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77A -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77A
KR20100052477A KR1020107003172A KR20107003172A KR20100052477A KR 20100052477 A KR20100052477 A KR 20100052477A KR 1020107003172 A KR1020107003172 A KR 1020107003172A KR 20107003172 A KR20107003172 A KR 20107003172A KR 20100052477 A KR20100052477 A KR 20100052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lade
trailing edge
uppermost
linearly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011B1 (ko
Inventor
마모루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out ladder-tape, e.g. with lazy-tongs, with screw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블라인드 장치(1)는 프레임(2)과, 횡방향(X)으로 각각 연장됨과 동시에 프레임(2)으로 둘러싸인 개구부(3)에 횡방향(X)으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병치된 복수의 날개(4)와, 복수의 날개(4)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 기구(5)와, 복수의 날개(4) 중 최하위 날개(4b)로부터 상하 방향(Z)에서 승강시키는 승강기구(6)와, 횡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Y)에서 복수의 날개(4) 중 최상위 날개(4a)의 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기구(6)에 의한 날개(4)의 승강에 기초하여 복수의 날개(4)를 R1방향 및 R2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 이동 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장치{Blind device}
본 발명은 건물의 창에 배치되어 실내를 가림과 동시에 차광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창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날개(slat)를 배열하여 날개의 승강 및 경사 이동으로 실내를 가림과 동시에 자연광 또는 인공광을 차광하는 블라인드 장치는 알려져 있으며, 이들 블라인드 장치에는 날개의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와, 날개의 경사 이동을 위한 경사 이동 수단(틸트 기구)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내쪽 또는 실외쪽에 설치된 블라인드 장치에서도 창을 완전 개방할 경우, 통상 서로 겹쳐져서 묶인 복수의 날개는 천정쪽에 배치된다.
특허문헌1:일본공개특허제2004-156289호공보
그런데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창의 완전 개방으로는 창으로부터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는 충분한 채광을 얻을 수 있도록 서로 겹쳐져서 묶인 복수의 날개는 창의 상부를 크게 덮지 않고 천정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날개의 승강장치나 날개의 경사 이동 수단의 점유 공간을 위해 천정을 높게 하지 않는 한 이들 묶인 복수의 날개에 의해 창의 상부가 크게 덮일 우려가 있다.
또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경사 이동 수단에 의한 복수의 날개의 경사 이동이 그 날개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고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날개의 전연(前緣)부가 전방을 향해 뻗어나오게 되는 결과, 블라인드 장치 자체 및 그 설치 영역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의 날개에 의해 창의 상부가 크게 덮일 우려를 없앨 수 있고, 게다가 장치 자체 및 그 설치 영역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병치(倂置)된 복수의 날개와, 복수의 날개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 기구와, 복수의 날개 중 최하위 날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날개 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기구에 의한 날개의 승강에 기초하여 복수의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경사 이동 수단은 복수의 날개 중 최상위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기구와,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後緣)부에서 그 최상위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의 후연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해 그 날개의 후연부를 승강기구에 의한 날개의 승강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특히 최상위 날개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 이동 수단이, 복수의 날개 중 최상위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기구와,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에서 그 최상위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의 후연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해 그 날개의 후연부를 승강기구에 의한 날개의 승강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 이동 수단을 복수의 날개 윗쪽에 배치하지 않아도 그 복수의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어 복수의 날개에 의해 창의 상부가 크게 덮일 우려를 없앨 수 있고, 게다가 이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최상위 날개의 후연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최상위 날개 전체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편, 그 날개 전체의 전후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이동기구의 작동에 기초하여 경사 이동되는 최상위 날개 및 여기에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된 날개 각각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장치 자체 및 그 설치 영역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의 후연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의 전연부가 그 날개의 경사 이동에 따라 전방을 향해 크게 뻗어나오지 않도록 날개를 경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날개 지지기구는 최상위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기구는 최상위 날개가 날개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승강기구의 작동을 직선이동 가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승강기구에 의한 복수의 날개의 승강과 연동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어 직선이동 가능 부재의 날개 지지부재에 대한 상하 방향의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날개 지지부재는 최상위 날개의 전연부와 후연부 사이의 부위를 지지하고 있으며, 직선이동 가능 부재는 최상위 날개의 후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날개 지지부재는 최상위 날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또는 최상위 날개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직선이동 가능 부재는 횡방향에서 날개 지지부재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직선이동 가능 부재를 날개 지지부재에 간섭하지 않도록 원활하게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승강기구는 복수의 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고, 전달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에 상하 방향의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랙피니언 기구와, 회전축의 회전을 랙피니언 기구에 전달하는 한편,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겼을 때에 회전축에 대한 슬라이딩을 일으켜 상기 회전 전달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기구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 위치보다도 윗쪽을 향하는 직선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금지하는 직선이동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날개의 경사 이동 개시기(開始期) 및 경사각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승강기구는 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해 주행하는 가요성의 길이부재와, 이 길이부재의 주행이 복수의 날개에 전달되도록 그 길이부재를 최하위 날개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기구는 길이부재에 장착된 부착체와, 이 부착체와 최하위 날개를 연결하도록 일단에서 최하위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서 부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 아암과, 연결 아암의 일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부재의 주행에 의해 부착체가 최하위 날개에 대해 상승될 때에 생기는 연결 아암의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부착체에 접촉한 저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날개에 의해 창의 상부가 크게 덮일 우려를 없앨 수 있고, 게다가 장치 자체 및 그 설치 영역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에 도시한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예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의 정면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상횡(上橫) 프레임을 일부 생략한 평면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종단면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종단면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종단면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종단면 설명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평면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평면 설명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평면 설명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정면 설명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횡연부 지지체의 사시 설명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최상위 날개의 횡연부 지지체의 사시 설명도,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최하위 날개의 횡연부 지지체의 사시 설명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슬라이딩 기구의 설명도,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슬라이딩 기구의 설명도,
