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390A -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390A
KR20100050390A KR1020090097109A KR20090097109A KR20100050390A KR 20100050390 A KR20100050390 A KR 20100050390A KR 1020090097109 A KR1020090097109 A KR 1020090097109A KR 20090097109 A KR20090097109 A KR 20090097109A KR 20100050390 A KR20100050390 A KR 2010005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maging
display
mod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호 아키타
카즈유키 마루카와
소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4Viewfinders of direct vision type, e.g. frame, sighting mar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앞면과 배면 등에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 촬상 상황에 응하여,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
제 2 표시 패널부(앞면표시 패널)에 대해서는, 촬상 모드에 응하여 필요한 표시 동작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 기간에는, 촬상 장치의 사용자는, 제 1 표시 패널부(주표시 패널)에서, 피사체 화상의 모니터링을 행하는데, 촬상 모드에 의해 피사체측에 인물이 존재하는 것이나 표시의 시인성이 좋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제 2 표시 패널부에서도 모니터링 표시를 행한다. 이로써 피사체 인물이,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경 촬상 등이 추정되는 촬상 모드인 경우는 제 2 표시 패널부를 오프로 하여 전기절약을 도모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상 장치와, 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상에 복수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한 촬상 장치의 표시 동작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7-158799호 공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보급되어 있고, 많은 촬상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에 의한 표시 패널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몸체상에 비교적 큰 면적으로 표시 패널이 마련되고, 촬상시에는 피사체 화상의 모니터링이 행하여지거나, 촬상한 화상의 재생시에는, 재생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 몸체상에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는 것을 신규로 생각한다.
즉 종래와 마찬가지로 촬상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촬상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는 외에, 장치 몸체상의 앞면측(前面側)(피사체측이 되는 면) 등에,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표시 패널부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는, 촬상에 관한 동작 상태나 상황에 응하여,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 즉, 보는 사람에 있어서 유용한 표시 동작이나 필요 없는 소비 전력을 회피하는 것 같은 표시 동작을 실현할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갖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표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2 표시 패널부와,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고, 촬상 화상 신호를 얻는 촬상 처리부와, 촬상 모드 설정에 응하여 촬상 처리 제어를 행하고, 표시 처리 제어로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적어도 상기 촬상 모드에 응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복수의 촬상 모드중에서 미리 결정된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에,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저휘도 상태로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부에 의해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상기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한 설정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촬상 장치의 내부 검출 정보에 의거 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을 행하는 화상 해석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상기 화상 해석부에 의한 화상 해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화상 해석부는,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에 의해, 상기 피사체 방향에 인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촬상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를 또한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은,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피사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얻어지는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적어도, 촬상 상황에 적합한 촬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각종의 촬상 모드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촬상 모드에 응하여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2 표시 패널부에 관해서는, 촬상 모드에 응하여 필요한 표시 동작이 행하여진다. 촬상 모드란, 각종의 촬상 상황이나 촬상 목적에 응하여 설정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면 어떤 장소나 상황에서 어떤 화상을 찍고 싶은지 라는 것에 응하여, 각각 적합한 촬상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예를 들면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되는 모드이다. 각종의 촬상 모드마다, 노광 조정 조건이나 신호 처리 파라미터 등이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촬상 모드에 의해, 피사체 방향에 인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판정하여,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표시를 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상의 때의 모니터링 기간(정지화상 촬상을 위한 셔터 타이밍을 노리고 있을 때)에는, 촬상 장치의 사용자(즉 촬상 장치에 의해 정지화상 촬상을 행할려고 하고 있는 촬상자)는,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피사체 화상의 모니터링을 행한다. 이 모니터링 화상은, 그 기간에 촬상 소자부에서 얻어지는 촬상 화상 신호이고, 스루 화상(畵)라고도 불리는, 피사체 광경의 실시간 처리의 동화상이다. 촬상자는, 이것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을 확인하고,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릴리스 조작(셔터 조작)을 행한다. 이것은 통상의 촬상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모니터링 기간에는, 제 2 표시 패널부에서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즉 스루 화상로서의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면 알맞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그 인물이,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보고,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피사체측에 인물이 있는 때만 유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촬상자가 촬상 모드로서 풍경 모드를 선택하고, 사람이 아닌 풍경을 촬상하려고 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보는 인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그러한 때에 제 2 표시 패널부에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여도 의미가 없게 된다. 그래서 제 2 표시 패널부를 오프로 하여 전기절약을 도 모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그 때의 촬상 모드로부터 추정된 상황에 응하여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동작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2개의 표시 패널부에 의한 유용한 표시나 오락성이 높은 표시, 또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장비하여도 함부로 소비 전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측과 피사체측에서 각각 시인(視認)할 수 있는 2개의 표시 패널부를 마련하도록 함과 함께, 촬상 모드로부터 추정되는 촬상 상황에 응하여, 각 표시 패널에서 적절한 표시를 할 수가 있다. 특히 피사체측의 인물의 존재의 유무나 표시에 관한 시인성의 양부를 추정하여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이로써 유용한 표시, 오락성이 높은 표시, 나아가서는 필요 없는 표시의 회피 등을 실현할 수 있고, 신규로 유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다음의 순서로 설명하여 간다.
[1. 촬상 장치의 구성] [2. 동작 천이] [3. 양 표시 패널부의 화면 표시예] [4. 모니터링시의 앞면표시 패널부의 표시 제어] <4-1 : 촬상 모드에 의거한 처리예> <4-2 :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에 의거한 처리예> <4-3 : 촬상 모드와 내부 검출 정보에 의거한 처리예> <4-4 : 촬상 모드와 화상 해석 정보에 의거한 처리예> [5. 재생시의 앞면표시 패널부의 표시 제어] [6. 변형예]
[1. 촬상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 1, 도 2로 설명한다.
도 1의 (a), (b)는, 본 예의 촬상 장치(1)를 배면측(사용자측) 및 앞면측(피사체측)에서 본 외관례를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1)에는, 앞면측에 촬상 렌즈부(20), 플래시 발광부(15) 등이 마련된다.
또한, 몸체 윗면이나 배면측 등의 각처에 유저 조작을 위한 조작자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릴리스 조작키(5a), 다이얼 조작부(5b), 와이드/텔레 조작키(5c), 각종 조작키(5d), 십자키(5e) 등이 마련된다.
다이얼 조작부(5b)는, 예를 들면 촬상 모드의 선택 등에 이용된다. 조작키(5d)로서, 메뉴 지시, 재생 지시, 노출 보정 지시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십자키(5e)는, 예를 들면 표시 패널(6)에 표시되는 조작 메뉴 항목의 선택/결정을 위시하여 각종 조작에 이용된다.
그리고 촬상 장치(1)에는, 배면측에는 도 1의 (a)와 같이,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에 의한 주표시(主表示) 패널(6M)이 마련됨과 함께, 앞면측에는 도 1의 (b)와 같이,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에 의한 앞면표시 패널(6F)이 마련되어 있다.
이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은, 예를 들면 동등한 화면 사이즈로 되고, 각각 몸체 배면 및 몸체 앞면에서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주표시 패널(6M)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모니터링 기간(촬상 모드에서 셔터 타이밍을 노리고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모니터링 화상(스루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촬상 대상으로 되어 있는 피사체 광경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화상이나 섬네일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은, 피사체측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게 된다. 후술하지만, 일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모니터링 화상 등의 표시를 행하여, 피사체측이 되어 있는 인물이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도 2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촬상계(2), 제어계(3), 카메라 DSP(Digital Signal Processor)(4), 조작부(5),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 표시 컨트롤러(7), 외부 인터페이스(8),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9), 매체 인터페이스(10)를 구비한다.
촬상계(2)는, 촬상 동작을 실행하는 부위가 되고, 렌즈 기구부(21), 조리개/ND 필터 기구(22), 촬상 소자부(23),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 A/D 변환부(25), 렌즈 구동부(26), 렌즈 위치 검출부(27), 타이밍 생성 회로(28), 떨림 검출부(13), 발광 구동부(14), 플래시 발광부(15), 렌즈 구동 드라이버(17),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 촬상 소자 드라이버(19)를 구비한다.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은, 렌즈 기구부(21) 및 조리개/ND 필터 기구(22)를 통하여 촬상 소자부(23)에 유도된다.
