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087A -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 Google Patents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087A
KR20100049087A KR1020107004221A KR20107004221A KR20100049087A KR 20100049087 A KR20100049087 A KR 20100049087A KR 1020107004221 A KR1020107004221 A KR 1020107004221A KR 20107004221 A KR20107004221 A KR 20107004221A KR 20100049087 A KR20100049087 A KR 2010004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terioration
regeneration
heat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1659B1 (en
Inventor
마사시 오자키
노부히코 니시무라
후미토시 사카타
마사루 고다마
마사히로 고바야시
아키라 시이바시
히데시 데즈카
고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6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4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conduction heating
    • B23K13/043Seam welding
    • B23K13/046Seam welding for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21D9/505Coo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21D11/005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f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Abstract

An object is to provide a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a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for easily and certainly repairing and reproducing a deteriorated portion generated in a metal member and certainly extending the life of the metal member. A local heating process for locally heating a deteriorated portion (C) using a main heater (25) and allowing the deteriorated portion (C) to be pressure-welded using compression force generated by heat expansion and a periphery heating process for heating the neighborhood of the periphery of a region (HA1) heated in the local heating process using a sub heater (26) are performed. Then, a cooling process for simultaneously cooling the region (HA1) heated by use of the main heater (25) and a region (HA2) heated by use of the sub heater (26) is performed.

Description

열화부의 재생 방법 및 열화부의 재생 장치{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and regeneration device of deterioration part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력·원자력 발전 플랜트나 화학 플랜트의 보일러나 터빈에 이용되는 고온 배관을 구성하는 금속 부재에 생긴 크리프 등에 의한 열화부를 재생하는데 매우 적합한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on method which is very suitable for regenerating a deterioration part due to creep generated in a metal member constituting a high-temperature pipe used for a boiler or a turbine of, for example, a thermal power plant or a nuclear power plant.

근년, 예를 들면 화력·원자력 발전 플랜트나 화학 플랜트의 보일러나 터빈에 이용되는 고온 배관에 있어서는, 운전 시간이 장시간에 이름에 따라, 경시적인 설비의 열화, 기동 및 정지의 반복이나 급속한 부하 변동에 의한 열피로를 충분히 고려한 보수 관리가 더욱 더 중요하게 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for example, in high-temperature piping used in boilers and turbines of thermal and nuclear power plants, chemical plants, and the like, the operation time is long, depending on the name of the equipment. Due to the thermal fatigue due to sufficient maintenance managemen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예를 들면, 고온 내압 금속 부재가 이용되는 대구경의 두꺼운 배관에서는, 그 금속 부재 및 그 용접부에 있어서 열화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조직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의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비파괴 검사의 결과에 근거하여, 열화 부분의 보수를 실시하고 있다.For example, in large-diameter thick pipes in which a high temperature resistant metal member is used, nondestructive inspection such as a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an ultrasonic examination is regularly performed in order to detect degradation early in the metal member and the welded portion thereof. And the deterioration part is repair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여기서, 금속 부재를 보수하는 기술로서는, 크리프 보이드나 균열을 일으킨 열화부에 대해서 고주파 가열 코일을 이용해 국부적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열팽창의 내압력에 의해 크리프 보이드나 균열을 압접해서 재생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 있다. Here, as a technique for repairing a metal member, a technique in which a heat treatment is locally performed using a high frequency heating coil for a creep void or a cracked deterioration part, and the creep void or crack is pressed against and regenerat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rmal expansion (for exampl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일본특허공개제2003-253337호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53337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재생 기술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가열 코일로 이뤄지는 히터(1)에 의해서 열화부(C)를 포함한 영역을 국소적으로 가열한다. 이 가열에 의해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가열 영역(3)이라 한다. 이때, 금속 부재(2)의 가열 영역(3)의 주위는 온도 상승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가열 영역(3)에는, 그 열팽창을 방해할 수 있는 결과, 압축 응력이 생긴다. 따라서, 가열 영역(3)내에 존재하는 크리프 보이드나 균열 등의 열화부(C)는, 이 압축 응력에 의해서 압접되는 것에 의해 소멸한다. 이 보이드 압접 처리의 압축 응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가열 영역(3)의 온도를 가능한 한 높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가열 영역(3)의 온도를 높게 하면 히터(1) 근방의 금속 부재(2)의 외표면이 용해하기 때문에, 가열 온도는 함부로 높게 할 수 없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처리후에 해당 영역이 냉각하는 과정에서, 가열 영역(3)은 수축한다. 이때, 가열 영역(3)의 주위는 가열 영역(3)의 수축을 구속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가열 영역(3)에는 인장 응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일단 압접한 열화부(C)가 열려 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보수후에 있어서 가열 영역(3)에 인장의 잔류 응력이 생겨, 보수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바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보이드 압접 처리에 의해 결정 조직은 조대화되지만, 그 후의 재결정 열처리에 있어서 변태점을 끼고서 온도를 상하시키는 열 사이클만으로는 조대화한 경화 조직이 잔류해 버릴 우려가 있어, 충분한 재결정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As shown in FIG. 8A, the regeneration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locally heats the region includ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C by the heater 1 made of a high frequency heating coil. The region where the temperature rises by this heating is called the heating region 3.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rise does not occur around the heating area 3 of the metal member 2, the heating area 3 can interfere with the thermal expansion, and a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Therefore, the deterioration part C, such as a creep void and a crack which exist in the heating area | region 3, extinguishes by being crimped | bonded by this compressive stress. In order to enlarge the compressive stress of this void welding process, it is effective to mak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area | region 3 as high as possible.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egion 3 is increased,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member 2 in the vicinity of the heater 1 dissolves, and thus the heating temperature cannot be arbitrarily increas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B,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region after the heat treatment, the heating region 3 shrinks. At this time, since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heating area | region 3 restrains shrinkage | contraction of the heating area | region 3, tensile stress arises in the heating area | region 3. Therefore, the deterioration part C once crimped may open. Moreo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ension residual stress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heating area | region 3 after repair, and it cannot wish to maintain a repair state for a long term. In addition, although the crystal structure is coarsened by the void welding process, there is a fear that the coarse hardened structure may remain only in the heat cyc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along the transformation point in the subsequent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sufficient recrystallization. There is.