도 16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주로 다른 날개 지지부재의 설명도,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
도 21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도 19에 도시한 상태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22에서,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는 프레임(2)과, 횡방향(X)으로 각각 연장됨과 동시에 프레임(2)으로 둘러싸인 개구부(3)에 횡방향(X)으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병치된 복수의 날개(4)와, 복수의 날개(4)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 기구(5)와, 복수의 날개(4) 중 최하위 날개(4b)로부터 상하 방향(Z)에서 승강시키는 승강기구(6)과, 횡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Y)에서 복수의 날개(4) 중 최상위 날개(4a)의 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기구(6)에 의한 날개(4)의 승강에 기초하여 복수의 날개(4)를 R1방향 및 R2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 이동 수단(7)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2)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종프레임(11) 및 (12)와, 한 쌍의 종프레임(11) 및 (12)의 상부를 교락(confounding)한 횡방향(X)으로 연장된 상횡프레임(13)과, 한 쌍의 종프레임(11) 및 (12)의 하부를 교락한 횡방향(X)으로 연장된 하횡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종프레임(11)은, 예를 들면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 외프레임(15)과, 외프레임(15)에 고정된 상하방향(Z)으로 연장된 내프레임(16)을 구비하고 있다. 외프레임(15)은, 예를 들면 도 7에서 L자형 외프레임 본체(17)과, 외프레임 본체(17)의 전후 방향(Y)에서 전방의 단부에 고착됨과 동시에 날개(4)에 설치된 롤러(36a)가 상하 방향(Z)으로 주행 가능하게 배치된 날개 안내로(37)를 가진 날개 안내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내프레임(16)은 횡방향(X)에 관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는 외프레임 본체(17)의 판부(17a)에 대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프레임 본체(17)의 판부(17b)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체(19)로 이루어지고, 판상체(19)에는 승강기구(6) 및 경사 이동 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외프레임(15)과 내프레임(16) 사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종프레임(12)은 종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날개(4)의 장수는, 블라인드 장치(1)가 설치되는 건물의 창 등의 치수나 개구부(3)의 상하 방향(Z)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날개(4)의 각각은, 횡방향(X)으로 길쭉하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원호형으로 만곡된 날개 본체(21)과, 볼트 등에 의해 날개 본체(21)의 한쪽 횡연부(橫緣部)(22)에 부착되어 그 횡연부(22)를 지지하는 횡연부 지지체(23)와, 볼트 등에 의해 날개 본체(21)의 다른쪽 횡연부(24)에 설치되어 그 횡연부(24)를 지지하는 횡연부 지지체(25)를 구비하고 있다. 횡연부 지지체(23) 및 (25)는 날개(4)의 횡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횡연부 지지체(23) 및 (25)는 볼트 대신에, 돌기 및 오목부로 이루어진 끼움 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날개 본체(21)의 횡연부(22) 및 (24)에 각각 설치되어도 좋고, 또 날개 본체(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횡연부 지지체(23) 및 (25)는 각각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횡연부 지지체(2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횡연부 지지체(25)에 대해서는 도면에 적절히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합성수지제의 횡연부 지지체(23)는, 예를 들면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 본체(21)와 마찬가지로 단면 원호형으로 만곡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Y)에서 수평 상태에 있는 날개 본체(21)보다도 짧은 본체(31)과,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가 배치되도록 본체(31)의 전연(28)으로부터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오목부(32)와, 전후 방향(Y)에서 수평형체에 있는 본체(31)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본체(31)의 날개 본체(21)쪽 횡단면(41)에 고착됨과 동시에 날개 본체(21)의 횡연부(22)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판(52)을 구비하고 있다. 횡연부 지지체(23)의 전연부(33)에는, 오목부(32)에 배치된 축핀(34)을 통해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일단(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횡연부 지지체(23)의 후연부(35)에는 부착판(52)에 배치된 축핀(36)을 통해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일단(81)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축핀(34)의 양단은, 오목부(32)가 형성됨으로써 두갈래로 된 본체(31)의 전연(28) 근처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핀(36)의 일단(끝단)에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 날개 안내로(37)에 상하 방향(Z)으로 주행 가능하게 배치된 롤러(36a)가 장착되어 있다. 축핀(36)의 타단은 부착판(52)의 후연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날개(4) 각각의 후연부(35)는 날개 안내로(37)에서 상하 방향(Z)으로 주행하는 롤러(36a)에 의해 상하 방향(Z)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횡연부 지지체(23)에는 오목부(32) 대신에,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축핀(34)은, 본 예에서는 본체(31)에 양단 지지로 되어 있는데, 일단 지지여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31)의 횡방향(X)에서의 폭을 더욱 좁혀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 및 부착판(52)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평 상태에 있는 횡연부 지지체(23)의 오목부(32)는 서로 접힌 상태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가 그 오목부(32)에 배치되는 정도의 전후 방향(Y)에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최상위 날개(4a)의 날개 본체(21)의 횡연부(22)를 지지하는 횡연부 지지체(23a)는, 특히 도 7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횡연부 지지체(23)의 구성에 추가하여 부착판(52)과 날개 본체(21) 사이에 개재되어 최상위 날개 본체(21)의 횡연부(22)에 볼트 등으로 부착되어 있는 부착판(53)과, 한 쌍의 부착판(52)와 부착판(53)의 횡방향(X)에서의 상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전연부(33)에 배치되어 부착판(52) 및 (5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간격 유지 부재(54)와, 부착판(52) 및 (53)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단에서 부착판(52) 및 (5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날개 지지기구(131)의 날개 지지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51)과, 부착판(53)의 후연부(35)이며 그 부착판(53)의 날개 본체(21)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두갈래부(56)와, 양단에서 두갈래부(5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이동기구(132)의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55)을 구비하고 있다. 부착판(53)은 두갈래부(56)를 제외하고 부착판(52)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최상위 날개 본체(21)의 횡연부 지지체(23a)쪽의 후방 코너부는 두갈래부(56)가 배치되도록 제거되어 있다.
지지축(51)은 전후 방향(Y)에 관하여 수평 상태에 있는 날개(4)의 전연부(33)과 후연부(35) 사이의 부위, 본 예에서는 무게중심부(39)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축(55)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지지축(51)은 상하 방향(Z)에 관하여 날개(4)의 전연(28) 및 후연(29)보다도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축(55)은 날개(4a)가 수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Y)에 관하여 지지축(51)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축(55)은 횡방향(X)에 관하여 지지축(51)보다도 날개 본체(21)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연결축(55)에 연결되는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횡방향(X)에서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되고, 이로써 날개 지지부재(141)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게 된다.