렌즈 기구부(21)는, 상기 도 1의 (b)의 촬상 렌즈부(20)의 내부 구성이고, 커버 렌즈, 포커스 렌즈, 줌 렌즈 등의 복수의 광학 렌즈군을 갖는다. 또한 렌즈 구동부(26)는,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가 된다. 렌즈 구동부(26)는 렌즈 구동 드라이버(17)에 의해 구동 전력이 인가되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를 이송한다. 후술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는 렌즈 구동 드라이버(17)를 제어함으로써, 초점 제어나 줌 동작을 실행시킨다.
조리개/ND 필터 기구(22)는, 조리개 기구와, 렌즈 광학계 내에 삽입됨에 의해 입사광량을 감쇠시키는(조정하다) ND 필터 기구를 가지며, 광량 조정을 행한다.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는, 조리개 기구의 개폐에 의해 입사광량의 조절을 행한다. 또한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는, ND 필터를 입사광의 광축상에 대해 출입함으로써, 입사광량의 조절을 행한다. CPU(31)는,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18)를 제어하여 조리개 기구나 ND 필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입사광량 제어(노광 조정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렌즈 기구부(21), 조리개/ND 필터 기구(22)를 통과하고, 촬상 소자부(23)상에 피사체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부(23)는, 결상되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고, 피사체상에 대응하는 촬상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촬상 소자부(23)는,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촬상 영역을 가지며, 각 화소에 축적된 전하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화상 신호를, 화소 단 위로 순차적으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 출력한다. 촬상 소자부(23)로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등이 이용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는, 내부에 CDS(상관 2중 샘플링) 회로나, AGC(오토 게인 컨트롤) 회로 등을 가지며, 촬상 소자부(2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해 소정의 아날로그 처리를 행한다. A/D 변환부(25)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카메라 DSP(4)에 공급한다.
타이밍 생성 회로(28)는, CPU(31)에 의해 제어되고, 촬상 소자부(23),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 A/D 변환부(25)의 각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타이밍 생성 회로(28)는, 촬상 소자부(23)의 촬상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노광/전하 판독의 타이밍 신호나, 전자 셔터 기능으로서의 타이밍 신호, 전송 클록, 프레임 레이트에 응한 동기 신호 등을, 촬상 소자 드라이버(19)를 통하여 촬상 소자부(23)에 공급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서, 촬상 소자부(23)에서의 화상 신호의 전송에 동기하여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상기 각 타이밍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도 공급한다.
CPU(31)는, 타이밍 생성 회로(28)에 의해 발생시키는 각 타이밍 신호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의 변경이나, 전자 셔터 제어(프레임 내의 노광 시간 가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CPU(31)는, 예를 들면 타이밍 생성 회로(28)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 게인 제어 신호를 주도록 함으 로써, 촬상 화상 신호의 게인 가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떨림 검출부(13)는, 손떨림량(量)이나 촬상 장치(1) 자체의 움직임의 양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떨림량으로서의 검출 정보를 CPU(31)에 공급한다.
플래시 발광부(15)는 발광 구동부(14)에 의해 발광 구동된다. CPU(31)는, 유저의 조작 그 밖에 의한 소정 타이밍에서, 발광 구동부(14)에 플래시 발광을 지시하고, 플래시 발광부(15)를 발광시킬 수 있다.
카메라 DSP(4)는, 촬상계(2)의 A/D 변환부(25)로부터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해, 각종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한다.
이 카메라 DSP(4)에서는,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처리부(41), 압축/해제 처리부(42), SDRAM 컨트롤러(43), 화상 해석부(44) 등의 처리 기능이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 신호를 이용한 촬상계(2)의 구동 제어용의 연산 처리로서, 오토 포커스(AF)용 처리, 오토 아이리스(AE)용 처리 등을 행하고, 또한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 자체에 대한 처리로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 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용 처리로서는,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해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하고, 검출 정보를 CPU(31)에 전한다. 오토 포커스 제어 방식으로서는, 각종의 제어 수법이 알려져 있는데, 이른바 콘트라스트 AF라고 불리는 수법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시 점의 촬상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하고, 최적 콘트라스트 상태의 포커스 렌즈 위치를 판별한다. 즉 CPU(31)는, 촬상 동작에 앞서서, 포커스 렌즈의 이동 제어를 실행시키면서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검출되는 콘트라스트 검출치를 확인하고, 최적인 콘트라스트 상태가 된 위치를 포커스 최적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촬상중의 포커스 제어로서는, 이른바 워블링 AF라고 불리는 검출 방식이 실행될 수 있다. CPU(31)는, 촬상 동작중에, 항상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미소하게 전후로 흔들도록 이동시키면서,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검출되는 콘트라스트 검출치를 확인한다. 포커스 렌즈의 최적 위치는, 당연히, 피사체의 상황에 의해 변동하지만, 포커스 렌즈를 전후로 미소 변위시키면서 콘트라스트 검출을 행함으로써, 피사체의 변동에 응한 포맷 제어 방향의 변화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써, 피사체 상황을 추적한 오토 포커스가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 구동부(26)에 있어서의 이송 기구에는, 각 이송 위치마다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고, 그 이송 위치 어드레스에 의해 렌즈 위치가 판별된다.
렌즈 위치 검출부(27)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의 렌즈 위치로서의 어드레스를 판별함으로써, 초점맞춤 상태로 되어 있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것을 거리 정보로서 CPU(3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서 CPU(31)는, 초점맞춤 상태로 하고 있는 주(主)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별할 수 있다.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가 실행하는 오토 아이리스용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피사체 휘도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입력되는 촬상 화상 신호의 평균 휘도를 산출하고, 이것을 피사체 휘도 정보, 즉 노광량 정보로서 CPU(31)에 공급한다. 평균 휘도의 산출로서는 예를 들면 1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전(全) 화소의 휘도 신호치의 평균치, 또는 화상의 중앙 부분에 무게를 준 휘도 신호치의 평균치의 산출 등, 각종의 방식이 생각된다.
CPU(31)는, 이 노광량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노광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즉 조리개 기구, ND 필터, 또는 촬상 소자부(23)에서의 전자 셔터 제어,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4)에의 게인 제어에 의해, 노광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는, 이들의 오토 포커스 동작, 오토 아이리스 동작에 이용하는 신호 생성 처리 외에, 촬상 화상 신호 자체의 신호 처리로서, 오토 화이트 밸런스, γ 보정, 에지 강조 처리, 손떨림 보정 처리 등을 행한다.
카메라 DSP(4)에서의 압축/해제 처리부(42)는,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압축 처리나, 압축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해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방식에 의한 압축 처리/해제 처리를 행한다.
SDRAM 컨트롤러(43)는, SDRAM(9)에 대한 기록/판독을 행한다. SDRAM(9)은, 예를 들면 촬상계(2)로부터 입력된 촬상 화상 신호의 일시 보존, 화상 처리부(41)나 압축/해제 처리부(42)에서의 처리 과정에서의 보존이나 워크 영역의 확보, 정보 생성부(44)에서 얻어진 정보의 보존 등에 이용되고, SDRAM 컨트롤러(43)는, 이들의 데이터에 관해 SDRAM(9)에 대한 기록/판독을 행한다.
화상 해석부(44)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처리된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해 화상 해석을 행하고, 각종의 화상 인식을 행한다.
본 예의 경우, 화상 해석부(44)는 피사체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 인식이나 얼굴 인식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 경우의, 얼굴 방향이나 시선 방향 등의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화상 해석부(44)는 외광 상황,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크기 등, 화상 해석에 의해 인식 가능한 각종의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계(3)는, CPU(31), RAM(32), 플래시 ROM(33), 시계 회로(34)를 구비한다. 제어계(3)의 각 부분, 및 카메라 DSP(4), 촬상계(2)의 각 부분, 표시 컨트롤러(7), 외부 인터페이스(8), 매체 인터페이스(10)는, 시스템 버스에 의해 서로 화상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CPU(31)는, 촬상 장치(1)의 전체를 제어한다. 즉 CPU(31)는 내부의 ROM 등에 보존한 프로그램 및 조작부(5)에 의한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분과 제어 신호 등의 교환을 행하고, 각 부분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시킨다. 특히주표시 패널(6M)에서의 표시 제어와 함께, 후술하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동작을 위한 제어 처리 등도 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2)은, 카메라 DSP(4)에서 처리된 촬상 화상 신호(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일시적인 보존이나, CPU(31)의 각종 처리에 응한 정보가 기억된다.
