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54A -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 Google Patents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54A
KR20100052454A KR1020107001069A KR20107001069A KR20100052454A KR 20100052454 A KR20100052454 A KR 20100052454A KR 1020107001069 A KR1020107001069 A KR 1020107001069A KR 20107001069 A KR20107001069 A KR 20107001069A KR 20100052454 A KR20100052454 A KR 2010005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axle
winding assembly
cord
spring
cor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077B1 (ko
Inventor
푸-라이 유
친-티엔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5Arrangements to aid the winding of cords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5Arrangements to aid the winding of cords rollers
    • E06B2009/3227Axially mov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와 이 윈도우 덮개를 위한 제어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윈도우 덮개는 구동 액슬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인가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힘의 스프링과 같은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는 구동 액슬에 동축방향으로 설치되고 상승 코드의 제 2 단부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테이퍼 부분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권취 드럼 뿐 아니라, 위치설정 부재의 회전시에 코드 권취 조립체를 구동 액슬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는 구동 액슬에 있는 회전력을 상승 코드에 있는 상승력으로 전환시키기에 적합하고, 상기 상승력은 개폐 동작의 범위에 걸쳐 쉐이드 요소와 바닥 레일에 의해서 작용되는 하향력보다 크다. 클러치 부재 또는 로크 부재는 또한 액슬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구동 액슬을 원하는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크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Self-raising window covering}
본 발명은 윈도우 덮개가 개방될 때, 제어 메카니즘 또는 윈도우 덮개 자체에 힘을 인가할 필요성이 없이, 상승할 수 있는 윈도우 덮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승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추가 힘없이, 쉐이드 요소(shade element) 및 바닥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의 상향력을 쉐이드 요소와 바닥 레일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메카니즘을 구비한 윈도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쉐이드 및 덮개는 많은 적용에서 확인되며 실내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정하고 장식에 미적 가치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윈도우 쉐이드 및 덮개는 롤러 쉐이드, 로만 쉐이드(Roman shade), 베네티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 및 셀형 쉐이드(cellular shade)를 포함하는 많은 형태를 취한다. 종래의 셀형 또는 주름형 쉐이드는 윈도우 덮개를 상승, 하강 및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코드 로크(cord lock) 또는 전동 메카니즘을 사용한다. 코드 로크를 사용하는 윈도우 덮개에서, 코드들은 접힘형 직물을 통과하여 헤드 레일의 내부를 가로질러 이동하고 로킹 메카니즘을 통해서 빠져나온다. 다른 셀형 쉐이드들은 윈도우 쉐이드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서 당겨지는 연속형 루프 코드와 전동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로만 쉐이드 및 베네티안 블라이드는 또한 하부 바아 또는 바닥 레일에 고정된 상승 코드들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설계들에는 일부 단점이 있다. 코드들은 어린이가 노출된 제어 코드에 의해서 걸리거나 또는 목졸릴 잠재적인 위험성을 야기한다. 코드들은 또한 윈도우 덮개의 면을 따라 연장하고, 윈도우 쉐이드가 개방될 때, 후크 상에 감싸이거나 또는 플로어 상에 단지 남겨져야 한다는 점에서 윈도우 덮개의 미적 가치를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코드 로크들을 사용하는 윈도우 덮개에서, 코드들은 또한 윈도우 덮개의 상승 및 하강의 결과로 인하여 표면들에 대한 마찰 때문에 실질적인 마모를 겪게 된다.
