 약 9 ~ 15 mm 이다. 이러한 공극의 크기는 추진력의 효율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선형전동기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액션 플레이트(3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플레이트로서 차량이 주행하는 궤도 또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다. 리액션 플레이트(3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부하(6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계자(40)는 여러 겹의 철심(41)과, 철심(41)에 코일이 감겨진 권선(42)으로 구성된다. 계자(40)에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이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이동자계가 리액션 플레이트(30)에 유도되어, 계자(40)와의 사이에 추진력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선형전동기는 선로의 굴곡 등으로 인하여 부하(60)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한 크기의 공극(S)을 확보해야 하므로 추진력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생산라인이나 물류산업 등에서 물품의 반송 또는 물품의 위치결정 등의 작업에 있어서, 일정 경로를 이동하는 반송차 등의 이동체를 구비한 이동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동체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이동체에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전원케이블을 이동체에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전원케이블이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끌려 소음이나 먼지를 발생시키고, 전원케이블이 끌리는 상태에서 만곡을 반복하게 되어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을 비접촉 상태로 이동체에 공급하기 위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이 널리 이용된다. 여기서, 비접촉 급전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교류전류가 흐르는 급전케이블을 배설하고, 급전케이블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으로부터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이동체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접촉 급전시스템은 산업용 이동체 시스템뿐만 아니라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충전식 전기 자동차에도 널리 사용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미 특허출원 10-2004-15190(출원일 2004.03.05)을 통해 종래의 산업용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개선안을 제안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제안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궤도 또는 도로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송전부(10) 및 송전부(1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의 저면에 설치 되는 집전부(20)로 구성되어 1차측인 송전부(10)와 2차측인 집전부(20)의 자기적 에너지 경로에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면서 차량 운행중에 집전이 이루어지는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전부(10)는 원통형 직선도체 형식의 1차코일(12)이 설치되고, 1차코일(12)의 상면으로는 절연목적의 비자성체(11)가 구성되며, 상기 집전부(20)는 상기 송전부(10)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에너지의 경로를 공유하는 사다리꼴의 반개폐형 관형상의 단면부로 이루어지는 철심(21)이 설치되고, 철심(2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차 코일(22)이 이격되게 권선될 수 있도록 구비된 비자성체(23)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은 송전부(10)가 부하(6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어 부하(60)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한 크기의 공극(S)을 확보해야 하므로 급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급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39007호(1995.02.07)에서 제안된 바 있는 기술적 내용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공극가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1)이 주행로에 매설되고 있고, 2차 코일(2)이 주행 차량(3)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다. 1차 코일(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 1차 코일(1)에 의해 발생된 자계는 주행 차량(3)의 2차 코일(2)에 유기 전력을 발생시킨다. 2차 코일(2)에 발생된 유기전력은, 주행 차량(3)의 동력원의 모터나 축전지에 공급된다. 한편 주행 차량(3)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5)는 각 측거 센서(7)로부터 2차 코일(2)과 노면간의 거리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근거하여 각 액츄에이터(4)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2차 코일(2)은 노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공극가변 장치는 전기자동차가 완만한 굴곡이 있을 수 있는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 2차 코일(2)과 노면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2차 코일(2)과 1차코일(1)간의 공극은 노면의 굴곡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노면의 굴곡이 완만하지 않고 변화가 심한 경우, 상기한 유압식 액츄에이터(4)의 반응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노면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도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과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차량에 관한 종래의 기술들은 많이 공지되어 있으나, 철도차량에 유도급전시스템과 선형유도전동기를 함께 사용한 철도차량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면의 변화 및 이동하는 부하의 고주파 진동에 실시간 반응하여 공극을 일정 크기로 유지 및 최소화함으로써, 추진력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형전동기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급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선형 추진력을 공급하고,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철도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리액션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자와 마주보며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계자;를 포함한 선형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송전부; 및 상기 송전부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송전부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계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극 제어부를 포함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선형 추진력을 공급하고,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철도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어 자계를 발생하는 계자를 포함한 