플래시 ROM(33)은, 촬상 화상으로서의(유저가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의 보존이나, 그 밖에 불휘발적으로 보존할 것이 요구되는 정보의 기억에 이용된다. 촬상 장치(1)의 제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카메라의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시계 회로(34)는, 현재 일시 정보(연월일 시분초)를 계수한다.
조작부(5)는, 도 1에 도시한 각종 조작자(5a 내지 5e 등) 및 그 조작에 의거한 신호 발생부로 이루어진다. 각종 조작자에 의한 유저의 조작 정보는, 조작부(5)로부터 CPU(31)에 전달된다.
또한, 조작부(5)로서는, 조작자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주표시 패널(6M)에 터치 센서를 배치하고, 화면 표시에 대한 유저의 터치 조작으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컨트롤러(7)는, CPU(31)의 제어에 의거하여, 주표시 패널(6M), 및 앞면표시 패널(6F)에 필요한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표시 동작으로서는, 모니터링 표시(이른바 슬루화 표시)나,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으로부터 판독한 재생 화상 표시, 조작 메뉴 표시, 각종 아이콘 표시, 시각 표시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 동작으로서는, 모니터링 표시나, 재생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매체 인터페이스(10)는, CPU(31)의 제어에 의거하여, 촬상 장치(1)의 내부에 세트된 메모리 카드(카드형상의 리무버블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90)에 대해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행한다. 예를 들면 매체 인터페이스(10)는, 촬상 결과로서의 정 지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에 관해 기록 매체(90)에 기록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재생 모드시에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기록 매체(90)로서 가반성의 메모리 카드를 예로 들고 있지만, 촬상 결과로서 남겨 두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다른 종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 등의 가반성 디스크 미디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HDD(Hard Disk Drive)를 탑재하여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외부 인터페이스(8)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신호 규격에 따라, 소정의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물론 USB 방식으로 한하지 않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방식 등, 다른 규격에 의한 외부 인터페이스로 하여도 좋다.
또한, 유선 전송 방식이 아니라, 적외선 전송, 근거리 무선 통신 그 밖의 무선 전송 방식으로 외부 인터페이스(8)를 구성하여도 좋다.
촬상 장치(1)는, 이 외부 인터페이스(8)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그 밖에 각종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촬상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근접 센서(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근접 센서(50)는, 촬상 장치(1)의 전방(피사체측)에 인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로 한다. 예를 들면 초전(焦電)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물 검출을 화상 해석부(44)의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는, 이 근접 센서(50)는 마련하지 않아도 좋고, 또는 화상 해석에 의한 인물 검출과 근접 센서(50)에 의한 검출을 병용하여도 좋다.
[2. 동작 천이(遷移)]
본 예의 촬상 장치(1)의 동작 상태 천이에 관해 도 3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각 동작 상태란, 특히주표시 패널(6M)의 표시 내용의 관점에서 본 동작 상태이다.
촬상 장치(1)의 동작 상태로서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응하여 모니터링 기간,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 재생 기간을 천이한다. 또한, 실제로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간 등 다른 동작 상태도 있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한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파워 온이 되면, 모니터링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유저가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재생 조작을 행하는 경우 등, 파워 온인 때에 재생 동작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모니터링 기간이란, 촬상계(2)에 의한 촬상을 행하기 위한 동작 기간이다. 유저가, 통상적으로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정지화상 촬상을 행하는 경우, 우선 이 모니터링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 모니터링 기간은, 주표시 패널(6M)에 피사체 화상(스루 화상)이 표시된다. 즉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서는 촬상계(2), 카메라 DSP(4)에 각각 촬상시에 필요한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프레임마다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RAM(32)에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 프레임마다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표시 컨트롤러(7)에 교환하고, 주표시 패널(6M)에 모니터링 표시를 실행시킨다. 후술하지만, 이 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도 모니터링 표시를 실행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모니터링 기간에서, 유저는, 이 주표시 패널(6M)의 표시를 보면서, 피사체를 선택하거나, 셔터 타이밍을 겨누게 된다.
모니터링 기간에서, 유저가 릴리스 조작키(5a)를 누르면, 즉 셔터 조작을 행하면, 동작 상태는 기록 기간이 된다.
CPU(31)는, 이 릴리스 조작의 타이밍에서 촬상되는 1프레임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정지화상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CPU(31)는 해당 타이밍에서 받아들인 촬상 화상 데이터를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전송하고, 기록 매체(90)에 기록시킨다.
또한 릴리스 조작에 응한 기록 동작으로서는, 기록 매체(90)가 아니라, 플래시 ROM(33)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기록 매체(90)에 기록하지만, 기록 매체(90)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플래시 ROM(33)에 기록하는 동작 방식이라도 좋다.
이 기록 기간은, 유저가 보면 릴리스 조작 직후의, 시간적으로는 한 순간의 기간이고, 그 사이에, 예를 들면 주표시 패널(6M)은 특별히 표시되지 않는 상태 등이 된다.
릴리스 조작에 응한 기록 동작의 직후는, 일정 시간, 프리뷰 기간이 된다. 프리뷰 기간이란, 주표시 패널(6M)에, 직전의 기록 동작에서 기록한 화상이 표시되는 기간이다. 즉 유저가, 촬상한 정지화상을, 직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이다. 예를 들면 2초 내지 수초 정도의 기간이 프리뷰 기간이 되고, CPU(31)는 이 기간, 기록한 정지화상 데이터를,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프리뷰 기간으로서의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CPU(31)는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상태로 되돌려서, 모니터링 기간으로서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모니터링 기간, 기록 기간, 프리뷰 기간으로서, 정지화상 촬상으로서의 일련의 동작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동화상 촬상도 가능하지만, 동화상의 경우는 기록 기간이, 그 동화상 촬상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기간, 계속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프리뷰 기간은 마련되지 않는다.
유저가 재생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 재생 동작 상태(재생 기간)로 이행한다.
재생 기간에는, 촬상 등에 의해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된 화상을 재생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CPU(31)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화상이나 1장의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도 있다.
[3. 양(兩) 표시 패널부의 화면 표시예]
본 예의 촬상 장치(1)에서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행하여지는 화면 표시예를 도 4, 도 5로 설명한다.
도 4의 (a), (b), (c) 및 도 5의 (a)는, 모니터링 기간에 행하여지는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스루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만,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표시 오프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는,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어 있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마찬가지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는, 주표시 패널(6M)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어 있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다른 화상, 예를 들면 재생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재생 화상이란,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되어 있는, 과거에 촬상한 화상의 재생 화상으로 하여도 좋고, 미리 촬상 장치(1) 내에 기억된 화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때에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를 준비하여 플래시 ROM(33) 등에 미리 프리세트 화상으로서 기억시켜 두고, 그 프리세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시키는 예이다. 나아가서는 이른바 촬상 화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고, 텍스트 데이터, 애니메이션 데이터, 컴퓨터 그래픽 데이터 등을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시켜 두고, 이들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재생 화상이란, 표시 가능한 모든 화상을 포함한다.
도 5의 (a)는, 주표시 패널(6M)에서는 표시를 오프로 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예이다.
모니터링 기간의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로서는, 이들의 각 예가 생각되지만, 어떤 표시를 행하는지는,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피사체의 상황, 촬상 장치(1)의 동작 상황, 촬상 모드 등에 응하여, CPU(31)가 제어한다.
도 5의 (b), (c)는, 재생 기간에 행하여지는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는,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화상의 섬네일 화상에 의한 일람 표시가 행하여지고,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섬네일 화상중에서 커서(K)에 의해 선택중으로 되어 있는 재생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는, 주표시 패널(6M)에서 1장의 재생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지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마찬가지로 재생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재생 기간의 주표시 패널(6M),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로서는, 이들의 각 예가 생각된다. 물론 다른 예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주표시 패널(6M)에서는 재생 화상을 표시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화상의 일람 표시를 행하면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는, 각 재생 화상의 순차 표시(슬라이드 쇼로서의 표시)를 행하는 것 등도 생각된다.
도 4, 도 5에 표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촬상 조작이나 재생 조작 등을 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는 주표시 패널(6M)에서의 표시는,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모니터링 기간에는,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프리뷰 기간에서는, 촬상하여 기록한 화상을 일정 시간 표시한다.
재생 기간에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응하여, 섬네일 화상이나, 재생 화상을 표시한다.