다른 윈도우 덮개는 코드의 부재 시에 작동하는 일반적인 롤러 쉐이드들을 포함한다. 이들 롤러 쉐이드들은 쉐이드가 롤링되어서 모아지는 롤러에 장착된 클러치 또는 로킹 메카니즘과 조합된 권취 토션 스프링 후퇴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작동시에, 롤러 쉐이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클러치 또는 로킹 메카니즘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로킹되는 원하는 위치로 당겨진다. 쉐이드가 상승할 수 있도록 쉐이드를 언로크 및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쉐이드의 바닥 레일에서 쉐이드를 당겨서, 내부 클러치 또는 로킹 메카니즘을 분리하기에 충분하게 쉐이드를 연장시킨다. 클러치 또는 로킹 메카니즘이 분리되고 사용자가 쉐이드를 해제할 때, 쉐이드는 토션-스프링 구동 후퇴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후퇴된다. 공지된 롤러 쉐이드는 그러나 원활하게 제한 위치로 롤링되는 평탄한 쉐이드 재료에 의해서만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쉐이드에 사용되는 메카니즘은 셀형 쉐이드, 베네티안 블라인드 및 로만 쉐이드와 같은 다른 윈도우 덮개와 호환되지 않는다. 롤러 쉐이드가 상승할 때, 일정한 힘의 토션 스프링 부재가 개방 범위를 걸쳐 필요한 권취력 또는 상향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들어올려지는 쉐이드의 양은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유사한 리프팅 메카니즘은 전형적으로 셀형 쉐이드, 베네티안 블라인드 및 로만 쉐이드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유형의 윈도우 덮개에서, 쉐이드 요소의 재료는 전형적으로 바닥 레일과 같은 바닥 부재를 상승시킴으로써 모아지고, 증가하는 중량의 양은 윈도우 덮개가 상승할 때 바닥 부재 상에 모아진다. 이러한 이유는 바닥 레일이 상승할 때 바닥 레일 상에 쉐이드 재료 또는 쉐이드 요소가 증가하게 쌓여지고, 이것은 리프팅 메카니즘에 부하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증가하는 중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매우 강한 토션 스프링이 쉐이드의 최대 중량을 수용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안의 하나의 단점은 윈도우 덮개가 후퇴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제어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처리하려는 하나의 시도는 Welfond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666,25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는 상승 코드들이 상승 공정에 걸쳐 후퇴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체 브레이크를 사용한다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사용된 또다른 접근방안은 후퇴 속도를 지속적으로 느리게 하기 위하여 기계식 마찰 부재를 사용하는 Tod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056,0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접근 방안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은 사용된 스프링이 쉐이드를 낮추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가 극복하기 어려운 힘을 작용시킨다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과도하게 당기는 힘은 종종 결과적으로 윈도우 덮개를 손상시키게 된다.
대안으로, 가변력의 스프링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가변력의 스프링은 사용 및 제조할 때 실질적으로 더욱 복잡하다.
따라서, 베네티안 블라인드 및 셀형 쉐이드 및 로만 쉐이드와 같이, 자체 상승하고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윈도우 덮개 상승 메카니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및 윈도우 덮개를 위한 제어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윈도우 덮개는 헤드 레일, 셀형 패널, 블라인드 슬랫 또는 로만 쉐이드 재료와 같은 쉐이드 요소, 바닥 레일, 제 1 단부에서 바닥 레일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코드 및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이다. 헤드 레일은 제어 메카니즘이 내부에 배치된 세장형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메카니즘은 구동 액슬(drive axle)과 이 구동 액슬과 작동식으로 연결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일정한 힘의 스프링일 수 있는 구동 유닛은 구동 액슬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적어도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는 또한 구동 액슬과 동축방향의 회전방식으로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코드 권취 조립체의 수는 상승 코드들의 수와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는 다중 코드들과 작동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코드 권취 조립체는 상승 코드의 제 2 단부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테이퍼형 부분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권취 드럼을 포함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는 또한 위치설정 부재의 회전시에 코드 권취 조립체를 구동 액슬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가능한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는 권취 드럼에 연결된 나사식 관형 부재이다. 코드 권취 조립체는 구동 액슬에 있는 회전력을 상승 코드에 있는 상승력을 변환시키기에 적합하고, 상기 상승력은 개폐 동작의 범위에 걸쳐 쉐이드 요소와 바닥 레일에 의해서 작용되는 전체 하향력보다 크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코드 권취 조립체는 코드 권취 조립체 및 구동 액슬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허브 부재에 의해서 구동 액슬과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허브 부재는 코드 권취 조립체의 테이퍼형 부분과 슬라이딩 관계일 수 있다.
클러치 부재 또는 로킹 부재는 또한 구동 액슬과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구동 액슬을 원하는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크하기에 적합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러치 부재는 구동 액슬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해제 위치와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왕복기관과, 왕복기관에 연결되어서 구동 액슬에서 왕복기관의 홀드(hold)를 조이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왕복기관은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에 대한 구동 액슬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가 구동 액슬을 로크 위치에서 조이게 하고,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 하에서 상기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가 구동 액슬을 해제 위치에서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덮개의 양호한 실시예의 부분 절취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일 스프링 코일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일 스프링 코일 구동 유닛의 측면 입단면도.