최하위 날개(4b)의 날개 본체(21)의 횡연부(22)를 지지하는 횡연부 지지체(23b)는, 특히 도 9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상술한 횡연부 지지체(23)의 구성에 추가하여, 날개(4)의 무게중심부(39)보다도 전연(28)쪽에 편심되어 부착판(52)에 장착됨과 동시에 승강기구(6)에 연결되는 연결 핀(61)을 구비하고 있다.
부착판(52)의 형상은 지지축(51) 및 연결 핀(61)의 유무나 이들 위치에 따라 설계되어,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형상이 된다.
링크 기구(5)는,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인접한 날개(4)의 전연부(33)에 각각의 일단(71)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72)에서 핀(76)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전후 방향(Y)에서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인접한 날개(4)의 후연부(35)에 각각의 일단(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82)에 핀(86)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와,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가 접혔을 때에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각각의 타단(72) 및 (82)가 각각의 일단(71) 및 (81)보다도 전후 방향(Y)에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각각의 접힘 방향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90)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 중 상위 전연부 링크 부재(73)의 일단(71)은, 상위 날개(4)의 횡연부 지지체(23)의 전연부(33)에서의 오목부(32)에서 축핀(3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 중 하위 전연부 링크 부재(74)의 일단(71)은, 하위 날개(4)의 횡연부 지지체(23)의 전연부(33)에서의 오목부(32)에서 축핀(3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인접한 날개(4)의 장수에 따라 각각의 일단(71)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개 연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는 전연 링크열을 구성하고 있다.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각각은 링크 아암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 중 상위 후연부 링크 부재(83)의 일단(81)은 상위 날개(4)의 후연부(35)에 축핀(3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 중 하위 후연부 링크 부재(84)의 일단(81)은, 하위 날개(4)의 후연부(35)에 축핀(3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인접한 날개(4)의 장수에 따라 각각의 일단(81)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수개 연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후연 링크열을 구성하고 있다.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각각은 링크 아암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수단(90)은,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각각의 접힘 방향을 특정하기 위해, 전연부 링크 부재(74)의 타단(72) 및 후연부 링크 부재(84)의 타단(82)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전연부 링크 부재(73)의 타단(72) 및 후연부 링크 부재(83)의 타단(82)에 접하여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상호 소정량 이상의 회전 및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상호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편(75) 및 (85)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소정량 이상의 상호 회전은, 저지편(75)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된 경우에도 180°미만의 접힘 각도(θ1)가 유지된다.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저지편(85)에 의해 소정량 이상의 상호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된 경우에도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접힘 각도와 동등한 180도 미만의 접힘 각도(θ2)가 유지된다.
특정 수단(90)은, 본 예에서는 전연부 링크 부재(74)의 타단(7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저지편(75) 및 후연부 링크 부재(84)의 타단(8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저지편(85)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대신에, 전연부 링크 부재(73)의 타단(72)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전연부 링크 부재(74)의 타단(72)에 접하여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의 상호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편 및 후연부 링크 부재(83)의 타단(82)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후연부 링크 부재(84)의 타단(82)에 접하여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상호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편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전후 방향(Y)에서 복수의 날개(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기구(6)는,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의 길이부재로서의 유단(有端) 체인(101)과, 체인(101)의 일단(98)을 최하위 날개(4b)의 연결 핀(61)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기구(102)와, 체인(101)을 A 및 B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주행 수단(103)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 수단(103)은, 체인(101)이 감겨 맞물린 r1 및 r2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로서의 스프로켓 휠(104)과, 스프로켓 휠(104)이 고착됨과 동시에 횡방향(X)으로 연장되어 r1 및 r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프레임(16)에 지지되어 있는 단면 육각형 모양의 회전축(105)과, 회전축(105)에 연결됨과 동시에 작동에 의해 회전축(105)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원으로서의 감속기 붙이 전동 모터(106)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 모터(106)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05)을 r1 및 r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의해 스프로켓 휠(104)을 r1 및 r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의해 체인(101)을 A 및 B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체인(101)은 그 체인(101)의 주행이 상하 방향(Z)으로 안내되도록, 내프레임(1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하방향(Z)으로 연장된 각 한 쌍의 안내 돌출줄기(111) 및 (112) 사이에 각각 끼워져 불필요한 휨이 저지되고 있다.
체인(101)은 안내 돌출줄기(111) 및 (112)의 윗쪽에서 스프로켓 휠(104) 주위에 배치됨과 동시에 내프레임(16)에 고정된 체인 누름부(113)로 눌려 불필요한 휨이 저지되고 있다. 전후 방향(Y)에 관하여 체인(101)의 일단(9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타단(99)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이 타단에는 경사 이동 수단(7)의 돌기(223)가 부착되어 있다. 체인(101)은 그 A방향의 주행에 의해 일단(98)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타단(99)을 상승시키고, 또 그 B방향의 주행에 의해 일단(98)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타단(99)을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프레임(1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된 안내 돌출줄기(111) 및 (112)는 체인 누름부(113)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일단 제거되어 있으며, 체인 누름부(113)는 체인(101)을 스프로켓 휠(104) 둘레에서 누를 수 있도록 안내 돌출줄기(111) 및 (112)의 상기 제거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켓 휠(104) 및 회전축(105)은, 전후 방향(Y)에서 복수의 날개(4)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Z)에 관하여 최상위 날개(4a) 및 날개 지지부재(141)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기구(102)는 체인(101)의 일단(98)에 장착된 판형의 부착체(116)와, 부착체(116)와 날개(4b)를 연결하도록 일단(118)에서 연결 핀(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119)에서 축핀(117)을 통해 부착체(11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연결 아암(120)과, 연결 아암(120)의 타단(119)에 일체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 아암(120)의 부착체(116)에 대한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편(121)과, 부착체(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한쪽의 안내 돌출줄기(111)와 다른 쪽의 안내 돌출줄기(111)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 안내 통로(122)에 배치되어 그 안내 통로(122)를 주행하는 전동 롤러(12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기구(102)는 체인(101)의 A 및 B방향의 주행에 의해 안내 통로(122)를 주행하는 전동 롤러(1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 최하위 날개(4b)를 상하 방향(Z)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구(6)는 종프레임(12)쪽에서도 종프레임(11)쪽의 체인(101), 스프로켓 휠(104), 연결기구(102)와 마찬가지로 형성된 체인, 스프로켓 휠 및 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 모터(106)의 작동에 의한 회전축(105)의 회전에 기초하여 날개(4b)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105)은 종프레임(11)에서 종프레임(12)까지 횡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스프로켓 휠(104)과 동일하게 형성된 종프레임(12)쪽 스프로켓 휠에도 고착되어 있다.
