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884A -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884A
KR20020084884A KR1020010040568A KR20010040568A KR20020084884A KR 20020084884 A KR20020084884 A KR 20020084884A KR 1020010040568 A KR1020010040568 A KR 1020010040568A KR 20010040568 A KR20010040568 A KR 20010040568A KR 20020084884 A KR20020084884 A KR 2002008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row
shaft
shaft support
coil spring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01004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884A/ko
Publication of KR2002008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8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탕으로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로써 써레의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완충기능을 갖도록하여 평탄작업을 원활히 하고,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에 조립, 분리가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횡간프레임(2)을 갖는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구성되는 써레(H)를 구성한 것에서, 상기 지지틀체(G)의 횡간프레임(2)에 완충기능수단(A)에 의해 상기 써레(H)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완충기능수단(A)은 써레(H)의 양측 후방으로 경사유동축(7)을 연결 설치하고, 경사유동축(7)의 일측단은 써레(H)의 상단면에 연결 고정하고, 타측부는 중간 부위에 축지지편(10)에 삽입 관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축지지편(10)은 상기 횡간프레임(2)에 결합되고, 상기 경사유동축(7)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로 유동될 수 있도록 대공(14)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유동축(7)에는 축지지편(10)을 기점으로 전후방에 전방코일스프링(15)과 후방 코일스프링(16)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횡간프레임(2)의 양측부에 제1 및 제2 연결편(11)(12)을 고정 결합하고 제2 연결편(12)에 고정축(19)과 축지지편(20)을 갖는 축지지구(21)를 체결 고정하며, 상기 써레(H)와 축지지편(20) 간에는 수직유동축(22)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수직유동축(22)에는 하측 코일스프링(26)과 이 하측 코일스프링(26)보다 탄발력이 약한 상측 코일스프링(27)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축지지편(20)은 수직유동축(22)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로 유동될 수 있는 대공(25)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완충기능수단에 의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완충기능을 가지면서 유동되게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딪치더라고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물갈이하고자 하는 논의 평탄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Harrow for tractor having function shock - absorbing}
본 발명은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흙탕으로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사용하는 써레로써 써레의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완충기능을 갖도록하며 평탄작업을 원활히 하고,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흙을 밀면서 진행하는 도중 논두렁이나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부딪치게 되면 완충 유동되지 못하여 써레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써레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면 고가의 실린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써레에는 완충 및 유동기능이 없어 논바닥의 평탄작업시 논바닥의 평탄효율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 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이 써레가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완충기능을 가지면서 유동되게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딪치더라고 파손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평탄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의 양측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유동축과, 후방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사유동축을 구성하고, 상기 수직유동축은 축지지구에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경사유동축은 축지지편에 관통되어 지지되며, 상기 수직유동축에는 하측코일스프링과 상측코일스프링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경사유동축에는 전방코일스프링과 후방코일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수직유동축과 경사유동축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완충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에서 본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에서 본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G: 지지틀체 H: 써레
R: 로터리 1: 연결프레임
2: 횡간프레임 7: 경사유동축
10: 축지지편 11: 제1 연결편
12: 제2 연결편 14: 대공
15: 전방 코일스프링 16: 후방 코일스프링
18: 축삽입구 19: 고정축
20: 축지지편 21: 축지지구
22: 수직경사축 25: 대공
26: 하측 코일스프링 27: 상측 코일스프링
29: 연결장치 30: 피스톤 로드
31: 실린더 31: 보조링크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2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트랙터에 조립, 분리가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서 상기 로터리 본체(R)에 구성된 로터리 지지축(S)에 연결 설치한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구성되는 써레(H)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틀체(G)는 상기 로터리 지지축(S)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과, 상기 연결프레임(1)의 선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횡간프레임(2)과, 상기 연결프레임(1)과 유볼트(3)로 연결되고 실린더(4)에 구성되는 피스톤 로드(5)가 연결 고정되는 피스톤 로드 고정프레임(6)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지지틀체(G)의 상기 횡간프레임(2)에 완충기능수단(A)에 의해 써레(H)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완충기능수단(A)은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써레(H)의 양측 후방으로 경사유동축(7)을 연결 설치하되, 설치수단으로서 경사유동축(7)의 일측단은 써레(H)의 상단면에 힌지편(8)과 고정핀(9)에 의해 연결 고정하고, 타측부는 중간 부위에 축지지편(10)에 삽입 관통되게 설치한다.
상기, 축지지편(10)은 상기 횡간프레임(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연결편(11)(12) 중 제2 연결편(12)의 하측단에 체결볼트(13)에 의해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축지지편(10)은 경사유동축(7)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로 유동될 수 있도록 경사유동축(7)의 직경보다 큰 대공{大孔: 본 발명에서 " 대공" 이라 함은 경사유동축(7)의 직경보다 크게하여 상하좌우전후로 소정의 각도(대략 45°)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을 뜻한다. 이하, 대공이라 칭한다}(14)을 형성한다.
