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217A -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217A
KR20100049217A KR1020080108296A KR20080108296A KR20100049217A KR 20100049217 A KR20100049217 A KR 20100049217A KR 1020080108296 A KR1020080108296 A KR 1020080108296A KR 20080108296 A KR20080108296 A KR 20080108296A KR 20100049217 A KR20100049217 A KR 20100049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flow
tractor
shaft
conn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303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08010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10Lifting or clea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1/00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 A01B61/04Devices for, or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preventing overstrain of the connection between tools and carrier beam or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H)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체(G)와 써레(H) 간에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연결장치(U)로써 양측으로 구성하며, 상기 유동연결장치(U)는 상기 틀체(G)의 양측부에 홀더 행거(7)를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행거(7)의 전방에는 쇠사슬(8)을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후방에는 회전용 연결축(9)과 고정 결합되는 수직축(10)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쇠사슬(8)과 수직축(10)에는 연결용 유동축(11)을 유동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은 상기 써레(H)와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유동연결장치에의해 써레를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딛치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나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장애물에 써레가 전진하다가 걸리면 쇠사슬 등으로 구성되는 유동연결장치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고, 써레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써레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다.
둘째, 트랙터 본체가 기울어져도 써레는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셋째,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상하좌우(上下左右)로 유동기능을 갖게 되는 쇠사슬 등으로 구성되는 유동연결장치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파손이나 잦은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작동의 정확성이 높으며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써레, 유동연결장치, 쇠사슬, 홀더 행거, 연결용 유동축, 수직축

Description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shake connection apparatus of harrow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로써 써레의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기능을 갖도록 연결 결합하여 평탄작업을 원활히 하고,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논두렁이나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면 완충 유동되지 못하여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써레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면 고가의 실린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써레에는 완충 및 유동기능이 없어 논바닥의 평탄작업 시 논바닥의 평탄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랙터용 써레가 안출된 바 있으나, 장 애물에 써레가 걸렸을 경우에 써레가 장애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경사각의 범위가 넓지 못하여 큰 장애물을 만났을 경우에는 원활하게 벗어나지 못하였고, 또한 조립 부품수가 늘어나 코스트가 높아지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발명자)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로 출원하여 특허 제10-0701920호(명칭: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로 등록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인용발명은 평탄작업 중 장애물에 써레가 걸리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고 평탄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써레가 장애물에 걸려 좌우로 유동될 경우 유동힌지장치의 유동힌지하우징이 연결용 유동축과 계속되는 충격과 마찰에에 의해 찢어져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된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 제10-0701920호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이 써레가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보다 넓은 범위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딛치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남은 물론 써레의 연결장치를 유동되게 하면서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에 지지틀체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틀체와 써레 간에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연결장치로써 양측으로 구성하며, 상기 유동연결장치는 상기 틀체의 양측부에 홀더 행거를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행거의 전방에는 금속제인 고리를 차례로 연결한 형태의 쇠사슬을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후방에는 회전용 연결축과 고정 결합되는 수직축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쇠사슬과 수직축에는 연결용 유동축을 유동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유동축은 상기 써레와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유동연결장치에의해 써레를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딛치더라도 원활하게 벗어나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장애물에 써레가 전진하다가 걸리면 쇠사슬 등으로 구성되는 유동연결장치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고, 써레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써레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다.
둘째, 트랙터 본체가 기울어져도 써레는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셋째,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상하좌우(上下左右)로 유동기능을 갖게 되는 쇠사슬 등으로 구성되는 유동연결장치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파손이나 잦은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작동의 정확성이 높으며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지지틀체(G)는 상기 로터리 지지축(S)의 양측으로 고정구(a)의 회동축(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 레버 프레임(1)(1a)과 상기 레버 프레임(1)(1a)의 전방 선단부에 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횡간 프레임(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간 프레임(2)에는 메인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메인 실린더(4)는 트랙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바(6)에 결합한다.
상기 지지틀체(G)에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되게 유동연결장치(U)로써 써레(H)를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동연결장치(U)는 상기 틀체(G)의 양측부에 홀더 행거(7)를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행거(7)의 전방에는 금속제인 고리를 차례로 연결한 형태의 쇠사슬(8)을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후방에는 회전용 연결축(9)과 고정 결합되는 수직축(10)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쇠사슬(8)과 수직축(10)에는 연결용 유동축(11)을 유동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은 상기 써레(H)와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유동연결장치(U)에 대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틀체(G)인 횡간 프레임(2)의 양측부에 연결부(2a)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2a)에는 상기 홀더 행거(7)를 고정핀(12)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한다.
상기 홀더 행거(7)의 전방에는 금속제인 고리를 차례로 연결한 형태의 쇠사슬(8)을 제1 연결핀(13)에 의해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홀더 행거(7)의 후방에는 회전용 연결축(9)과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수직축(10)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회전용 연결축(9)은 지지편(14)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에서 금속제인 고리를 차례로 연결한 형태의 쇠사슬(8)외에 유동 기능이 있는 와이어나 체인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쇠사슬(8)과 수직축(10)에는 연결용 유동축(11)을 유동되게 연결하되,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의 전방부에 제1 힌지편(15)을 구성하여 상기 쇠사슬(8)과 제2 연결핀(16)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의 후방부에는 연결공(17)을 구성하고 상기 수직축(10)의 하단에는 제2 힌지편(18)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공(17)과 제3 연결핀(19)으로 연결 결합한다.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은 상기 써레(H)와 연결 결합하되,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의 선단부에 제3 힌지편(20)을 구성하고 상기 써레(H)에는 제4 힌지편(21)을 구성하여 상기 제3 힌지편(20)과 제4 힌지편(21)을 제4 연결핀(22)으로 연결 결합한다.
상기 써레(H)의 중앙부와 횡간 프레임(2) 사이에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실린더장치(23)를 연결부분이 상하좌우로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 사용하는 써레로써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써레(H)가 장애물 등에 부딪치게 되면 연결용 유동축(11)은 제3 연결핀(19)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동시에 쇠사슬(8)은 고리를 차례로 연결한 형태이기 때문에 수직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접혀지므로 써레(H)는 장애물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장애물을 타고 넘어간 써레(H)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자동 원위치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쇠사슬(8) 또한 수직으로 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에 걸릴 경우에는 수직축(10)이 회전용 연결축(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동시에 연결용 유동축(11) 또한 쇠사슬(8)이 유동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제3 연결핀(19)을 기점으로 횡방향으로 유동되며 이에 따라 써레(H)가 제4 연결핀(22)을 기점으로 횡방향으로 유동되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써레(H)가 논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쇠사슬(8) 의 유연성과 수직축(10)의 회전기능에 의해 다시 곧바로 써레(H)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중앙으로 자동 원위치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써레(H)는 물론 피스톤 로드를 갖는 실린더장치(23) 및 유동연결장치(U)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서 유동연결장치에 대한 분해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서 유동연결장치에 대한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에서 써레가 유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작용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a: 레버 프레임 2: 횡간 프레임
2a: 연결부 4: 메인 실린더
5: 피스톤 로드 6: 연결바
7: 홀더 행거 8: 쇠사슬
9: 회전용 연결축 10: 수직축
11: 연결용 유동축 12: 고정핀
13: 제1 연결핀 14: 지지편
15: 제1 힌지편 16: 제2 연결핀
17: 연결공 18: 제2 힌지편
19: 제3 연결핀 20: 제3 힌지편
21: 제4 힌지편 22: 제4 연결핀
23: 실린더장치 H: 써레
G: 틀체 S: 로터리 지지축
R: 로터리 U: 유동연결장치