따라서, 열화부(C)를 확실히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가열시의 압접 응력을 충분히 크게 취해, 냉각시의 잔류 인장 응력을 저감하고, 또한 조대화한 경화 조직을 모재와 동등의 조직으로 충분히 재결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reliably regenerate the deterioration part C, the pressure contact stress at the time of heating is taken large enough, the residual tensile stress at the time of cooling is reduced, and the coarse hardened structure is fully recrystallized to the structure equivalent to a base material. It is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보수, 재생, 보수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해 금속 부재의 수명연장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부의 재생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열화부의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method for regenerating a deterioration portion capable of easily and reliably maintaining, repairing, and repairing a deterioration portion formed on a metal memb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extend the life of the metal member. It aims to provide.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generation device of the deterioration unit that can perform the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열화부의 재생 방법은,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화부를 포함한 국소적인 영역을 가열해서 제 1 가열 영역을 형성하고, 제 1 가열 영역의 열팽창에 대한 주위의 구속에 의한 제 1 가열 영역으로의 압축 응력에 의해서 열화부를 압접하는 제 1 가열 공정과, 제 1 가열 영역을 가열중, 제 1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의 개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1 가열 영역의 주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가열 영역을 형성하는 제 2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regenerat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formed on the metal member, heating the local region includ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to form a first heating region,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heating in the first heating step during the first heating step of pressing the deterioration part by the compressive stress to the first heating area due to the restraint of thermal expansion and the first heating area After passing, the 2nd heating process of forming a 2nd heating area | region by heating the periphery of a 1st heating area | reg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가열 공정에 의해서 열화부를 국소적으로 가열중에, 제 2 가열 공정에 의해서 제 1 가열 영역의 주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 1 가열 영역의 주위의 가열 부분의 열팽창력에 의한 압력이 제 1 가열 영역에 작용하고, 열화부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이 증대한다. 또한, 제 1 가열 공정을 선행시켜서 제 1 가열 영역의 압축 응력을 충분히 크리프 완화시킨 후에 제 2 가열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가열 영역과 제 2 가열 영역을 동시에 가열했을 경우에 비해, 열화부에 미치는 압축 응력이 증가해 열화부는 확실히 압접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 2 가열 영역의 열팽창에 의해서, 제 1 가열 영역에 압축 응력이 더욱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eating the deterioration part locally by the first heating step, and heat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heating area by the second heating step, the thermal expansion force of the heating portion around the first heating area is increased. Pressure acts on the first heating region, and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deterioration portion increases. Further, the deterioration portion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rst heating region and the second heating region are simultaneously heated by performing the second heating process after sufficiently creep relaxation of the compressive stress in the first heating region prior to the first heating process. The compressive stress increases, and the deterioration part is reliably pressed. That is, in this invention, the compressive stress is further provided to a 1st heating area | region by the thermal expansion of a 2nd heating area | region.

본 발명에서는, 제 1 가열 공정 및 제 2 가열 공정을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에 의해 외부로부터 더해지는 열을 열전도에 의해 금속 부재의 두꺼운 부분 내부까지 충분히 온도를 올리고, 열화부를 확실히 압접하기 때문이다.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inue a 1st heating process and a 2nd heating process for predetermined time. This is because the heat added from the outside by heating is sufficiently raised to the inside of the thick portion of the metal member by heat conduction, and the deterioration portion is reliably pressed.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금속 부재는, 통상 모재와, 모재를 접속하는 용접 금속을 준비하고, 열화부는 용접에 의해서 생긴 모재의 열 영향부에 존재한다. 열 영향부를 제외한 모재 부분은 열 영향부만큼 열화하고 있지 않는 것이 많다. 그 경우, 제 1 가열 영역은 열 영향부를 포함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가열 영역은 열 영향부에 근접하는 모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영향부를 제외한 모재 부분은 열 영향부보다 열화가 적고, 재생 처리에 의한 잔류 인장 응력이 작용해도 통상은 충분한 수명을 갖고 있다. 또한, 용접 금속은 크리프 손상에 의해서 보이드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을 가열하면, 냉각시에 인장 응력이 작용해 손상을 가속시키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용접 금속의 부분은 제 1 가열 영역 및 제 2 가열 영역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member aimed at by this invention prepares the base metal and the weld metal which connects a base material normally, and a deterioration part exists in the heat affected part of the base material produced by welding. In many cases, the base material portion except the heat affected portion does not deteriorate as much as the heat affected portion. In that case, the first heating zone is formed including the heat affected zon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2nd heating area is formed in the base material part adjacent to a heat-affecting part. The base material portion other than the heat affected portion has less deterioration than the heat affected portion, and even if the residual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regeneration treatment acts, it usually has a sufficient lifetime. In addition, since the weld metal may have a void caused by creep damage, when this region is heated, there is a risk that tensile stress is applied during cooling to accelerate the dam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void making the part of a weld metal the object of a 1st heating area | region and a 2nd heating area | region.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가열 영역의 냉각 및 제 2 가열 영역의 냉각을 동기 해서 행하는 냉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제 1 가열 영역 및 제 2 가열 영역을 맞춘 영역에서, 냉각시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받는다. 그리고, 제 1 가열 영역만으로 인장 응력을 받고 있던 도 8의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이 제 1 가열 영역 및 제 2 가열 영역을 맞춘 영역에서 인장 응력을 받으면, 절대적인 인장 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단 압접된 열화부가 다시 개구할 우려가 낮아지고, 또한 재생 후의 유닛 운전중에 열화 재생부에 작용하는 인장 잔류 응력도 저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oling step of synchronizing cooling of the first heating region and cooling of the second heating region. By doing in this way, in the area | region which matched the 1st heating area | region and the 2nd heating area | region, it receives the tensile stress which arises at the time of cooling. This is because the absolute tensile stress is lowered when the tensile stress is applied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heating region and the second heating region are align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8 that is subjected to the tensile stress only in the first heating region. Therefore,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the deteriorated portion once pressed in is opened again, and the tensile residual stress acting on the deteriorated regenerated portion during unit operation after regeneration can be reduced.

냉각 공정 종료후, 금속 부재에 제 1, 제 2 가열 처리를 한 재생 처리 개소에 대해, 재결정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결정 열처리는, 금속 부재를 그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변태점 미만으로 냉각하는 처리를 복수회 반복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조직의 입계에 따라서 존재하고 있던 보이드, 석출물 또는 입계편석이 입(粒)내에 갇혀서 균열 전파 속도가 늦어지고, 손상 진전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가열 냉각 과정에서 등온 공석 변태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재생 처리에서 생긴 조대한 경화 조직을 소실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재생 처리를 행한 개소에 있어서, 파단 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억제되어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있다. After completion of the cooling step, it is preferable to perform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on the regeneration treatment point where the first and second heat treatments are applied to the metal member. Recrystallization heat processing is a process which repeats the process which heats a metal member more than its transformation point, and cools below its transformation point multiple times. By performing this treatment, the voids, precipitates, or grain boundary segregation existing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the structure are trapped in the mouth, and the crack propagation speed is slowed, and the damage growth speed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in this heating and cooling process, coarse hardened structures generat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can be lost. Therefore, in the place which performed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factor which inhibits fracture ductility is suppressed and favorable ducti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이상의 재생 방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화부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열화부를 국소적으로 가열하는 제 1 히터와, 제 1 히터에 의한 가열 영역의 주위를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generating a deterioration portion formed on a metal member so that the above regenera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the first heater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and locally heat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and heating by the first heater. A regenerator of the deterioration unit is provided, comprising a second heater for he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gion.