CPU(31)는, 주표시 패널(6M)에 대해서는, 동작 상태나 조작에 응하여 이들의 표시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자에 대해 유용한 표시나 재미가 있는 표시를 실행하거나, 또는 필요 없는 표시의 배제라는 관점에서, CPU(31)가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예를 각종 설명하여 간다.
[4. 모니터링시의 앞면표시 패널부의 표시 제어]
<4-1 : 촬상 모드에 의거한 처리예>
도 6의 (a)는,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CPU(31)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기간에는, 촬상계(2), 카메라 DSP(4)의 처리로 얻어지는 모니터링 화상이 주표시 패널(6M)에서 표시된다. 즉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는,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스루 화상로서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해, CPU(31)는 주표시 패널(6M)의 표시 제어와 병행하여 도 6의 (a)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스텝 F101에서는, CPU(31)는 현재의 촬상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촬상 모드에 관해 설명하여 둔다.
촬상 모드란, 야경 모드,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풍경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노우 모드, 비치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각종의 상황에서 적절한 상태에서 촬상을 행할 수가 있도록 유저가 선택하는 모드이다.
이들의 촬상 모드로서는, 각각 적절한 셔터 속도, 노출 설정, 촬상 화상 신호에 대한 신호 게인 설정, 에지 강조나 색 처리 등의 신호 처리 설정 등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다이얼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야경 모드는, 야경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야경&인물 모드는, 배경의 야경과 인물의 표정을 각각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포트레이트 모드는, 인물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풍경 모드는, 풍경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소프트 스냅 모드는, 인물의 피부의 질감을 밝고 부드러운 인상으로 하는 설정으로 촬상되도록 한 촬상 모드이다.
고속 셔터 모드는,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고감도 모드는, 어두운 장면도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서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스마일 셔터 모드는, 피사체 인물이 웃는 얼굴이 되면, 자동으로 셔터 처리(릴리스)가 행하여지는 촬상 모드이다.
이들의 촬상 상황에 적합한 촬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촬상 모드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데,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으로부터 기록 기간까지의 정지화상 촬상의 과정에서는, 촬상 모드 설정에 응하여 촬상 처리 제어를 행한다. 즉 다이얼 조작부(5b)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촬상 모드에 응하여, 촬상계(2)나 카메라 DSP(4)에 각종 파라미터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셔터 속도, 노출 설정, 신호 처리 설정 등의 지시이다.
도 6의 (a)의 스텝 F101은, 이와 같은 촬상 모드로서, 현재 어느 촬상 모드로 하고 있든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하는 처리이다.
CPU(31)는, 상기의 각종의 촬상 모드중에서,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이면, 처리를 스텝 F102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표 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CPU(31)는 스텝 F101에서,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니라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10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CPU(31)는, 이 도 6의 (a)의 처리를, 모니터링 기간에서 반복하여 실행한다. 모니터링 기간이 종료되는 것은, 예를 들면 릴리스 조작이 행하여져서 기록 동작으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재생 조작이 행하여져서 재생 동작으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촬상 장치(1)의 전원 오프 조작이 행하여져서 전원 오프 처리를 행하는 경우 등이다. 이들에 의해 모니터링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CPU(31)는 도 6의 (a)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중에서는, 촬상 모드로서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도 4의 (b)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고,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도 4의 (a)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가 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각 촬상 모드중에서, CPU(31)가 스텝 F101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라고 판정하는 것은,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으로 한다. 즉 이 들의 촬상 모드를, 스텝 F101의 처리에서, 소정의 촬상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하여 둔다.
이들의 촬상 모드는, 인물의 촬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것이고, 따라서 피사체로서 인물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즉,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볼 수 있는 인물이 피사체로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CPU(31)는, 촬상 모드가,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의 어느 하나이면, 스텝 F102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한다.
이들 이외의 촬상 모드, 즉 야경 모드, 풍경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인 경우는, 인물의 촬상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되거나, 또는,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성이 나쁜 상태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야경 모드, 풍경 모드는, 풍경 촬상을 목적으로 함으로써, 피사체에 인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였다고 하여도, 화상 내의 중심적인 존재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야경 모드나 고감도 모드인 경우는, 만약 전방에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어두운 풍경을 촬상하고 있을 때의 모니터링 화상은,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시켰다고 하여도, 해당 전방의 인물에게는 시인성이 나쁘다.
또한 고속 셔터 모드의 피사체는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가 된다. 예를 들면 사람이 피사체였다고 하여도, 그 사람은 스포츠 경기중, 댄스중 등의 상황에 있고, 안정하게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상황이 아니다.
즉, 이들의 촬상 모드인 경우, 전방에 사람이 있지 않거나, 또는 인물이 있다고 하여서 앞면표시 패널(6F)이 시인성 좋게 표시되는 상황이 아닌, 또는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CPU(31)는 촬상 모드가 야경 모드, 풍경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의 어느 하나인 경우는, 스텝 F103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한다.
또한, 이상은 예시이고, 이들 이외에도, 황혼 촬상에 적합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황혼 모드, 식물이나 곤충 등의 접사(接寫)에 적합한 매크로 모드, 불꽃의 촬상에 적합한 불꽃 모드, 수중에서의 촬상에 적합한 수중 모드 등이 준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키장 슬로프나 설경색(雪景色)의 백은(白銀)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스노우 모드나, 바다나 하늘의 청색을 두드러지게 한 설정으로 촬상이 행하여지는 비치 모드 등도 준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경우도, 각각 인물의 존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의 시인성, 피사체측의 인물의 상황에 응하여, 스텝 F101에서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지(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행하여야 할 소정의 촬상 모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두면 좋다.
즉 이 도 6의 (a)의 처리예에 의하면, 모니터링중에서는, 촬상 모드에 의해, 전방(피사체측)에 인물이 존재할 가능성이나, 앞면표시 패널(6F)의 시인성 등을 추정한다.
그리고, 전방에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보게 되는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큰, 또한, 시인성 좋게 볼 수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는 경우에,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전방에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사람이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경우나, 사람이 있다고 하여도 시인성 좋게 볼 수가 없는 상황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이 오프 된다.
예를 들면 인물을 피사체로 할 때는, 유저는,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경우, 그 피사체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사체인 인물은, 자신이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보고,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진으로서 바람직한 표정인지의 여부 등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등,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야경 모드, 풍경 모드, 고속 셔터 모드, 고감도 모드를 선택하여 촬상을 행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함으로써(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만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아무도 보지 않는 필요없는 표시, 또는 시인성이 나쁜 필요없는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6의 (b)는 다른 처리예이고, 전방에 사람이 없어도, 앞면표시 패널(6F)을 전원 오프 상태로는 하지 않는 예이다.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CPU(31)는 스텝 F101에서 현재의 촬상 모드에 의 해 처리를 분기한다.
CPU(31)는,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F102A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 휘도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또한 CPU(31)는, 현재,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스텝 F103A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표시 휘도를 저하시킨 상태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즉,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수 있는 인물이 존재하고, 또한 표시의 시인성도 좋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휘도를 올리고, 모니터링 화상을, 그 인물에 보기 쉽도록 한다. 한편, 전방에 사람이 없는, 또는 시인성이 나쁘고 표시를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될 때는, 표시 휘도를 내려서,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앞면표시 패널(6F)로서 예를 들면 유기 EL 패널과 같은 자발(自發) 광소자에 의한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표시 휘도를 내리는 것은, 소비 전력 삭감에 유용하다.
다음에 도 7의 처리예를 설명한다.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CPU(31)는 스텝 F101에서 현재의 촬상 모드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CPU(31)는,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F10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또한 CPU(31)는,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스텝 F104로 진행하여, 기록 매체(90) 등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나 프리세트 화상 데이터 등을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CPU(31)는 매체 인터페이스(10)에 지시하여, 기록 매체(9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촬상 화상 데이터 기타)의 재생을 실행시킨다. 또는 CPU(31)는 플래시 ROM(33)으로부터, 프리세트 화상 데이터나 촬상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한다. 그리고 CPU(31)는, 그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즉 도 4의 (c)와 같이, 모니터링 화상과는 다른 화상 표시를 앞면표시 패널(6F)에서 실행시킨다.
이 경우,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수 있는 인물이 존재하고, 또한 표시의 시인성도 좋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되고, 그 인물은 찍혀질려고 하고 있는 자신의 화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전방에 사람이 없는, 또는 시인성이 나쁘고 표시를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될 때는, 도 4의 (c)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 무관계한 화상이 표시된다.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이 없다고 하여도, 옆에 사람이 있는 상황은 많이 있다. 또한 사람의 위치에 따라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보기 쉬운 상황인 경우도 있다.