이상의 승강기구(6)는 전동 모터(106)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05)을 통해 스프로켓 휠(104)를 r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의해 체인(101)을 A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이 주행에 의해 연결기구(102)를 통해 최하위 날개(4b)를 하강시켜, 복수의 날개(4)를 최하위 날개(4b)부터 선행하여 하강시키는 한편, 전동 모터(106)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05)을 통해 스프로켓 휠(104)을 r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의해 체인(101)을 B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이 주행에 의해 연결기구(102)를 통해 최하위 날개(4b)를 상승시키는데 복수의 날개(4)를 최하위 날개(4b)부터 선행하여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경사 이동 수단(7)은,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 날개(4a)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기구(131)와, 날개(4a)에서의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지지된 부위(날개(4a)의 무게중심부(39))보다도 후방 부위(날개(4a)의 후연부(35))에서 그 날개(4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날개(4a)에서의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지지된 무게중심부(39)에 대한 후연부(35)의 상하 방향(Z)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4a)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해 그 날개(4a)의 후연부(35)를 승강기구(6)에 의한 날개(4)의 승강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32)를 구비하고 있다.
날개 지지기구(131)은, 예를 들면 도 4, 도 5,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 날개(4a)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재(141)와, 날개 지지부재(141)를 종프레임(11)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 본 예에서는 날개 지지부재(141)를 소정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프레임(16)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142)을 구비하고 있다.
날개 지지부재(141)는, 전후 방향(Y)에서 부착 수단(142)에 의해 내프레임(16)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 부위(145)에서 날개(4a)의 무게중심부(39)까지 돌출된 판형의 본체(147)와, 본체(147)에 설치됨과 동시에 날개(4a)의 지지축(51)에 연결되는 연결부(148)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148)는 본체(147)의 상기 돌출된 돌출 부위(146)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148)는, 본 예에서는 지지축(51)이 삽입통과된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된 장공(149)을 가지고 있다. 장공(149)에 삽입통과된 날개(4a)의 지지축(51)은, 장공(149)을 따라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여 날개(4a) 후연부(35)의 상하 방향(Z)의 직선이동에 따른 지지축(51)의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한 전후 방향(Y)의 이동이 허용되는 반면, 장공(149)을 구획하는 본체(147)로의 접촉에 의해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한 상하 방향(Z)의 이동이 금지되어 있다. 또 지지축(51)은 장공(149)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부착 수단(142)에 의해 종프레임(11)에 부착되는 날개 지지부재(141)는 장공(149)에 지지축(51)이 배치됨으로써 날개(4a)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연결부(148)는 날개(4a) 지지축(51)의 전후 방향(Y)에서의 이동 범위가 날개(4a) 후연부(35)의 상하 방향(Z)의 직선이동과의 관계상 소정 범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장공(149) 대신에, 예를 들면 도 16의(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47)의 돌출단(146a)에서 개구된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된 슬릿(149a)을 구비해도 좋다. 또 날개 지지부재(141)는 연결부(148) 대신에, 예를 들면 도 16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한 날개(4a) 전후 방향(Y)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날개(4a)의 지지축(51)에 연결되는 연결부(148a)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는 날개 지지기구(131)는 부착 수단(142) 대신에, 날개 지지부재(141)가 종프레임(11)에 대해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날개 지지부재(141)를 종프레임(11)에 부착하는 부착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그 부착 수단을 통해 종프레임(11)에 부착되는 상기 연결부를 구비한 날개 지지부재(141)를 최상위 날개(4a)와 함께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 지지부재(141) 자체를 부착 수단(142)에 대해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예를 들면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된 장공(142a)을 설치 부위(145)에 형성하고, 그 장공(142a)에 부착 수단(142)을 통해 종프레임(11)에 부착한다.
부착 수단(142)은, 본 예에서는 날개 지지부재(141)의 설치 부위(145)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Z)으로 안내되도록 한쪽의 안내 돌출줄기(111) 및 (112)의 체인 누름부(113)보다도 윗쪽 부분에 끼워맞추어진 상하방향(Z)으로 이동 가능한 부착 부재로서의 한 쌍의 롤러(151)와, 날개 지지부재(141)의 종프레임(11)에 대한 소정 위치 이상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한 수단(152)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롤러(151)는 체인 누름부(113)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 누름부(11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체인(101)과는 전혀 간섭되지 않는다.
제한 수단(152)은, 본 예에서는 상하 방향(Z)에서 날개 지지부재(141)의 아래쪽에 배치된 고정 부재(184)의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접촉면(153)에 의해 구체화되어 있으며, 이 접촉면(153)은 날개 지지부재(141)가 종프레임(11)에 대해 소정량 하강한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날개 지지부재(141)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상기 위치 이상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날개 지지부재(141)의 소정량 이상의 상승은 그 날개 지지부재(141)의 상횡프레임(13)에 대한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부착 수단(142)은 한 쌍의 롤러(151)에 의해 날개 지지부재(141)를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제한 수단(152)에 의해 날개 지지부재(141)의 상하 방향(Z)의 이동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있다.