이 장치에 있어서, 제 1 히터에 의한 가열을, 제 2 히터에 의한 가열에 선행시키는 것에 의해,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 및 그 주위를 적절히 온도 제어하면서 가열, 냉각해서, 열화부에 있어서 최적인 열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is apparatus, the heating by the first heater is preceded by the heating by the second heater, thereby heating and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deterioration portio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metal member while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eby making it optimal for the deterioration portion. The heat trea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금속 부재를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변태점 미만으로 냉각하는, 가열·냉각 처리를 복수회 반복하고, 변태점을 끼고서 온도를 상하시키는 가열 냉각 과정에서 등온 공석 변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결정 열처리 방법을 독립해 실시할 수 있다.This invention performs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 heating and cooling process which heats a metal member more than transformation point, and cools below transformation point, and repeats heating and cooling process several times, and raises and lowers the temperature along a transformation poin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method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이것에 의해, 열처리에 의해 재생한 개소가, 열처리 후의 가열·냉각 공정에 의해서 연성이 풍부한 조직으로 되고, 또한 조직의 입계에 따라서 존재하고 있던 보이드, 석출물 또는 입계편석이 입내에 갇혀서 균열 전파 속도가 늦게 되고, 손상 진전 속도가 저하되고, 또한 등온 공석 변태 공정에 의해서 조대한 경화 조직이 소멸되어, 파단 연성의 저해가 억제되고, 더욱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portion regenerated by heat treatment becomes a ductile-rich structure by the heating and cooling step after the heat treatment, and the voids, precipitates or grain boundary segregation existing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the structure are trapped in the mouth and the crack propagation rate is increased. It slows down, a damage propagation rate falls, and coarse hardened structure disappears by an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the inhibition of fracture ductility is suppressed, and more favorable ducti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열화부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열화부의 가열에 늦게 열화부의 주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열화부에 큰 압축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열화부 및 그 주위를 동기해서 냉각함으로써, 냉각시에 열화부에서 생기는 인장 응력을 광범위하게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장 응력의 재생 개소에의 영향을 극력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compressive stress can be exerted on the deterioration part by heating the surroundings of the deterioration part later than the heating of the deterioration part. In addition, by cooling the deterioration part and its surroundings synchronously,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deterioration part at the time of cooling widely, and the influence on the regeneration point of the tensile stress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이것에 의해, 재생 개소에 있어서 인장의 잔류 응력도 저감하고, 금속 부재의 수명연장화를 도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residual stress of tensile strength at the regeneration point can be reduced, and the life of the metal member can be extended.

또한, 재생 처리 개소를 복수회 변태시키는 가열·냉각 공정에 추가해서, 재생 처리 개소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소정 시간 보지해서 변태를 계속시키는 등온 공석 변태 공정도 행하는 것에 의해, 조직의 입계에 따라서 존재하고 있던 보이드, 석출물 또는 입계편석을 입내에 가둘 수 있다. 또한, 조대한 경화 조직을 소멸시키고, 파단 연성의 저해를 억제해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균열 전파 속도를 늦게 해서 손상 진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heating / cooling step of transforming the regeneration treatment point a plurality of times, an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step of holding the regeneration treatment poin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inuing transformation is also present depending on the grain boundary of the structure. The voids, precipitates or grain boundaries that are present can be trapped in the mouth. Furthermore, coarse hardened structure can be dissipated, inhibition of fracture ductility can be suppressed, and good ductility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e rate of damage propagation can be lowered by slowing down the crack propagation rate.

또한, 본 발명의 열화부의 재생 장치에 의하면,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를 온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 및 그 주위를 적절히 온도 제어하면서 가열, 냉각하고, 열화부를 재생하는데 최적인 열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device of the deterior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provided, the deterioration part formed in the metal member and its surroundings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heat treatment that is optimal for heating, cooling, and regenerating a deterioration portion while controlling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재생 장치에 의한 재생시에 있어서 히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재생 개소에 대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재생시에 있어서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
도 5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메인 히터에 의해서 가열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메인 히터 및 서브 히터에 의해서 가열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재결정 열처리시의 온도 변화 및 금속 조직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
도 7은 HAZ부(15)의 현미경 사진으로서, (a)는 재생 열처리전의 현미경 사진이며, (b)는 재생 열처리후의 현미경 사진,
도 8은 종래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가열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냉각 과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heaters at the time of regeneration by the reproducing apparatus;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heater with respect to a regeneration point;
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emperature during regenera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unit,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heating by the main heater,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heating by the main heater and the sub-heater. ,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and changes in metal structure during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n the re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photomicrograph of the HAZ portion 15, (a) is a photomicrograph befor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b) is a photomicrograph after regeneration heat treat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generation method,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heating,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ling process state.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열화부의 재생 방법 및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reproduction | re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deterioration par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 방법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히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재생 개소에 대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heaters when a regeneration method is performed by a regeneration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heater with respect to a regeneration point.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재생 장치(11)는, 예를 들면 저합금강관으로 되는 배관(12)에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this regeneration apparatus 11 is attached to the piping 12 which becomes a low alloy steel pipe, for example.

여기에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12)끼리를 용접 금속(13)에 의해서 용접 접합한 고온 내압 용접부(금속 부재)(14)에서는, 용접 금속(13)과 각 배관(12)과의 경계부에, 용접 금속(13)을 용접했을 때의 열 영향에 의해 HAZ부(열 영향부 : Heat Affected Zone)(15)가 생긴다. 그리고, 이 고온 내압 용접부(14)에서는, 장기의 사용에 의해, HAZ부(15)에 많은 크리프 보이드나 균열 등의 열화부(C)가 생기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특히 HAZ부(15)의 강도가 저하하고, 고온 내압 용접부(14)에 있어서 파단 등의 요인이 된다.Here, as shown in FIG. 2 and FIG. 3, in the high-temperature 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metal member) 14 in which the pipes 12 are welded to each other by the weld metal 13, the weld metal 13 and each pipe ( The HAZ portion (heat affected zone: Heat Affected Zone) 15 is generated by the heat effect when the weld metal 13 is welded to the boundary with 12). And in this high temperature-resistant welding part 14, deterioration part C, such as a creep void and a crack,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HAZ part 15 by long-term use. For this reason, especially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HAZ part 15 falls, and it becomes a factor, such as a break in the high temperature proof pressure welding part 14.