그러한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서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표시가 촬상 장치(1)의 외관 디자인의 일부로서 인식되고, 흥미 깊은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앞면표시 패널(6F)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유저가 선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자신의 촬상 장치(1)의 외관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카메라 사용상의 즐거움을 넓힐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로서는, 텍스트 데이터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으로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서 또다른 처리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상술한 촬상 모드의 하나로서, 자신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셀프 촬영 모드란, 유저가 촬상 장치(1)의 앞면을 자신의 쪽을 향하게 하여 찍는 경우의 촬상 모드이다.
도 8의 스텝 F151에서는, CPU(31)는 현재, 촬상 모드로서 셀프 촬영 모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촬상 모드가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는, CPU(31)는 스텝 F152로 진행하여, 주표시 패널(6M)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 F153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촬상 모드가 셀프 촬영 모드 이외인 경우는, CPU(31)는 스텝 F154에서, 촬상 모드가,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스텝 F15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또한 CPU(31)는,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스텝 F15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즉 유저 설정으로서 셀프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 및주표시 패널(6M)을 도 5의 (a)의 상태로 한다. 셀프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는,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된다.
셀프 촬영 모드인 경우는, 유저가 촬상 장치(1)를 자신의 쪽을 향하게 하여 촬상 조작을 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주표시 패널(6M)을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을 봄으로써,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표시 패널(6M)은 오프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또한, 이상의 도 8의 처리예에 준한 변형예로서, 스텝 F155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이외에, 도 6의 (a)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휘도 상태의 표시로 하거나,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예도 생각된다.
<4-2 :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에 의거한 처리예>
상기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촬상 모드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예를 기술하였지만, 여기서는, 촬상 모드에 더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한 다른 유저 설정의 상태도 고려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촬상 모드도 유저 설정의 하나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유저 설정이란, 예를 들면 플래시 발광 설정, 줌 위치 조작 등, 촬상 모드 설정 이외의 유저의 조작에 응한 설정 상태인 것으로 한다.
도 9는,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CPU(31)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니터링 기간에는, 촬상계(2), 카메라 DSP(4)의 처리로 얻어지는 모니터링 화상이 주표시 패널(6M)에서 표시된다. 즉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스루 화상로서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해, CPU(31)는 병행하여 도 9의 처리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201에서는,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즉 촬상 모드로서,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CPU(31)는 처리를 스텝 F202로 진행하여, 현재의 촬상 모드 이외의 유저 설정 상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설정 상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유저 설정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설정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20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CPU(31)는 스텝 F201에서,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니라고 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201부터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또한 CPU(31)는 스텝 F202에서, 촬상 모드 이외의 유저 설정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설정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도, 처리를 스텝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들의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CPU(31)는, 이 도 9의 처리를, 모니터링 기간에서 반복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중에 있어서,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그 시점에서 유저 설정 상태가 소정의 상태인 때는, 도 4의 (b)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풍경 모드 등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인물을 포함하지 않는 피사체 광경을 겨누고 있을 때나,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 등의 소정의 촬상 모드였다고 하여도, 유저 설정 상태가 소정의 상태가 아닌 때는, 도 4의 (a)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가 된다.
유저 설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래시 발광 설정, 줌 위치 조작 등이 있다. 각각에 관해 도 9의 처리의 적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유저 설정중의 플래시 발광 설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플래시 발광 설정이란, 플래시 발광을 실행시키는지(플래시 : 온), 시키지 않는지(플래시 : 오프), 또는 자동 제어로 플래시 온/오프를 행하는지(플래시 : 오토)를 유저가 선택하는 설정이다.
이 경우, 유저가 플래시 : 온으로 설정으로 하는 경우는, 주위가 어두운 상황인 것이 통상적이다.
어두운 상황인 경우, 모니터링 기간의 모니터링 화상도 휘도가 낮은 상태가 되고,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의 시인성은 좋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플래시 발광 설정에 관해서는, 「플래시 :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CPU(31)는 스텝 F2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도록 한다.
유저 설정중에서 줌 위치 조작 설정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줌 위치 조작 설정이란, 예를 들면 유저가 도 1의 와이드/텔레 조작키(5c)를 조작하여 줌 조작한 경우의 줌 위치의 설정인 것이다. 예를 들면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줌 위치가 소정 이상으로 텔레측(망원)에 있을 때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당연히, 너무 멀으면, 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202에서, 유저의 조작에 의한 줌 위치가, 소정 이상의 망원 상태의 위치인 경우는, 스텝 F204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도 9의 스텝 F203에서는, CPU(31)가 이상과 같은 유저 설정에 응한 판단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적절한 표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즉 도 9의 처리에 의하면,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수 있는 인물의 존재나, 표시의 시인성이 좋다고 추정되는 경우는, 피사체측의 인물은 찍혀질려고 하고 있는 자신의 화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사체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에 의해 자신이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보고,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에 사람이 없는, 또는 시인성이 나쁘고 표시를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될 때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한다(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만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한다). 이로써, 보다 적절히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저 설정으로서, 플래시 발광 설정, 줌 위치 조작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양쪽을 이용한 판단을 스텝 F202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한쪽의 유저 설정만에 관해 스텝 F203에서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저 설정으로서는, 상기한 이외에, 감도 설정, 노광 설정, 손떨림 보정 온/오프 설정, 특수 촬상 설정 등이 상정된다. 이들의 각각에 관해서도, 피사체 인물이 적절히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본다는 행위에 관해 적절한 상황이 추정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스텝 F202의 판단에 반영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도 9의 처리예에 준한 변형예로서, 스텝 F204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이외에, 도 6의 (b)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휘도 상태의 표시로 하거나,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예도 생각된다.
<4-3 : 촬상 모드와 내부 검출 정보에 의거한 처리예>
계속해서, 촬상 모드에 더하여, 촬상 장치(1)가 내부적으로 검출하는 카메라 검출 정보(내부 검출 정보)도 고려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카메라 검출 정보란, 촬상 장치(1)의 내부 센서로 검출되는 정보나, 촬상 장치의 동작 제어에 수반하여 CPU(31)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 등이다. 예를 들면 플래시 제어나 노광 제어에 이용하는 외광 광량 검출 정보, 줌 위치 정보, 포커스 정보, 손떨림 검출 정보, 피사체 거리 정보 등이다.
도 10은,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CPU(31)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니터링 기간에는, CPU(31)는,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스루 화상로서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과 병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해 도 10의 처리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301에서는,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 한다. 즉 촬상 모드로서,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CPU(31)는, 현재,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라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302로 진행하여, 소정의 카메라 검출 정보를 확인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카메라 검출 정보로부터, 현재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는, CPU(31)는 처리를 스텝 F30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CPU(31)는 스텝 F301에서, 현재,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니라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3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또한, CPU(31)는, 스텝 F302에서, 카메라 검출 정보로부터, 현재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도, 처리를 스텝 F3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들의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CPU(31)는, 이 도 9의 처리를, 모니터링 기간에서 반복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중에, 사용자가, 소정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그 시점에서 카메라 검출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상태가 소정의 상태일 때는, 도 4의 (b)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풍경 모드 등,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있을 때나,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있다고 하여도, 카메라 검출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상태가 소정의 상태가 아닐 때는, 도 4의 (a)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가 된다.
카메라 검출 정보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외광 광량 검출 정보, 줌 위치 정보, 피사체 거리 정보, 포커스 정보, 떨림 검출 정보 등이다. 이들의 카메라 검출 정보를 이용한 스텝 F302의 판단은 이하와 같이 된다.
