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937A -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937A
KR20100051937A KR1020080110756A KR20080110756A KR20100051937A KR 20100051937 A KR20100051937 A KR 20100051937A KR 1020080110756 A KR1020080110756 A KR 1020080110756A KR 20080110756 A KR20080110756 A KR 20080110756A KR 20100051937 A KR20100051937 A KR 2010005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irbag
driver
passenger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8011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937A/ko
Publication of KR2010005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여 다중 측면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 모듈을 전개 시켜 승객의 움직임(movement)을 최소화 시켜 상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에어백은 운전석의 우측과 조수석의 좌측에 장착되어 다중 충돌시 탑승객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서 부상을 예방하고, 또한 뒷자석의 탑승객의 움직임도 줄여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이다.
에어백, 다중측면, 단일측면, 충돌, 안전벨트.

Description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Side airbag apparatus and deploy method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여 다중 측면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 모듈을 전개 시켜 승객의 움직임(movement)을 최소화 시켜 상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은 자동차 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 백을 부풀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운전자용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으며 시트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는 운전자를 생각해서 대형 에어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 점식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한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에어백 시스템이 있다.
또 에어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에는 충돌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하여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충돌을 검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에어백에 못지 않게 중요한 차량의 안전장치로는 안전벨트(seat belt)가 있으며, 시트벨트라고도 한다. 안전벨트는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로 세계적으로 주행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안전벨트는 운전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긴급시에는 확실하게 승객을 보호해야 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안전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 점식에서 레이스용에 사용되는 6점식까지 있으며 안전상 허리와 어깨를 지지하는 3 점식 이상의 장비가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안전벨트 프리텐셔너(seat belt pretensioner)는 안전벨트를 승객이 있는 경우 충돌 등의 발생되면 감기도록 하여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안전벨트와 에어백이 부담하는 충격력은 거의 반반 정도라고 한다.
이하, 종래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설명한다.
현재의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정면 충돌에 대한 상해 방지책으로 운전석, 조수석의 에어백 그리고 안전벨트 등이 있다. 그리고 측면(Side) 충돌에 대한 상해 방지책으로는 운전석 사이드와 조수석 사이드에어백 등이 있다.
이러한 사이드 에어백은 측면 충돌이 발생할 경우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 되는데 이것은 충돌 방향에 대해서만 전개를 시켜준다. 한편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할 경우 승격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승격은 충돌에 따른 움직임(movement)으로 인하여 또 다른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차량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보다 향상된 에어백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다중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에어백을 전개시켜 탑승객이 충격에 의한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차량 탑승객의 상해치를 최소화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에어백은 운전석의 우측과 조수석의 좌측에 장착되어 다중 충돌시 탑승객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서 부상을 예방하고, 또한 뒷자석의 탑승객의 움직임도 줄여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운전석의 우측과 조수석의 좌측에 장착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과, 운전석의 창측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및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다중측면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 제어부는 다중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좌석의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 제어부는 승객감지센서로부터 승객의 탑승 좌석을 파악하고 안전벨트부로부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여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은 운전석 우측에 한 개, 조수석 좌측에 한 개 설치되고 다중측면 충돌시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좌석만 전개됨을 특징으로 한다.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은 다중측면 충돌시 전개되어 탑승객의 움직임을 줄이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 운행중 측면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충돌이 다중측면 충돌인지 단일측면 충돌인지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에어백제어부에서 파악하는 단계와, 단일측면 충돌이면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 및 에어백제어부에서 안전벨트가 착용된 좌석의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돌이 다중측면 충돌이면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 및 에어백제어부에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조수석에서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고 다중 측면 충돌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을 전개시켜 승객이 다중 측면 충돌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부상을 예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발생되는 다중 충돌에 대해서도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여 다중 측면 충돌 (multi side crash)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 모듈을 전개 시켜 승객의 움직임(movement)을 최소화 시켜 상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외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되는 정면에어백(10),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20), 충돌시 안전벨트를 조이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30), 차량 내부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커튼에어백(40)과 두 개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의 전개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고, 다른 정면에어백(10)과 커튼에어백(40) 등의 동작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운전석의 우측에 하나 조수석의 좌측에 하나가 장착되어 두 개가 설치된다.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의 경우에만 작동하여 측면 다중 충돌시의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이 전개되면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움직임을 줄여 탑승자간 충돌을 예방할 수 있으며, 뒷자석의 탑승자들도 움직임을 차단하여 충돌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되는 경우 탑승자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서 충격으로 인한 탑승자간의 충돌을 예방하여 탑승객의 부상을 줄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20)과,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장착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 에어백의 전개를 판별하여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60)와 승객의 탑승 여부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센서(70)와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된 경우 해당 좌석의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작동하여 탑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 제어부(60)는 차량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고 충돌이 발생되면 정면 충돌 여부 판단, 측면 충돌여부 판단, 측면 충돌인 경우 단일측면 충돌인지 다중측면 충돌인지를 센서로부터 파악한다.
승객감지센서(70)는 차량의 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였는지를 파악하여 에어백 제어부(60)에 제공하고, 안전벨트부(80)는 충돌시 프리텐셔너(pretensioner)를 작동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해당 탑승자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여 에어백 제어부(6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운행시 단일측면 충돌(Single crash)만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에어백 제어부(60)는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와 관계 없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에어백(20)를 전개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또한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된 것으로 에어백 제어부(60)이 판단하면 안전벨트(80)를 착용한 좌석을 파악하고, 안전벨트를 모든 탑승자가 착용한 경우에는 탑승자가 충돌로 인한 움직임이 작으므로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작동시키지 않으며, 안전벨트(80)를 착용하지 않은 좌석에 대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을 전개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의 전개 로직(Logic)을 보여주는 표이다.
Figure 112008077419022-PAT00001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된 경우 해당 좌석의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만 작동 한다.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되었으나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에는 사이드에어백(20)을 전개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단일 측면 충돌(single crash)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관계 없이 사이드에어백(20)은 전개시키며 안전벨트를 착용한 좌석(Buckle)은 프리텐셔너(pretensioner)가 동작하여 승객을 2중으로 보호한다.
다중 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이 발생된 경우는 모든 사이드에어백(20)은 전개시키며,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Unbuckle)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만을 작동시켜 탑승객의 움직임을 줄여서 부상을 예방하며,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buckle)에는 해당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전개시키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운전석의 우측과 조수석의 좌측에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측면 에어백 동작 순서도이다. 300~310 단계에서 차량을 운행 도중에 충돌이 발생한다. 에어백제어부(60)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해당 충돌이 다중측면 충돌(multi side crash)인지 단일 측면 충돌인지를 판단을 한다.
310 단계에서 에어백 제어부(60)에서 발생된 차량 충돌이 단일 측면 충돌로 판별되면 320 단계로 진행하여 에어백 제어부(60)는 사이드에어백(20)을 전개시켜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한다.
330 단계로 진행하여 안전벨트부(80)는 탑승객 안전벨트를 착용한 좌석의 경우에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를 동작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한편 전술한 310 단계에서 에어백 제어부(60)에서 발생된 차량 충돌을 다중측면 충돌(multi side crash)로 판별하면 340 단계로 진행하여 안전벨트부(80)로부터 안전벨트를 착용한 좌석을 파악한다.
350 단계에서 에어백 제어부(60)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전개시키지 않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만을 구동시켜 승객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50)은 다중측면 충돌시 전개되어 탑승객의 움직임을 줄이도록 설치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측면 에어백의 전개 동작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사이드에어백 50: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
60: 에어백 제어부 70: 승객감지센서
80: 안전벨트부