여기에서, 배관(1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Cr 함유량이 3% 이하(단 0을 포함하지 않음), Mo 함유량이 2% 이하(단 0을 포함하지 않음)의 저합금강(STPA22, STPA23, STPA24)이 있다. 또한, 용접 금속(13)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배관(12)의 재질과 공금의 Cr 함유량이 3% 이하(단 0을 포함하지 않음), Mo 함유량이 2% 이하(단 0을 포함하지 않음)가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열거한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재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as the material of the pipe 12, for example, low alloy steels having a Cr content of 3% or less (not including 0) and a Mo content of 2% or less (not including 0) (STPA22, STPA23) , STPA24). As the material of the weld metal 13, for example, the Cr content of the material of the pipe 12 and the metallurgy is 3% or less (not including 0), and the Mo content is 2% or less (not including 0). There is no).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s listed abov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other materials.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장치(11)를 배관(12)에 장착하고, HAZ부(15)에 열화부(C)가 생긴 고온 내압 용접부(14)를 재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the regeneration device 11 is attached to the pipe 12 and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ing part 14 in which the deterioration part C was formed in the HAZ part 15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is demonstrated. do.

이 재생 장치(11)는, 각각 고주파 가열 코일로 이뤄지는 메인 히터(제 1 히터)(25) 및 서브 히터(제 2 히터)(26)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병렬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는 평판형상으로, 재생 장치(11)를 배관(12)에 장착한 상태로, 배관(12)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된다In the regeneration device 11, a main heater (first heater) 25 and a sub heater (second heater) 26 each made of a high frequency heating coil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s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are flat plate shape, and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ing 12, with the regeneration apparatus 11 attached to the piping 12. FIG.

메인 히터(25)는, 재생 장치(11)가 배관(12)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로,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에 대향한 위치(열화부(C)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서브 히터(26)는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배관(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서브 히터(26)는,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의 주위의,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로부터 벗어난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재생 장치(11)는,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HA1)(도 5)을 포함한, 고온 내압 용접부(14) 및 그 주위의 광범위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는 평판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배관(12)의 전체 주위에 이르는 환상이나 원호형상이라도 좋다. The main heater 25 has the position (deterioration part C) which opposes the boundary part of the piping 12 and the welding metal 13 in the state in which the regeneration device 11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ing 12. Facing position). In addition, the sub heater 26 is disposed to face the pipe 12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pipe 12 and the weld metal 13. That is, the sub heater 2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face the part deviating from the boundary part of the piping 12 and the welding metal 13 around the heating area by the main heater 25. As shown in FIG. Thereby, the regeneration device 11 can heat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ing part 14 including the heating area HA1 (FIG. 5) by the main heater 25, and the wide range around it. In addition, thes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are not limited to flat plate shape, but may be ring-shaped or circular arc shape which reach the periphery of the piping 12 whole.

또한, 재생 장치(11)는 코일 냉각용의 수냉관(27) 및 파워 케이블(29)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는 각 히터 바로 아래의 부재 표면에 장착된 열전쌍에 의해서 검지한 부재 표면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로 되도록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regeneration device 11 includes a water cooling tube 27 and a power cable 29 for coil cooling.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are controlled so that the member surfac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hermocouple mounted on the member surface immediately below each heater becom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다음에, 상기 재생 장치(11)를 이용해서 배관(12)의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재생을 실시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procedure for regenerating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ing part 14 of the piping 12 using the said regeneration device 11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장치(11)에 의해서 재생 열처리 및 재결정 열처리를 행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and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are performed by the regeneration apparatus 11.

(재생 열처리)(Regeneration heat treatment)

우선, 재생 열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재생 열처리시에 있어서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고, 도 5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First, the regenerative heat treatment will be described. 4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change during regeneration heat treatment,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portion.

(1) 전처리 공정(1) pretreatment process

우선, 필요에 따라서 보수 대상부인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산화막을 제거한다.First, the oxide film of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ing part 14 which is a maintenance target part is removed as needed.

다음에, 메인 히터(25)를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히터(26)가,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배관(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Next, the main heater 25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ipe 12 and the weld metal 13. In this way, the sub heater 26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pipe 12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pipe 12 and the weld metal 13.

(2) 국소 가열 공정(제 1 가열 공정)(2) Local heating step (first heating step)

이 상태에 있어서, 우선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 부재의 표면을,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T1까지 급속 가열한다(예를 들면, 10분간에 1050~1250℃, 바람직하게는 1200℃까지 가열한다). 또한, 이 온도 T1은 재료의 변태점(예를 들면, α-Fe와 γ-Fe와의 변태점 A3 변태점)보다 높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state, first,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4, the surface of the boundary member of the piping 12 of the high 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and the welding metal 13 by the main heater 25 is temperature T1. Rapid heating to (for example, heating to 1050 to 1250 ° C, preferably 1200 ° C in 10 minutes).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is temperature T1 higher than the transformation point of a material (for example, transformation point A3 transformation point of (alpha) -Fe and (gamma) -Fe).

이것에 의해, 고온 내압 용접부(14)에 있어서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제 1 가열 영역)(HA1)에서는, 가열 부분의 열팽창이 생긴다. 이때, 가열 영역(HA1)의 주위는 열팽창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열 영역(HA1)의 열팽창에 대해서 구속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가열 영역(HA1)에는, 자신의 열팽창, 주위의 구속에 의해서 압축 응력이 작용한다. 이 압축 응력에 의해서, 크리프 보이드 등으로 이뤄지는 열화부(C)가 압접된다. 가열 영역(HA1)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은 도 5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Thereby, thermal expansion of a heating part arises in the heating area | region (1st heating area | region) HA1 by the main heater 25 in the high 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At this time, since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are not thermally expanding, a restraint force is exhibited with respect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Therefore, the compressive stress acts on the heating region HA1 due to its thermal expansion and restraint around. By this compressive stress, the deterioration part C which consists of creep voids etc. is press-contacted.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heating area HA1 is shown by the arrow in FIG.