외광 광량은, 촬상 화상 데이터의 휘도 평균치나, 화면 내의 일부에 무게 부여를 행하여 얻은 무게 부여 휘도 평균치 등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고, 이들은 통상, 자동 노광 제어나, 플래시 발광 설정이 오토인 경우의 플래시 발광 제어 등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DSP(4)의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이들의 휘도치가 산출되기 때문에, CPU(31)는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광 광량 센서 등을 마련하여 직접적으로 외광 광량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의 수법에서 검출되는 외광 광량이 낮은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행하여도, 화상 자체의 휘도가 낮고,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역광 상태 등, 너무 외광 광 량 레벨이 높은 경우도,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표시는 양호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라도, 외광 광량이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에 적절한 상황이 아니라고 하여, 스텝 F302부터 F3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줌 위치 정보에 관해서는, CPU(31)는 유저 조작 등에 따르여 줌 렌즈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줌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줌 위치가 소정 이상에 텔레측(망원)에 있을 때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피사체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302에서, 줌 위치가 소정 이상의 망원 상태의 위치인 경우는, 스텝 F304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피사체 거리 정보란, 촬상 장치(1)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정보이고, 예를 들면 CPU(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위치 검출부(27)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물을 피사체로 하고 있다고 하여도, 피사체 거리 정보에 의해, 그 피사체 인물이 촬상 장치(1)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고 판별할 수 있는 경우는, 피사체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적절히 볼 수가 없다고 추 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302에서, 피사체 거리 정보에 의해, 피사체가 소정 이상의 먼 위치에 있다고 검출되는 경우는, 스텝 F304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포커스 정보란,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의 오토 포커스를 위하는 처리에 이용하는 초점맞춤 상태의 판정의 정보이다.
CPU(31)는, 초점맞춤 상태가 아닌 경우는, 적절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가 없다고 하여, 스텝 F302로부터 스텝 F3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초점맞춤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만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표시를 실행시키도록 한다.
떨림 검출 정보는, 손떨림이나 촬상 장치(1)의 움직임의 검출 정보이다.
CPU(31)는 예를 들면 떨림 검출부(13)로부터의 정보로서 떨림 검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손떨림이 큰 경우, 또는 유저가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에 추종하는 등으로 촬상 장치(1)를 움직이고 있는 경우 등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은 적정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302에서, 떨림 검출 정보에 의해, 떨림이나 촬상 장치(1)의 움직임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스텝 F3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10의 스텝 F302에서는, CPU(31)가 이상과 같은 각종의 카메라 검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응한 판단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적절한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도 10의 처리에 의하면,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카메라 검출 정보로부터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상태가 판정된 때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피사체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에 의해 자신이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보고,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상 모드나 카메라 검출 정보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에 적합한 상황이 아니라고 추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한다. 이로써, 보다 적절히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처리예에 준한 변형예로서, 스텝 F305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이외에,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휘도 상태의 표시로 하거나, 도 8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예도 생각된다.
<4-4 : 촬상 모드와 화상 해석 정보에 의거한 처리예>
계속해서, 촬상 모드에 더하여, 화상 해석 정보도 고려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화상 해석 정보란, 화상 해석부(44)가 실행하는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이다.
도 11은,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CPU(31)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기간에는, 촬상계(2), 카메라 DSP(4)의 처리로 얻어지는 모니터링 화상이 주표시 패널(6M)에서 표시된다. 즉 CPU(31)는 모니터링 기간에는, 카메라 DSP(4)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스루 화상로서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해, CPU(31)는 주표시 패널(6M)의 표시 제어와 병행하여 도 11의 처리를 행한다.
CPU(31)는 스텝 F401에서는,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즉 촬상 모드로서, 야경&인물 모드, 포트레이트 모드, 소프트 스냅 모드, 스마일 셔터 모드 등,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CPU(31)는, 현재,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라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402로 진행하여, 화상 해석부(44)에서의 화상 해석 결과를 확인한다. 화상 해석부(44)에서는, 모니터링 기간에서, 촬상계(2)에서 촬상되고, 카메라 DSP(4)에 받아들여진 촬상 화상 데이터에 관한 화상 해석 처리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처리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관해, 또는 간헐적으로 프레임을 추출하여, 화상 해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해석 대상으로 한 촬상 화상 데이터 내에, 인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인물로 인식할 수 있는 윤곽 부분이 화상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그 판정 결과를 CPU(31)에 공급한다. 스텝 F402에서 CPU(31)는, 그 판정 결과로서, 인물의 존재가 인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CPU(31)는, 화상 해석 결과로서 인물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4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CPU(31)는 스텝 F401에서, 현재,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니라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4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또한, CPU(31)는, 스텝 F402에서의 화상 해석 결과 확인에 의해, 인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403부터 F4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CPU(31)는, 이 도 9의 처리를, 모니터링 기간에서 반복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중에, 사용자가, 소정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인물이 피사체가 되도록 촬상 장치(1)를 향하고 있을 때에는,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소정의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나,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고 하여도, 풍경 등, 인물을 포함하지 않는 피사체 광경 을 겨누고 있을 때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가 된다. 또한 소정의 촬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에 인물이 포함되게 된 시점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즉 이 처리예에 의하면, 촬상 모드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의 온/오프가 제어될 뿐만 아니라,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전방에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인물이 피사체가 될 때는, 그 피사체인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을 볼 수 있다. 또한 촬상 모드가 소정의 촬상 모드임으로써, 시인성은 좋은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피사체인 인물은 자신이 촬상되도록 하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보고, 자신의 표정이나 포즈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진으로서 바람직한 표정인지의 여부 등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등,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피사체로서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을 보는 사람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함으로써(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만을 전원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누구도 보고 있지 않는 필요 없는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스텝 F402에서는 화상 해석부(44)에서의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피사 체로서 전방에 인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스텝 F402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근접 센서(50)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는 처리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 F402에서, 화상 해석 결과와 근접 센서(50)의 검출 결과의 양쪽을 확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도 12 내지 도 14의 각 처리예에서는, 화상 해석에 의해 얼굴 검출을 행함으로써, 전방의 인물의 존재 유무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근접 센서(50)를 이용한 변형예는 도 12 내지 도 14의 경우도 각각 마찬가지로 생각된다.
그런데, 도 11의 처리는, 인물 검출을 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인물 검출로서, 「얼굴」의 검출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화상 해석부(44)에서는, 촬상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얼굴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윤곽이나, 눈, 코, 입 등의 얼굴의 요소의 존재를 판정하고, 촬상 화상 데이터에 피사체로서의 인물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의 CPU(31)의 처리를 도 12에 도시한다.
또한, 도 12의 스텝 F401, F402, F404, F405는 도 11과 마찬가지이다.
CPU(31)는, 스텝 F402에서 화상 해석부(44)의 화상 해석 결과를 확인하고, 「얼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얼굴」이 검출되어 있으면 스텝 F403A로부터 F404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 행시키고, 한편 「얼굴」이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403A로부터 F4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한다.
이와 같이, 인물의 신체의 전체의 판정이 아니라, 얼굴의 판정에 의해, 전방의 인물의 존재를 확인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화상 해석부(44)에서 행하여지는 화상 해석 결과로서, 인물 인식에 더하여, 더욱 다양한 해석 결과 정보도 고려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화상 해석부(44)에서의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서는, 인물 인식이나 얼굴 인식 이외로도 각종의 화상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광 광량의 판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비교에서의 움직임 검출이나 화소마다의 흐려짐량(量)의 해석 등으로,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양을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얼굴화상이 검출된 경우의 화상 인식 처리로서, 화면 내에서의 얼굴의 사이즈( 1프레임의 화상 내에 차지하는 얼굴 부분의 비율)나, 얼굴 방향, 시선(視線) 방향 등을 해석 결과로서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이들과 같이 보다 다양한 화상 해석 결과를 이용하는 경우를 기술한다.
도 13은, 모니터링 기간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CPU(31)가 실행하는 표시 제어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텝 F401, F402, F403A, F404, F405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하고 있 다.
CPU(31)는 스텝 F401에서는,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 F4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현재의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는, CPU(31)는 스텝 F402에서 화상 해석부(44)에 의한 해석 결과를 확인한다.
단 본 예에서는, 화상 해석부(44)는, 얼굴의 존재의 검출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밖에도 각종의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하고, CPU(31)는 그들의 해석 결과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물의 「얼굴」이 검출되어 있으면 스텝 F403A로부터 F4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화상 해석부(44)에 의한 해석 결과로서 인물의 「얼굴」이 검출되어 있으면, CPU(31)는 스텝 F410에서, 다른 화상 해석 결과에 응하여 처리를 분기한다.