도 4는 대안의 단일 스프링 코일 구동 유닛의 측면 입단면도.
도 5는 이중 스프링 구동 유닛의 측면 입단면도.
도 6은 대안의 이중 스프링 구동 유닛의 측면 입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드 권취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a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윈도우 덮개와 헤드 레일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윈도우 덮개와 헤드 레일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9a는 윈도우 덮개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 양호한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 10a는 사용자가 윈도우 덮개를 당길 때, 도 9a의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 11a는 사용자가 윈도우 덮개의 해제할 때, 도 9a의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 12a는 사용자가 클러치 부재를 해제하기 위하여 윈도우 덮개를 당길 때, 도 9a의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 13a는 윈도우 덮개가 자체 상승할 때, 도 9a의 클러치 부재의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 14는 감속 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덮개의 대안예의 사시도.
도 15a는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로부터 분리된 도 14의 감속 부재의 측면 입단면도.
도 15b는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와 결합하는 도 14의 감속 부재의 측면 입단면도.
도 15c는 윈도우 덮개가 완전히 상승할 때, 도 14의 감속 부재의 측면 입단면도.
본원에 공개된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 공개 내용은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 및 형태의 예이고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채널을 형성하는 헤드 레일(12)이 제공된다. 스프링 유닛(14,16)과 같은 한쌍의 구동 유닛은 구동 액슬(18) 주위에 동축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코드 권취 조립체(20,22)는 구동 액슬(18)에 설치된다. 각각의 코드 권취 조립체(20,22)는 절두원추형 권취 드럼(24,26)과 나사식 관형 부재(32,34)를 각각 포함한다. 권취 드럼(24,26)에 권취된 것으로 도시된 상승 코드들(28,30)은 일 단부에서 권취 드럼(24,26)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36)도 또한 구동 액슬(18)에 제공되어서 구동 액슬과 동축방향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상기 부품들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된다. 윈도우 덮개(10)는 셀형 쉐이드 재료(38)와 같은 쉐이드 요소 및 바닥 레일(40)과 같은 바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된 용어 "코드"는 코드, 스트립, 리본, 끈(string) 또는 매달린 쉐이드 요소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사한 가요성 세장형 요소들을 포괄할 수 있으며, 쉐이드 요소를 전개 또는 후퇴시키도록 권취되거나 또는 풀려질 수 있다. 사용자가 윈도우 덮개를 당길 수 있도록, 비교적 짧은 길이의 코드(42)도 또한 제공되고, 하기에 추가로 기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덮개가 자체 후퇴될 수 있도록, 클러치를 해제한다.
도 2를 참조할 때, 스프링 유닛(14)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스프링 유닛(14)은 스프링 케이싱(42), 스프링 액슬(44), 일정한 힘의 코일 스프링(46)과 커버(48)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46)과 스프링 액슬(44)은 커버(48)에 의해서 폐쇄되는 케이싱(42) 내에 고정된다. 코일 스프링(46)의 제 1 단부(50)는 구동 액슬(18)과 동축방향으로 연결된 스프링 액슬(44)(도 1)에 고정된다.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은 쉐이드 요소와 바닥 레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동 액슬(18)과 권취 드럼(24,26)에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유닛의 다른 대안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적당한 스프링 유닛(114)은 도 1에 도시된 구동 액슬(18)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링 액슬(142)에 고정된 제 1 단부와 제 1 스프링 액슬(142)로부터 오프셋된 제 2 스프링 액슬(144)에 고정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형 스프링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완화된 위치에 있는 코일형 스프링 부재(146)는 초기에는 제 2 스프링 액슬(144) 주위에 권취될 수 있다. 쉐이드 요소가 아래로 당겨질 때, 코일형 스프링 부재(146)는 제 2 스프링 액슬(144)로부터 스트레칭되어서 제 1 스프링 액슬(142) 주위를 점진적으로 권취할 수 있다. 사용된 코일형 스프링 부재(146)가 쉐이드 요소의 긴 전개 범위를 허용하도록 큰 길이를 가질 때, 이러한 구성의 스프링 유닛(114)이 적합할 수 있다.
도 4는 코일형 스프링의 제 2 단부가 임의의 제 2 스프링 액슬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적당한 스프링 유닛(214)을 도시한다. 대신에, 코일형 스프링(246)은 제 2 단부에서 자체적으로 권취되며, 코일형 스프링(246)의 제 1 단부(25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액슬(18)에 연결된 단일 스프링 액슬(218)에 연결된다.
