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861A - 땜납 인두대 - Google Patents

땜납 인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861A
KR20100048861A KR1020090066900A KR20090066900A KR20100048861A KR 20100048861 A KR20100048861 A KR 20100048861A KR 1020090066900 A KR1020090066900 A KR 1020090066900A KR 20090066900 A KR20090066900 A KR 20090066900A KR 20100048861 A KR20100048861 A KR 2010004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oldering iron
soldering
sold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501B1 (ko
Inventor
요시토모 데라오카
Original Assignee
학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학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7Holders for soldering 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9Solder or residue remo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대(10)와, 기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대(10)에 유지되는 땜납 인두(K)를 받치는 원호면을 가지는 인두 홀더(30)를 구비하고 있는 땜납 인두대(1)이다. 인두 홀더(30)에는, 상기 원호면의 둘레 방향에 설치된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오목부(52a)에는, 내열성의 탄성체(6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땜납 인두대{SOLDERING IRON}
본 발명은, 땜납 인두대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5-111496호 공보
납땜 기술은, 전기 전자 산업의 기초이며, 그 향상은 매우 놀라울 정도이다. 산업의 발달에 의해, 많은 전자 기기 기판의 납땜은, 사람 손이 필요없는 자동기에 의한 납땜 플로우조, 리플로우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땜납 인두에 의한, 사람 손에 의지하지 않으면 할 수 없는 부재의 납땜이나, 리페어 등, 메뉴얼 납땜 작업이 있다.
메뉴얼 작업에 의한 납땜에 있어서는, 땜납 인두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올려 놓는 땜납 인두대가 이용된다.
선행 기술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 인두대는, 땜납 인두를 수용하는 슬리브 형상의 땜납 인두 홀더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땜납 인두를, 그 선단으로부터 땜납 인두 홀더에 삽입하고, 땜납 인두를 땜납 인두대에 올려 놓는다.
메뉴얼 작업에서의 납땜은, 땜납 인두를 빈번하게 땜납 인두대에 올려 놓으면, 취출이라는 작업이 반복된다. 한편, 땜납 인두대의 인두 홀더는, 땜납 인두의 발열부가 삽발(揷拔)되는 부위이므로, 내열성이 높은 금속이 이용되는 일이 많다.
그 때문에, 선행 기술 문헌 1의 땜납 인두대를 이용한 경우, 땜납 인두를 올려 놓을 때마다, 땜납 인두와 인두 홀더가 서로 스치는 금속음이 생기기 쉽고,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선행 기술 문헌 1의 인두 홀더를 열내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그 경우에는,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부분이 뜨거워지기 쉽고, 온도 관리가 곤란해진다는 새로운 과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음이 발생하는 일 없이, 또한,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부분으로의 열영향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는 땜납 인두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형태는, 기대와, 기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대에 유지되는 땜납 인두를 받치는 원호면을 가지는 인두 홀더를 구비한 땜납 인두대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에는, 상기 원호면의 둘레 방향에 설치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오목부에는, 내열성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이다. 이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를 기대에 올려 놓을 때에, 인두 홀더에 땜납 인두를 삽입했을 때, 인두 홀더의 원호면과 땜납 인두가 움직이는 상태로 접촉된다. 이 때에 생기는 진동은, 내열성의 탄성체에 의해 흡수되고,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던 이음은 생기지 않게 된다. 올려진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분분의 열은, 인두 홀더에 전파되고, 방열된다. 상기 「원호면」은, 원통 형상 또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슬리브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체화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땜납 인두를 기대에 올려 놓을 때에 생겼을 진동은, 내열성의 탄성체에 의해 흡수되므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던 이 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과 더불어, 올려진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부분의 열은, 인두 홀더에 전파하고, 방열되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일 없이, 또한,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부분으로의 열영향을 가급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에 관련되는 땜납 인두대(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땜납 인두대(1)의 외관도이며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그 땜납 인두대(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그 땜납 인두대(1)의 배면도, 도 5는, 그 땜납 인두대(1)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부스러기 받음대를 장착 포지션으로부터 떨어뜨리는 과정의 도면, 도 5B는 부스러기 받음대의 탈착 포지션의 일례로서 부스러기 받음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땜납 인두대(1)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기대(10)를 구비하고 있다. 