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251A -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251A
KR20100050251A KR1020080109457A KR20080109457A KR20100050251A KR 20100050251 A KR20100050251 A KR 20100050251A KR 1020080109457 A KR1020080109457 A KR 1020080109457A KR 20080109457 A KR20080109457 A KR 20080109457A KR 20100050251 A KR20100050251 A KR 2010005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weight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is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탁
권영철
정창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0251A/ko
Publication of KR2010005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 내지 90 중량% 및 (a2) 폴리유산 수지 10 내지 90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무로 형성된 코어에, 에폭시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쉘이 그라프트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웰드(weld) 특성이 우수한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자동차, 기계 부품, 전지전자 부품, 통신기기, 사무기기, 잡화 등과 같은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유산, 코어/쉘, 내열성, 성형품

Description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LACTIC ACID/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고분자 재료의 연구 방향은 강인한 특수용 고분자 재료의 개발 및 고분자 물질의 안전성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범세계적으로 폐 고분자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 친화성 고분자 재료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친화성 고분자는 크게 광분해성과 생분해성 고분자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생분해성 고분자는 주쇄 구조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능한 작용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중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분해 특 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의 경우 전세계에 15 만톤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식품 포장재 및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의 일반 플라스틱이 사용되었던 분야까지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까지 폴리유산 수지의 주된 용도는 폴리유산의 생분해성 특성을 이용한 일회용 제품, 예를 들면 식품 용기, 랩, 필름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유산은 현재 미국의 Natureworks사, 일본의 Toyota 등에서 생산 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 폴리유산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강도, 내열성이 부족하여 박막제품의 경우 쉽게 파손되고, 온도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외부온도가 60℃ 이상 상승하게 되면 성형 제품의 형태에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131828호, 및 제2006-199743호에서는 충격보강제나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충격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폴리유산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한계가 있으며, 특히 고하중에서의 내열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 내지 90 중량% 및 (a2) 폴리유산 수지 10 내지 90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무로 형성된 코어에, 에폭시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쉘이 그라프트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자동차, 기계 부품, 전지전자 부품, 통신기기, 사무기기, 잡화 등과 같은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 내지 90 중량% 및 (a2) 폴리유산 수지 10 내지 90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인 폴리유산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폴리유산이 가지는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의 한계를 보완하며, 특히 에폭시기 반응 기를 포함한 충격 보강제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을 극대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기초수지
본 발명의 기초수지는 (a1)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계 수지 및 (a2)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 수지로 이루어진다.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디페놀류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예로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 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또는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상업적으로 구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적당한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본 발명의 기초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량이 10 내지 90 중량%일 경우,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며, 친환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a2) 폴리유산 수지
일반적으로 폴리유산은 옥수수 전분을 분해하여 얻은 유산(lactic acid)을 모노머로 하여 에스테르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유산은 L-이성질체, D-이성질체로, 또는 L,D-이성질체의 폴리유산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폴리유산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유산은 내열성 및 성형성의 밸런스 면에서 L-이성질체가 9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좋은 데, L-이성질체 95 내지 100 중량% 및 D-이성질체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폴리유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L-이성질체 98 내지 99.99 중량% 및 D-이성질체 0.01 내지 2 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유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가 L-이성질체 95 내지 100 중 량% 및 D-이성질체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질 경우 내열성 및 성형성의 밸런스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가수분해성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는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분자량이나 분자량 분포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g/mol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3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300,000 g/mol 인 경우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의 밸런스 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는 폴리유산 중합체, 폴리유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유산 중합체는 상기 L-이성질체, D-이성질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산을 개환 중합하여 제조되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유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유산 중합체와 공중합 가능한 성분과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유산 중합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성분으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로는 (a) 디카르복실산, (b) 다가 알코올류, (c) 유산 이외의 하이드록시 카르본산, (d) 락톤(lactone), 및 (e) 상기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각종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탄소수 4 내지 5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폴리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숙신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테르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 에테르의 양 말단에 카르복시 메틸기를 가지는 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다가 알코올로는 지방족 폴리올류, 방향족 다가 알코올류, 폴리알킬렌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족 폴리올류로는 부탄 디올, 헥산 디올, 옥탄 디올, 데칸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타놀, 글리세린, 소르비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네오펜틸 글리콜 등의 수산기 2 내지 4개를 가지는 탄소수 2 내지 50의 지방족 폴리올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코올류로는 비스-히드록시 메틸 벤젠, 하이드로퀴논 등의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디올류, 또는 비스페놀 A나 비스페놀 F 등의 비스페놀류에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 옥사이드,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를 부가 반응시킨 방향족 디올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 에테르류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에테르 글리콜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 유산 이외의 하이드록시 카르본산으로는 글리콜산, 하이드록시 부틸 카르본산, 6-하이드록시 카프로산 등의 탄소수 3 내지 10의 하이드록시 카르본산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 락톤으로는 글리콜라이드(glycolide), ε-카프로락톤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β-프로피오락톤, δ-부티로락톤, β-부티로락톤, γ-부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 각종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로는 유산 코폴리머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올로부터 제조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숙신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족 디올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 디올, 부탄 디올, 헥산 디올, 옥탄 디올 등의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족 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 에테르(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 수지는 본 발명의 기초수지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이다.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함량이 10 내지 90 중량%일 경우,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며, 친환경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초수지로서 폴리유산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유산이 가지는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의 한계가 보완될 수 있다.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코어에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쉘이 그라프트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코어는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쉘은 에폭시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상기 반응성기는 폴리유산과의 반응을 통하여 폴리유산에 충격보강제가 잘 분산되도록 해줌으로써, 폴리유산의 충격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폴리유산의 결정화 속도를 높여 주는 핵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폴리유산의 결정들 사이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쉘의 반응성기가 폴리유산과 반응하여 폴리유산의 용융 점도 및 용융 강도를 높임으로써 연소 시에 발생하 는 드립(drip)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융점도가 상승한 폴리유산은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점도 차이가 줄어들어서 압출 및 사출 공정 중에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유산이 좀 더 균일하게 섞이게 되고, 이리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 반응성기인 에폭시기는 본 발명의 충격 보강제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기가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경우 충격 보강 효과 및 내열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유동성도 현저히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30 내지 90 중량%의 코어 및 10 내지 70 중량%의 쉘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및 쉘의 함량 범위에서 충격 보강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충격 보강제는 본 발명의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경우 충격 보강 효과 및 내열도의 상승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유동성도 향상되어 사출 성형성이 개선될 수 있다.
 