(3) 주위 가열 공정(제 2 가열 공정)(3) ambient heating process (second heating process)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을 개시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을 개시하고,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HA1)의 근방을, 도 4중 파선에서 나타낸 프로파일로 온도 T1까지 가열한다.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은, 메인 히터(25) 바로 아래의 부재 표면이 목적 온도(온도 T1)에 도달하고 나서, 예를 들면, 300초 후에 개시된다. After the heating by the main heater 25 is start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heating by the sub heater 26 is started while the heating by the main heater 25 is continued, and the main heater 25 is started. The vicinity of the heating area HA1 by is heated to the temperature T1 by the profile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Heating by the sub heater 26 is started after 300 second, for example, after the member surface immediately under the main heater 25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temperature T1).

이와 같이 하면, 서브 히터(26)에 의해서 가열되는 배관(12)의 가열 영역(제 2 가열 영역)(HA2)에 열팽창이 생긴다. 그리고, 가열 영역(HA2)의 가열 부분은, 가열 영역(HA1)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도 5중 우측)의 모재 부분이 열팽창하지 않기 때문에 구속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가열 영역(HA2)의 가열 부분의 열팽창력에 의한 압력이,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에 의해 연화한 가열 영역(HA1)에, 압축 응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열화부(C)의 압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국소 가열 공정 및 주위 가열 공정을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할 필요가 있다. 가열 영역(HA1)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은 도 5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In this manner, thermal expansion occurs in the heating region (second heating region) HA2 of the pipe 12 heated by the sub heater 26. And the heating part of the heating area | region HA2 is restrained because the base material part on the opposite side (right side in FIG. 5) to the side adjacent to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does not thermally expand. Thereby, the pressure by the thermal expansion force of the heating part of this heating area | region HA2 acts as a compressive stress on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softened by the heating by the main heater 25.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pressure contact effect of the deterioration part C can be improved. In order to acquire this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local heating process and ambient heating process for predetermined time.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heating area HA1 is shown by the arrow in FIG.

또한, 이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을 행하는 것에 의해,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의 상승 효과에 의해, 메인 히터(25)에 의한 보수 개소의 가열 영역(HA1)을 포함한, 고온 내압 용접부(14) 및 그 주위의 광범위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 범위가 넓어지는 것에 의해, 계속 행해지는 냉각 공정으로의 인장 응력이 저감된다. In addition, the high temperature breakdown pressure including the heating area HA1 of the repair point by the main heater 25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heating by the main heater 25 by performing heating by this sub heater 26 is performed. The weld 14 and the wide area around it are heated. As the heating range is widened in this manner, the tensile stress in the subsequent cooling process is reduced.

(4) 냉각 공정(4) cooling process

상기와 같이 해서,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HA1)의 국소 가열후에, 서브 히터(26)에 의한 주위의 가열 영역(HA2)의 가열을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 온도를 동기해서 저하시킨다. 또한, 냉각 속도는, 예를 들면 50℃/hr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재생 개소를 포함한 광범위가 완만하게 냉각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heating of the surrounding heating region HA2 by the sub heater 26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ocal heating of the heating region HA1 by the main heater 25, the illustrated in FIG. 4 is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is lowered in synchronization. In addition, the cooling rate is preferably about 50 ° C / hr, for example. In this way, a wide range including the regeneration point of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ing part 14 is cooled slowly.

이것에 의해, 냉각시에 생기는 인장 응력이,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광범위, 즉 가열 영역(HA1) 및 가열 영역(HA2)을 적어도 포함한 영역에 분산되기 때문에, 그 절대적인 값은 가열 영역(HA1)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낮게 된다. 따라서, 냉각 공정에서의 열수축에 의한 인장 응력의 재생 개소에의 영향이 극력 억제된다. Thereby, since the tensile stress which arises at the time of cooling is disperse | distributed to the wide range of the high 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ie, the area containing at least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and the heating area | region HA2, the absolute value is heated area | region HA1. ) Is lower than if only exist. Therefore, the influence on the regeneration point of the tensile stress by heat shrink in a cooling process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압접한 열화부(C)가 열리거나, 고온 내압 용접부(14)에 인장의 잔류 응력이 생기는 불편이 없어지고, 이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보수 상태를 장기에 걸쳐서 유지하고, 배관(12)의 수명연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that the deteriorated portion C which is press-contacted is opened or the tensile residual stress is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ed part 14, and the maintenance state of the high temperature withstand pressure welded part 14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12).

(재결정 열처리)(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다음에, 재결정 열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재결정 열처리시의 온도 변화 및 금속 조직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Next,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will be described. 6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mperature and changes in metal structure during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n the re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전술의 재생 열처리에서 완만하게 냉각된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은, 도 6중 도면부호(a1)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에 페라이트를 포함한 베이나이트 조직으로 된다. The metal structure of the regeneration point cooled gently by the above-mentioned regeneration heat treatment becomes a bainite structure in which a part contains ferrite, as indicated by a1 in FIG. 6.

(1) 가열 공정(1) heating process

재결정 열처리에서는, 우선 이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A3 변태점을 넘는 온도 T3(예를 들면, 900~950℃, 바람직하게는 약 930℃)으로 가열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30~120분, 바람직하게는 60분) 보지한다. 이 열처리는,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을, 도 6에 도면부호(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되게 한다. 이때, 금속 조직에는, 재생 열처리시에 형성된 조대한 경화 조직이 일부에 잔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조대한 경화 조직은 파단 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In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the regeneration point is first heated by the main heater 25 to a temperature T3 (for example, 900 to 950 ° C, preferably about 930 ° C) exceeding the A3 transformation point, and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to 120 minutes, preferably 60 minutes). This heat treatment causes the metal structure of the regeneration point to become an austenite structur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2 in FIG. 6. At this time, a coarse hardened structure formed at the time of regeneration heat treatment remains in the metal structure. And this coarse hardened structure may impair ductility at break.

(2) 등온 공석 변태 공정(2)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다음에, 메인 히터(25)를 온도 제어하고, 재생 개소를 A3 변태점보다 낮은 온도 T4(예를 들면, 680~730℃, 바람직하게는 약 700℃)로 냉각하고, 이 온도 T4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80분 내지 600분, 바람직하게는 300분) 보지하는 등온 공석 변태 처리를 실시한다. 이 열처리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공석 변태시킨다. 따라서, 도 6에 도면부호(a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은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가 공석한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으로 되는 동시에, 조대한 경화 조직이 소멸한다.Next,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main heater 25 is carried out, and the regeneration point is cooled to a temperature T4 (for example, 680 to 730 ° C, preferably about 700 ° C) lower than the A3 transformation point, and a fixed time ( For example,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holding for 180 minutes to 600 minutes, preferably 300 minutes. This heat treatment transforms the austenite structure into a vacancy. Therefore, as shown by a3 in FIG. 6, the metal structure at the regeneration point becomes a ferrite pearlite structure in which ferrite and pearlite are vacated, and coarse hardened structure disappears.

