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583A -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 Google Patents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583A
KR20080047583A KR1020087007623A KR20087007623A KR20080047583A KR 20080047583 A KR20080047583 A KR 20080047583A KR 1020087007623 A KR1020087007623 A KR 1020087007623A KR 20087007623 A KR20087007623 A KR 20087007623A KR 20080047583 A KR20080047583 A KR 2008004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covering
rotation
lift 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몬드 엔. 어거
Original Assignee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롤-업 구조의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이 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셰이드는 헤드 레일의 롤러에 대해 롤링될 수 있는 한편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셰이드 재료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연장된다. 롤러는 롤러에 대해 셰이드 재료를 감거거나 또는 롤러로부터 셰이드 재료를 풂으로써 바닥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활용되며, 최상부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롤러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일 작동 요소 또는 1 쌍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경우에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따라서 셰이드 재료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커버링이 장착되는 건축물 개구부 내의 원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 커버링{ROLL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HAVING TOP DOWN/BOTTOM UP CAPABILITY}
관련 출원들에 대한 원용
본 출원은 2005년 9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721,894 호; 및 2005년 8월 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704,341 호에 대한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인용 참조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용 리트렉터블 커버링들(retractable coverings)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링의 리트렉팅된 위치에서 롤러에 대해 감겨질 수 있는 리트렉터블 커버링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버링은 커버링의 톱 다운/바텀 업(top down/bottom up) 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톱 레일 및 바텀 레일을 갖는다.
건축물 개구부 용 커버링들은 수 세기 동안 다양한 형태들을 취해왔으며, 초기의 형태들은 단순히 윈도우, 도어, 아치웨이(archways) 등과 같은 건축물 개구부들을 가로질러 드리워지는(drape) 패브릭이다. 이 후, 건축물 개구부 용 리트렉터블 커버링들이 대중화되었으며, 띠라서 커버링이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또는 개구부의 1 이상의 측에 인접하여 리트렉팅될 수 있다. 건축물 개구부 용 리트 렉터블 커버링의 인기 있는 형태는 복수의 스탯들(stats)이 코드 래더들(cord ladders) 상에서 지지되는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이며, 스탯들의 전체 조립체는 스탯들이 균등하게 분배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된 위치와, 스탯들이 개구부의 최상부를 가로질러 가지런히 쌓아지는(assume a neat stack) 완전히 리트렉팅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베니션 블라인드가 연장되는 경우, 커버링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고 차단하기 위하여 스탯들은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들에 대해 피봇될 수도 있다.
버티컬 블라인드들 또한 건축물 개구부 용 리트렉터블 커버링의 인기 있는 형태이며, 스탯들이 수평 보다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베니션 블라인드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 즉, 스탯들의 조립체는 개구부를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개구부의 1 이상의 측들에 인접하여 가지런히 쌓여진 형태로 리트렉팅될 수 있으며, 또한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 사이의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수직방향 축선에 대해 피봇될 수도 있다.
보다 최근에는, 복수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셀들(cells)이 상호연결되고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된 위치와 개구부의 1 이상의 측에 인접하여 리트렉팅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셀룰라 셰이드들(cellular shades)이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셀룰라 셰이드들 자체는 미국특허 제 5,313,999 호; 제 5,228,936 호; 및 제 5,897,731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건축물 개구부 용 리트렉터블 커버링들의 보다 더 최근의 형태들에서는, 셰이드 재료의 하부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바닥 레일은 커버링을 연장시키거나 또는 리트렉팅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가역적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셰이드 재료의 최상부 에지는 헤드 레일에 대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최상부 레일에 고정된다. 따라서, 촤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는 셰이드 재료는 2 개의 레일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로 연장 또는 리트렉팅될 수 있으며, 또한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어떠한 곳에서도 위치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리트렉터블 커버링은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이라 지칭된다.
통상적으로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들에서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독립적인 코드-오퍼레이팅 시스템들(independant cord-operated systems)이 존재하여,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이 서로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레일들이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셰이드 재료가 2 개의 레일들 사이에서 모아지고, 레일들이 이격되는 경우에는, 셰이드 재료가 루트들(routs) 사이에서 연장된다.
롤러들은 건축물 개구부 용 커버링들을 리트렉팅하기 위한 통상적인 형태가 되었으며, 이러한 롤러들의 초기 형태들은, 목제 롤러가 단순히 그에 대해 고정되는 셰이드 재료의 플렉서블 시트의 최상부 에지를 갖고 하부 에지는 바닥 레일 또는 밸러스트(ballast)를 가져, 셰이드 재료가 목제 롤러로부터 풀리는 경우 상기 셰이드 재료가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는 롤-업 셰이드들(roll-up shades)이다. 클러치 기구가 롤러에 연결되어, 셰이드가 원하는 정도로 상승 또는 하강하고 그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보다 최근에는, 트랜스미션들과 작동을 위한 클러치들을 구비한 더욱 정교해진 롤러 시스템들이 건축물 개구부 용 커버링에 활용되어 왔으나, 톱 다운/바텀 업 셰이드를 위한 단순화된 롤-업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개발된 것은 톱 다운/바텀 업 셰이드를 감아 올리기 위한 단순화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 롤-업 셰이드는 커버링을 위한 헤드 레일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두 개별 쌍의 리프트 코드들(lift cords)이 롤러로 부터 커버링의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로 각각 연장된다.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며, 따라서 셰이드 재료를 연장 또는 리트렉팅하거나 건축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원하는 어느 위치에 상기 셰이드 재료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닥 레일과 작동가능하게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은 최상부 단부에서의 롤러 상의 앵커링된(anchored) 위치로부터 바닥 단부에서의 바닥 레일 상의 앵커링된 위치로 연장된다. 롤러는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는 고정된 단부 캡들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클러치 기구를 통해 구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플렉서블 드라이브 요소와 작동가능하게 연관된 상기 구동 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구동 부재는 롤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바닥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이 롤러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롤러의 제 1 방향으로의 회전은 바닥 레일을 롤러가 장착되는 헤드 레일을 향하여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독립적 스풀들의 세트가 롤러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최상부 단부에서 그에 대해 앵커링되는 리프트 코드들을 가지며, 상기 리프트 코드들은 롤러의 개구부 또는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바닥 단부에서 최상부 레일에 대해 앵커링된다. 이에 의하여, 스풀들의 회전은 최상부 레일이 헤드 레일을 향하여 상승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리프트 코드들의 제 2 세트가 상기 스풀들 주위에 감기도록 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스풀들의 회전은 최상부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이 연장되도록 하여 중력에 의해 최상부 레일을 하강시킨다.
롤러의 추가적인 회전이 멈추기 이전에 롤러의 사절결정된 회전 횟수를 허용하는 스톱 시스템이 롤러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스톱 시스템은 시스템의 작동과 상호협동하여, 커버링이 하강할 때 구동되는 부재의 회전시 롤러 및 스풀들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데 활용된다.