(C)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 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방염제, 내후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드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산화티탄 또는 카본블랙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실리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는 본 발명의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경우 각 용도에 따른 첨가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향상된 표 면의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유산 수지, 및 에폭시기를 가진 화합물이 그래프트된 충격 보강제를 함께 혼입하고 가공하여 제조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유산 수지, 및 상기 충격 보강제를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유산과 상기 충격 보강제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스터 배치 방법을 사용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하여 점도가 낮은 폴리유산의 유동성이 충격 보강제에 의해 저하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유산의 점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을 제조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성형제품, 예를 들면, 자동차, 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 컴퓨터 등의 사무기기, 잡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텔레비전, 컴퓨터, 프린터, 세탁기, 카셋트 플레이어, 오디오, 게임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기초수지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일본 TEIJIN CHEMICALS LTD.에서 제조된 PANLITE L 1225WX을 사용하였다.  
(a2) 폴리유산 수지
미국 NatureWorks LLC 사에서 제조된 4032D를 사용하였다.  
(B)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의 경우 일본 Mitsubishi Rayon Co.에서 제조된 METABLENE S-2200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에서 사용된 코어/쉘 충격 보강제의 경우 일본 Mitsubishi Rayon Co.에서 제조된 METABLENE S-223A, S-210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50 중량% 및 폴리유산 수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3 중량 부를 첨가하여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180 내지 240℃의 온도범위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보강제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0 중량%, 폴리유산 수지 60 중량%, 및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보강제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대신 코어/쉘 충격보강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대신 코어/쉘 충격보강제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0 중량%, 폴리유산 수지 60 중량%, 및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대신 코어/쉘 충격보강제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4 시간 동안 건조 후, 6 Oz의 사출능력이 있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10 내지 230℃, 금형온도 100℃, 성형 사이클의 시간을 30초로 설정하고, ASTM 덤벨(dumbbell) 시험편을 사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물성 시편은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열변형 온도(HDT) : ASTM D64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Izod 충격강도 : ASTM D256A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굴곡 강도 :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굴곡 탄성율 : ASTM D79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5) 인장강도 : ASTM D63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표 1]
항목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A) 기초 수지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량% 50 50 40 50 50 40
(a2) 폴리유산 수지 중량% 50 50 60 50 50 60
(B)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중량부 3 5 5 - - -
 코어/쉘 충격 보강제 중량부 - - - 3 5 5
열변형 온도(18.5 kgf) 110 115 105 60 58 55
1/8" Izod 충격강도 kgf·㎝/㎝ 65 70 62 20 32 18
굴곡강도 kgf/㎠ 900 830 870 850 810 840
굴곡탄성율 kgf/㎠ 25000 24000 25000 23000 21000 22000
인장강도 kgf/㎠ 580 540 570 530 510 520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의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등의 기계적 강도도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A)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0 내지 90 중량% 및 (a2) 폴리유산 수지 10 내지 90 중량%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10,000 내지 35,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 폴리유산 수지는 L-이성질체, D-이성질체, L,D-이성질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 폴리유산 수지는 L-이성질체 95 내지 100 중량% 및 D-이성질체 0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 폴리유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300,000 g/mol 인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반응성 코어/쉘 구조의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무로 형성된 코어에, 에폭시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쉘이 그라프트된 구조를 가지는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는 충격 보강제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080109457A 2008-11-05 2008-11-05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00050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57A KR20100050251A (ko) 2008-11-05 2008-11-05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57A KR20100050251A (ko) 2008-11-05 2008-11-05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51A true KR20100050251A (ko) 2010-05-13

Family

ID=4227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57A KR20100050251A (ko) 2008-11-05 2008-11-05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02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9846B2 (ja) 成形体
KR101277718B1 (ko)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89116B1 (ko)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0962387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277726B1 (ko) 천연섬유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186846B1 (en) Natural Fiber-Reinforced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EP1674528B1 (en) Aliphatic polyester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KR101233373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EP2139947B1 (en)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CN101410442A (zh) 衍生自组合物的制品,该组合物含有衍生自对苯二甲酸乙二醇酯(pet)的改性对苯二甲酸丁二醇酯(pbt)无规共聚物
KR101067141B1 (ko) 친환경 수지 조성물
EP399224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JP2008519874A (ja) ポリエステルと線状オリゴマーポリカーボネートとからなるポリマーブレンド
KR20110000440A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10004631A (ko) 천연 보강제 강화 폴리유산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20050165207A1 (en)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eparartion
JP2008031296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成型体
KR10225255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15042735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2887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100050251A (ko) 폴리유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349519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95493B1 (ko) 천연섬유 강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4785398B2 (ja) 射出圧縮成形法
JP5334779B2 (ja)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31

Effective date: 201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