Claims (8)

  1. 운전석의 우측과 조수석의 좌측에 장착되는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과;
    운전석의 창측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및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다중측면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다중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좌석의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승객감지센서로부터 승객의 탑승 좌석을 파악하고 안전벨트부로부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여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은 운전석 우측에 한 개, 조수석 좌측에 한 개 설치되고 다중측면 충돌시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좌석만 전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은 다중측면 충돌시 전개되어 탑승객의 움직임을 줄이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6. 차량 운행중 측면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충돌이 다중측면 충돌인지 단일측면 충돌인지를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에어백제어부에서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일측면 충돌이면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안전벨트가 착용된 좌석의 프리텐셔너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이 다중측면 충돌이면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창측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제어부에서 상기 운전석과 상기 조수석에서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어백을 전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제어부는 상기 안전벨트가 착용된 좌석에는 프리텐셔너가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KR1020080110756A 2008-11-10 2008-11-10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KR20100051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56A KR20100051937A (ko) 2008-11-10 2008-11-10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56A KR20100051937A (ko) 2008-11-10 2008-11-10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37A true KR20100051937A (ko) 2010-05-19

Family

ID=4227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756A KR20100051937A (ko) 2008-11-10 2008-11-10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9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2292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EP2799290B1 (en) Head restraint system
US10752199B2 (en) Vehicle airbags for occupants in rear facing seats
CN110325408B (zh) 车辆乘员约束设备和用于运行车辆乘员约束设备的方法
KR20120044831A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장치
US11167714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JP2011025760A (ja) 乗員保護制御装置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KR20140011833A (ko) 차량의 후석 승객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8461A (ko) 자동차 안전장치
US8430424B1 (en) Far side impact protection for driver
KR101724965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361013B1 (ko) 자동차 후방 추돌시 탑승자 목 보호 시스템
JP200713722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20107264A (ko) 에어백 장치
JP4232039B2 (ja) 乗員拘束装置
KR20100051937A (ko)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전개 방법
KR20070060569A (ko) 조수석 에어백 전개 제어방법
KR100794049B1 (ko) 차량용 에어백의 테더구조
KR100641036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20230060707A (ko) 자동차 뒷좌석용 에어백
KR100302421B1 (ko) 에어백을이용한시트쿠션상승장치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100693506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Brambilla et al. The windowbag: An innovation in side impact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