땜납 인두(K)(도 9 참조)의 인두팁(K1)은, 사용시에는, 400℃ 이상으로 승온하므로, 기대(10)의 재질로서는, 방열성이 높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안전하고 견고한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기대(10)는, 전단부의 트레이부(11)와, 이 트레이부(11)의 후부에 연장 설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 산 형상으로 형성된 위요부(12)와,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개폐하는 부스러기 받음대(20)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부(11)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청소하기 위한 스펀지(2)를 수용하는 접시 형상 부위이다. 트레이부(11)의 바닥에는, 별 형상으로 기복하는 스폰지대(11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스펀지대(11a) 상에 다공질제의 내열 스펀지(2)를 배치하고, 하부는 물을 넣어 두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폰지대(11a)는, 별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위요부(圍繞部)(12)는, 인두 홀더에 삽입된 땜납 인두의 발열부를 둘러싸는 부위이다. 최근, 메뉴얼 납땜 작업은, 교육 훈련을 받은 사람이 행하고 있지만, Pb 프리에 의한 땜납 재료의 변화에 수반하여, 그러한 훈련을 거친 사람이어도 예기치 않은 트러블이 생기는 일이 있다. 즉, Pb 프리의 땜납 재료에서는, 플럭스가 가열된 것에 의한 땜납 볼의 파열에 의한 땜납 부스러기의 비산(飛散)이 발생하기 쉽다. 땜납 인두(K)를 땜납 인두대(1)에 삽입 탑재했을 때에 땜납 부스러기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적 위요부(12)를 높게 설정하고, 땜납 인두(K)의 수용 공간을 크게 설정함과 더불어,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가능한 한 안쪽의 바닥부에 임하게 하도록 하여, 방열용의 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땜납 부스러기의 비산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위요부(12)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방열용의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위요부(12)의 정면에는, 하측이 전방으로 경사져 트레이부(11)의 후부와 연속하는 경사단벽(14)이 설치되어 있고, 경사단벽(14)에는, 인두 홀더(30)를 받치는 오목부(14a)와 클리닝창(14b)이 상하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부스러기 받음대(20)는, 대좌(21)를 구비하고 있다. 대좌(21)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요부(12)와 더불어 수용실을 구성한다.
대좌(21)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단면의 리브(23)가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부(11)의 후단벽에는, 리브(23)를 끼워 맞추는 반원형 단면의 오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1b)에 리브(23)를 끼워맞춤으로써, 부스러기 받음대(20)는, 위요부(12)에 장착되는 장착 포지션(도 2A, 도 2B 참조)과,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개방하는 탈착 포지션(도 5B 참조)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리브」이란, 「물건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는 융기(隆起)한 것」(an elongated elevation running the length of an object)이라는 의미로 이용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대좌의 전단 가장자리의 횡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융기 부위이다.
위요부(12)에 대해서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장착 포지션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대좌(21)의 후단 부분 중앙 부위에는, 락 스위치(24)가 고정되어 있다. 락 스위치(24)는, 상단부에 고정 클로우(24a)가 탄성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요부(12)의 후벽(15) 하부에는, 절결(15a)이 형성되고, 이 절결(15a)에는,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20)의 락 스위치(24)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절결(15a)의 상방에는, 절결(15a)에 끼워 맞춘 락 스위치(24)의 고정 클로우(24a)를 전방으로부터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15b)가, 후벽(15)의 내면 적소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포지션에 있어서는, 락 스위치(24)의 고정 클로 우(24a)가 고정 돌기(15b)의 상부에 전방으로부터 고정되고, 위요부(12)에 부스러기 받음대(20)가 지정된 상태로 되어 있는 한편, 절결(15a)에 끼워 맞춘 락 스위치(24)를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 고정 클로우(24a)의 이동에 수반하여, 고정 돌기(15b)로부터 이탈하고, 도 5A,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요부(12)로부터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스러기 받음대(20)는, 당해 대좌(21)의 앞부분에 일체 형성된 수용기로서의 울 용기(25)와, 울 용기(25)의 후부에 설치된 회수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울 용기(25)는, 내부에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수용하기 위한의 것이며, 위요부(12)의 경사단벽(14)에 형성된 클리닝창(14b)에 임하여, 이 클리닝창(14b)으로부터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클리닝창(14b)으로부터 삽입하고,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로 인두팁(K1)의 땜납 부스러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클리닝창(14b)의 아래 가장자리에, 내열 수지(보다 적합하게는, 실리콘 고무나, 바이톤 등의 내열 합성 고무)로 형성된 패드(40)가 설치되어 있다. 패드(40)에는, 클리닝창(14b)의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긁어냄부(41)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리닝창(14b)으로부터 땜납 인두(K)를 도입하여, 땜납 인두의 인두팁(K1)을 클리닝하는 작업자는, 패드(40)의 긁어냄부(41)로 인두팁(K1)을 훑음으로써, 인두팁(K1)으로부터 땜납 부스러기를 긁어내고, 인두팁(K1)을 깨끗한 상태로 클리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부스러기 받음대(20)의 울 용기(25)보다 후부는, 인두 홀더(30)에 장착된 땜 납 인두(K)의 인두팁(K1)에 임하는 회수부(26)를 구성하고 있다. 회수부(26)는, 부스러기 받음대(20)가 장착 포지션에 있을 때, 위요부(12)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며, 인두 홀더(30)에 장착된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으로부터 낙하하는 땜납 부스러기를 회수하기 위한 부위이며, 도면이 생략된 회수 용기 등을 실어 두어도 된다.
