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238A - 박형 냉각소자 - Google Patents

박형 냉각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238A
KR20100050238A KR1020080109438A KR20080109438A KR20100050238A KR 20100050238 A KR20100050238 A KR 20100050238A KR 1020080109438 A KR1020080109438 A KR 1020080109438A KR 20080109438 A KR20080109438 A KR 20080109438A KR 20100050238 A KR20100050238 A KR 2010005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thin plate
working fluid
cooling el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174B1 (ko
Inventor
문석환
유인규
조경익
유병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174B1/ko
Priority to US12/507,676 priority patent/US20100108296A1/en
Publication of KR2010005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액 상변화 냉각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의 제약없이 구현할 수 있는 박형 냉각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그루브 구조의 모세관 영역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기 위한 증발부 및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응축시키기 위한 증기응축공간을 포함하는 응축부가 구비된 평판형 제1 박판과,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상기 응축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증기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2 박판과,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3 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판, 증기이동통로, 모세관 그루브, 증발부, 응축부

Description

박형 냉각소자{THIN THICKNESS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기-액 상변화 냉각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의 제약없이 구현할 수 있는 박형 냉각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8-F-024-01, 과제명:모바일 플렉시블 입출력 플랫폼].
최근들어 반도체 소자들은 고효율화와 더불어 고신뢰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들 소자들에서 발생하는 열 문제는 반도체 소자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PC(personal computer)의 고성능화 및 패키지(package)의 집적도 증가로 인해 CPU(Central Processing Unit)등의 전자 부품에서 발산되는 열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PC용 CPU에 사용되는 최첨단 가공기술이 점차 다른 전자 제품에도 사용됨에 따라 광범위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열의 발산이 해결하여야 할 중 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노트북 PC 이상으로 압축 설계가 요구되는 휴대전화 등에서도 현재와 같은 발전 속도로 고성능화가 진행되면 열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서브 노트북을 비롯해 휴대폰, PMP, 게임기 등 각종 소형의 휴대전자 통신기기들은 점차 경량화 및 슬림화되어 가는 경향을 띠고 있어, 단위 면적당 발열량은 100W/cm2 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서브 노트북의 경우 현재 시장점유율이 10% 내외로 아직 미미한 편이지만, 최근 발표된 초슬림 노트북을 통해 소비자들의 욕구추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이동성이 강조될 휴대기기들의 트랜드를 감안할 때 더욱더 슬림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초슬림화 기기에는 부품의 소형화 및 집적도 등과 더불어 열관리 설계에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소형 기기내 열관리 기술은 수동 및 능동형 냉각소자에 의한 제어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현재는 팬(fan)이 탑재된 수동형 냉각소자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수동형 냉각소자 중 열전도계수가 큰 소재를 이용한 열전도 냉각방식은 주로 핫스팟(hot spot)제거 등의 열소산(heat streading)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열유속(heat flex)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반면 기체-액체 상변화 열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하는 냉각소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열유속 범위에서 사용되며, 열전도 냉각방식에 비해 얇은 두께에서 더더욱 효과적인 열전달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열전도 냉각방식의 경우,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단면적(cross section area)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열전도률이 감소하게 되나, 상변화 열전달 소자의 경우 상변화에 의해 기화된 증기가 잠열을 가지고 빠른 속도로 이송되기 때문에 동일한 단면적하에서 높은 열이송 능력을 보이는데 기인한다.
현재 휴대 노트북에는 직경 3~4mm의 히트파이프와 팬이 알루미늄 모듈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의 냉각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이때 직경 3~4mm의 히트파이프는 좁은 공간내에서의 패키징을 위해 약2~2.5mm 내외의 두께로 압착하여 사용된다. 직경 3~4mm의 원형 단면 히트파이프를 평판 형상으로 압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전열성능은 큰 폭으로 감소한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내부에 별도의 윅이 삽입된 히트파이프의 경우 전열성능이 매우 큰 폭으로 감소하게되는 압착 두께는 약 2mm 근방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당초 원형 단면 형상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모세관 구조가 압착되면서 성능에 중요한 요소인 증기응축공간의 감소를 가져옴과 동시에 모세관 구조의 변형등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근래에 평판 형상의 히트파이프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히트파이프장치는 높은 열 성능에도 불구하고, 좁은 전자 패키지 구조 등과 같은 매우 현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매우 어렵다. 히트파이프 장치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를 압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열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열성능에 따라 냉각소자의 두께 변화가 가능한 박막 소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는 그루브 구조의 모세관 영역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기 위한 증발부 및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응축시키기 위한 증기응축공간을 포함하는 응축부가 구비된 평판형 제1 박판과,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상기 응축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증기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2 박판과,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3 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는 그루브 구조의 모세관 영역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는 증발부 및 응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박판을 포함하되, 상기 박판 2개를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원형 및 평판형 냉각소자의 구성과 달리, 여러 박판들이 겹쳐져 제작됨으로써 두께의 제약없이 박형 냉각소자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원형 냉각소자를 압착하여 사용하거나, 인발, 압출 방식으로 얻 어진 평판형 냉각소자들이 안고 있는 두께와 관련된 전열성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1.5mm 이하의 얇은 두께의 구조에서도 내부 증기이동통로의 최대한 확보, 제작공정의 단순화, 저렴한 제조 원가 달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얇은 두께의 냉각소자는 경량화, 소형화 및 슬림화된 각종 전자, 통신 기기의 열관리 소자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1 박판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박판(100)의 한쪽에는 증발부(101)가 위치하고, 증발부(101) 내 공간에는 모세관 영역이 존재한다.