여기에서, 등온 공석 변태의 보지 온도가, 등온 공석 변태의 노즈보다 낮으면, 재생 개소의 등온 공석 변태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이것을 크게 넘으면, 재생 개소에 있어서 등온 공석 변태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등온 공석 변태 공정에서 보지하는 온도 T4로서는,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을 원활하게 등온 공석 변태시킬 수 있는 온도가 바람직하다.Here, if the holding temperature of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is lower than the nose of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and if it exceeds this greatly,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becomes difficult at the regeneration point. Therefore, as temperature T4 hold | maintained in an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the temperature which can smoothly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of the metal structure of a regeneration point is preferable.

또한, 등온 공석 변태 공정에서 온도 T4로 보지하는 시간으로서는, 상기 제 1 가열 공정과 제 2 가열 공정에 있어서 결정입이 조대화한 영역이 등온 공석 변태를 완료하는 시간이면 좋다.In addition, as time to hold | maintain with temperature T4 in an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what is necessary is just time to complete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in the area | region where the crystal grain coarsened in the said 1st heating process and the 2nd heating process.

(3) 가열 공정(3) heating process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재차 A3 변태점을 넘는 온도 T3으로 가열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30~120분, 바람직하게는 60분) 보지한다. 이 열처리는,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을, 도 6에 도면부호(a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한다. 이때, 금속 조직은, 이전의 등온 공석 변태 공정에서 조대한 경화 조직이 소멸하고 있기 때문에, 이 조대한 경화 조직이 없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된다. 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again by the main heater 25 to the temperature T3 exceeding the A3 transformation point, and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to 120 minutes, preferably 60 minutes). In this heat treatment, the metal structure at the regeneration point is again austenite structure, as indicated by a4 in FIG. 6. At this time, since the coarse hardened structure disappears in the previous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the metal structure becomes an austenite structure without this coarse hardened structure.

(4) 냉각 공정(4) cooling process

다음에, 재생 개소를, A3 변태점보다 충분히 낮은 온도 T5(예를 들면, 550~650℃, 바람직하게는 약 500℃)로 냉각한다. 이 열처리에 의해, 재생 개소를 도 6에 도면부호(a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일부에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가 공석된 금속 조직으로 한다. Next, the regeneration point is cooled to a temperature T5 sufficiently lower than the A3 transformation point (for example, 550 to 650 ° C, preferably about 500 ° C). By this heat treatment, the regeneration point is a metal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austenite structure is vacated by ferrite and pearlite,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5 in FIG. 6.

(5) 가열 공정(5) heating process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재차 A3 변태점을 넘는 온도 T3으로 가열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30~120분, 바람직하게는 60분) 보지한다. 이 열처리는,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을, 도 6에 도면부호(a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한다.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again by the main heater 25 to the temperature T3 exceeding the A3 transformation point, and hel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to 120 minutes, preferably 60 minutes). In this heat treatment, the metal structure at the regeneration point is again austenite structure, as indicated by a6 in FIG. 6.

(6) 냉각 공정(6) cooling process

그 후, 메인 히터(25)를 온도 제어하고, 재생 개소를 미리 정해진 냉각 속도(예를 들면 50℃/hr 정도)로 냉각한다.Thereafter, the main heater 25 is temperature controlled, and the regeneration point is cooled at a predetermined cooling rate (for example, about 50 ° C./hr).

그리고, 이와 같이 냉각하는 것에 의해, 재생 개소의 금속 조직은, 도 6에 도면부호(a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연속 냉각 변태하고, 도 6에 도면부호(a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나이트를 포함한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이 된다. By cooling in this way, as shown by aa in FIG. 6, as for the metal structure of a regeneration point, austenite structure is continuously cooled and transformed, and as shown by aa in FIG. And ferrite pearlite structure including bainite.

그리고, 상기 재결정 열처리에서는, 메인 히터(25)의 온도 제어에 의해, 재생 개소를 가열, 냉각해서 변태 처리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재생 개소가, 모재인 배관(12)과 동등의 연성이 풍부한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이 된다. 또한, 상기 재결정 열처리에 의해, 용접시에 입계에 따라서 존재하고 있던 보이드, 석출물 또는 입계편석이 입내에 갇혀서 균열 전파 속도가 늦어지고, 손상 진전 속도를 내릴 수 있다. 또한, 재결정 열처리의 과정에서 행해지는 등온 공석 변태 공정에 의해서, 조대한 경화 조직이 소멸되므로, 파단 연성의 저해가 억제되고,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ain heater 25, 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and cooled,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regeneration poi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piping 12 having the base metal. It becomes rich ferrite pearlite structure. In addition, by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voids, precipitates or grain boundary segregation existing in the mouth at the time of welding are trapped in the mouth, so that the crack propagation speed is slowed and the damage growth speed can be de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coarse hardened structure disappears by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step performed in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process, inhibition of fracture ductility is suppressed, and good ductility can be obtain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열화부(C)의 주위의 가열 영역(HA2)으로 이뤄지는 가열 부분의 열팽창력에 의한 압력을, 열화부(C)의 가열 영역(HA1)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열화부(C)를 높은 압축력에 의해 확실하게 압접하고, 열화부(C)의 가열 영역(HA1)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양호하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생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method of the deterior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force of the heating portion formed of the heating region HA2 around the deterioration portion C is reduced. It can act on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Thereby, the deterioration part C can be reliably crimped | bonded by a high compressive force, and it can regenerate well over the thickness of the heating area HA1 of the deterioration part C, and can aim at the improvement of regeneration quality. Can be.

또한, 열화부(C) 및 그 주위를 동시에 냉각하므로, 냉각시에 열화부(C)에서 생기는 인장 응력을 광범위하게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장 응력의 재생 개소에의 영향을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개소에 있어서 인장의 잔류 응력이 생기는 불편도 없어지고,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보수 상태를 장기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관(12)의 수명연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열과 제 2 가열의 2회의 가열을 나타냈지만 가열의 회수는 복수이면 2회로 한정되지 않는다. Moreover, since the deterioration part C and its surroundings are simultaneously cooled,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deterioration part C at the time of cooling extensively, and the influence on the regeneration point of the tensile stress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generating tensile residual stress at the regeneration point is eliminat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aintenance state of the high-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ortion 14 for a long time, and the life of the pipe 12 can be extend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2nd heating of the 1st heating and the 2nd heating was shown, if the number of times of heating is plural, it is not limited to 2 times.