선형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 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송전부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계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극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성은 산업용 컨베이어와 같이 부하(차량)가 지정된 괘도를 운행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급전시스템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선형전동기는 도 4, 도 5,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일(61)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리액션 플레이트(30), 부하(60)의 저면에 지지되어 리액션 플레이트(30)로부터 소정 간격의 공극을 두고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계자(40), 리액션 플레이트자(30)와 계자(40) 사이의 공극을 일정간격으로 제어하는 공극제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30)는 레일(6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플레이트)이다. 부하(60)는 통상의 컨베이어나 전기차량으로서 레일(61)에 의해 경로가 가이드 되고 하단부에 설치된 바퀴(62)에 의해 레일(61)을 따라 이동한다. 부하(60)의 저면에는 리액션 플레이트(30)와 소정의 공극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계자(40)가 지지되어 있다. 계자(40)는 다수의 얇은 철편으로 구성된 철심(41)과 철심(41)에 이동자계를 발생시키는 권선(42)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하(60)는 자력을 이용해 차량을 선로 위에 부상시켜 움직이는 자기부상열차(磁氣浮上列車, magnetic levitation train)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계자(40)는 부하(60)의 저면에 지지되어 있어, 리액션 플레이트(30)와 소정의 공극을 형성한 상태로 계자(40)에 전력이 공급되어 이동자계가 발생하면, 리액션 플레이트(30)에 유도되어 발생하는 자계와의 반발력을 추진력으로 부하(60)와 함께 이동된다.
한편, 상기 공극제어부(50)는 계자(40)의 저면과 리액션 플레이트(30) 간의 공극을 측정하여 공극(S)의 크기정보를 출력하는 센서(52), 센서(52)로부터 출력되는 공극의 크기정보를 기설정된 크기정보와 비교하여 측정된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1), 제어기(5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계자(40)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계자(40)의 상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기(55)를 구비한다.
상기 변위조절기(55)는 철심(41)의 상면과 부하(60)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센서(52)와 한 조로 구성된다. 변위조절기(55) 및 센서(52)는 부하(6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면의 좌/우측단 및 후면의 좌/우측단에 각각 하나씩 총 4개를 구비한다. 상기한 변위조절기(55)는 압전모터(52)와 이를 구동하는 전력증폭기(5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모터는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세라믹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부터 선형 구동력 및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구동원이다. 따라서 변위조절기(55)는 선형(Linear)구동형 압전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구동형 압전모터의 동작범위는 수 cm에 이를 뿐만 아니라 반응속도가 매우 빨라 레일(61)을 따라 이동하는 부하(60)의 고주파 진동뿐 아니라 레일(61)상의 이물질로 인한 차체의 상하 진동에도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노면을 운행하는 전기 자동차와 달리 지정된 괘도를 운행하는 산업용 이송장치나 전기차량의 공극(S)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9mm 내외의 크기를 갖는다. 이는 이송장치의 운행에 수반되는 상하 진동 및 선로의 평탄도 등을 고려한 최소한의 크기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지정된 괘도를 운행하는 산업용 이송장치나 전기차량에 이용할 경우, 공극(S)의 크기를 최소 3mm 로 유지할 수 있어 추진력 발생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의 추진력 발생 효율의 특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선형전동기의 공극(S)의 크기에 대한 효율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선형전동기를 추진력으로 이용한 산업용 이송장치에서 9mm의 공극을 유지할 경우 효율이 약 50% 이지만, 본 발명의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3mm의 공극을 유지할 경우 효율을 약 70% 까지 높일 수 있어 약 20% 정도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압전모터(56)의 반응시간 및 부하(60)의 최대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센서(52)를 부하(6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전모터(56)의 위치보다 적당한 거리만큼 전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압전모터(56)의 최장 반응시간 동안 부하(60)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 이상으로 압전모터(56)의 위치와 센서(52)의 위치를 부하(60)의 진행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이 경우, 제어기(51)는 부하(60)의 속도를 고려하여 압전모터(56)의 동작제어신호를 가변적으로 지연시키되, 지연시간을 부하(60)의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하여 출력함으로써 센서(52)가 감지한 공극(S)의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압전모터(56)의 위치에 대한 센서(52)의 위치를 부하(6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부하(60)의 이동 선상에서 압전모터(56)의 위치에 대한 센서(52)의 이격 거리가 부하(60)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제어기(51)가 센서(52)의 위치 를 제어한다. 이 경우, 센서(52)는 센서(52)의 위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용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제어기(51)는 부하(60)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외부(또는 속도계(미도시))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고려하여 부하(6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전모터(56)의 위치보다 센서(52)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이송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을 제어하는 과정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리액션 플레이트(30) 및 계자(40)의 배치가 상호 바뀌는 구조에서 리액션 플레이트(30)와 계자(40) 사이의 공극을 제어하는 과정도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경우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면을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 및 그 밖의 선형전동기가 활용되는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급전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변전소 등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송전부(10), 송전부(10)로부터 유기되는 전력을 집전하는 집전부(20), 송전부(10)와 집전부(20)간의 공극을 제어하는 공극제어부(50), 및 송전부(10)로부터 유기되는 전력을 집전 받아 이동전력으로 사용하는 부하(60)로 구성된다.