이때 증발부(101)내 공간을 메우는 모세관 영역에는 복수의 그루브(groove)(이하 모세관 그루브)가 형성되며, 증발부(101)내에 형성된 모세관 그루브(102)는 일정한 폭과 깊이 및 간격으로 정렬된다.
또한 모세관 그루브(102)는 박형 냉각소자의 액체이동통로에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에 비해 작은 폭의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모세관 그루 브(102)는 제1 박판(100)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박판(100)에 형성된 모세관 그루브(102)는 제3 박판과 결합시 액체이동통로와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결합한다. 그리고 액체이동통로를 통해 증발부(101)로 이송되어온 액체가 모세관 그루브(102)에 포화상태로 골고루 분포하게 되면, 모세관 그루브(102)의 벽면을 따라 기-액 계면(meniscus)을 형성한다. 이후 증발부(101)에 가해진 입열량에 따라 기-액 계면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제1 박판(100)의 다른 한쪽에는 응축부(103)가 위치하고 응축부(103) 내 공간에는 증기응축공간(104)이 형성된다.
증기응축공간(104)은 응축부(103)로 이송되어 온 증기가 응축되기 전 원활한 유동을 위한 공간으로써 활용된다. 또한 증기응축공간(104)은 증발부(101)로부터 이송되어 온 잠열을 가진 증기의 응축을 위한 응축부(103)의 크기와 일치한다.
또한 제1 박판(100)에는 증발부(101)와 응축부(103)를 분리하기 위한 기-액 분리막(105)이 형성되며, 제1 박판(100)의 증기응축공간(104) 끝부분에는 외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관통홀(through hole)(106)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2 박판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박판(200)의 대부분은 증발부 내 압착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브리지(201) 및 증기이동통로(203)로 활용하기 위해 제2 브리지(202)만 제외하고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2 박판(200)의 증기이동통로(203)는 증발부 내 모세관 그루브에서 기화한 증기가 응축부측으로 이송되기 위한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증기이동통로(203)는 제2 박판(200)의 중간 중간에 형성되는 제2 브리지(202)에 의해 증발부로부터 응축부에 걸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브리지(202)는 진공에 의한 압착 및 내부 고압에 따른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브리지(202)는 증발부가 끝나는 부분에서 단절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증발부 내에 분표되어 있는 작동유체가 제2 브리지(202)를 따라 응축부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박판(200)이 제1 박판과 결합했을 때 제1 박판에 형성된 증발부 내 압착 및 내부 고압에 따른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박판의 증발부가 위치한 부분에 제1 브리지(201)가 형성된다.
증기이동통로(203)가 형성된 제2 박판(200)의 한쪽 끝 부분에는 외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관통홀(2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1 박판 내 관통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박판의 관통홀 및 제2 박판(200)의 관통홀(204)이 각 박판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나, 제1 박판의 관통홀 및 제2 박판(200)의 관통홀(204)은 제1 박판 및 제2 박판(200)의 측면부 설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제작 공정 및 냉각소자의 응용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3 박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박형 냉각소자의 가장 바깥측에 위치하는 제3 박판(300)에는 작동유체의 액체이동통로(301)가 형성된다.