또한, 재생 개소에 있어서 복수회 변태시키는 가열·냉각 공정과, 재생 개소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일정 시간 보지해서 변태를 계속시키는 등온 공석 변태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재생 개소를, 배관(12)으로 이뤄지는 모재와 동등의 연성이 풍부한 조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의 입계를 따라서 존재하고 있던 보이드, 석출물 또는 입계편석이 입내에 갇히는 것에 의해, 균열 전파 속도가 늦어져서 손상 진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조대한 경화 조직을 소멸하는 것에 의해, 파단 연성의 저해가 억제되어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heating / cooling step of transforming a plurality of times in the regeneration point and the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step of continuing the transformation by holding the regeneration poin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generation point is formed by the pipe 12. It can be set as the organization with the ductility which is equal to a base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voids, precipitates, or grain boundary segregation that are present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the structure are trapped in the mouth, the crack propagation rate is slowed down and the damage growth rate can be lowered. In addition, by extinguishing the coarse hardened structure, inhibition of fracture ductility is suppressed and good ductility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한 열화부(C)의 재생 장치(11)에 의하면,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를 온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고온 내압 용접부(14)에 생긴 열화부(C) 및 그 주위를 적절히 온도 제어하면서 가열, 냉각하고, 열화부(C)에 있어서 최적인 열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device 11 of the deterioration unit 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are provided,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are provided. By temperature control, it can heat and cool, deteriorating the deterioration part C created in the high temperature-resistant 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and its surroundings suitably, and can perform the optimal heat processing in the deterioration part C easily.

또한, 재결정 열처리에 있어서 가열·냉각 공정에 의한 재생 개소의 변태의 반복 회수로서는 3~5회가 바람직하다.In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3 to 5 times are preferable as the repetition number of transformation of the regeneration point by the heating and cooling step.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의 2개의 히터를 갖춘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히터의 수량은 복수이면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apparatus provided with two heaters of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was demonstrated, for example, the quantity of heaters is not limited to two, if it is plural.

또한,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로서는, 고주파 가열 코일로 한정되지 않고, 온도 제어가 가능한 각종의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not only a high frequency heating coil but various heaters which can control temperature can be used.

실시예Example

상기에 설명한 수법에 대해서 확인한다.The method described above is confirmed.

배관(12)에는, STAP24재(2.25%Cr-1%Mo강)로 이뤄지고, 그 관 직경이 355㎜, 두께가 77㎜의 것을 이용한다. 또한, 용접 금속(13)도, 배관(12)과 동일 재료를 이용한다. 도 7의 (a)는 재생 열처리전의 HAZ부(15)의 현미경 사진이며, 보이드(열화부(C))의 개수 밀도가 930개/㎟로 되어 있다.The pipe 12 is made of STAP24 material (2.25% Cr-1% Mo steel), and a pipe diameter of 355 mm and a thickness of 77 mm are used. In addition, the welding metal 13 also uses the same material as the piping 12. 7A is a micrograph of the HAZ portion 15 before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and the number density of the voids (deterioration portion C) is 930 pieces / mm 2.

메인 히터(25)는,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관(12)의 표면으로부터 직경방향에 10㎜ 분리해서 배치한다. 서브 히터(26)는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부로부터 배관(12)의 주위방향으로 50㎜, 직경방향으로 10㎜ 벗어난 위치에 배치한다.The main heater 25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pipe 12 and disposed 10 mm in the radial direction at a position fac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ipe 12 and the weld metal 13. The sub heater 26 is disposed at a position 50 mm away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pipe 12 and the weld metal 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ipe 12 and 10 mm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 부재의 표면을 온도 T1=1200℃까지 급속 가열한다.And the main heater 25 rapidly heats the surface of the boundary member of the piping 12 of the high 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and the welding metal 13 to temperature T1 = 1200 degreeC.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에 의해서, 고온 내압 용접부(14)의 배관(12)과 용접 금속(13)과의 경계 부재의 표면이 온도 T1=1200℃에 도달하고 나서 300초 후,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을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을 개시하고, 메인 히터(25)에 의한 가열 영역(HA1)의 근방을 온도 T1=1200℃까지 가열한다.By the heating by the main heater 25, 300 seconds after the surface of the boundary member of the piping 12 of the high temperature-pressure-resistant welding part 14, and the welding metal 13 reached temperature T1 = 1200 degreeC, the main heater While heating by (25) is continued, heating by the sub heater 26 is started and the vicinity of the heating area | region HA1 by the main heater 25 is heated to temperature T1 = 1200 degreeC.

서브 히터(26)에 의한 주위의 가열 영역(HA2)의 가열을 1200초 계속한 후, 메인 히터(25) 및 서브 히터(26)에 의한 가열 온도를 50℃/hr의 냉각 속도로 동기 해서 저하시킨다. After the heating of the surrounding heating area HA2 by the sub heater 26 is continued for 1200 seconds, the heating temperature by the main heater 25 and the sub heater 26 is lowered in synchronization with a cooling rate of 50 ° C / hr. Let's do it.

이후,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930℃로 가열하고, 60분 보지한다.Thereafter, 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to 930 ° C by the main heater 25 and held for 60 minutes.

다음에, 메인 히터(25)를 온도 제어하고, 재생 개소를 700℃로 냉각하고, 300분 보지해서 등온 공석 변태 처리를 실시한다. Next,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main heater 25 is carried out, the regeneration part is cooled to 700 degreeC, it hold | maintains for 300 minutes, and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process is performed.

계속해서,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930℃로 가열하고, 60분 보지한 후, 재생 개소를 500℃로 냉각한다. Subsequently, 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to 930 ° C by the main heater 25 and held for 60 minutes, and then the regeneration point is cooled to 500 ° C.

또한, 재생 개소를, 메인 히터(25)에 의해서 930℃로 가열하고, 60분 보지한 후 재생 개소를 50℃/hr 정도로 냉각한다. Further, the regeneration point is heated to 930 ° C by the main heater 25, and held for 60 minutes, and then the regeneration point is cooled to about 50 ° C / hr.

도 7의 (b)는 재생 열처리 후의 HAZ부(15)의 현미경 사진이며, 보이드(열화부(C))의 개수 밀도가 140개/㎟로 되어 있고, 재생 열처리전과 비교해 보이드 개수 밀도가 85% 감소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보이드가, 재생 열처리전은 입계에 위치하고 있던 것에 대해, 재생 열처리 후는 입내에 갇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7B is a micrograph of the HAZ portion 15 after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and the number density of the voids (deterioration portion C) is 140 pieces / mm 2, and the void number density is 85% as compared with before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ecreas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voids were located in the grain boundary before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and were trapped in the mouth after the regeneration heat treatment.