상술된 바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단일 제어 요소가 클러치와 아마도 스톱 시스템과의 상호협동을 통해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 둘 모두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대안실시예에서는, 별개의 제어 요소들이 바닥 레일과 최상부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활용되며, 하나의 제어 요소는 롤러의 회전이 바닥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롤러 및 바닥 레일에 연결된 리프트 요소들을 갖는 롤러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최상부 레일은 롤러 내에 위치설정되는 풀리 주위에서 연장되고 최상부 레일과의 연결을 위해 롤러 밖으로 연장되는 최상부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요소들에 연결되는 제 2 제어 요소 또는 풀 코드(pull cord)와 함께 움직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 특징들 및 세부사항들은 도면과 연계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부 및 후속 청구범위를 참조하면 보다 완벽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을 통해 취한 수직방향 단면도로서,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 및 바닥 레일은 도시되지 않은 도;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라인 2A-2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좌측 단부를 통해 취한 부분 수직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라인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라인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커버링의 우측 단부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상이한 위치의 록 아암(lock arm)을 갖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라인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7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바닥 레일을 포함한 도;
도 11은 도 10의 라인 11-11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셰이드 재료를 커버링 용 제어 시스템에 연결하기 이전에 도 3-11의 커버링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타입의 셰이드 재료를 천공하는 장치의 선도;
도 13은 도 12의 라인 13-13을 따라 취한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2 및 13을 따라 만들어진 셰이드 재료를 통해 취한 수직방향 단면도로서, 상기 재료를 통해 꿰어 이어지는(threaded) 리프트 코드를 나타낸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통한 수직방향 선도;
도 16은 도 15의 라인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셰이드의 측 입면도로서, 최상부 레일이 바닥 레일에 대해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커버링의 확대된 좌측 단부 입면도;
도 19는 도 18의 라인 19-19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라인 20-20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1은 클램핑된 위치에서의 풀 코드를 나타낸 도 20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2a에는 본 발명의 작동 시스템의 제 1 실시예(30)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 시스템은 최상부 레일(34)과 바닥 레일(36) 사이에 매달린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32)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커버링 내에 포함된다. 후속하는 설명부를 통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듯이,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둘 모두는 원하는 위치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셰이드 재료가 커버링 용 헤드 레일에 인접하게 완전히 리트렉팅될 수 있고,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 일 둘 모두는 헤드 레일에 인접하게 완전히 리트렉팅되며,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둘 모두는 완전하게 연장될 수 있어, 셰이드 재료가 헤드 레일로부터 먼 곳에서 모아지거나,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이 완전히 리트렉팅된 위치와 완전히 연장된 위치 사이의 원하는 곳에서 독립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셰이드 재료는 그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로 연장된다.
작동 시스템(30)은 셰이드 재료가, 바닥 레일(36)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리트렉팅되는 경우에는 작동 시스템의 롤러(38) 주위에 감기고, 헤드 레일로부터 먼 쪽으로 바닥 레일을 연장시키면 롤러로부터 풀릴 수 있는 롤-업 타입으로 되어 있다. 제 2 리트프 시스템(40)은 롤러 내에 위치설정되며 최상부 레일(34)을 롤러(38)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2a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둘 모두의 수직방향의 왕복 움직임이 헤드 레일의 일 단부에 배치된 하나의 플렉서블 제어 요소(42)에 의해 제어되며, 따라서 일 방향으로의 제어 요소의 움직임은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을 서로 독립적으로 하강시키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제어 요소의 움직임은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을 서로 독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롤러(38)가 헤드 레일에 제공되는 1 쌍의 단부 캡들(44 및 46)(그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롤러의 좌측 단부의 단부 캡(44)에는 지지 플레이트(48)가 앵커링 되어 있고, 지지 플레이트는 축선방향 및 안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50)를 갖는다. 상기 샤프트는 말단 단부(52)로부터 그 길이의 실질적인 부분에 걸쳐 기부 단부를 향하여 나 사가공되어 있고,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말단 단부로부터 기부 단부를 향하여 대략 2/3의 위치에 하부 에지를 따르는 스톱 또는 맞댐 탭(stop or abutment tab;54)을 갖는다. 스톱 탭은 샤프트 상의 나사부들(56)이 끝나는 곳에 근접한 샤프트 상에 위치된다.
우측 단부 캡(46)은 회전가능한 시브(60)를 위한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앙 내향 원통형 허브 또는 스터브(stub) 샤프트(58)를 가지며, 상기 시브는 제어 요소(42)가 마찰식으로 배치되는 주위의 주변 홈(64) 및 투-웨이(two-way) 스프링 클러치(70)가 위치되는 캐비티(68)를 형성하는 내향 원통형 연장부(66)를 갖는 단부 캡(46)에 인접한 디스크-형 외측 단부(62)를 갖는다. 원통형 연장부는 1 쌍의 반대방향으로 감긴 클러치 스프링(76) 상의 탱들(tangs;74)을 맞물도록 되어 있는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는 도그들(dogs;72)을 갖는다. 스프링들은 롤러(38)의 실질적인 전체 길이에 걸쳐 이어질 수 있는 정방형(또는 비원형) 축선방향 연장 샤프트(80)를 갖는 회전가능한 샤프트(78) 상에 배치된다. 마찰 커플링(friction coupling;82)은 롤러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롤러의 우측 단부에서 커플링은 사전설정된 토크가 커플링에 가해질 때 단지 커플링과 시브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움직임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롤러가 시브(60)의 원통형 연장부(66) 외측 표면을 맞물어준다. 롤러의 좌측 단부에서 커플링(82)은 샤프트(50) 주위에 고정되는 베어링(84) 상에 배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방형 샤프트(80)는 실질적으로 롤러(38)의 전체 길이에 연장되며, 그 상에서 정방형 샤프트에 키맞춤되도록(keyed) 정방향 통로를 갖는 복 수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스풀들(86)을 지지한다. 따라서, 스풀들(그 중 하나만 도시됨)은 정방형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한다. 스풀들은 최상부 레일(34)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90)가 감기고 풀릴 수 있는 테이퍼진 랩 표면(tapered wrap surface;88)을 갖는다. 그러므로, 리프트 코드(90)의 일 단부는 연관된 스풀에 앵커링되는 한편, 다른 단부는 롤러의 일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개구부(92)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리프트 코드의 하부 단부는 여하한의 적합한 방식으로 최상부 레일에 앵커링된다. 롤러에 장착되는 2 이상의 스풀들(86)이 존재하며, 롤러의 길이에 따라 보다 많은 수가 존재할 수 있다. 스풀들은 정방형 샤프트 상에 지지되는 것 외에도 각각의 스풀과 연관되지 않은 베어링 상에서도 지지되며, 베어링 디스크가 주변부를 따라 여하한의 적합한 방식으로 롤러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롤러의 길이 및 그와 연관된 커버링이 최상부 레일과 연관하여 2 보다 많은 리프트 코드들이 적절하도록 되어 있다면, 이 때는 정방형 샤프트(80) 상에 보다 많은 스풀들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2a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듯이, 롤러(38) 자체는 롤러의 일 부분을 따라 사전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들(94)을 가지며, 반대 에지를 따라서는 외측 표면에 대체로 반-타원형 후퇴부(semi-elliptical recess;96)가 형성된다. 반-타원형의 후퇴부는 구조적으로 최상부 레일 또는 후퇴부의 구조가 작동 시스템 자체와는 특정한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도 최상부 레일(34)의 타원형 구조와 대체로 일치한다.