즉 CPU(31)는, 얼굴 이외의 화상 해석 결과를 확인하고,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CPU(31)는, 각종의 화상 해석 결과로부터, 현재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는, 처리를 스텝 F404로 진행 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즉, 주표시 패널(6M)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니터링 화상을, 앞면표시 패널(6F)에서도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CPU(31)는 스텝 F410에서 다른 해석 결과로부터 현재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화상의 표시에 적합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스텝 F4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스텝 F401, F403A, 또는 F410부터 스텝 F405로 진행한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CPU(31)는, 이 도 9의 처리를, 모니터링 기간에서 반복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기간중에, 사용자가, 소정의 촬상 모드를 선택하고, 인물의 얼굴이 피사체에 포함되도록 촬상 장치(1)를 향하여 있고, 또한, 그 시점에서 각종의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인식되는 상태가 소정의 상태인 때는, 앞면표시 패널(6F)에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나, 소정의 촬상 모드라도 피사체에 인물(얼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나아가서는, 소정의 촬상 모드이고 피사체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지만, 각종의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인식된 상태가 소정의 상태가 아닌 때는, 앞면표시 패널(6F)은 오프가 된다.
얼굴의 존재 이외의 화상 해석 결과에 응한 스텝 F410의 처리예는 이하와 같 이 된다.
화상 해석 결과로서, 외광 광량을 판정할 수 있다. 상술한 카메라 검출 정보로서도 설명하였지만, 외광 광량이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 등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표시는 양호하게 시인할 수가 없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소정의 촬상 모드에서 얼굴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라도, 외광 광량이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나 역광 상태라고 판정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에 적절한 상황이 아니라고 한다. 즉 스텝 F4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한다.
또한 화상 해석 결과로서,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의 양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촬상 장치(1) 자체가 떨리거나 움직이고 있는(유저가 촬상 장치(1)를 움직이고 있다) 경우, 또는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 또는 쌍방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를 판정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움직임의 양이 큰 때는,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이 있다고 하여도 적절히 앞면표시 패널(6F)을 시인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410에서, 촬상 장치(1)와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스텝 F4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화상 해석으로서, 단지 얼굴 검출뿐만 아니라, 얼굴의 크기(화면 내에서의 얼굴 부분의 비율)를 판정할 수 있다.
줌 위치 상태에도 따르지만, 어떤 일정한 줌 상태를 생각하면, 얼굴의 크기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까지의 거리를 판정하는 지표의 하나가 된다.
예를 들면 줌 상태가 와이드 상태라도 얼굴이 작게 촬상되어 있는 경우는, 그 인물은 멀리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410에서, 줌 위치를 고려하여, 얼굴의 크기에 의해 피사체 인물의 원근을 판단한다. 그리고, 그 인물은 멀리에 있고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을 볼 수가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 스텝 F4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화상 해석으로서, 얼굴 방향이나 시선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촬상 화상상(上)에서 얼굴이 정면 방향이 아닌 경우, 또는 시선이 정면 방향이 아닌 경우는, 그 피사체 인물은 촬상 장치(1)를 보고 있지 않는 것이 된다. 즉 앞면표시 패널(6F)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CPU(31)는 스텝 F410에서, 얼굴 방향, 또는 시선 방향을 확인한다. 그리고, 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내용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F405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제어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13의 스텝 F410에서는, CPU(31)가 이상과 같은 화상 해석 결과에 응한 판단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 적절한 표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즉 도 13의 처리에 의하면, 소정의 촬상 모드에서, 얼굴 검출이 되고, 또한 다른 화상 해석 결과로부터 소정의 상태일 때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된다. 이것은, 피사체로서 전방에 인물이 존재하고, 촬상 모드로부터 추정되는 상황으로서 적절하고, 및 화상 해석 결과로부터 피사체측의 인물이 적절히 모니터링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또는 시인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상황에서,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피사체인 인물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본다는 개연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앞면표시 패널(6F)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피사체로서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시인성이 나쁜 상황, 또는 인물이 존재하였다고 하여도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행하여도 의미가 없다(보고 있지 않다 또는 볼 수가 없)고 되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한다. 이로써, 보다 적절히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는, 촬상 모드의 하나로서 상술한 스마일 셔터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상기 도 13의 처리예의 변형예이다.
도 14에서의 스텝 F420 내지 F422 이외는, 도 1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3에서는 유저의 릴리스 조작(촬상 기간으로의 이행의 트리거)에 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14에서는 촬상 기간으로의 이행하는 처리까지를 스텝 F420 내지 F422로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하면, 얼굴 검출이나 상기 각종 검출에 더하여, 피사체 인물의 표정 판정도 가능하다.
그래서, 촬상 모드, 피사체 인물의 존재, 및 다른 해석 결과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서 모니터링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CPU(31)는 스텝 F420에서 피사체 인물의 표정 판정의 결과를 확인한다.
그리고 표정 판정으로서, 웃는 얼굴의 상태가 화상 해석 결과로서 얻어진 경우는, 자동적으로 스텝 F422로 진행하여 CPU(31)는 릴리스 처리, 즉 그 시점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유저가 수동으로 릴리스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F421부터 F422로 진행하여 릴리스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앞면표시 패널(6F)에서의 모니터링 표시와 스마일 셔터 모드 처리를 조합시킴으로써, 피사체로 되어 있는 인물은, 앞면표시 패널(6F)을 자신의 표정을 보면서 웃는 얼굴로 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기록이 행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도 12, 도 13, 도 14의 처리예에 준한 변형예로서, 스텝 F405에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이외에, 도 6의 (b)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휘도 상태의 표시로 하거나,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시키는 처리예도 생각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의 처리예에서는, 화상 해석에 의한 얼굴 검출에 의해, 앞면측에 앞면표시 패널(6F)을 시인 가능한 인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였지만, 얼굴 검출이 아니라, 인물 검출(화상 내에서의 인물의 신체의 검출)에 의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근접 센서(50)에 의한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도 좋다.
[5. 재생시의 앞면표시 패널부의 표시 제어]
여기까지 설명하여 온 각 처리예는, 모니터링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의 제어 처리예로 하였지만, 여기서는 재생 기간에서의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의 예를 기술한다.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재생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 재생 동작 상태(재생 기간)로 이행한다. 그리고 재생 기간에는,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된 화상을 재생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CPU(31)는,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기록 매체(90)나 플래시 ROM(33)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하여,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화상이나 1장의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 때에, 앞면표시 패널(6F)에 대해서는, CPU(31)는 도 15의 처리를 행한다.
재생 기간에서 CPU(31)는 스텝 F501에서는,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모드인지, 주표시 패널(6M)만에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이 표시 모드는, 유저가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CPU(31)는, 양화면 표시를 행하는 표시 모드가 아니면, 처리를 스텝 F501부터 F505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을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주표시 패널(6M)만으로 재생 화상 표시를 행하게 된다.
CPU(31)는, 양화면 표시를 행하는 표시 모드라면, 처리를 스텝 F501부터 F502로 진행하여, 현재의 주표시 패널(6M)에서의 재생 표시 상태에 응하여 처리를 분기한다. 즉, 현재, 주표시 패널(6M)에서 재생 화상의 섬네일 일람 표시를 행하고 있는지, 또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처리를 분기한다.
현재, 주표시 패널(6M)에서 1장의 재생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는 것이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503으로 진행하여, 앞면표시 패널(6F)에도, 그 같은 재생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5의 (c)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현재,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일람 표시를 실행시키고 있는 것이면, CPU(31)는 처리를 스텝 F504로 진행한다. 이 경우, 앞면표시 패널(6F)에는, 섬네일 일람 표시상에서 커서(K)로 선택중으로 되어 있는 재생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컨트롤러(7)에 지시한다. 이 경우, 주표시 패널(6M)과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는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앞면측에 사람이 있는 경우는, 앞면표시 패널(6F)측에서도 동시에 재생 화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의 유저와, 앞면측에 있는 인물이, 재생 화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주표시 패널(6M)에서 섬네일 일람 표시를 행하고 있는 경우는, 촬상 장치(1)의 유저가 커서(K)를 이동시켜감으로써, 앞면표시 패널(6F)측에서, 선택한 재생 화상을 앞면측에 있는 인물에게 보일 수 있다.
[6. 변형예]
이상, 실시의 형태로서의 각종의 처리예나 변형예를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는 더욱 다양한 변형예가 생각된다.
예를 들면, 앞면표시 패널(6F)에서 통상의 모니터링 화상 표시를 행하지 않 는 경우에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를 오프로 하거나, 저휘도 표시로 하거나, 재생 화상이나 프리세트 화상을 표시한다는 예를 기술하였지만, 이들의 어느 상태로 하는지 유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모드가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적합한 상황을 추정시키는 소정의 촬상 모드인지의 여부를 전제로 하고, 또한 유저 설정 상태, 카메라 검출 정보(내부 검출 정보)에 의한 판정, 화상 해석 결과를 조합시켜서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를 기술하였다. 이들을 닷시 조합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 상태와, 카메라 검출 정보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가 생각된다.