날개 지지기구(131)는, 날개 지지부재(141)의 소정 범위의 상하 방향(Z) 이동을 허용하는 부착 수단(142) 대신에, 날개 지지부재(141)를 상하 방향(Z)으로 움직이지 않게 종프레임(11)에 연결하는 고정 나사 등의 부착 수단을 구비해도 좋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한 수단(152)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동기구(132)는 날개 지지부재(141)에 의해 날개(4a)를 지지하는 무게중심부(39)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그 날개(4a)의 후연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상하 방향(Z)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162)과,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소정 위치 이상의 하강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164)과,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승강기구(6)의 작동을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해제 가능하게 전달하는 전달기구(163)를 구비하고 있다.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횡방향(X)에서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안내 수단(162)을 통해 내프레임(16)에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본체(171)와, 본체(171)의 상부 전방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날개(4a)의 후연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7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172)는, 본체의 상부 전방 부위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전방을 향해 날개(4a)의 후연부(35)까지 돌출된 돌출부(175)와, 돌출부(175)의 돌출단(175a)에 형성된 오목부(176)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176)에는 연결축(5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안내 수단(162)은 본체(171)에 형성된 상하방향(Z)으로 연장된 장공(181)과, 장공(181)에 끼워진 한 쌍의 롤러(182) 및 (183)과, 체인 누름부(113)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 사이에 개재됨과 동시에 한 쌍의 롤러(182) 및 (183)을 내프레임(16)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84)와, 롤러(182) 및 (183)의 끝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상하 방향(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해 있는 슬라이딩 접촉판(186)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롤러(182) 및 (183)은 장공(181)에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을 상하 방향(Z)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부재(184)는 횡방향(X)에 관하여 체인 누름부(113)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 사이에 개재됨과 동시에 한 쌍의 안내 롤러(182) 및 (183)이 설치된 판형 본체(191)와, 판형 본체(191)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내프레임(16)까지 연장되어 그 내프레임(16)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부(192)와, 판형 본체(191)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내프레임(16)까지 연장되어 그 내프레임(16)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부(193)과, 회전축(105)이 삽입통과됨과 동시에 판형 본체(19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과공(194)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부(192)는 체인 누름부(113)의 윗쪽에서 내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판부(193)는 스프로켓 휠(104)의 아래쪽에서 내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다.
금지 수단(164)은 본체(171)의 상부 후방 부위에 설치됨과 동시에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 고정 부재(184)에 접촉하여 그 위치 이상의 하강을 금지하는 금지 부재로서의 구름운동체(185)를 구비하고 있다.
전달기구(163)는, 회전축(105)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상하 방향(Z)의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랙피니언 기구(201)와, 회전축(105)의 회전을 랙피니언 기구(201)에 전달하는 한편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겼을 때에 회전축(105)에 대한 슬라이딩을 일으켜 상기 회전 전달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기구(199)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소정 위치보다도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금지하는 직선이동 금지 기구(200)를 구비하고 있다.
랙피니언 기구(201)는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형성된 상하방향(Z)으로 연장된 랙(203)과, 랙(203)에 맞물림과 동시에 승강기구(6)의 작동에 기초한 회전에 의해 랙(203)을 통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상하 방향(Z)의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피니언(204)을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204)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본체(171)에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장공(20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204)은 베어링(206)을 통해 회전축(105)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10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랙(203)은, 장공(205)을 규정하는 본체(171)의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 규정면(207)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랙피니언 기구(201)은 회전축(105)의 회전이 슬라이딩 기구(199)를 통해 피니언(204)에 전달되면 피니언(204)이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랙(203)을 상하 방향(Z)에서 이동시켜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딩 기구(199)는, 특히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05)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그 회전축(105)에 고착된 대략 원통형의 회전체(211)와, 회전체(211)의 외주면에 감겨 그 회전체(211)에 마찰 접촉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212)과, 회전체(211)보다도 큰 직경이며 회전체(211) 및 코일 스프링(212)을 덮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212)의 일단(213) 및 타단(214)을 걸어고정하는 단면 C자형 걸림부(215)와, 걸림부(215)의 측면(216)을 피니언(204)의 측면(217)에 일체적으로 고착시키는 중공 원판형 고착부(218)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212)은 회전체(211)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어 그 회전체(211)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코일 스프링(212)은 그 코일 스프링(212)에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긴 경우에는 회전체(211)에 대해 슬라이딩을 일으켜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12)의 회전은 걸림부(215) 및 고착부(218)를 통해 피니언(204)에 전달된다. 걸림부(215)는 코일 스프링(212)의 일단(213) 및 타단(214)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직선이동 금지 기구(200)는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고착된 핀(219)과, 핀(219)에 걸려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상승을 해제 가능하게 금지함과 동시에 고정 부재(184)의 고정판부(193)에 축핀(2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걸쇠 부재(221)와, 걸쇠 부재(221)가 핀(219)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걸쇠 부재(22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토션 코일 스프링(222)과, 체인(101)의 타단(99)에 부착됨과 동시에 걸쇠 부재(221)가 핀(219)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걸쇠 부재(221)에 접촉한 토션 코일 스프링(222)에 의한 가압에 대항하여 그 걸쇠 부재(221)를 회전시키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돌기(223)를 구비하고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222)은, 일단이 걸쇠 부재(221)에 또한 타단이 고정 부재(184)에 각각 걸림고정됨과 동시에 축핀(220)에 감겨 있다.
걸쇠 부재(221)는 걸쇠 본체(231)와, 걸쇠 본체(231)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핀(219)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후크부(232)와, 돌기(223)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걸쇠 본체(231)의 전후 방향(Y)에 관하여 후방의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접촉면(233)과, 걸쇠 본체(231)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토션 코일 스프링(222)에 의한 가압에 의한 걸쇠 부재(221)의 축핀을 중심으로 한 과도한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종프레임(11)의 안내 돌출줄기(111)에 접촉한 저지부(234)를 구비하고 있다.