스프링 유닛들의 다른 적당한 실시예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스프링 유닛(314)은 쉐이드 요소에 대한 큰 상승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코일형 스프링(346,348)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 1 코일형 스프링(346)은 제 1 스프링 액슬(344)에 연결된 제 1 단부를 가지며 제 2 코일형 스프링(348)은 제 2 스프링 액슬(345)에 연결된 제 1 단부를 가진다. 제 1 코일형 스프링(346)의 제 2 단부와 제 2 코일형 스프링(348)의 제 2 단부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액슬들(344,345) 사이에 위치하고 구동 액슬(18)에 연결된 제 3 스프링 액슬(318)에 각각 연결된다. 쉐이드 요소가 아래로 당겨질 때, 코일형 스프링(346,348)은 구동 액슬(18)에 증가하는 상승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제 3 스프링 액슬(318) 주위를 점진적으로 권취하도록, 제 1 및 제 2 스프링 액슬(344,345)로부터 각각 스트레칭된다. 도 6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구동 액슬에 연결된 액슬(418)에 권취되는 2개의 코일형 스프링(446,448)이 제 2 스프링 액슬과 연결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들은 구동 유닛에 대한 구동 메카니즘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하지만, 구동 액슬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할 때, 구동 액슬(18)에 작용한 회전력은 코드 권취 조립체들(20,22)이 코드들(28,30)을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 및 병진이동하게 하고, 이것은 그에 의해서 쉐이드 요소들(38)을 헤드 레일(12)을 향하여 수직으로 상승시킨다. 또한, 코드 권취 조립체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상세 사항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코드 권취 조립체(20)는 프레임(64) 및 상부 커버(65)로 구성되는 고정 하우징을 통과하는 구동 액슬(18)과 동축방향으로 설치된다. 코드 권취 조립체(20)는 권취 드럼(24)과, 상기 권취 드럼(24)의 단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나사식 관형 부재(32)와 같은 회전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20)는 양호하게 구동 액슬(18)과 코드 권취 조립체(20) 사이에서 상대 병진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사이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어댑터(60)와 같은 허브 부재를 통하여 구동 액슬(18)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60)는 권취 드럼(24)의 중심 구멍 내부에 동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 액슬(18)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 드럼(24)과 어댑터(60) 사이에 매끄러운 상대 병진이동을 허용하면서 회전 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어댑터(60)의 주위면은 권취 드럼(24)의 중심 구멍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들과 접촉하는 반경방향 부분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나사식 관형 부재(32)는 헤드 레일(12)에 견고하게 고정된 브라켓(68)과 프레임(6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톱니형 롤러(66)와 결합한다. 그에 의한 회전 운동은 구동 액슬(18)과 코드 권취 조립체(20) 사이로 전달될 수 있고, 마찰이 감소된 매끄러운 상대 병진 이동이 그 사이에서 허용된다. 또한, 어댑터(60)와 나사식 관형 부재(32)를 통한 결합은 매달린 부품들, 예를 들어, 쉐이드 요소들(38)와 바닥 레일(40)의 부하에 대한 지지를 개선할 수 있다.
권취 드럼(24)은 테이퍼지고 양호하게 형태가 절두원추형이며 권취 드럼(24)의 표면에서 권취되는 코드(28)의 그립(grip)을 개선하는 줄무늬(striation)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코드의 단부(도시생략)는 권취 드럼(24)의 큰 직경 단부(62)를 향하여 고정된다. 코드 권취 조립체(20)가 회전하여 상승 코드(28)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병진이동할 때, 상승 코드는 권취 드럼(24)의 점진적인 협폭 부분들 주위에서 감겨진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할 때, 윈도우 덮개의 상승 동작이 도시된다. 쉐이드 요소들(38)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전개될 때, 상승 코드(28)는 권취 드럼(24)의 광폭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다. 바닥 레일(40)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유닛(14,16)의 탄성력 하에서 상승할 때, 나사식 관형 부재(32)와 롤러(66) 사이의 나사 결합은 회전하는 코드 권취 조립체(20)가 헤드 레일(12) 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므로, 상승 코드는 협폭 단부를 향하여 권취 드럼(24)을 따라서 권취된다.