또한,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 상태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가 생각된다.
또한, 촬상 모드와, 카메라 검출 정보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가 생각된다.
또한,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 상태와, 카메라 검출 정보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해,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예가 생각된다.
또한 촬상 모드로서는, 상술한 예 이외에, 오토 모드가 준비되는 경우도 있다. 오토 모드란, CPU(31)가, 외광 상황이나 화상 해석 등에 응하여, 적절한 촬상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촬상계(2) 및 카메라 DSP(4)의 처리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촬상 모드로서 오토 모드가 준비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오토 모드는, 앞면 표시 패널(6F)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의 하나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4와 같은 처리를 적용하여, 카메라 검출 정보, 유저 설정 정보, 화상 해석 결과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지화상 촬상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동화상 촬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동화상 촬상인 경우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이, 촬상 시작까지의 스탠바이 기간에 상당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 기간이, 기록 시작부터 기록 종료까지의 동화상 기록 기간이 된다.
따라서, 스탠바이 기간이나 기록 기간에 있어서, 앞면표시 패널(6F)의 동화상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정지화상 및 동화상의 양쪽을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1)라면, 촬상 모드의 하나로서 동화상 모드가 준비된다. 이 동화상 모드는,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에 적합한 소정의 촬상 모드의 하나로 한다. 그리고 스탠바이 기간이나 기록 기간에서, 도 9 내지 도 14와 같은 처리를 적용하고, 카메라 검출 정보, 유저 설정 정보, 화상 해석 결과에 응하여, 앞면표시 패널(6F)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본 예에서는 촬상 장치(1)로서,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라고 불리는 기기를 예로 들었지만,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외관예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동작 천이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화상 표시예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장치의 화상 표시예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7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8은 실시의 형태의 앞면표시 패널의 셀프 촬영 모드를 고려한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9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와 유저 설정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와 카메라 검출 정보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1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2는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3은 실시의 형태의 촬상 모드와 화상 해석 결과에 의거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실시의 형태의 스마일 셔터 모드를 고려한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 15는 실시의 형태의 재생시의 앞면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예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상 장치 2 : 촬상계
3 : 제어계 4 : 카메라 DSP
5 : 조작부 6M : 주표시 패널
6F : 앞면표시 패널 7 : 표시 컨트롤러
8 : 외부 인터페이스 9 : SDRAM
10 : 매체 인터페이스 13 : 떨림 검출부
14 : 발광 구동부 15 : 플래시 발광부
17 : 렌즈 구동 드라이버 18 : 조리개/ND 구동 드라이버
19 : 촬상 소자 드라이 21 : 렌즈 기구부
22 : 조리개/ND 필터 기구 23 : 촬상 소자부
24 :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25 : A/D 변환부
28 : 타이밍 생성 회로 26 : 렌즈 구동부
27 : 렌즈 위치 검출부 31 : CPU
32 : RAM 33 : 플래시 ROM
34 : 시계 회로 41 : 화상 신호 처리부
42 : 압축/해제 처리부 43 : SDRAM 컨트롤러
44 : 화상 해석부 50 : 근접 센서

Claims (11)

  1.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1 표시 패널부와,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 2 표시 패널부와,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고, 촬상 화상 신호를 얻는 촬상 처리부와,
    촬상 모드 설정에 응하여 촬상 처리 제어를 행하고, 표시 처리 제어로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상기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적어도 상기 촬상 모드에 응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복수의 촬상 모드중에서 미리 결정된 소정의 촬상 모드인 경우에,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의 표시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저휘도 상태로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가, 상기 소정의 촬상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부에 의해 판독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표시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상기 촬상 모드 이외의, 촬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한 설정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 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촬상 장치의 내부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을 행하는 화상 해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모드와, 상기 화상 해석부에 의한 화상 해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해석부는, 상기 촬상 처리부에서 얻어진 촬상 화상 신호의 화상 해석에 의해, 상기 피사체 방향에 인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장치 몸체상에서 사용자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1 표시 패널부에서, 피사체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여 얻어지는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실행시킴과 함께,
    장치 몸체상에서 피사체 방향을 향하여 표시를 행하도록 된 제 2 표시 패널부에서의 상기 촬상 화상 신호에 의거한 표시 동작을, 적어도, 촬상 상황에 적합한 촬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각종의 촬상 모드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촬상 모드에 응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090097109A 2008-11-05 2009-10-13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KR20100050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84293A JP4670939B2 (ja) 2008-11-05 2008-11-05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JP-P-2008-284293 2008-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390A true KR20100050390A (ko) 2010-05-13

Family

ID=4150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09A KR20100050390A (ko) 2008-11-05 2009-10-13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520120B2 (ko)
EP (1) EP2184637B1 (ko)
JP (1) JP4670939B2 (ko)
KR (1) KR20100050390A (ko)
CN (1) CN101742117B (ko)
BR (1) BRPI0904399A2 (ko)
RU (1) RU2517064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0695A1 (en) 2010-05-28 2011-11-30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having protrusions an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5633679B2 (ja) * 2010-09-03 2014-12-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564684B2 (en) * 2011-08-17 2013-10-22 Digimarc Corporation Emotional illumination, and related arrangements
JP6046905B2 (ja) * 2012-04-02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露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95381B2 (ja) * 2014-01-08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D759291S1 (en) * 2015-02-12 2016-06-14 Chia-Teh Chen Wall lamp
JP2016181773A (ja) * 2015-03-23 2016-10-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53088A (zh) * 2015-04-09 2015-08-19 来安县新元机电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拍照时快速对焦的方法及移动终端
CN105120144A (zh) * 2015-07-31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像拍摄方法和装置
WO2018014326A1 (zh) * 2016-07-22 2018-01-25 绿仕科技控股有限公司 安全系统及方法
CN107257439B (zh) * 2017-07-26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10312988A (zh) * 2018-06-08 2019-10-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屏幕控制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36311B2 (ja) * 2002-04-30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053444B2 (ja) * 2003-03-07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4312249A (ja) * 2003-04-04 2004-11-04 Olympus Corp カメラ
JP4398669B2 (ja) * 2003-05-08 2010-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器
US7583313B2 (en) * 2003-06-26 2009-09-01 Kyocer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US20050099533A1 (en) * 2003-11-10 2005-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JP4254529B2 (ja) * 2003-12-25 2009-04-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モニタ付き撮像機器
KR100595640B1 (ko) 2003-12-2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JP2005221907A (ja) * 2004-02-09 2005-08-1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6113174A (ja) * 2004-10-13 2006-04-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KR101128075B1 (ko) 2005-03-15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두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837162B1 (ko) * 2005-10-28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멀티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7158799A (ja) 2005-12-06 2007-06-21 Sony Corp 撮像装置
US7969497B2 (en)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US20070248330A1 (en) * 2006-04-06 2007-10-25 Pillman Bruce H Varying camera self-determination based on subject motion
JP4657977B2 (ja) * 2006-05-17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228053A (ja) * 2007-03-14 2008-09-25 Nikon Corp カメラ
JP2008284293A (ja) 2007-05-21 2008-11-2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レーザ処置装置
RU70434U1 (ru) * 2007-08-28 2008-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ндтроль" Сотовый телефон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функциями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97289B2 (ja) *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US8223241B2 (en) * 2008-12-15 2012-07-17 Robbyn Gayer Self shot camera
KR20110015309A (ko) * 2009-08-07 201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10047613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가이드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0695A1 (en) 2010-05-28 2011-11-30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having protrusions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2117A (zh) 2010-06-16
RU2517064C2 (ru) 2014-05-27
US8520120B2 (en) 2013-08-27
US9088721B2 (en) 2015-07-21
US20100110265A1 (en) 2010-05-06
RU2009140832A (ru) 2011-05-20
US20140028888A1 (en) 2014-01-30
JP2010114569A (ja) 2010-05-20
EP2184637B1 (en) 2014-01-08
CN101742117B (zh) 2012-08-15
JP4670939B2 (ja) 2011-04-13
BRPI0904399A2 (pt) 2011-02-01
EP2184637A1 (en)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20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US11696016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26221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510353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
JP4807218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0299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1742100B (zh) 成像装置及其显示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