상기, 축지지편(10)과 경사유동축(7)의 힌지편(8) 사이의 경사유동축(7)에는 전방코일스프링(15)을 삽입 설치하고, 축지지편(10)의 후방으로 설치된 경사유동축(7)에는 후방 코일스프링(16)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경사유동축(7)의 후방 선단에는 후방 코일스프링(16)의 일탈을 방지하는 분할핀(17)을 삽입 설치한다.
상기, 제2 연결편(12)에 축삽입구(18)를 구성하고 이에 고정축(19)과 축지지편(20)이 결합 구성된 축지지구(21)를 삽입 고정한다.
즉, 고정축(19)을 축삽입구(18)에 삽입하고 체결볼트(18a)로써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축지지편(20)의 전방부와 상기 써레(H)의 상단면 간에 수직유동축(22)을 세워 설치하되, 설치수단으로서 수직유동축(22)의 하측단은 써레(H)의 상단면에 힌지편(23)과 고정핀(24)에 의해 연결 고정하고, 상측부는 상기 축지지구(21)의 축지지편(20)에 삽입 관통되게 설치한다.
상기, 축지지구(21)의 축지지편(20)은 수직유동축(22)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로 유동될 수 있도록 수직유동축(22)의 직경보다 큰 대공{大孔: 본 발명에서 " 대공" 이라 함은 수직유동축(22)의 직경보다 크게하여 상하좌우전후로 소정의 각도(대략 45°)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을 뜻한다. 이하, 대공이라 칭한다}(25)을 형성한다.
상기, 축지지구(21)의 축지지편(20)과 힌지편(23) 사이의 수직유동축(22)에는 하측 코일스프링(26)과 이 하측 코일스프링(26) 보다 탄발력이 약한 상측 코일스프링(27)을 상호 분리되게 삽입 설치한다.
상기, 수직유동축(22)의 상측 선단부에는 분할핀(28)을 삽입 설치하여 축지지편 (20)의 대공(25)으로부터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완충기능수단(A)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상기, 써레(H)의 양측부에는 보조써레(h)(h')를 연결장치(29)에 의해 연결하고 이들 간에는 양측으로 피스톤 로드(30)를 갖는 실린더(31)를 고정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30)에는 보조링크(32)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장치(29)와 연결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3에서와 같이 트랙터에 연결되어 로터리 본체(R)로 흙덩어리를 부수고 흙탕으로 된 논 바닥을 써레{보조써레(h)(h')도 포함한다, 이하 써레라 통칭한다}(H)에 의해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하는 것으로, 논 바닥의 평탄 작업 중 큰 돌덩어리 등의 장애물에 써레(H)가 걸릴 경우에는 도4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유동축(7)은 축지지편(10)의 대공(14)을 기점으로 후방 코일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상측으로 경사각을 이루며 상승함과 동시에 전방(도4에서 도면의 표현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수직유동축(22) 또한 축지지편(20)의 대공(25)을 기점으로 상하측 코일스프링(27)(26)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으로 경사각을 이루며 이동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써레(H)는 전방 상측으로 상승하여 큰 돌덩어리와 같은 장애물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어 써레(H)는 물론 피스톤 로드(30)나 실린더(31)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써레(H)가 장애물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간 후에는 압축되었던 상기 후방 코일스프링(16)과 상하측 코일스프링(27)(26)의 복원력에 의해 써레(H)와 경사유동축(7) 및 수직유동축(22)은 원상복귀가 이루어진다.
한편,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일측 선단부가 논두렁 등에 걸릴 경우에는 도5에서와 같이 써레(H)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면서 이동하여 걸린 논두렁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써레(H)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면서 이동할 시 경사유동축(7)과 수직유동축(22) 또한 축지지편(10)(20)의 대공(14)(25)을 기점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면서 유동된다.