먼저, 송전부(10)는 직선도체형식의 1차 코일(12)과, 1차 코일(12)의 상면으로 절연목적의 비자성체(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집전부(20)는 송전부(10)의 1차 코일(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1차코일(12)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의 변화를 유기하는 철심(21), 및 철심(21)에 권선되어 철심(21)의 자속의 변화에 대응하는 유기전력을 발생하는 코일(22)로 구성된다. 상기한 철심(21)은 송전부(10)의 1차 코일(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부에 2차 코일(22)을 구비하는 사다리꼴의 반개폐형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부(C)가 송전부(10)의 1차 코일(12)에서 발생된 자속이 이동하는 자기에너지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집전부(20)는 코일(22)이 철심(21)에 권선시 철심(2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비자성체(23)를 구비한다.
상기한 집전부(20)는 부하(60)의 저면에 지지되어 있어, 송전부(10)와 소정의 공극(S)을 형성한 상태로 부하(60)와 함께 이동된다.
한편, 공극제어부(50)는 철심(21)의 저면과 비자성체(11) 간의 공극(S)을 측정하여 공극(S)의 크기정보를 출력하는 센서(52), 센서(52)로부터 출력되는 공극(S)의 크기정보를 기설정된 크기정보와 비교하여 측정된 공극(S)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1), 제어기(5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집전부(20)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철심(21)의 상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기(55)를 구비한다. 변위조절기(55)는 철심(21)의 상면과 부하(60)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센서(52)와 함께 철심(2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면의 좌/우측단 및 후면의 좌/우측단에 각각 하나씩 총 4개를 구비한다. 상기한 변위조절기(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모터(52)와 이를 구동하는 전력증폭기(5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모터는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세라믹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부터 선형 구동력 및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구동원이다. 따라서 변위조절기(55)는 선형(Linear)구동형 압전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구동형 압전모터의 동작범위는 수 cm에 이를 뿐만 아니라 반응속도가 매우 빨라 레일(61)을 따라 이동하는 부하(60)의 고주파 진동뿐 아니라 이물질로 인한 큰 충격에도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노면을 운행하는 전기 자동차와 달리 지정된 괘도를 운행하는 산업용 이송장치의 공극(S)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9mm 내외의 크기를 갖는다. 이는 이송장치의 운행에 수반되는 상하 진동 및 선로의 평탄도 등을 고려한 최소한의 크기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산업용 이송장치에 이용할 경우, 공극(S)의 크기를 최소 3mm 로 유지할 수 있어 급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급전효율의 특성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산업용 이송장치에서 9mm의 공극을 유지할 경우보다 본 발명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3mm의 공극을 유지할 경우 급전효율(토크)을 약 20% 정도 높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압전모터(56)의 반응시간 및 부하(60)의 최대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센서(52)를 부하(6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전모터(56)의 위치보다 적당한 거리만큼 전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압전모터(56)의 최장 반응시간 동안 부하(60)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 이상으로 압전모터(56) 의 위치와 센서(52)의 위치를 이격시킨다. 이 경우, 제어기(51)는 부하(60)의 속도를 고려하여 압전모터(56)의 동작제어신호를 가변적으로 지연시키되, 지연시간을 부하(60)의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하여 출력함으로써 센서(52)가 감지한 공극(S)의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압전모터(56)의 위치에 대한 센서(52)의 위치를 부하(6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부하(60)의 이동 선상에서 압전모터(56)의 위치에 대한 센서(52)의 이격 거리가 부하(60)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제어기(51)가 센서(52)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 센서(52)는 센서(52)의 위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용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제어기(51)는 부하(60)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외부(또는 속도계(미도시))로부터 입력받고, 이를 고려하여 부하(6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압전모터(56)의 위치보다 센서(52)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이송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지정된 괘도를 운행하는 산업용 이송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면을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 및 그 밖의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운송장치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평면상으로 볼 때 양측에 비접촉 급전시스템이 장착되고, 중앙부에 선형전동기가 동시에 장착됨으로써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동작되게 된 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면의 변화 및 이동하는 부하의 고주파 진동에 실시간 반응하여 공극을 일정 크기로 유지 및 최소화함으로써 발생되는 선형전동기의 추진력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비접촉 급전시스템의 급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9)