상승하는 바닥 레일(40)은 쉐이드 요소(38)가 접철되어서 그 위에 쌓여지게 하고, 스프링 유닛(14,16)에 의해서 인가된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는 전체 중량은 그에 따라서 증가한다. 스프링 유닛들에서의 부하는 지금부터 스프링 유닛들중 하나에 대해서 기술된다. 한 스프링 유닛(14)에서의 부하는 그 위에 쌓여진 쉐이드 요소(38)의 양을 합한 바닥 레일의 중량을 포함하는 매달린 중량(W) 사이의 곱에 의해서 근사될 수 있는 구동 액슬(18)에서의 모멘텀(M)과, 권취 드럼(24)의 권취 반경(R)으로부터 적당한 눈금요소(scale factor)로써 얻어진다. 바닥 레일(40)이 상승할 때, W는 증가하고, 상승 코드(28)가 어댑터(60)로 인하여 감소한 마찰력으로 슬라이드되는 테이퍼된 권취 드럼(24)과 나사식 관형 부재(32)와 어댑터(60)의 점진적인 협폭 부분들에서 권취되기 때문에, R은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매달린 중량(W)이 증가하여도, 한 스프링 유닛(14)에서의 부하(M)는 약간 변화하는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고 바닥 레일(40)과 쉐이드 요소(38)를 완전히 상승시키도록, 일정한 힘의 스프링(46)(도 2)에 의해서 극복될 수 있다. 윈도우 덮개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윈도우 덮개의 높이의 위치와 무관하게 대략 일정한 당기는 힘을 작용시킨다. 일정한 힘의 스프링 유닛(14)은 그에 따라서 매달린 중량 부하체가 상승할 때 코드 권취 조립체(20,22)로써, 증가하는 매달린 중량 부하체(W)를 상승시키는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쉐이드 요소는 전체 하향력 또는 매달린 중량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이드 요소가 셀형 윈도우 덮개인 경우에, 재료를 편향시키는 본질적인 상향 스프링은 전체 하향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 스프링 편향의 전체 기여도는 셀형 윈도우 덮개가 연장되는 정도에 따라 변화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덮개가 개방될 때, 매달린 전체 중량은 증가하고 전체 상향력은 감소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 덮개가 상승하는 속도는 완전히 개방된 조건 부근에 도달할 때 감소한다. 따라서, 쉐이드가 빠르고 급격하게 후퇴하는 경우에 롤러 쉐이드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단점을 회피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할 때, 클러치 부재(36)는 쉐이드 요소(38)와 바닥 레일(40)을 원하는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클러치 부재(36)는 구동 액슬(18)과 동축방향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쉐이드 요소(38)를 스트레칭하도록 바닥 레일(40)을 아래로 당길 때 구동 액슬(18)을 언로크하고, 사용자가 바닥 레일(40)을 원하는 높이에서 바닥 레일(40)을 해제할 때 구동 액슬(18)을 로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바닥 레일을 다시 조금 아래로 당길 때, 클러치는 바닥 레일(40)을 분리시켜서 스프링 유닛(14,16)에 의해서 바닥 레일(40)이 상승될 수 있게 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할 때, 클러치 부재(36)는 고정된 돌출부(72,74)를 가지는 케이싱(70)을 포함한다. 구동 액슬(18)과 함께 회전하는 칼라(76)가 제공되며, 이 칼라는 구동 액슬(18)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왕복기관(78)은 칼라(76) 위에 동축방향으로 설치되고 그와 함께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1 단부(82)와 제 2 단부(84)를 구비한 스프링(80)은 칼라(76)와 왕복기관(78) 사이에 제공된다.