걸쇠 부재(22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01)의 A방향 주행에 의해 상승하는 돌기(223)가 접촉면(233)에 접촉되고 D방향을 향해 눌림으로써, 축핀(22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후크부(232)와 핀(219)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상승 금지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를 개방한 블라인드 장치(1)의 개구 개방 상태에서는, 복수의 날개(4)는 서로 겹쳐져서 개구부(3)의 상부에 묶여 있고 전연 링크열을 구성하는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 오목부(32)에 배치되어 있고 후연 링크열을 구성하는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 전후 방향(Y)에 관하여 복수의 날개(4)의 후방에 돌출됨과 동시에 외프레임(15)와 내프레임(1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날개 지지부재(141)는 최상위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면(15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상하 방향(Z)에서 최상위 날개(4a)에 인접한 하위 날개(4)로 들어올려져 상횡프레임(13)의 횡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날개 지지부재(141)는 최상위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접촉하여 들어올려져도 좋고, 전연부(33)에서 그 하위 날개(4)의 전연부(33)에 접촉한 날개(4a)와 그 하위 날개(4)의 후연부(35)에 접촉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통해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져도 좋다. 또 날개 지지부재(141)는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접촉하여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그 날개(4a) 및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통해 그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져도 좋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를 폐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1)의 개구 폐쇄 상태에서는, 최상위 날개(4a)의 전연(28)은 그 날개(4a)에 인접한 날개(4)의 후연부(35)에 접촉하고, 최하위 날개(4b)의 후연부(35)는 그 날개(4b)에 인접한 날개(4)의 전연(28)에 인접되어 있고, 날개(4a)와 날개(4b) 사이의 복수의 날개(4) 각각의 전연(28)은, 이들에 인접한 날개(4)의 후연부(35)에 각각 접촉되어 있고, 그 복수의 날개(4)의 후연부(35)는 이들에 인접한 날개(4)의 전연(28)에 각각 접촉되어 있고, 전연 링크열을 구성하는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후연 링크열을 구성하는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각각 신장되어 있으며, 날개 지지부재(141)는 복수의 날개(4) 및 링크 기구(5)의 하중을 받아 하강되어 접촉면(153)에 접촉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직선이동시에 배치되는 상하 방향(Z)에서의 각 위치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의 개구부(3)의 폐쇄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개구 개방 상태의 블라인드 장치(1)에서, 전동 모터(106)를 작동시켜 회전축(105)을 r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프로켓 휠(104)을 통해 체인(101)을 A방향으로 주행시킨다. 체인(101)의 A방향 주행에 의해 그 체인(101)의 일단(98)에 연결기구(10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최하위 날개(4b) 및 그 날개(4b)에 링크 기구(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날개(4)를 하강시키고, 복수의 날개(4)의 하강과 함께 날개 지지부재(141)를 그 날개 지지부재(141)가 접촉면(153)에 접촉하여 그 하강이 제한될 때까지 하강시킨다. 회전축(105)의 r1방향의 회전에 의해 코일 스프링(212)에는 r1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쇠 부재(221)가 핀(219)에 걸려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12)은 r1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고 회전체(211)에 대해 슬라이딩을 일으킬 뿐이며, 따라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전달기구(163)를 통해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력을 부여받는데, 윗쪽을 향해 직선이동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가 되어, 날개(4a)의 후연부(35)도 역시 상하 방향(Z)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날개 지지부재(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4)와 함께 하강되기 때문에, 날개(4a)의 무게중심부(39)도 또 전후 방향(Y)에 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하강되고, 이 하강에 의해 날개(4a)의 무게중심부(39)와 후연부(35)는 상하 방향(Z)에서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키는 결과, 이러한 날개(4a)는 R1방향으로 경사 이동된다. 날개 지지부재(141)의 하강에 의한 날개(4a)의 경사 이동은, 날개 지지부재(141)의 접촉면(153)에 접촉되면서 정지된다.
접촉면(153)에 접촉됨으로써 소정 위치 이상의 하강이 제한된 날개 지지부재(141)에 지지되는 최상위 날개(4a)와 그 날개(4a)의 하위 날개(4)를 연결하고 있는 최상위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최상위의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최상위 날개(4a)의 하위 복수의 날개(4)가 더 하강함으로써 신장되고, 그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하위 복수개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도 또한 차례대로 신장되고, 이로써 복수의 날개(4)의 겹침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위 날개(4)부터 차례대로 해제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가 신장되었을 때에는 체인(101)의 A방향 주행에 의해 상승되는 돌기(223)가 걸쇠 부재(221)의 접촉면(233)에 접촉한다. 접촉면(233)에 접촉한 돌기(223)가 체인(101)의 A방향 주행에 의해 더욱 상승되면 접촉면(233)이 D방향을 향해 눌려 걸쇠 부재(221)가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걸쇠 부재(221)가 핀(219)에 걸린 상태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되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의 금지가 해제된다.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의 금지가 해제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회전축(105)의 r1방향의 회전이 슬라이딩 기구(199) 및 랙피니언 기구(201)를 통해 그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전달되는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Z)에서 윗쪽을 향해 직선이동되고, 이 직선이동에 의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는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한 상하 방향(Z)에서의 상대적인 변위가 생기고, 이 변위에 의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날개 지지부재(141)보다도 더 윗쪽에 배치됨으로써 날개(4a)도 또한 R1방향으로 더 경사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가 신장된 경우에 체인(101)이 A방향으로 더 주행되면, 연결기구(102)의 부착체(116)가 최하위 날개(4b)에 대해 더욱 하강하여 연결 아암(120)에 F방향의 회전이 생기고, 이 회전에 의해 날개(4b)를 전후 방향(Y)에 관하여 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직선이동 금지 기구(200)에 의한 직선이동의 금지 해제에 기초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과 연결 아암(120)의 F방향의 회전은, 본 예에서는 동기되어 개시되도록 설계(특히 일단(98)에서 돌기(223)가 설치된 타단(99)까지의 체인(101) 길이의 설계)되어 있다.