  1.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선형 추진력을 공급하고,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철도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리액션 플레이트, 및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마주보며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계자를 포함한 선형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송전부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고정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극의 크기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공극의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크기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공극이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고정자 및 부하에 고정되어 있는 집전부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하는 변위조절기로서 상기 부하에 대한 고정자 및 집전부의 변위를 가변하는 압전모터;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공극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센서 및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압전모터의 반응시간 동안 상기 부하가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상기 부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격 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하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증폭기로 출력하는 동작제어신호를 부하의 이동속도에 반비례하도록 가변적으로 지연시켜 출력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7. 제1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하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위치를 상기 부하의 진행 방향으로 가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로 출력하되,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이격 거리가 상기 부하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의 위치를 상기 부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하기 위한 이송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고정자 및 집전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 및 변위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0. 선형전동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선형 추진력을 공급하고,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부하에 유도전류를 공급하는 철도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동자계를 발생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어 자계를 발생하는 계자를 포함한 선형전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이동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와 소정거리 이격 되어 공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부하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송전부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공극의 크기가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계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극의 크기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공극의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크기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공극이 기설정된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계자 및 집전부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하는 변위조절기로서, 상기 부하에 대한 상기 계자 및 집전부의 변위를 가변하는 압전모터;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공극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센서 및 광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3. 삭제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위치는
    상기 압전모터의 반응시간 동안 상기 부하가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만큼 상기 부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격 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하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증폭기로 출력하는 동작제어신호를 부하의 이동속도에 반비례하도록 가변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6.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하가 이동하는 속도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위치를 상기 부하의 진행 방향으로 가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서로 출력하되, 상기 압전모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센서의 이격 거리가 상기 부하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의 위치를 상기 부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로 가변하기 위한 이송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8. 제10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계자 및 집전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 및 변위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19.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컨베이어 및 자기부상열차(magnetic levitation train)를 포함하는 전기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KR1020060026152A 2006-03-22 2006-03-22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KR10084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52A KR100840927B1 (ko) 2006-03-22 2006-03-22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PCT/KR2006/005550 WO2007108586A1 (en) 2006-03-22 2006-12-19 System of railway vehicle using linear motor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52A KR100840927B1 (ko) 2006-03-22 2006-03-22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667A KR20070095667A (ko) 2007-10-01
KR100840927B1 true KR100840927B1 (ko) 2008-06-24

Family

ID=3852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52A KR100840927B1 (ko) 2006-03-22 2006-03-22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0927B1 (ko)