11 : 재생 장치
14 : 고온 내압 용접부(금속 부재)
15 : HAZ부(열 영향부)
25 : 메인 히터(제 1 히터)
26 : 서브 히터(제 2 히터)
C : 열화부
HA1 : 가열 영역(제 1 가열 영역)
HA2 : 가열 영역(제 2 가열 영역)
11: playback device
14: high temperature resistant welding part (metal member)
15: HAZ part (heat influence part)
25: main heater (first heater)
26: sub heater (second heater)
C: deterioration
HA1: heating zone (first heating zone)
HA2: heating zone (second heating zone)

Claims (10)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화부를 포함한 국소적인 영역을 가열해서 제 1 가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열 영역의 열팽창에 대한 주위의 구속에 의한 상기 제 1 가열 영역으로의 압축 응력에 의해서 상기 열화부를 압접하는 제 1 가열 공정과,
상기 제 1 가열 영역을 가열중, 상기 제 1 가열 공정에 의한 가열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제 1 가열 영역의 주위를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가열 영역을 형성하는 제 2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In the method of regenerating a deterioration part which arose in the metal member,
A first region in which a local region includ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is heated to form a first heating region and press-contact the deterioration portion by compressive stress to the first heating region due to the restraint around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first heating region. Heating process,
A second heating step of forming a second heating area by heat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heating area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heating by the first heating step while heating the first heating area. Characterized by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 공정 및 상기 제 2 가열 공정을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ing process and the second heating process are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모재와, 상기 모재를 접속하는 용접 금속을 구비하고,
상기 열화부는 용접에 의해서 생긴 상기 모재의 열 영향부에 존재하고,
상기 제 1 가열 영역은 상기 열 영향부를 포함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metal member is equipped with a base material and the welding metal which connects the said base material,
The deterioration portion is present in the heat affected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produced by welding,
The first heating zone is formed including the heat affected zone.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 영역은 상기 열 영향부에 근접하는 상기 모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second heating zone is formed in the base material proximate the heat affected zone.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 영역의 냉각 및 상기 제 2 가열 영역의 냉각을 동기해서 행하는 냉각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oling step of synchronously cooling the first heating zone and the cooling of the second heating zone.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정 종료후, 상기 제 1 및 제 2 가열 영역에 대해서 재결정 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fter completion of the cooling step,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regions.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열처리는, 상기 금속 부재를 그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상기 변태점 미만으로 냉각하는 처리를 복수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a process of heating the metal member above its transformation point and cooling below the transformation point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열처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등온 공석 변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sothermal vacancy transformation treat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part.
금속 부재에 생긴 열화부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화부를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열화부를 국소적으로 가열하는 제 1 히터와,
상기 제 1 히터에 의한 가열 영역의 주위를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장치.
In the apparatus for regenerat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generated in the metal member,
A first heater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and locally heating the deterioration portion;
And a second heater for he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area by the first heater.
Regeneration unit of deterioration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에 의한 가열은 상기 제 2 히터에 의한 가열에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부의 재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ting by the first heater is preceded by the heating by the second heater.
Regeneration unit of deterioration part.
KR1020107004221A 2008-01-30 2008-01-30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KR1012016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1348 WO2009096004A1 (en) 2008-01-30 2008-01-30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087A true KR20100049087A (en) 2010-05-11
KR101201659B1 KR101201659B1 (en) 2012-11-14

Family

ID=4091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221A KR101201659B1 (en) 2008-01-30 2008-01-30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1659B1 (en)
CN (1) CN101784682B (en)
WO (1) WO200909600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20B1 (en) * 2011-03-31 2014-02-05 주식회사 포스코 High frequency heat treatment method of welding part and plate having welding part of fine structur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2762B (en) * 2014-08-18 2016-08-24 青岛海之冠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Utilize the method that nickel-cobalt-molybdenum-manganese-base alloy carries out flywheel repairing
KR20160068293A (en)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for preventing gray hair and for treatment of leukoplakia containing panasenoside
KR20160068294A (en)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containing panasenoside for antibacterial
CN111576378B (en) * 2020-04-30 2021-08-24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Deviational survey pipe prosthet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029A (en) 1984-10-29 1986-05-22 Hitachi Ltd Heat treatment of pipeline
JPH0230716A (en) * 1988-07-21 1990-02-01 Hokkaido Electric Power Co Inc:The Method for improving residual stress in circumferential weld zone
JP4176412B2 (en) * 2001-12-27 2008-1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creep degraded part
JP2006083440A (en) * 2004-09-17 2006-03-30 Tohoku Univ Method for restraining generation or progression of stress corrosion c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120B1 (en) * 2011-03-31 2014-02-05 주식회사 포스코 High frequency heat treatment method of welding part and plate having welding part of fine structur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659B1 (en) 2012-11-14
CN101784682A (en) 2010-07-21
CN101784682B (en) 2014-11-19
WO2009096004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221B2 (en) Deterioration part reproduction method, degradation part reproduction device
KR101201659B1 (en)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method and deteriorated portion reproducing device
JP3649223B2 (en)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piping system
JPH0775893A (en) Method for repairing structure and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JP4176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creep degraded part
JP20081050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sidual stress
Natesan et al. Preliminary materials selection issues for the next generation nuclear plant reactor pressure vessel.
CN109789505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erritic heat-resistant steel welded structure, and ferritic heat-resistant steel welded structure
WO2012026205A1 (en) Joining method for joining parts with high fatigue strength
JP2007044698A (en) Welded structure, and welding method of structure
RU2439170C2 (en) Defective section recovery method and defective section recovery device
Yamashita et al. Development of the brazing technique of W and JLF-1 by Ni-P filler material
Gilbert Case Study: Weld Repair of Aged Hydrogen Reformer Bull Tee
RU2559598C2 (en) Reconditioning of articles from low-carbon perlite steel after operation
JPS5852428A (en) Heat treatment for improving stress of shaft
JPS6151613B2 (en)
Rajasekaran et al. Correlation between Tensile Deformation Behavior and Microstructural Morphology of Nuclear Grad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ed Joints using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JPH06289184A (en) Repair welding execution for neutron irradiation member
JPS63118017A (en) Improving method for residual stress in weld zone
JP2005213618A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surface of structure
JPS5832594A (en) Welding method
CN115786655A (en) Method for avoiding thick-wall precipitation strengthening high-temperature alloy post-welding hot cracking
Trofimov et al. Life Extension with Ultrasonic Treatment of the Weld Connections of Npp Equipment.
JP2001138080A (en) Laser clad welding method
JPS5994578A (en) Repairing method of vessel for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ydro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