도 2 및 2a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듯이, 셰이드 재료(32)는 거의 모든 적 합한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2 개의 별도의 플렉서블 시트들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하나의 시트는 대체로 편평한(완전히 연장된 경우) 백킹 시트(98)이고 다른 하나는 로만 셰이드를 흉내 낸 복수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드리워진 부분들을 갖는 시트(100)이다. 롤러(38)에서의 최상부의 앵커링된 위치로부터 바닥 레일(36)에서의 하부의 앵커링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리프트 코드들(101)(도 1)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시트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시트의 최상부 에지는 2 개의 시트를 최상부 레일 내에 크림핑(crimp)하기 위해 최상부 레일 내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앵커 바아(102)를 갖는 타원형 최상부 레일(34)에 앵커링된다. 물론 최상부 레일은 재료의 시트들 및 리프트 코드들이 연장되는 바닥 에지를 따르는 길이방향 슬릿(104)을 가질 수 있다.
안쪽으로 돌출된 리브들(94)은 스톱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샤프트(50) 상에 나사결합식으로 장착되는 스톱 너트(108) 상에 탭(106)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소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너트는 롤러(38)와 함께 회전되며, 샤프트가 좌측 단부 캡(44)에 대해 고정될 때까지, 고정된 단부 캡들에 대한 롤러의 회전 움직임 시 너트가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병진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의 너트의 병진은 샤프트(50)에 고정되는 맞댐 탭(54)을 맞물어주는 너트 상의 맞댐 스톱(110)에 의해 정지된다. 너트는 샤프트와 상호관련되며, 따라서 바닥 레일(36)이 헤드 레일로부터 연장되고 있거나 떨어지고 있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 병진하며, 바닥 레일이 사전결정된 원하는 완전 연장된 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너트는 맞댐 스톱과 맞댐 탭이 맞물려 바닥 레일의 더 이 상의 하방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롤러(38)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경우로서 바닥 레일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 스톱 시스템의 너트는 바닥 레일이 후술될 디바이스의 작동에 따라 최상부 레일의 완전 리트렉팅된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을 맞물어줄 때까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 병진된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초기에 최상부 레일(34)과 바닥 레일(36) 둘 모두는 완전 연장된 위치에 있으며 서로 인접해 있고, 셰이드 재료(32)가 그들 사이에 모아져 있다고 가정할 것이다. 바닥 레일(36)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101) 및 최상부 레일(34)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90) 둘 모두는 완전 연장되어, 최상부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이 그들의 연관된 스풀들(86)로부터 완전히 풀린다. 도 1에서 시스템의 우측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제어 요소(2)를 회전시키면 시브(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실린더 연장부 내측 상의 도그들(72)이 클러치 스프링들(76) 상의 2 개의 탱들(74)을 맞물어줄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 스프링 상의 탱은 그것의 스프링을 샤프트(78) 상에서 압박하는 한편, 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 상의 탱은 그들의 랩의 반전 방향들로 인해 스프링이 느슨해지도록 할 것이다. 좌측 클러치 스프링이 샤프트를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이는 정방형 샤프트(80) 및 그 상에 장착되는 스풀들이 시브와 일체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초기에 리프트 코드들(90)이 스풀들에 대해 감기도록 할 것이다. 스풀들이 정방형 샤프트를 따라 병진하거나 또는 슬라이딩할 수 있는 한, 랩들은 균일하고 각각의 랩이 이전의 랩을 우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대응되는 스풀을 좌측으로 가압하므로 서로 인접해 있을 것이다.
커플링(82)은 롤러(38)로부터 지지되는 셰이드의 무게 및 시브 원통형 연장부(66)와 커플링 간에 허용되는 미끄러짐이 시브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롤러가 정지해 유지되고 따라서 바닥 레일(36)이 완전히 연장되어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톱 시스템의 너트(108)는 또한 바닥 레일이 완전히 연장되는 경우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갈 수 있는 한 병진한다.
최상부 레일(34)이 롤러(38)와 맞물려 완전히 상승하고 롤러의 바닥 에지를 따라 반-타원형 포켓 또는 후퇴부(96)에 자리한 경우, 스풀들(86) 및 정방형 샤프트(80)는 그들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을 때 회전을 멈출 것이다. 여기서, 시브(60) 상의 원통형 연장부(66)와 커플링(82) 간의 마찰은 시브의 계속되는 회전 시 롤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하여, 모두가 롤러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즉, 롤러, 정방형 샤프트, 그 상에 장착된 스풀들, 및 최상부 레일 모두가 함께 회전한다.
롤러(3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면, 도 1의 우측 단부로부터 보았을 때 셰이드 재료(32)는 롤러에 대해 감기기 시작하고 스톱 너트(108)는 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병진한다. 바닥 레일(36)은 최상부 레일(34)을 작동가능하게 맞물고, 그들 사이에 셰이드 재료가 모아지면, 롤러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최상부 레일(34) 및 바닥 레일(36) 둘 모두가 서로 인접하여 완전히 연장되고 그들 사이에 셰이드 재료(32)가 모아진 위치로부터 커버링을 상승시키는 경우, 최상부 레일은 먼저 롤러와 맞물릴 때까지 상승하고, 순차적으로 바닥 레일 은 최상부 레일 및 그에 따라 셰이드 재료의 최상부 에지가 맞물리는 롤러가 회전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상부 레일이 충분히 상승하고 패브릭이 롤러에 대해 완전히 감길때까지 롤러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이해할 수 있듯이, 이 위치에서 스톱 너트(108)는 그들이 진행하는 한 도 1에서 보아 우측으로 병진한다.
최상부 레일(34)과 바닥 레일(36) 둘 모두의 완전히 리트렉팅된 위치로부터 커버링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시브(60)는 제어 요소(42)에 의하여 도 1의 우측에서 보아 반대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시브의 원통형 연장부(66)와 커플링(82) 간의 마찰은 정방형 샤프트(80)의 회전과 연관된 마찰보다 크며, 따라서 롤러는 시브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며, 물론 정방형 샤프트, 스풀들, 및 최상부 레일 또한 롤러와 일체로 회전될 것이다. 더블-스프링 클러치(70)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시브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도 1에서 보아 좌측 상의 스프링(76)은 샤프트(78)로부터 느슨해지지만, 우측 상의 스프링(76)은 원통형 연장부 내의 도그들이 스프링의 탱들과 맞물리는 경우 압박된다. 또한, 스프링들은 샤프트에 대해 약간 타이트하게 감기므로, 시브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스프링들은 샤프트(78)를 잡아주고 샤프트가 도그들과 맞물리는 스프링 탱들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링이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브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스톱 너트(108)가 도 1에서 보아 좌측으로 병진하도록 하며, 스톱 너트 맞댐 스톱(110)이 샤프트 상의 맞댐 탭(54)과 맞물리는 경우 너트는 좌측으로는 더 이상 병진할 수 없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가 롤러(38)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롤러 또한 회전을 멈출 것이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바닥 레일(36)은 완전히 연장되며 건축물 개구부의 문지방(sill)(도시 안됨)에 대해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시브의 계속되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시브의 원통형 연장부(66)가 커플링(82)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롤러(38)가 회전을 멈추더라도 정방형 샤프트(80)가 계속해서 회전하도록 할 것이다. 정방형 샤프트가 회전하므로, 그래서 그 상에 장착된 스풀들(86) 모두가 회전하기 때문에, 최상부 레일이 바닥 레일에 근접한 위치로 충분히 연장되고 그들 사이에 단지 셰이드 재료만 모아질 때까지 최상부 레일(34)에 연결되는 스풀들 상의 리프트 코드들(90)은 스풀들로부터 풀린다.