Claims (1)

  1. 트랙터에 조립, 분리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설치되는 써레(H)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체(G)와 써레(H) 간에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연결장치(U)로써 양측으로 구성하며,
    상기 유동연결장치(U)는 상기 틀체(G)의 양측부에 홀더 행거(7)를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행거(7)의 전방에는 쇠사슬(8)을 유동되게 연결 결합하고 후방에는 회전용 연결축(9)과 고정 결합되는 수직축(10)을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쇠사슬(8)과 수직축(10)에는 연결용 유동축(11)을 유동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유동축(11)은 상기 써레(H)와 연결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1020080108296A 2008-11-03 2008-11-03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10106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296A KR101065303B1 (ko) 2008-11-03 2008-11-03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296A KR101065303B1 (ko) 2008-11-03 2008-11-03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17A true KR20100049217A (ko) 2010-05-12
KR101065303B1 KR101065303B1 (ko) 2011-09-16

Family

ID=4227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296A KR101065303B1 (ko) 2008-11-03 2008-11-03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1207A (zh) * 2011-05-12 2012-11-14 金明洙 拖拉机用耙
KR101500864B1 (ko) * 2013-10-23 2015-03-10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CN104737641A (zh) * 2015-01-03 2015-07-01 罗福仲 牵引式地畦平整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16B1 (ko) 2022-09-22 2022-12-2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391Y1 (ko) * 2001-05-10 2001-10-15 정길동 트랙터용 써레
KR20020084884A (ko) * 2001-07-06 2002-11-13 김명수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1207A (zh) * 2011-05-12 2012-11-14 金明洙 拖拉机用耙
KR101500864B1 (ko) * 2013-10-23 2015-03-10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연결 장치
CN104737641A (zh) * 2015-01-03 2015-07-01 罗福仲 牵引式地畦平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303B1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KR101472066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065303B1 (ko)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JP7025011B2 (ja) 作業機
JP4171294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013044162A (ja) 作業機械
KR100888414B1 (ko) 자동 수평 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JP5647886B2 (ja) ロータリー作業機
JP7064241B2 (ja) 作業機
JP7161739B2 (ja) 作業機
JP6692644B2 (ja) 作業機
JP3215462U (ja) トロンメル
JP2007020456A (ja) 農作業機
JP7170354B2 (ja) 土寄せ板
JP7157433B2 (ja) 作業機
JP6951499B2 (ja) 耕耘作業機
JP7318994B2 (ja) 作業機
JP7093992B2 (ja) 作業機
JP2019051795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5437823B2 (ja) 農作業機
KR20110083173A (ko) 트랙터용 써래
KR101094392B1 (ko) 독립 접철식 트랙터용 써레
KR100930525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JP6422151B2 (ja) 安全ガードを有する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