제3 박판(300)의 액체이동통로(301)는 제1 박판의 증발부로부터 응축부에 걸쳐 형성되며, 제1 박판의 응축부측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제1 박판의 증발부측으로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액체이동통로(301)는 제3 박판(300)의 길이 방향 및 두께에 따라 일정량 파내어 복수의 그루브들을 형성하게 되며, 주로 습식(wet)방식의 식각공정(etching)에 의해 반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체이동통로(301)를 형성하는 복수의 그루브는 일정한 폭과 깊이 및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제1 박판의 증발부 내에 형성되는 모세관 그루브에 비해 폭이 큰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3 박판(300)의 바깥족 네 귀퉁이에는 제1 및 제2 박판들과의 결합시 정렬(align)을 위한 홈(302)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5개의 박판 결합을 통해 형성된 박형 냉각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400)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제1 박판(100), 제2 박판(200) 및 제3 박판(300)들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 박판(100) 내지 제3 박판(300)이 결합된 냉각소자(400)는 증기이동통로가 포함된 제2 박판(중판)(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모세관 그루브 및 응축부 내 증 기응축공간이 포함된 제1 박판(상판)(100)이 각각 1개씩 결합되며, 이어 그 바깥 양측에 액체이동통로를 포함하는 제3 박판(최상판)(300)이 각각 1개씩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최대 5개의 박판들로 이루어진 박형 냉각소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박판 개수에 국한하지 않고 박형 냉각소자의 전체 두께 변화에 따라 5개의 박판들 이내에서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단 제1 박판(100) 내지 제3 박판(300)이 각각 1개씩 결합되어 냉각소자(400)를 형성할 경우 제2 박판(200)의 한쪽면은 막혀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박판(100) 내지 제3 박판(300)이 결합된 냉각소자(400)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냉각소자(400) 내에 작동유체가 주입 및 밀폐됨으로써 냉각소자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냉각소자는 1.5mm 이하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 및 장비의 열소산(heat spreading) 및 열이송(heat transport)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냉각소자의 증발부측에 열이 가해지면 제1 박판(100)내 모세관 그루브에 포화되어 있던 작동유체가 기화하고, 기화된 증기는 잠열을 가지고 제2 박판(200) 내 증기이동통로를 통해 응축부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되어 온 증기는 잠열을 응축부에서 소산시킨 뒤 응축되며, 응축된 액체는 제3 박판(300) 내 액체이동통로를 따라 증발부 측으로 귀환하여 증발부 내 모세관 그루브에 다시 포화되는 순환과정(circulation)을 반복함으로써 열을 소산 및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박판(100) 내지 제3 박판(300)의 결합으로 형성된 박형 냉각소자는 외부의 동력 공급없이 열을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박판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박판(500)의 한쪽에는 증발부가 위치하며, 증발부 내의 공간은 복수의 그루브가(이하 모세관 그루브) 형성된 모세관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박판(500)에 형성된 모세관 그루브(501)는 증발부 내 공간을 가득 메우게 되며, 일정한 폭과 깊이 및 간격으로 정렬된다.
박판(500)에 형성된 증발부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중간 중간에는 박판(500)의 길이방향으로 진공에 의한 압착 방지 및 고온, 고압에 의한 팽창 방지를 위해 복수개의 브리지(503)가 제작된다.
또한 박판(5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브리지(503)들 사이에 그루브 형태의 액체이동통로(502)가 형성되며, 증발부 내 모세관 그루브(501)와 엑체이동통로(502)의 그루브들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및 모양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때 증발부 내 모세관 그루브(501)는 액체이동통로(502)의 그루브에 비해 폭 및 깊이가 작게 형성되며, 이는 커다란 모세관력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액체이동통로(502)를 형성하는 복수의 그루브들의 제작은 습식방식의 식각공정에 의해 반 구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모세관 그루브(501)의 제작은 레이저 형성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브리지(503)는 압인 공정에 의해 제작되며, 모세관 그루브(501) 및 액체이동통로(502)의 그루브들이 먼저 형성된 상태에서 압인 공정을 수행한다. 그러 나 모세관 그루브(501)의 파손이 우려될 경우 순서를 바꾸어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위와 같은 각각의 공정을 통해 모세관 그루브(501), 액체이동통로(502) 및 브리지(503)를 제작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제작공정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500)에 형성된 증발부내 모세관 그루브(501) 및 액체이동통로(502)와 브리지(503)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하며, 이때 단차 만큼의 공간은 증발부 내 모세관 그루브(501)에서 기화한 증기가 응축부 측으로 이송되기 위한 증기이동통로(미도시) 및 응축부내 증기응축공간(미도시)으로 활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박판 결합을 통해 형성된 박형 냉각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이 별도 공정에 의해 제작된 박판(500) 2개를 마주보게하여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각소자(600)를 제작한다.