위로부터, 바닥 레일(36) 및 최상부 레일(34)은 동일한 제어 요소(42)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따라서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헤드 레일과 커버링이 장착되는 건축물 개구부에 대해 여러 원하는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3-14에는 본 발명의 작동 시스템의 제 2 실시예(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 또한 건축물 개구부를 위한 톱 다운/바텀 업 타입의 커버링을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커버링은 최상부 레일(122), 바닥 레일(124),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126) 및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시스템(128)을 가지며, 따라서 셰이드가 가변적인 정도로 연장되거나 리트렉팅될 수 있고 건축물 개구부 내의 원하는 곳들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먼저, 도 3-6을 참조하면, 도 3은 작동 기구의 좌측 단부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우측 단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 생략된 부분들이 있고, 작동 시스템은 최상부 레일이 완전 리트렉팅된 경우 최상부 레일(122)이 자리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 부분을 따라 형성된 길이방향 후퇴부(132)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롤러(130)를 포함한다. 롤러(130)는 1 쌍의 단부 캡들을 포함하는 헤드 레일에 반전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나의 단부 캡(134)은 도 6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있고 하나의 단부 캡(136)은 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측 단부에 있다. 우측 단부를 참조하면, 단부 캡(134)은 가장 안쪽 단부를 통한 통로(148) 및 내측 캐비티(146)를 형성하는 안쪽을 향한 원통형 연장부(144) 및 외측 단부 상의 디스크(142)를 갖는 반전가능하게 회전가능한 시브(140)를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원통형 스터브 샤프트(142)를 갖는다. 시브의 디스크 부(142)는 어느 한 방향으로 시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플렉서블 제어 요소(도시 안됨)의 수용을 위한 환형 홈(150)을 갖는다. 원통형 연장부(144)는 샤프트(154) 상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클러치 스프링(153)을 갖는 더블-스프링 클러치(152)를 하우징하여 샤프트를 정지 상태로 잡아주지만, 각 스프링의 랩은 반대이고, 각각의 스프링은 원통형 연장부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도그들(158)과 맞물리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탱(156)을 갖는다. 도그들은 시브의 회전 시 클러치 스프링들의 탱들을 맞물어지도록 설계된다. 클러치 스프링들이 장착되는 샤프트(154)는 원통형 연장부의 가장 안쪽 단부의 통로(148)를 통해 돌출되며 롤러의 축선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방형 또는 다른 비-원형 샤프트(160)를 지지한다. 정방형 샤프트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최상 부 레일(122)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리프트 코드(164)와 연관된 원통형 리프트 스풀(162)을 지지한다. 리프트 스풀의 우측 단부는 도 6에서 볼 수 있으며 좌측 단부는 도 3에서 볼 수 있다. 정방형 샤프트는 좌측 단부를 향하여 스풀의 우측 단부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풀은 정방형 샤프트의 수용을 위해 우측 단부를 통한 정방형 통로(도시 안됨)를 가지며, 따라서 스풀은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한다.
슬립 클러치 시스템(166)은 롤러와 함께 회전하도록 우측 단부에서 롤러(130) 내에 자리하고 시브(140)의 원통형 연장부(144)와 맞닿는 관계로 내부에 형성되는 후퇴부(168)를 갖는다. 후퇴부는 단지 소수의 랩을 갖는 코일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도그(172)는 스프링의 탱(174)을 맞물어주기 위하여 슬립 클러치 상의 후퇴부에 형성된다. 스프링의 기능은 시브의 원통형 연장부와 시브 간의 사전설정된 마찰을 제공하여 스프링 상의 랩의 수에 의하여 마찰의 정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스템의 좌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 캡(136)은 외측 고정된 베어링 부재(178)가 장착되는 일체의 안쪽으로 돌출된 축선방향 내측 고정 베어링(176)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베어링들 모두는 단부 캡에 대해 고정되고 롤러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기 위해 롤러에 고정되는 외측 베어링 부재(180)를 통해 롤러(130)와 접한다. 외측 고정 베어링은 가장 바닥부에 형성되는 노치(184)를 갖는 원형 외측 구성요소(182)를 갖는다. 노치는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외측 고정 베어링의 내측 단부를 통해 개방된다.
롤러(130)는 대체로 원통형의 구조로 되어 있고, 언급된 바와 같이 최상부 레일이 충분히 리트렉팅되는 경우 최상부 레일(122)을 위치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후퇴부(132)를 갖는다.
아랫쪽으로 돌출된 레그(194) 및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레그(196)를 갖는 레버 아암(192)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좌측 단부 부근의 장착 블록(190)은 롤러(130) 내부에 포지티브하게 위치된다. 스프링(198)은 레이 아암을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레버 아암과 맞물리는 장착 블록 내에 장착된다. 장착 블록은 또한 내부에 비원형, 통상적으로 육각형 시트(202)를 가지며, 이는 나사가공된 샤프트(204)의 대응되는 비-원형 또는 육각형 헤드(202)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말단 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조정가능한 록 너트(lock nut;206)를갖는다. 또한, 최상부 레일(122)을 위한 리프트 코드들(164)이 연결되고 감길 수 있는 원통형 스풀(162)의 좌측 단부가 샤프트(204) 상에 나사결합식으로 수용된다. 롤러(130) 내에는 다른 디바이더들(208)이 위치되며, 이는 바람직한 곳 그러나 특히 정방형 샤프트(160)가 스풀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풀의 좌측 단부 상에 스풀에 대한 베어링 지지부들을 형성한다.
롤러(130)의 길이방향 슬롯(188)은 최상부 레일(122)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164)이 종래의 여하한의 방식으로 부착을 위해 스풀(162)로부터 최상부 레일로 연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리프트 코드들의 상 단부들은 스풀에 앵커링되는 한편, 하 단부들은 최상부 레일에 앵커링되며, 따라서 코드들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풀 주위에 감길 수 있다. 또한, 롤러의 길이방향 슬롯(188)은 록 레버(192)의 아랫쪽 으로 돌출된 레그(194)를 수용하며, 따라서 바닥 레그는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최상부 레일이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분히 리트렉팅되는 경우 최상부 레일과 맞물린다. 하지만, 이해할 수 있듯이, 바닥 레일이 롤러의 시트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록 레버의 바닥 레그는 중력 및 스프링의 편향 하에 아랫쪽으로 떨어지고, 그럴 경우 록 레버의 수평방향 레그(196)는 베어링 부재의 노치(184) 위의 도 3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7에 나타낸 베어링 부재의 노치 내로 떨어질 것이다.