WO (1) WO20071085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13B1 (ko) * 2008-01-29 2010-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제어 시스템
WO2010098547A2 (en) * 2009-02-27 2010-09-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device, power acquisition device and safety system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powered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6134B2 (en) 2009-01-23 2013-12-31 Magnemotion, Inc. Transport system powered by short block linear synchronous motors
US9032880B2 (en) 2009-01-23 2015-05-19 Magnemotion, Inc. Transport system powered by short block linear synchronous motors and switching mechanism
US8113310B2 (en) 2009-02-12 2012-02-14 General Atomics Linear motor charged electric vehicle
KR101042948B1 (ko) * 2009-11-23 2011-06-20 한국과학기술원 케이블 매설 스마트 바닥판 모듈, 이를 구비한 스마트 도로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110302078A1 (en) 2010-06-02 2011-12-08 Bryan Marc Failing Managing an energy transfer between a vehicle and an energy transfer system
US8292052B2 (en) 2010-06-24 2012-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1179468B1 (ko) * 2010-08-25 2012-09-10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DE102011089339A1 (de) * 2011-12-21 2013-06-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duktives Übertragen von Energie von einer Primärspule zu einer Sekundärspule eines elektromobilen Kraftfahrzeugs
GB2505149A (en) 2012-05-11 2014-02-26 Bombardier Transp Gmbh Inductive pick-up arrangement for an electric vehicle
US9697951B2 (en) 2012-08-29 2017-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CN105813886B (zh) 2013-09-21 2018-04-03 麦克纳莫绅有限公司 用于包装和其它用途的线性电机运输
US9610509B2 (en) * 2014-08-05 2017-04-04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raking or launching a ride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02A (ja) * 1986-07-02 1988-01-22 Toyo Electric Mfg Co Ltd リニアモ−タカ−
KR20050089673A (ko) * 2004-03-05 2005-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414A (ja) * 1991-07-19 1994-03-18 Hitachi Kiden Kogyo Ltd リニア誘導モータおよび磁気浮上搬送装置
JPH06296304A (ja) * 1993-04-06 1994-10-21 Murata Mach Ltd リニア搬送台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602A (ja) * 1986-07-02 1988-01-22 Toyo Electric Mfg Co Ltd リニアモ−タカ−
KR20050089673A (ko) * 2004-03-05 2005-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13B1 (ko) * 2008-01-29 2010-03-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제어 시스템
WO2010098547A2 (en) * 2009-02-27 2010-09-0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device, power acquisition device and safety system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powered electric vehicle
WO2010098547A3 (en) * 2009-02-27 2010-11-18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device, power acquisition device and safety system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powered electric vehicle
US8807308B2 (en) 2009-02-27 2014-08-19 Nam Pyo Suh Power supply device, power acquisition device and safety system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powered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08586A1 (en) 2007-09-27
KR20070095667A (ko) 200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927B1 (ko)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KR100875945B1 (ko) 최적 공극제어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철도차량시스템
CN105691233B (zh) 电磁列车
CN106926744B (zh) 一种磁悬浮列车
JP3920358B2 (ja) 磁気浮上車両の走行システム
KR940005452A (ko) 자기부상식의 반송장치
CN114734826B (zh) 一种永磁电动悬浮系统及其导向方法
EP3471996B1 (en) Magnetic suspension for a vehicle
US8217538B2 (en) Linear motor having a slidable element
US20050087400A1 (en) Electric motor, elevator with a car movable by an electric motor, and elevator with a car and with an electric motor for movement of a guide element relative to the car
CN106494895A (zh) 磁性直线导轨模组及磁性直线导轨装置
KR101069334B1 (ko) 세그먼트 구조를 갖는 리니어 모터 및 자기부상 시스템
CN108616207A (zh) 一种用于轨道交通的长定子直线电机绕组
CN105083029A (zh) 交流励磁轨道涡流制动器及其制动方法
CN101478272A (zh) 直线感应斥浮电动机
CN111573288A (zh) 磁浮传送装置
KR100783723B1 (ko) 비접촉 급전시스템
KR101498888B1 (ko) 2상2열 리니어 펄스 모터 추진시스템의 위치검출장치
KR101999790B1 (ko) 에너지 하비스터를 포함하는 자기 부상 열차 및 자기 부상 열차가 주행하는 인프라시스템
KR100769047B1 (ko) 선형전동기
KR100945713B1 (ko)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제어 시스템
CN110979021A (zh) 一种磁悬浮列车用永磁同步直线电机
CN211252219U (zh) 一种磁悬浮列车用永磁同步直线电机
KR101132695B1 (ko) 궤도차량 레일 추진장치 및 추진시스템
Kakinoki et al. A turnout without movable parts for magnetically levitated vehicles with hybrid mag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