도 9a와 도 9b는 윈도우 덮개(10)가 완전히 상승한 위치에 있을 때의 클러치를 도시한다. 스프링(80)은 돌출부(74)와 맞대이는 관계의 제 2 단부(84)를 가지며 완화된 상태에 있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닥 레일(도시생략)을 당길 때, 구동 액슬(18)과 칼라(76)의 시계 방향 회전(도시생략)이 발생하고 스프링(80)의 제 2 단부(84)가 돌출부(74)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스프링(80)은 칼라(76)의 회전이 스프링(80)의 제 1 단부(82)와 왕복기관(78)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 왕복기관(78)에 전달되도록 칼라(76)에서 조여지며, 이것은 왕복기관(78)을 돌출부(72)와 맞대이게 한다. 왕복기관(78)이 돌출부(72)에 대해서 맞대일 때, 스프링(80)은 다시 완화되고 구동 액슬(18)은 사용자가 바닥 레일을 추가로 당길 때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닥 레일을 원하는 높이에서 해제할 때, 스프링(80)은 칼라(76)에서 조여지고 스프링 유닛(14,16)(도 1)에 의해서 가압되는 구동 액슬(18)은 돌출부(72)가 왕복기관(78)의 정지부(79)에 맞대이는 로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왕복기관(7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로크 위치에서, 스프링(80)은 스프링 유닛(14,16)에 의해서 작용하는 상승력에 대항하여 구동 액슬(1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조여진다. 도 12a와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닥 레일을 아래로 약간 당길 때, 스프링(80)이 조여지고 구동 액슬(18)과 칼라(76)의 그에 따른 시계 방향 회전은 왕복기관(78)이 로크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분리되게 한다. 사용자가 도 13a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레일을 해제할 때, 스프링 유닛(14,16)은 스프링(80)의 제 2 단부(84)를 돌출부(74)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구동 액슬(1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그에 의해서 스프링(80)을 헐겁게 하며, 이것은 구동 액슬(18)이 윈도우 덮개를 계속해서 회전시키고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게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덮개의 대안예는 도 14에 도시된다. 대부분의 형태에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윈도우 덮개(510)는 구동 액슬(518)에 설치된 한쌍의 스프링 유닛(514,516)을 구비한 헤드 레일(512)을 포함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520,522)도 또한 제공된다. 상승 코드(528,530)는 쉐이드 요소(538)를 통과하고 바닥 레일(540)과 연결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감속 부재(550)가 제공된다. 감속 부재(550)는 헤드 레일에 접근할 때, 바닥 레일(540)의 상승을 아래로 느리게 하도록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522)와 결합될 수 있다.
감속 부재(520)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a의 위치에서, 코드 권취 조립체(522)는 감속 부재(550)로부터 분리된다. 코드 권취 조립체(522)가 코드(526)를 권취할 때, 코드 권취 조립체(522)는 또한 감속 부재(550)를 향하여 이동한다. 코드 권취 조립체(522)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부재(550)의 플레이트(552)와 결합할 때, 코드 권취 조립체(522)의 회전은 플레이트(552)가 회전되게 한다. 플레이트(552)는 하우징(556) 내부에 저장된 점성 오일 액체와 같은 감속 부재와 접촉하는 액슬 슬리브(554)에 연결된다. 슬리브(554)는 코드 권취 조립체의 회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속 부재와의 저항 접촉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 또는 핀들이 액슬 슬리브(554)에 제공될 수 있다. 바닥 레일이 스프링 유닛(514,516)에 의해서 상승하는 속도는 바닥 레일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더욱 매끄럽게 정지하도록, 바닥 레일이 헤드 레일에 도달할 때 느려진다.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는 자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의 다른 변형예도 예상할 수 있다.

Claims (26)

  1. 헤드 레일, 매달린 쉐이드 요소, 바닥 레일 및 제 1 단부에서 바닥 레일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코드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으로서,
    상기 제어 메카니즘은
    구동 액슬;
    구동 액슬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동 액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구동 유닛;
    구동 액슬에 설치되고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단부로 직경이 감소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바닥 레일 및 바닥 레일에 쌓여진 쉐이드 요소의 일부로 구성되는 매달린 중량체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코드를 권취하도록,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 하에서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 및
    구동 액슬과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구동 액슬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고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에 대한 구동 액슬의 회전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클러치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일정한 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 및 구동 액슬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허브 부재를 통해서 상기 구동 액슬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부재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의 권취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가 회전할 때,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의 축방향 병진이동이 상기 구동 액슬을 따라 실행되도록, 하나 이상의 톱니형 롤러와 결합하는 나사식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구동 액슬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해제 위치와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왕복기관; 및
    상기 왕복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액슬에서 왕복기관의 홀드(hold)를 조이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기관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에 대한 구동 액슬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구동 액슬을 로크 위치에서 조이게 하고,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 하에서 상기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구동 액슬을 해제 위치에서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구동 액슬에 고정되고 스프링 부재가 주위에 설치되는 주위면을 구비하는 환형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일을 향하는 상기 바닥 레일의 상승 이동을 감속하도록,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와 결합가능한 감속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 윈도우 덮개용 제어 메카니즘.