작동에 있어, 최상부 레일(122)과 바닥 레일(124)이 충분히 연장되며 서로 밀접한 관계로 인접해 있고 그들 사이에는 단지 셰이드 재료(126)만 모아져 있다면, 도 6의 우측에서 볼 수 있 듯 시브(14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초기에 클러치 스프링(153) 중 하나를 해제시키는 한편, 다른 클러치 스프링을 압박하여 시브의 회전이 또한 그와 함께 작동가능하게 연관된 정방형 샤프트(160) 및 장착된 스풀(162)을 회전시킨다. 상대적으로 약한 코일 스프링(170)을 통한 시브와 슬립 클러치 간의 마찰은 롤러(130)가 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나아가 최상부 레일이 상술된 바와 같이 롤러의 시트를 점유하지 않기 때문에 록 레버 아암(192)은 외측 고정 베어링 부재(178의 노치(184)에 배치되는 록 레버의 수평방향 레그(196)로 인하여 단부 캡들에 대한 롤러의 회전을 방지하는 도 7의 아랫쪽으로 피봇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시브(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리프트 코드들(164)은 스풀(162) 주위에 감기고, 스풀이 회전되면 나사가공된 스풀에 대해 정지한 나사가공된 샤프트(204)는 스풀이 좌측으로 병진하도록 하여 각각의 리프트 코드의 또 다른 랩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스풀 상에 제공된다. 나아가, 장착 블록들(190) 또는 디바이더들(208) 또한 바닥 레일(124)에 연결하기 위해 롤러(130)의 슬롯(188)을 통해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코드들(210)의 상 단부를 앵커링한다.
바닥 레일(124)이 롤러의 후퇴부(132) 내로 리트렉팅되거나 또는 상승하고 나면, 그것은 록 레버(192)를 윗쪽으로 밀거나 피봇시켜, 록 레버의 수평방향 레그가 베어링 부재(178)의 노치(184)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따라서 시브(140)의 추가적인 회전은 롤러(130)가 시브의 원통형 연장부(144) 주위에서 스프링(170)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을 통해 회전되도록 한다. 물론, 롤러가 회전하는 동안에는 스풀 및 리프트 코드들을 통해 스풀과 작동가능하게 연관된 최상부 레일을 포함하는 모두가 롤러와 함께 회전된다.
바닥 레일(124)이 롤러 주위에서 감기는 셰이드 재료(126)와 함께 충분히 상승되고나면, 시브(140)는 더 이상 터닝될 수 없으며, 따라서 커버링은 충분히 리트렉팅되고,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은 헤드 레일 내에서 밀접하게 인접한 관계가되며 그들 사이에는 셰이드 재료가 모아진다.
최상부 레일(122)과 바닥 레일(124) 둘 모두가 충분히 리트렉팅되는 위치로부터 커버링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시브(140)는 도 6의 우측 단부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코일 스프링(170)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은 바닥 레일이 충분히 연장될 때까지 롤러(130)가 시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이 때 셰이드 재료(126)의 무게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 레일(122)을 약간 하강시키는데, 이는 록 레버(192)를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시켜 수평방향 레그(196)를 베어링(178)의 노 치(184) 내로 떨어뜨림으로써 롤러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 물론, 시브는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롤러만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스프링(170)은 롤러와 시브의 원통형 연장부 간의 미끄러짐을 허용하고, 따라서 시브는 계속해서 회전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더블-클러치 스프링(152)을 통하며, 정방형 샤프트(16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에 따라 스풀이 회전되도록 하고 스풀로부터 리프트 코드들을 풀어서 최상부 레일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도록 한다. 최상부 레일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고 있고 스풀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면, 스풀은 충분히 연장된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이 바닥 레일과 바로 인접해 있는 경우 회전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사전위치된 록 너트(206)와 맞닿을 때까지 나사가공된 샤프트를따라 우측으로 병진한다.
도 12-14는 상술된 톱 다운/바텀 업 작동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된 셰이드 재료(32 및 126)의 제조 공정을 예시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셰이드 재료(32)는 로만 셰이드를 닮도록, 충분히 연장된 경우 실질적으로 편평한 백킹 시트(198) 및 복수의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시트(100)를 갖는 투-피스 재료일 수 있다. 도 12에서, 셰이드 재료는 리프트 코드(101)가 롤러(38)로부터 바닥 레일(36)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사전결정된 위치에 복수의 홀(216)을 형성하는 홀-형성 디바이스(214)를 갖는 장치(212) 등에 완전히 펼쳐진다(spread out),
홀들(216)을 형성하는 장치(212)는 도 12 및 13에서 볼 수 있으며, 홀 형성 디바이스(214)가 매트릭스로 이동되어 여하한의 원하는 위치에 셰이드 재료의 백킹 시트(98)의 구멍들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셰이드 재료(32)가 위치될 수 있는 지그(jig)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듯이, 셰이드 재료는 상기 장치 상에 배치되어, 룹트 재료(looped material;100)가 아랫쪽을 향하여 사다리꼴 횡단면의 복수의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평행한 레일들(218) 상에 꿰어지도록 하며, 사다리꼴 레일들 사이에는 수직방향 지지부들(220)이 연장된다. 재료의 편평한 백킹 시트(98)는 사다리꼴 레일들에 오버라잉(overlie)되는 한편, 룹트 재료는 레일들 주위에서 연장된다. 레일들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단부(222)에서 라운드지며, 따라서 상기 재료가 일 단부로부터 장치 상으로 쉽게 꿰어질 수 있다. 각각의 레일(218)은 중간 위치에서 이격되는 1 쌍의 지지 바아(22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격은 사다리꼴 레일 자체를 위한 공간 및 룹트 패브릭(100)을 위한 공간이 그를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패브릭은 레일들 상에 꿰어지며, 홀들이 재료(98)의 편평한 시트에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들(216)은 대략 형성될 홀 크기의 헤드(226)를 갖는 레이저 또는 가열 디바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는 아래를 향하고 재료의 편평한 시트에 바로 인접한다. 홀-형성 디바이스는 길이방향 트랙들(230)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대향되는 단부들을 갖는 가로방향 로드(228) 상에서의 장착을 통해 수평방향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사용된다. 물론, 트랙들을 따라 가로방향 로드를 슬라이딩시키면, 홀-형성 디바이스(214)는 재료(100)의 룹트 셀들(looped cell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홀-형성 디바이스를 가로방향 로드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셀들의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재료(98)에서의 홀들(216)의 길이방향 라인을 셀들의 가로방향으로 형성하여, 리프트 코드(101)가 홀들을 통해 꿰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홀들을 형성하는 경우, 홀들은 단지 재료(98)의 편평한 백킹 시트에만 형성되고 커버링이 장착되는 공간 내부에 대해 가시적인 룹트 시트(100)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형성 디바이스는 편평한 시트 재료(98)에 복수의 홀(216)이 형성되며, 각각의 홀은 사다리꼴 레일(218) 위에 있어서 레일이 홀-형성 디바이스가 편평한 시트 재료 이외에 룹트 재료(100)에서 홀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닥 레일(36)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101)의 수와 대응되는 원하는 수의 홀들의 열들(rows)이 형성된 후에, 시트 재료(26)는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바닥 레일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10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들을 통해 아랫쪽으로 꿰어져, 전방 룹트 재료(100)가 후방 시트 재료에 고정되되는 위치의 시트 재료(98) 뒤와 루프가 전방 재료에 형성되는 위치의 후방 시트 재료의 전방에서 연장된다. 