2개의 박판(500)으로 형성된 냉각소자(600)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2개의 박판(500)으로 이루어진 냉각소자(600) 내에 작동유체가 주입 및 밀폐됨으로써 냉각소자가 완성된다.
2개의 박판(500)으로 이루어진 냉각소자(600)는 전자부품 및 장비의 열소산 및 열이송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2개의 박판(500)으로 이루어진 냉각소자(600)의 증발부측에 열이 가해지면 박판(500) 내 모세관 그루브에 포함되어 있던 작동유체가 기화하고, 기화된 증기는 잠열을 가지고 박판(500) 내 증기이동통로를 통해 응축부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어 온 증기는 잠열을 응축부에서 소산시킨 뒤 응축 되며, 응축된 액체는 박판(500) 내 액체이동통로를 따라 증발부측으로 귀환하여 증발부내 모세관 그루브에 다시 포화되는 순화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열을 소산 및 전달하게 된다.
2개의 박판(500)으로 이루어진 냉각소자(600)의 작동 메커니즘은 외부의 동력 공급없이 열을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여러 박판들이 겹쳐져 냉각소자가 제작됨으로써 두께의 제약없이 박형 냉각소자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1 박판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2 박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제3 박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5개의 박판 결합을 통해 형성된 박형 냉각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형 냉각소자를 이루는 박판 구조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박판 결합을 통해 형성된 박형 냉각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Claims (15)

  1. 그루브 구조의 모세관 영역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작동유체를 기화시키기 위한 증발부 및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응축시키기 위한 증기응축공간을 포함하는 응축부가 구비된 평판형 제1 박판과,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상기 응축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증기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2 박판과,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제3 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은,
    상기 작동유체 주입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판은,
    상기 증기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박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박판 중간에 형성된 복수개의 브리지와,
    상기 작동유체 주입을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 각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박판은,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과의 결합 시 정렬을 위한 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 내 모세관 영역은,
    모세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채널의 그루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의 그루브 구조는,
    상기 제1 박판 내지 제3 박판 결합시, 상기 제1 박판 내지 제3 박판들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냉각소자는,
    상기 제1 박판의 하부에 상기 제2 박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박판의 상부에 상기 제3 박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냉각소자는,
    상기 제2 박판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3 박판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냉각소자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증발부, 상기 증기이동통로 및 상기 액체이동통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냉각소자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밀폐되며, 상기 작동유체가 일정량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11. 그루브 구조의 모세관 영역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주입된 작동유체를 기화 시키는 증발부 및 응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이동통로가 구비된 평판형 박판을 포함하되,
    상기 박판 2개를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은,
    상기 박판의 중간에 상기 박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브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 및 상기 액체이동통로와 상기 브리지 사이에 단이 형성되며, 상기 단이 형성된 공간은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증기응축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증기이동통로 및 상기 기화된 작동유체를 응축하기 위한 상기 증기응축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냉각소자.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두개의 박판은 압인 공정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열전달 특성을 갖는 박형 냉각소자.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냉각소자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밀폐되며, 상기 작동유체가 일정량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열전달 특성을 갖는 박형 냉각소자.