  9.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로서,
    세장형 채널을 형성하는 헤드 레일;
    바닥 부재;
    헤드 레일과 바닥 부재 사이에 매달린 쉐이드 요소; 및
    헤드 레일의 채널 내에 설치된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메카니즘은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력 하에서 회전하도록 작동가능한 구동 액슬;
    구동 액슬에 설치되고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단부로 직경이 감소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 권취 조립체;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구비하며, 제 1 단부는 권취부의 제 1 단부를 향하여 고정되고 제 2 단부는 바닥 부재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코드; 및
    구동 액슬과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구동 액슬의 회전을 해제가능하게 차단하기에 적합한 클러치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일정한 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허브 부재에 의해서 상기 구동 액슬에 설치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부재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의 권취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가 회전할 때,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가 구동 액슬을 따라 병진이동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톱니형 롤러들과 결합하는 나사식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구동 액슬에 대해서 동축방향으로 배치되고 해제 위치와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왕복기관; 및
    상기 왕복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액슬에서 왕복기관의 홀드를 조이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기관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에 대한 구동 액슬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구동 액슬을 로크 위치에서 조이게 하고,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서 인가된 회전력 하에서 상기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구동 액슬을 해제 위치에서 완화시키게 하도록 구성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상기 구동 액슬에 고정되고 스프링 부재가 주위에 설치되는 주위면을 구비하는 환형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일을 향하는 상기 바닥 부재의 상승 이동을 감속하도록,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와 결합가능한 감속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드 요소는 접철식 셀형 쉐이드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8.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로서,
    헤드 레일;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린 복수의 상승 코드들;
    상승 코드들에 의해서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린 바닥 부재;
    헤드 레일과 바닥 부재 사이에 매달린 쉐이드 요소;
    구동 액슬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구동 액슬을 해제가능하게 로크하기에 적합한 클러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레일은 제어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카니즘은 구동 액슬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회전력을 인가하기에 적합한 구동 유닛과 구동 액슬에 동축방향으로 설치된 코드 권취 조립체를 포함하며, 코드 권취 조립체는 구동 유닛의 회전력을 상승 코드들에서의 선형 상승력으로 변환하고 바닥 부재가 상승할 때 상승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형 상승력은 윈도우 덮개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바닥 레일과 쉐이드 요소를 완전히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테이퍼형 부분을 구비한 권취 드럼과 회전할 때, 코드 권취 조립체를 구동 액슬을 따라 측방향으로 추진하기에 적합한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는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 및 상기 구동 액슬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허브 부재에 의해서 구동 액슬과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부재는 상기 코드의 테이퍼 부분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부재는 나사식 관형 부재인,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일정한 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부재는 조여진 상태에 있을 때 구동 액슬의 위치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고, 완화 상태에 있을 때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부재는 조여진 위치와 완화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구동 액슬에 대해서 환형으로 배치된 왕복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액슬에 고정된 환형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 조립체와 동축관계로 결합가능한 감속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KR1020107001069A 2007-07-19 2007-07-19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KR101314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7/016365 WO2009011681A1 (en) 2007-07-19 2007-07-19 Self-raising window cov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54A true KR20100052454A (ko) 2010-05-19
KR101314077B1 KR101314077B1 (ko) 2013-10-04

Family

ID=4025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69A KR101314077B1 (ko) 2007-07-19 2007-07-19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2) EP2181233B1 (ko)
JP (1) JP5209052B2 (ko)
KR (1) KR101314077B1 (ko)
AT (1) ATE550512T1 (ko)
AU (1) AU2007229388B2 (ko)
BR (1) BRPI0721879A2 (ko)
CA (1) CA2693056C (ko)
DE (1) DE112007000007T5 (ko)
ES (1) ES2381378T3 (ko)
PL (1) PL2181233T3 (ko)
RU (1) RU2479704C2 (ko)