물론, 리프트 코드들은 형성되는 홀들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고, 따라서 커버링의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패브릭은 그들 사이에서 모아지거나 연장될 수 있다.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롤-업 커버링의 제 3 실시예(240)가 도 15-2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작동 기구가, 주위에 셰이드 재료(244)가 감길 수 있는 롤러(242) 및 최상부 레일(248)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롤러 내부에 있는 기구(24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하지만, 상 기 기구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일 요소 보다 1 쌍의 제어 요소들(250 및 252)에 의해 작동된다.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롤러(242)는 커버링 용 헤드 레일의 우측 단부 캡(254)과 좌측 단부 캡(256) 사이에 반전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244)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최상부 레일(248) 및 바닥 레일(258) 사이에 매달려 있어, 셰이드 재료가 원하는 정도로 연장될 수 있고 커버링이 장착되는 건축물 개구부 내의 원하는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링의 우측 단부에서 보면, 롤러(242)는 함께 일체로 회전하기 위한 시브(260) 상에 고정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브는 마찰식으로 제어 요소(250)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주변 홈(264)을 갖는 디스크-형 외측 단부 구성요소(262) 및 내부에 중공 캐비티(268)가 있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내향 연장되는 부분(266)을 포함한다. 캐비티 내에서, 원통형 연장부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도그들(270)을 포함한다. 시브는 우측 단부 캡(254)의 스터브 샤프트(272)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터브 샤프트는 단일 클러치 스프링(276)이 배치되는 저감된 직경의 내향 샤프트 연장부(274)를 포함한다. 클러치 스프링의 대향되는 단부들은 저감된 직경의 샤프트(274) 어느 한 측 상에 윗쪽으로 돌출된 탱들(278)을 형성하고, 시브 상의 도그는 상기 탱들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시브가 단부 캡(25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은 저감된 직경의 샤프트를 정지한 상태로 타이트하게 잡아주는 한편, 제어 요 소(250)를 통해 시브에 가해지는 토크는 도그가 회전 방향에 따라 일 탱 또는 다른 탱을 맞물도록 하여 저감된 직경의 샤프트 상의 클러치 스플링(276)의 그립을 해제시킴으로써 시브가 단부 캡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시브의 회전은 또한 함께 일체로 회전하기 위해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롤러(242)의 회전을 유도한다.
도 15에서 보았을 때 시스템의 좌측 단부에서, 좌측 단부 캡(256)은 함께 일체로 회전하기 위해 롤러(242)에 고정되는 회전가능한 외측 베어링 요소(28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된 내측 베어링 요소(282)를 위한 베어링 시트를 형성하는 안쪽을 향하는 중공 샤프트(280)를 갖는다. 따라서, 롤러가 시스템의 좌측 단부에서 시브(260)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 롤러는 좌측 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어 요소(252)를 형성하는 풀 코드는 좌측 단부 캡 상의 중공 샤프트(280)를 통해 안쪽으로 돌출되며, 커버링의 사용자가 다룰 수 있도록 커버링의 좌측 단부 외측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매달려 있다. 풀 코드는 그 상 단부에서, 대향되는 단부들이 앵커링되는 1 쌍의 리프트 코드들(286 및 288)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최상부 레일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들에서 최상부 레일(248)에 연결된다. 1 쌍의 풀리(290 및 292)는 롤러 내의 고정된 브래킷들(294) 상에 장착되며, 상기 풀리는 롤러에 대해 횡방향인 회전 축선들을 갖는다. 리프트 코드들(286 및 288)은 풀 코드(252)와의 연결은 두고(leave)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우측으로 연장되어, 좌측 풀리(290) 아래와 우측 풀리(292) 위를 지나며, 이 때 상기 코드들 중 하나(286)는 상기 풀리(292)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곳 에서 최상부 레일에 부착하기 위해 롤러의 홀 또는 슬롯(296)을 통해 우측 풀리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제 2 리프트 코드(288)는 우측 풀리 주위에서 감기고, 좌측 풀리(290) 위에서 반전 방향으로 우측 풀리 아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풀리(290)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곳에서 최상부 레일과의 연결을 위해 롤러의 홀 또는 슬롯(296)을 통해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풀 코드(252)가 아랫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리프트 코드(286 및 288)는 풀리(290 및 292) 주위의 그들의 순환 루트를 통해 최상부 레일을 들어올린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풀 코드가 상승하게 되면, 최상부 레일은 중력을 통해 하강할 것이다. 또한, 후술될 코드 록 시스템(corl lock system;298)은 풀 코드를 원하는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풀 코드와 맞물리도록 좌측 단부 캡(256)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좌측 풀리(290) 및 우측 풀리(292)를 잡아주는 각각의 브래킷(294)은 하 단부들이 바닥 레일(258)에 고정되는 제 2 세트의 리프트 코드들의 리프트 코드(300)의 최상부 단부를 앵커링한다. 리프트 코드들(300)은 리프트 코드들(286, 288 및 300)의 세트들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방향 슬롯(296) 또는 롤러의 홀들을 통과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듯이, 롤러(242)는 최상부 레일이 도 15 및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분히 리트렉팅되는 경우 최상부 레일(248)을 위한 시트를 형성하는, 내부에 형성된 길이방향 후퇴부(302)를 갖는다.
도 18-21에서 가잘 잘 볼 수 있는 코드 록 시스템(298)은 도 18에서 볼 수 있는 좌측 단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삼각형 노치(304)에 배치된다. 도 20 및 21에서 볼 수 있는 코드 록은 1 쌍의 이격된, 수평방향의 탄성 로드들(306)로 이루어지 며, 상기 로드들 중 하나는 풀 코드(252)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로드들 사이의 갭(310)을 형성하는 일 단부에서의 루프(308)를 갖는다. 하지만, 갭들에서와는 다른 로드들 사이의 간격은 코드를 조이기(pinch)에 충분히 좁다. 따라서, 최상부 레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풀 코드를 작동시키는 경우, 코드는 도 18 및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갭(310) 내에 위치되며, 아래로 잡아당겨 지거나 또는 갭을 통해 슬라이딩되는 코드들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최상부 레일(248)이 원하는 곳에 위치되는 경우 풀 코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들 사이에서 조여질 때까지, 도 18에서 보아 좌측으로 잡아당겨지기만 하면 되며, 여기서 상기 풀 코드는 마찰식으로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작동에 있어, 최상부 레일(248)은 풀 코드(252)를 단순히 잡아당기기만 하면 상승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연결되는 리프트 코드들(286 및 288)을 잡아 당겨 최상부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5 및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부 레일이 충분히 상승하는 경우, 롤러(242)의 후퇴부(302)에 자리하며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최상부 레일이 이 위치에서 유지되기를 원한다면, 풀 코드를 도 18에서 보았을 때 좌측을 당겨, 상기 풀 코드를 그 위치에서 잡아주도록 코드 록(298) 내에서 조여질 수 있다. 물론 최상부 레일은 갭(310) 내에 풀 코드를 위치시키면 하강될 수 있으며 최상부 레일은 중력에 의해 떨어질 수 있다.