위와 같이 논두렁 등에 써레(H)가 걸렸을 시 논두렁으로부터 원활하게 벗어날 수 있음에 따라 써레(H)는 물론 피스톤 로드(30)나 실린더(31) 등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체(G)에 설치한 실린더(4) 및 피스톤 로드(5)에 의하여 써레(H)를 논바닥으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고, 경사유동축(7)과 전후방 코일스링(15)(16)은 상기 써레(H)의 전후 및 좌우의 균형을 탄발력으로 조절하여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유동축(22)과 상하측 코일스프링(27)(26)은 쎄레(H)의 상하 및 좌우 수평을 탄발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논바닥의 효율적인 평탄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직유동축(22)에 하측 코일스프링(26)과 상측 코일스프링(27)을 분리하여 삽입 설치하되, 상측 코일스프링(27)이 하측 코일스프링(26)보다 약한 탄발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에 따라 써레(H)가 평탄작업을 하면서 진행하던 중 큰 돌덩어리와 같은 장애물에 걸릴 경우에는 탄발력이 약한 상측 코일스프링(27)이 먼저 압축되면서 수직유동축(22)이 상승하므로 써레(H)는 장애물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되어 써레(H)는 물론 그 주변장치들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탄발력이 강한 하측 코일스프링(26)과 이 보다 탄발력이 약한 상측 코일스프링(27)을 함께 구성함에 따라 원활한 평탄작업의 탄발력을 얻을 수 있고, 보다 폭 넓은 탄발력의 힘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편(12)의 축삽입구(18)에 고정 설치된 축지지구(21)의 고정축(19)을 체결볼트(22)를 풀어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하면 축지지편(20)에 의해 상하측 코일스프링(27)(26)의 탄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평탄작업을 하고자하는 논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원활한 평탄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발명은 흙탕으로 된 논바닥을 평탄하게 되도록 물갈이 작업할때 트랙터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써레로써 완충기능수단에 의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 방향으로 완충기능을 가지면서 유동되게하여 논두렁이나 기타 장애물에 부딪치더라고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물갈이하고자 하는 논의 평탄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랙터에 조립, 분리가 가능한 로터리 본체(R)에 횡간프레임(2)을 갖는 지지틀체(G)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지지틀체(G)와 연결 구성되는 써레(H)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체(G)의 횡간프레임(2)에 완충기능수단(A)에 의해 상기 써레(H)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완충기능수단(A)은 써레(H)의 양측 후방으로 경사유동축(7)을 연결 설치하고, 경사유동축(7)의 일측단은 써레(H)의 상단면에 연결 고정하고, 타측부는 중간 부위에 축지지편(10)에 삽입 관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축지지편(10)은 상기 횡간프레임(2)에 결합되고, 상기 경사유동축(7)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上下左右前後)로 유동될 수 있도록 대공(14)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유동축(7)에는 축지지편(10)을 기점으로 전후방에 전방 코일스프링(15)과 후방 코일스프링(16)을 삽입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기능수단(A)은 횡간프레임(2)의 양측부에 제1 및 제2 연결편(11)(12)을 고정 결합하고 제2 연결편(12)에 고정축(19)과 축지지편(20)을 갖는 축지지구(21)를 체결 고정하며, 상기 써레(H)와 축지지편(20) 간에는 수직유동축(22)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수직유동축(22)에는 하측 코일스프링(26)과 이 하측 코일스프링(26)보다 탄발력이 약한 상측 코일스프링(27)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축지지편(20)은 수직유동축(22)이 삽입 관통되어 상하좌우전후로 유동될 수 있는 대공(25)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20010040568A 2001-07-06 2001-07-06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20020084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568A KR20020084884A (ko) 2001-07-06 2001-07-06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568A KR20020084884A (ko) 2001-07-06 2001-07-06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12U Division KR200242348Y1 (ko) 2001-05-03 2001-05-03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884A true KR20020084884A (ko) 2002-11-13

Family

ID=2771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568A KR20020084884A (ko) 2001-07-06 2001-07-06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8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03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20190072058A (ko) 2017-12-15 2019-06-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기용 틸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03B1 (ko) * 2008-11-03 2011-09-16 김명수 트랙터용 써레의 유동 연결 장치
KR20190072058A (ko) 2017-12-15 2019-06-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기용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US8141331B2 (en) Divider support apparatus with integral adjustable torsional preload mechanism and vibration damper
US20100083629A1 (en) Flexible cutterbar support apparatus with integral adjustable torsional preload mechanism and vibration damper
CA2512561A1 (en) Suspension system for planting unit
AU2010224418A1 (en) Agricultural implement walking beam assembly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CN110107645A (zh) 手持式农机发动机减振装置
KR200242348Y1 (ko)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20020084884A (ko) 완충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310088B1 (ko) 트랙터용 경작기의 안전장치
CN107371395A (zh) 一种高强度农田起垄设备
US20170298593A1 (en) Vibratory cable plow
CN111742665B (zh) 一种园林景观苗木移植机
KR101117769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JPS5871801A (ja) 逆転スクリ−ン細砕土ロ−タ−
KR200355075Y1 (ko) 완충기능을 갖는 유동식 트랙터용 써레
JPH1014315A (ja) ロータリ耕耘具の均し板取付装置
CN106979274A (zh) 一种粉垄机减震系统及减震方法
CN206759946U (zh) 一种粉垄箱连接架
JP4061625B2 (ja) 農作業機のリヤヒッチ構造
KR101398593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CN2907207Y (zh) 悬挂农机具减震装置
US20170334490A1 (en) Tractor
US6782680B2 (en) Agricultural machine
KR101398588B1 (ko) 양련쟁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