연결기구(102)가 하강되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위에 배치되면, 체인(101)의 A방향 주행은 정지되고, 이 주행의 정지에 의해 연결 아암(120)의 F방향 회전 및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윗쪽을 향하는 직선이동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블라인드 장치(1)는 도 19 및 도 22에 도시한 개구 폐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의 개구부(3) 개방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9에 도시한 개구 폐쇄 상태의 블라인드 장치(1)에서, 전동 모터(106)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05)을 r2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로켓 휠(104)을 통해 체인(101)을 B방향으로 주행시킨다. 체인(101)의 B방향 주행에 의해 그 체인(101)의 일단(98)에 연결기구(10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최하위 날개(4b)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시킨다. 회전축(105)의 r2방향 회전은 슬라이딩 기구(199) 및 랙피니언 기구(201)을 통해 아래쪽을 향하는 직선이동력으로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전달되고, 이 직선이동력이 전달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아래쪽을 향해 직선이동하여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해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켜, 최상위 날개(4a)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R2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고, 날개(4a)의 하위 복수의 날개(4)도 링크 기구(5)를 통해 날개(4a)의 경사 이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날개(4a)와 동일하게 R2방향으로 경사 이동된다. 체인(101)의 B방향 주행과 함께 복수의 날개(4)가 R2방향으로 경사 이동할 때에는 연결 아암(120)도 F방향과는 반대인 G방향으로 회전되어 복수의 날개(4)를 전후 방향(Y)에 관하여 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연결 아암(120)이 G방향으로 소정량 회전했을 때에는 저지편(121)이 부착체(116)에 접촉함으로써 그 회전이 저지되고, 이와 같이 저지된 연결 아암(120)은 대략 수평 상태가 된다.
최하위 날개(4b)와 그 날개(4b)의 상위 날개(4)를 연결하는 도 19에 도시한 최하위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최하위의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는, 날개(4b)가 상승함으로써 접히고, 접힌 그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날개(4b)와 그 날개(4b)의 상위 날개(4)는 서로 겹쳐진다. 최하위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최하위의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의 상위의 복수개의 한 쌍의 전연부 링크 부재(73) 및 (74)와 한 쌍의 후연부 링크 부재(83) 및 (84)도 또한 차례대로 접히고, 이로써 복수의 날개(4)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위 날개(4)부터 차례대로 겹쳐진다.
아래쪽을 향해 직선이동되는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걸쇠 부재(221)의 후크부(23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해도 더욱 아래쪽을 향해 직선이동되고, 복수의 날개(4)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었을 때에 구름운동체(185)가 고정 부재(184)에 접촉한 그 위치 이상의 아래쪽을 향하는 직선이동이 금지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복수의 날개(4)가, 체인(101)의 B방향 주행에 기초한 날개(4b)의 상승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례대로 겹쳐져서 도 21에 도시한 상태가 되었을 때,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그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돌출부(175)의 하위 날개(4)의 후연부(35)에 접촉하여 들어올려짐으로써 윗쪽을 향해 직선이동하고, 최상위 날개(4a)는 그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직선이동에 기초하여 R1방향으로 경사 이동되고, 전연부(33)에서 하위 날개(4)의 전연부(33)에 접촉한다. 그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 윗쪽으로의 직선이동에서, 슬라이딩 기구(199)에는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기며, 회전축(105)에 대한 슬라이딩을 일으켜 그 회전축(105)의 회전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로의 전달을 해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날개 지지부재(141)는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승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블라인드 장치(1)는 도 3에 도시한 개구 개방 상태가 된다. 날개 지지부재(141)는 최상위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접촉하여 들어올려져도 좋고, 전연부(33)에서 그 하위 날개(4)의 전연부(33)에 접촉한 날개(4a)와 그 하위 날개(4)의 후연부(35)에 접촉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통해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져도 좋다. 또 날개 지지부재(141)는 날개(4a)의 하위 날개(4)에 접촉하여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그 날개(4a) 및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통해 그 하위 날개(4)에 의해 들어올려져도 좋다.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에서는, 회전축(105) 및 전동 모터(106)를 제외하고 링크 기구(5), 승강기구(6) 및 경사 이동 수단(7) 등과 동일한 구성이 종프레임(12)쪽에도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05)은 종프레임(12)쪽 승강기구 및 경사 이동 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종프레임(12)쪽까지 연장되어 있는데, 종프레임(12)쪽의 승강기구 및 경사 이동 수단은 종프레임(11)쪽의 승강기구(6) 및 경사 이동 수단(7)과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상하 방향(Z)으로 서로 병치된 복수의 날개(4)와, 복수의 날개(4)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 기구(5)와, 복수의 날개(4) 중 최하위 날개(4b)부터 승강시키는 승강기구(6)과, 날개(4)의 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기구(6)에 의한 날개(4)의 승강에 기초하여 복수의 날개(4)를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 이동 수단(7)을 구비하고 있으며, 경사 이동 수단(7)은, 복수의 날개(4) 중 최상위 날개(4a)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기구(131)과, 최상위 날개(4a)에서의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지지된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35)에서 그 최상위 날개(4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최상위 날개(4a)에서의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4a)의 후연부(35)의 상하 방향(Z)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4)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해 그 날개(4a)의 후연부(35)를 승강기구(6)에 의한 날개(4)의 승강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 이동 수단(7)을 복수의 날개(4) 윗쪽에 배치하지 않아도 그 복수의 날개(4)를 경사 이동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어 복수의 날개(4)에 의해 창의 상부가 크게 덮일 우려를 없앨 수 있고, 게다가 이동기구(132)의 작동에 의해 최상위 날개(4a)의 후연부(35)가 상하 방향(Z)으로 이동될 때에,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최상위 날개(4a) 전체의 상하 방향(Z)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편, 그 날개(4a) 전체의 전후 방향(Y)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이동기구(132)의 작동에 기초하여 경사 이동되는 최상위 날개(4a) 및 여기에 링크 기구(5)를 통해 연결된 날개(4)의 각각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장치 자체 및 그 설치 영역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고, 또 날개(4a)에서의 날개 지지기구(131)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4a)의 후연부(35)의 상하 방향(Z)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4)의 전연부(33)가 그 날개(4)의 경사 이동에 따라 전방을 향해 크게 뻗어나오지 않도록 날개(4)를 경사 이동시킬 수 있다.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날개 지지기구(131)는 최상위 날개(4a)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Y)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재(141)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기구(132)는 최상위 날개(4a)가 날개 지지부재(141)에 지지되는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상하 방향(Z)으로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승강기구(6)의 작동을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로 해제 가능하게 전달하는 전달기구(16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기구(6)에 의한 복수의 날개(4)의 승강과 연동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한 상하 방향(Z)의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는 횡방향(X)에서 날개 지지부재(141)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를 날개 지지부재(141)에 간섭하지 않도록 원활하게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승강기구(6)는 복수의 날개(4)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축(105)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기구(163)는 회전축(105)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에 상하 방향(Z)의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랙피니언 기구(201)와, 회전축(105)의 회전을 랙피니언 기구(201)에 전달하는 한편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겼을 때에 회전축(105)에 대한 슬라이딩을 일으켜 상기 회전 전달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기구(199)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161)의 소정 위치보다도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금지하는 직선이동 금지 기구(20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4)의 경사 이동 개시기 및 경사각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Claims (7)