최상부 레일(248)이 충분히 상승하거나 부분적으로 상승하면, 바닥 레일(258)은 제어 요소(250)르르 이용하여 시스템의 우측 단부에서 시브(26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요소(250)는 롤러(242)가 상술된 바와 같 이 회전되도록 하여 바닥 레일이 롤러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때까지 셰이드 재료(244)를 롤러에 대해 감는다. 이 시점에서, 시브의 회전은 중단되고, 클러치 스프링(276)은 샤프트를 록킹하여 롤러가 회전될 수 없게 함으로써 최상부 레일을 상승된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상술된 바로부터 명백한 것으로서, 최상부 레일(248) 및 바닥 레일(258)은 완전히 연장된 위치와 완전히 리트렉팅된 위치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셰이드 재료(244)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서 원하는 정도로 연장될 수 있고 커버링이 장착되는 건축물 개구부 내의 원하는 곳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5-21의 커버링을 예시하고 있으며, 바닥 레일(258)은 완전히 연장되고 최상부 레일(248)은 부분적으로 연장되었다. 도 17에 예시된 셰이드 재료(244)는, 재료(314)의 일 시트는 바닥 레일(258)과 연관된 리프트 코드들(300)의 일 측 상에 놓이고 루핑되는(looped) 재료(316)의 다른 시트는 대향되는 측 상에 놓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상술된 셰이드 재료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셰이드 재료(244)가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사이에 모아지는 경우, 재료(314)의 일 시트는 리프트 코드들의 일 측 상에 모아지고 재료(316)의 루핑된 시트는 대향되는 측 상에 모아진다. 재료(318)의 하부 밸런스 시트(lower valence sheet)는 바닥 레일(258)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는 셰이드 재료(244)와 미적으로 조화될 수 있으며 건축물 개구부의 실(도시 안됨)과 바닥 레일 사이의 갭을 충전하기 위한 재료를 제공한다. 물론, 재료의 밸런스 시트가 필수 적인 것은 아니며, 셰이드 재료는 예시된 셰이드 재료와는 다른 다양한 타입들을 취할 수 있다.
상술된 바로부터, 롤-업 능력들을 갖는 톱 다운/바텀 업 셰이드를 위한 작동 시스템은 3 개의 개별 실시예들로 개시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3 개의 실시예 모두에서, 롤러는 그 주위에 셰이드 재료가 감길 수 있고 커버링의 최상부 레일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롤러 내에 위치된다. 실시예들 중 2 개의 실시예에서는, 최상부 레일과 바닥 레일 둘 모두가 단일의 제어 요소에 의해 작동되지만, 제 3 실시예에서는 제어 요소 및 풀 코드가 활용되어 최상부 레일 및 바닥 레일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킨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레일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들은 예시에 해당되며, 셰이드 재료의 패널, 코드 록, 클러치 스프링 및 다른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여타 알려진 변형례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후속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세부적 변화 또는 구조적 변화가 가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2)

  1.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top down/bottom up covering)에 있어서,
    대체로 원통형의 벽을 통한 1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롤러;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반전가능한 회전을 위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1 쌍의 단부 캡들(end caps);
    상기 롤러와 연관된 반전가능하게 회전가능한 구동 부재 및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상기 롤러의 상대적으로 반전가능한 회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부재를 반전가능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
    최상부 에지와 바닥 에지를 갖는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flexible shade material);
    상기 셰이드 재료의 상기 최상부 에지에 고정되는 최상부 레일;
    상기 셰이드 재료의 바닥 에지에 고정되는 바닥 레일;
    최상부 단부에서는 상기 롤러에 그리고 바닥 단부에서는 상기 바닥 레일에 앵커링되는(anchored) 복수의 제 1 리프트 코드;
    상기 롤러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선택된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 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2 이상의 반전가능하게 회전가능한 스풀들(spools);
    최상부 단부에서는 상기 스풀들 중 연관된 하나에 그리고 바닥 단부에서는 상기 최상부 레일에 개별적으로 앵커링되는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의 조합을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롤러의 회전은 상기 최상부 레일이 상기 롤러와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플렉서블 재료가 상기 롤러의 주위에서 감기도록(wrapped) 하며,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롤러의 회전은 상기 플렉서블 재료가 상기 롤러로부터 풀리도록 하여 상기 바닥 레일이 떨어지고(drop) 이후 상기 최상부 레일이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 내에 스톱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톱 시스템은 상기 롤러와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롤러의 길이를 따라 병진가능한 부재(translatable member) 및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롤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반대 방향으로 사전설정된 수만큼 회전하면 상기 병진가능한 부재의 병진 운동을 제한하는 맞댐부(abut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롤러가 상기 스톱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스풀을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 록 상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경우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에 의한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허용하지만 상기 구동 요소에 의해 회전되고 있지 않는 경우의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은 방지하는 스프링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최상부 레일의 해제가능한 수용을 위하여 내부에 바깥쪽으로 개방된 길이방향 포켓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클러치는 마찰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가능한 부재는 나사가공된 지지부 상에 나사결합 및 장착되고, 상기 나사가공된 지지부는 상기 단부 캡들 중 하나의 캡 상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 및 상기 병진가능한 부재의 회전 동안에도 정지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회전을 해제가능하게 허용하거나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부 캡들에 대해 상기 롤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에 장착되는 록 요소(lock elem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록 요소는 록킹 위치와 록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피봇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위치에서의 상기 피봇 레버는 단부 캡에 작동가능하게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위치에서의 상기 피봇 레버는 상기 단부 캡들로부터 작동가능하게 및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들 및 롤러의 상대적인 회전 시 상기 스풀들을 병진시키는 나사가공된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레버는 상기 롤러에 고정되는 장착 블록 상에서 상기 롤러 내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 버링.
  16.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에 있어서,
    대체로 원통형의 벽을 통한 1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의 롤러;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반전가능한 회전을 위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1 쌍의 단부 캡들;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상기 롤러의 반전가능한 회전을 위해 상기 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반전가능하게 회전가능한 구동 부재;
    최상부 에지와 바닥 에지를 갖는 플렉서블 셰이드 재료;
    상기 셰이드 재료의 상기 최상부 에지에 고정되는 최상부 레일;
    상기 셰이드 재료의 상기 바닥 에지에 고정되는 바닥 레일;
    최상부 단부에서는 상기 롤러에 그리고 바닥 단부에서는 상기 바닥 레일에 앵커링되는 복수의 제 1 리프트 코드;
    바닥 단부에서 상기 최상부 레일에 앵커링되는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롤러 내의 코드 가이드 시스템(cord guide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리프트 코드들은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바닥 레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는 상기 최상부 레일을 상기 바닥 레일과는 독립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롤러 내에 복수의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는 상기 롤러에 대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가 상기 최상부 레일에 앵커링되는 위치와 개별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는 상기 커버링의 사용자가 작동가능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리프트 코드들에 고정되는 상기 커버링의 사용자가 접근가능한 풀 코드(pull cor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 및 허용하기 위한 클러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풀 코드를 사전선택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풀 코드와 작동가능하게 정렬되는 코드 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용 톱 다운/바텀 업 커버링.