WO (1) WO20090116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878A1 (ko) * 2011-08-25 2013-02-28 Kim Jung-Min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2538B2 (en) 2012-10-11 2019-05-21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949597B2 (en) 2012-10-11 2018-04-24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192267B2 (en) 2012-10-11 2015-11-24 Roman Tsibulevskiy Shower curtain technologies
US9955825B2 (en) 2012-10-11 2018-05-01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11083344B2 (en) 2012-10-11 2021-08-10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510711B2 (en) 2012-10-11 2016-12-06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NL1040420C2 (en) * 2013-10-01 2015-04-16 Hunter Douglas Ind Bv Rail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DE112014004535T5 (de) * 2013-10-01 2016-06-16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Schiene für eine architektonische Abdeckung
EA026776B1 (ru) * 2014-10-14 2017-05-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ютех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енсации прогиба вала роллетной системы
CN105649517B (zh) * 2014-11-11 2017-11-24 瑞安市雅木窗饰有限公司 拉珠式百叶窗
GB2544154B (en) * 2015-09-03 2021-10-06 Alplas Shutters & Louvres Pty Ltd Motorized blind arrangement
JP7059073B2 (ja) * 2017-09-08 2022-04-2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
JP7090457B2 (ja) * 2018-04-05 2022-06-24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遮蔽装置、及び遮蔽材駆動装置
CN215974326U (zh) * 2021-06-25 2022-03-08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窗帘绕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0826A (en) * 1943-12-16 1945-12-11 Automatic Venetian Hardware Co Cordless venetian blind
JP3098945B2 (ja) * 1995-12-07 2000-10-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US6056036A (en) 1997-05-01 2000-05-02 Comfortex Corporation Cordless shade
EP1405982B1 (en) 1997-12-12 2006-08-30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 winding mechanis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JP2000130052A (ja) 1998-10-26 2000-05-09 Tachikawa Blind Mfg Co Ltd 日射遮蔽材の昇降装置
US6536503B1 (en) * 1999-03-23 2003-03-25 Hunter Douglas Inc. Modular transpor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622769B2 (en) * 2000-04-14 2003-09-23 Ren Judkins Lift system having length adjustment for window blinds
US6854503B2 (en) * 2002-03-20 2005-02-15 Rollease, Inc. Semi-cordless unbalanced spring driven blind system and methods for adjusting and making same
US7137430B2 (en) * 2002-03-25 2006-11-21 Rollease, Inc. Mono control lift and tilt mechanism for horizontal blinds
US6837294B2 (en) 2003-02-10 2005-01-04 Zipshade Industrial (B.V.I.) Corp. Pull down, push up, shade assembly
US20060037720A1 (en) * 2004-08-19 2006-02-23 Shien-Te Huang Brake mechanism for curtain linkage system
WO2007027650A1 (en) * 2005-09-02 2007-03-08 Hunter Douglas Inc.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520311B2 (en) * 2005-12-22 2009-04-21 Hunter Douglas Inc. Threaded lift cord spoo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878A1 (ko) * 2011-08-25 2013-02-28 Kim Jung-Min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79704C2 (ru) 2013-04-20
PL2181233T3 (pl) 2012-08-31
JP5209052B2 (ja) 2013-06-12
EP2181233B1 (en) 2012-03-21
KR101314077B1 (ko) 2013-10-04
EP2181233A1 (en) 2010-05-05
EP2181233A4 (en) 2010-08-18
RU2011131825A (ru) 2013-02-10
AU2007229388B2 (en) 2011-02-03
JP2010533809A (ja) 2010-10-28
DE112007000007T5 (de) 2010-06-02
WO2009011681A1 (en) 2009-01-22
BRPI0721879A2 (pt) 2014-02-18
EP2436869B1 (en) 2017-04-05
EP2436869A3 (en) 2012-04-18
ES2381378T3 (es) 2012-05-25
CA2693056A1 (en) 2009-01-22
AU2007229388A1 (en) 2009-02-05
CA2693056C (en) 2014-02-18
EP2436869A2 (en) 2012-04-04
ATE550512T1 (de) 201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077B1 (ko) 자체 상승하는 윈도우 덮개
US7624785B2 (en) Self-raising window covering
KR101938904B1 (ko) 이동가능한 레일의 제어
US7063122B2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20130248125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 Lift System Utilizing Conical Spools
KR20080047583A (ko)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CA2712764A1 (en) Window covering
TWI564468B (zh) 窗簾及其致動系統
RU2433240C1 (ru) Самоподнимающееся окон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JP5732361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CA2753328C (en) Self-raising window covering
JP7328867B2 (ja) 遮蔽装置
NL2001606C2 (nl) Draadloze raambekleding.
EP1994863A2 (en) A window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