  1. 상하 방향으로 서로 병치(倂置)된 복수의 날개와, 복수의 날개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 기구와, 복수의 날개 중 최하위 날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날개 후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기구에 의한 날개의 승강에 기초하여 복수의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는 경사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경사 이동 수단은, 복수의 날개 중 최상위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기구와,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에서 그 최상위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최상위 날개에서의 날개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 부위에 대한 그 날개의 후연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대 변위에 의해 날개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해 그 날개의 후연부를 승강기구에 의한 날개의 승강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날개 지지기구는, 최상위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기구는, 최상위 날개가 날개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부위보다도 후방의 후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 가능 부재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승강기구의 작동을 직선이동 가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전달하는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날개 지지부재는 최상위 날개의 전연부와 후연부 사이의 부위를 지지하고 있으며, 직선이동 가능 부재는 최상위 날개의 후연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날개 지지부재는, 최상위 날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또는 최상위 날개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이동 가능 부재는 횡방향에서 날개 지지부재에 대해 틈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기구는 복수의 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고, 전달기구는 회전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이동 가능 부재에 상하 방향의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랙피니언 기구와, 회전축의 회전을 랙피니언 기구에 전달하는 한편, 소정 이상의 회전 부하가 생겼을 때에 회전축에 대한 슬라이딩을 일으켜 상기 회전 전달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기구와, 직선이동 가능 부재의 소정 위치보다도 윗쪽을 향한 직선이동을 해제 가능하게 금지하는 직선이동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기구는, 날개를 승강시키기 위해 주행하는 가요성의 길이부재와, 이 길이부재의 주행이 복수의 날개에 전달되도록 그 길이부재를 최하위 날개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기구는, 길이부재에 장착된 부착체와, 이 부착체와 최하위 날개를 연결하도록 일단에서 최하위 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서 부착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 아암과, 연결 아암의 일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부재의 주행에 의해 부착체가 최하위 날개에 대해 상승될 때에 생기는 연결 아암의 소정량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부착체에 접촉하는 저지편을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107003172A 2007-08-14 2007-08-14 블라인드 장치 KR101332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00877 WO2009022370A1 (ja) 2007-08-14 2007-08-14 ブライン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77A true KR20100052477A (ko) 2010-05-19
KR101332011B1 KR101332011B1 (ko) 2013-11-25

Family

ID=4035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172A KR101332011B1 (ko) 2007-08-14 2007-08-14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80132A4 (ko)
KR (1) KR101332011B1 (ko)
CN (1) CN101802339B (ko)
WO (1) WO2009022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2057A (ja) * 2011-06-13 2013-01-07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5953983B2 (ja) * 2012-06-28 2016-07-20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BE1022563B1 (nl) * 2014-10-16 2016-06-02 Renson Sunprotection Screens Nv Lamelleninrichting
KR101917769B1 (ko) 2016-12-12 2018-11-12 썬파크 주식회사 전동식 블라인드
KR101917767B1 (ko) 2016-12-12 2019-01-24 썬파크 주식회사 전동식 블라인드
AU2018253645A1 (en) 2017-10-31 2019-05-16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Control mechanism for a double pitch blind and a double pitch blind assembly
DK180193B1 (en) * 2018-12-28 2020-08-04 Jørn Krab Holding APS System for closing an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085U (ja) * 1984-08-02 1986-03-05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シヤツタ−ブラインド
JPH0726557Y2 (ja) * 1987-06-12 1995-06-1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たたみ込みシャッタ−の駆動装置
JP2713613B2 (ja) * 1989-08-28 1998-02-16 文化シヤツター株式会社 ブラインドシヤツターリンク装置
JP2545994Y2 (ja) * 1991-05-31 1997-08-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ブラインドの安全停止装置
CN2413006Y (zh) * 2000-01-07 2001-01-03 粘铭 改良的百叶窗帘
JP4431810B2 (ja) * 2000-08-29 2010-03-17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3885701B2 (ja) * 2002-09-30 2007-02-28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CN2709622Y (zh) * 2004-04-30 2005-07-13 三和卷帘门工业株式会社 窗用百叶窗装置
JP4561268B2 (ja) * 2004-09-16 2010-10-13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JP4862439B2 (ja) * 2006-03-08 2012-01-25 オイレスEco株式会社 ブライン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0132A1 (en) 2010-04-28
WO2009022370A1 (ja) 2009-02-19
CN101802339A (zh) 2010-08-11
EP2180132A4 (en) 2015-12-16
KR101332011B1 (ko) 2013-11-25
CN101802339B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011B1 (ko) 블라인드 장치
JP4862439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2918630B2 (ja) パネルシヤツタ装置
JP5354031B2 (ja) ブラインド装置
AU2009339917A1 (en) A ladder deployment system
JP5953983B2 (ja) ブラインド装置
EP3051054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pening
KR20140035436A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EP1637689B1 (en) Window blind apparatus
JP5768481B2 (ja) ブラインド装置
ES2460966T3 (es) Sistema de bloqueo de persianas en caso de fallos
JP4899094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056216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958897B2 (ja) 横引きゲート
JP5392363B2 (ja) ルーバ及びこれを具備したルーバ装置
JP5098415B2 (ja) ルーバ及びこれを具備したルーバ装置
JP2008285296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及びその開閉装置
KR102300889B1 (ko) 승강식 개폐문의 비상정지장치
JP3900988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241451B2 (ja) ブラインド装置
WO2010149800A1 (es) Persiana arrollable con lamas móviles
PL207171B1 (pl) Zespół prowadząco-zabezpieczający zwłaszcza dla podnoszonego skrzydła bramy
JPH1046944A (ja) シャッター装置
JPH08925U (ja) シャッタースラットの構造
JP2005273344A (ja) ガレージ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