KR1020087007623A 2005-09-28 2006-09-25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KR20080047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189405P 2005-09-28 2005-09-28
US60/721,894 2005-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583A true KR20080047583A (ko) 2008-05-29

Family

ID=3790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623A KR20080047583A (ko) 2005-09-28 2006-09-25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17859B2 (ko)
KR (1) KR20080047583A (ko)
CN (1) CN101316532B (ko)
AU (1) AU2006294838B2 (ko)
BR (1) BRPI0616704A2 (ko)
CA (1) CA2623584C (ko)
TW (1) TWI329700B (ko)
WO (1) WO20070384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0044B2 (en) * 2006-08-31 2010-06-22 Dometic, LLC Awning assembly including drop-down shade
US7686059B2 (en)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US7571756B2 (en) * 2006-12-20 2009-08-11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GB0700706D0 (en) * 2007-01-13 2007-02-21 Mccormick Gregory R Controlling a position of a hanging flexible covering
US8261807B2 (en) 2008-04-28 2012-09-11 Hunter Douglas Inc. Dual fabri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662139B2 (en) * 2009-06-15 2014-03-04 Hunter Dougla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upper and lower travel limits for covering of an architectural opening
AU2011207646B2 (en) 2010-01-22 2016-11-03 Hunter Douglas Inc. Power assist module for roller shades
AU2011229850A1 (en) 2010-03-23 2012-10-11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biasing fabric to gather in predetermined direction
EP2575558B1 (en) 2010-05-28 2019-02-06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powered by rotary motors
US8915286B2 (en) 2010-12-17 2014-12-23 Panduit Corp. Roller shade filler panel
CN103402402B (zh) * 2011-04-04 2016-02-03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日照遮蔽装置
CN102210546A (zh) * 2011-05-30 2011-10-12 苏州蕾氏窗饰有限公司 一种窗帘
KR101946394B1 (ko) 2011-08-26 2019-02-11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윈도우 커버링용 코드리스 리트랙터블 롤러 셰이드
US9010399B2 (en) * 2012-05-01 2015-04-21 Horizons Holdings, Llc Window shade
US8561665B2 (en) * 2011-09-27 2013-10-22 Whole Space Industries Ltd Safety mechanism for top down bottom up shades
JP6310392B2 (ja) 2011-10-03 2018-04-11 ハンター ダグラ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建築物開口被覆アセンブ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567802B2 (en) 2013-03-15 2017-02-14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945177B2 (en) 2013-03-15 2018-04-17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US9702187B2 (en) 2015-02-13 2017-07-11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tubes
CA2981892A1 (en) * 2016-10-14 2018-04-14 Hunter Douglas, Inc. Adjustable internal double limit stop for roller shades
US10501988B2 (en) 2017-02-02 2019-12-10 Hunter Douglas Inc. Power assist modul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CA3062374A1 (en) * 2018-11-27 2020-05-27 Hunter Douglas Inc. Improved power assist modul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related drive plug assemblies
WO2020132750A1 (en) 2018-12-28 2020-07-02 7912854 Canada Inc. Roller blind limiter assembly, roller blind mechanism, roller blin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end position of a roller blind
TWI747642B (zh) * 2019-12-04 2021-11-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和其致動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468A (en) * 1987-09-08 1989-03-21 Hunter Douglas Inc. Two and three position over-under window shade
CN87217538U (zh) * 1987-12-28 1988-10-12 苏苗青 半自动卷帘器
NZ248872A (en) 1990-09-06 1994-10-26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Forming honeycomb type window shades: side by side strips adhered between two webs
US5313999A (en) 1990-10-24 1994-05-24 Hunter Douglas Inc.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US5547006A (en) 1993-05-04 1996-08-20 Hunter Douglas Inc. Roll-up cellular shades
US5791390A (en) * 1997-02-06 1998-08-11 Rollease, Inc. Single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top-down-bottom-up shades
US6289964B1 (en) * 1997-04-02 2001-09-18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435252B2 (en) * 1998-06-22 2002-08-20 Hunter Douglas Inc. Control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164362A (en) * 1999-09-08 2000-12-26 Yang; Nelson T. G. Top-down-bottom-up shade having an improved lift system
US6516856B2 (en) 2001-03-16 2003-02-11 Tony Lai Multi-functional shading device
US6530413B2 (en) * 2001-06-20 2003-03-11 Shiyang Hwang Foldable blind assembly
CA2422330C (en) * 2002-03-20 2010-02-16 Hunter Douglas Inc.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7063122B2 (en) * 2002-03-20 2006-06-20 Hunter Douglas Inc.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20050051281A1 (en) * 2002-09-09 2005-03-10 Tony Lai Multi-functional shading device
US7128126B2 (en) * 2003-03-04 2006-10-31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US7143802B2 (en) * 2003-03-20 2006-12-05 Springs Window Fashions Lp Cordless blinds
CN2635880Y (zh) * 2003-07-17 2004-08-25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升降式窗帘的单向传动装置以及应用该装置的窗帘
CN2638596Y (zh) * 2003-09-18 2004-09-08 张农纲 落地式窗帘升降装置
US7520311B2 (en) * 2005-12-22 2009-04-21 Hunter Douglas Inc. Threaded lift cord spoo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686059B2 (en) *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US7571756B2 (en) * 2006-12-20 2009-08-11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94838A1 (en) 2007-04-05
WO2007038447A3 (en) 2007-07-12
BRPI0616704A2 (pt) 2011-06-28
TWI329700B (en) 2010-09-01
CN101316532B (zh) 2010-10-06
US7617859B2 (en) 2009-11-17
US20080223532A1 (en) 2008-09-18
CA2623584C (en) 2014-06-10
CN101316532A (zh) 2008-12-03
TW200726895A (en) 2007-07-16
CA2623584A1 (en) 2007-04-05
AU2006294838B2 (en) 2011-04-28
WO2007038447A2 (en)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7583A (ko) 톱 다운/바텀 업 능력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 용 롤 업커버링
US7063122B2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7686059B2 (en)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US7571756B2 (en) System for operating top down/bottom u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624785B2 (en) Self-raising window covering
US6644373B2 (en) Cordless blind
JP5548013B2 (ja) ブラインド
JP5209052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US20130248125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 Lift System Utilizing Conical Spools
KR101422999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CA2477582C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JPH0516397Y2 (ko)
CA2753328C (en) Self-raising window covering
BRPI0616704B1 (pt) Roof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hich have a capacity to deserve the top / up the back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