KR1020080109438A 2008-11-05 2008-11-05 박형 냉각소자 KR10100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38A KR101007174B1 (ko) 2008-11-05 2008-11-05 박형 냉각소자
US12/507,676 US20100108296A1 (en) 2008-11-05 2009-07-22 Thin coo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38A KR101007174B1 (ko) 2008-11-05 2008-11-05 박형 냉각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238A true KR20100050238A (ko) 2010-05-13
KR101007174B1 KR101007174B1 (ko) 2011-01-12

Family

ID=4213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38A KR101007174B1 (ko) 2008-11-05 2008-11-05 박형 냉각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08296A1 (ko)
KR (1) KR101007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961B1 (ko) * 2012-12-26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기기 냉각용 열확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055B2 (ja) * 2008-06-25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熱輸送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JP5455503B2 (ja) * 2009-08-11 2014-03-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熱輸送ユニット、電子機器
US20120031588A1 (en) * 2010-08-05 2012-02-09 Kunshan Jue-Choung Electronics Co., Ltd Structure of heat plate
US20170205150A1 (en) * 2014-04-04 2017-07-20 Chillflux, Inc. Chillflex Microcooling System
US9826073B2 (en) * 2014-05-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10082340B2 (en) * 2014-11-12 2018-09-25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Heat pipe structure
US9664458B2 (en) * 2014-12-25 2017-05-30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Supporting structure for vapor chamber
KR102219482B1 (ko) 2015-03-03 2021-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CN106358420B (zh) * 2015-07-15 2020-05-19 宏碁股份有限公司 散热模块
KR20190013008A (ko) * 2017-07-31 2019-02-11 송영석 플렉시블 히트 쿨러
US11131508B2 (en) * 2018-03-19 2021-09-28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Middle member of heat dissipation device and the heat dissipation device
US20190285357A1 (en) * 2018-03-19 2019-09-19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Middle member of heat dissipation device and the heat dissipation device
FR3080173B1 (fr) * 2018-04-11 2020-11-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Thermosiphon et caloduc pulse de realisation simplifiee
CN108770321A (zh) * 2018-08-17 2018-11-06 深圳市嘉姆特通信电子有限公司 热量冷却器
CN110191623B (zh) * 2019-06-26 2020-08-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23096336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발열소자 냉각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351A (en) * 1989-07-19 1991-12-31 Showa Aluminum Corporation Heat pipe
US5427174A (en) * 1993-04-30 1995-06-27 Heat Transfer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lf contained heat exchanger
JP4423792B2 (ja) * 2000-09-14 2010-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沸騰冷却装置
US7556086B2 (en) * 2001-04-06 2009-07-07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Orientation-independent thermosyphon heat spreader
EP1267598B1 (en) * 2001-06-13 2008-02-06 Fujikura, Ltd.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unit
KR100414860B1 (ko) * 2001-08-29 2004-01-13 (주)아이큐리랩 박판형 냉각장치
JP2003161594A (ja) * 2001-09-14 2003-06-06 Denso Corp 沸騰冷却装置
US7131487B2 (en) * 2001-12-14 2006-11-07 Intel Corporation Use of adjusted evaporator section area of heat pipe that is sized to match the surface area of an integrated heat spreader used in CPU packages in mobile computers
JP4057455B2 (ja) * 2002-05-08 2008-03-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薄型シート状ヒートパイプ
KR100505554B1 (ko) * 2003-01-24 2005-08-03 아이큐리랩 홀딩스 리미티드 하이브리드형 냉각 장치
US7204303B2 (en) * 2003-12-17 2007-04-17 Lytron, Inc. Flat tube cold plate assembly
US7836940B2 (en) * 2005-06-29 2010-11-23 Microvection, Inc. Microchannel cooling device for small heat sources
US8534348B2 (en) * 2005-09-01 2013-09-17 Molex Incorporated Hea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7113864A (ja) * 2005-10-21 2007-05-10 Sony Corp 熱輸送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66153A (ja) * 2006-03-28 2007-10-11 Sony Corp プレート型熱輸送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59926A (ko) * 2006-04-24 2006-06-02 (주)아이큐리랩 박판 적층 구조를 갖는 판형 냉각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칩셋
KR100833497B1 (ko) * 2006-09-29 2008-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기기용 열균일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961B1 (ko) * 2012-12-26 2014-07-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기기 냉각용 열확산장치
WO2014104760A1 (ko) * 2012-12-26 2014-07-0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기기 냉각용 열확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8296A1 (en) 2010-05-06
KR101007174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174B1 (ko) 박형 냉각소자
US11201102B2 (en) Module lid with embedded two-phase cooling and insulating layer
US6609560B2 (en) Flat evaporator
KR100917599B1 (ko) 평판형 열소산 장치
US7362582B2 (en) Cooling structure using rigid movable elements
US6490160B2 (en) Vapor chamber with integrated pin array
US7990699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memory module
US20080298016A1 (en) Cooling a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spring elements with fins
US7911052B2 (en) Nanotube based vapor chamber for die level cooling
KR100659582B1 (ko) 루프형 마이크로 열이송 장치
US2012030745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eat pipe
US7451806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s
KR20020042421A (ko) 히트 파이프 및 열전 냉각기를 이용한 조밀한 칩 패키징용장치
US20070051501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20080093052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s
US20080230894A1 (en) Carbon nanotubes for active direct and indirect cooling of electronics device
US20140060780A1 (en) Flat heat pip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070051498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a heat pipe
CN112218481B (zh) 散热板及其制造方法和具有散热板的电子装置
KR100833497B1 (ko) 전자기기용 열균일화 장치
US20060104032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20080314554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a heat pipe
US7597133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heat pipes
US20070095509A1 (en) Heat dissipation having a heat pipe
US20110079372A1 (en) Heat transfer device with functions of power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