다음에, 인두 홀더(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5A~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인두 홀더(30)는, 일부가 축선 방향으로 절결되어, 유지하는 땜납 인두(K)의 방열성을 높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인두 홀더(3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된 슬리브체(50)로 구체화되어 있다. 슬리브체(50)는, 외주 슬리브(51)와, 내주 슬리브(52)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외주 슬리브(51)는, 기단 부분 외주 부위에 위치 결정용 플랜지(51a)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위치 결정용 플랜지(51a)의 전방에 형성된 둘레 홈(51b)을 경사단벽(14)의 오목부(14a)에 끼워 맞춤으로써, 위요부(1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시에 있어서, 외주 슬리브(51)는, 경사 단벽(14)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자세로 경사진다.
내주 슬리브(52)는, 외주 슬리브(51)의 자유단으로부터 내주측으로 되접어진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외주 슬리브(51)와 동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하고 있다. 또, 내주 슬리브(52)의 선단측은, 테이퍼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도시하는 대로, 내주 슬리브(52)의 둘레 벽(원호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 략 타원형의 슬릿(52a)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52a)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일례이며, 선단측의 테이퍼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 슬리브(52)의 양 슬릿(52a, 52a) 간에, 돌기(52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2b)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 인두(K)의 손잡이 부분(K2)의 전방에 형성된 플라스틱제 니플부(K3)가 내주 슬리브(32)에 면접촉한 상태로, 당해 니플부(K3)의 선단에 형성되는 견부(K4)에 맞닿아, 땜납 인두(K)의 발지(拔止)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필해야 할 점은, 양 슬리브(51, 52)에 내열성 수지로서의 프로텍트 캡(60)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텍트 캡(60)은, 전체적으로, 실리콘 고무나 바이톤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고, 양 슬리브(51, 52) 간에 압입되는 제원으로 설정된 평면에서 볼 때 C자형의 부재이며, 그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의 돌기(6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의 돌기(61)는, 모두 선단측이 본체 부분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고, 내주 슬리브(52)에 형성된 슬릿(52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압입되는 제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1의 돌기(61)의 직경 방향의 돌출 길이는, 양 슬리브(51, 52) 사이에 프로텍트 캡(60)을 압입했을 때, 같은 내경이거나, 약간의 함몰(도 8의 치수 d 참조)이 생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8의 치수 d는, 예를 들면, 0㎜~1㎜이다. 이 결과, 땜납 인두(K)를 인두 홀더(30)의 내주 슬리브(52)에 삽입할 때, 땜납 인 두(K)와 내주 슬리브(52)가 직접 접촉하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땜납 인두(K)의 열은, 보다 내주 슬리브(52)에 전파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텍트 캡(60)의 내주부 후단 부분에는, 제1의 돌기(61, 62) 간에 등간격을 두고 제2의 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돌기(62)는, 제1의 돌기(61)와 협동하여, 프로텍트 캡(60)의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의 지지점을 제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를 이용한 메뉴얼 납땜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납땜 작업에 앞서, 기대(10)의 트레이부(11)에는, 스펀지(2)를 배치하고, 트레이부(11) 내에 물을 넣어 스펀지(2)를 담그어 둔다. 기대(10)의 위요부(12)에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장착 포지션에서 잠그어 둔다. 부스러기 받음대(20) 내에는,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수용해 둔다. 기대(10)에 인두 홀더(30)를 장착해 둔다. 또한, 땜납 인두(K)의 청소에 있어서, 스펀지(2),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의 사용은, 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작업자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인두 홀더(30)의 내주 슬리브(52)로부터 삽입하고, 땜납 인두(K)를 땜납 인두대(1)에 유지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 인두(K)의 니플부(K3)는, 이 유지 상태에 있어서, 내주 슬리브(52)의 둘레 벽(원호면)과 면접촉 하고, 견부(K4)가 돌기(52b)에 착좌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 상태로 땜납 인두(K)의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땜납 인두(K)의 발열부를 발열시킨다. 땜납 인두(K)가 가열되면, 인두 홀더(30)로부터 땜납 인두(K)을 빼내고, 스펀지(2) 또는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 혹은 스펀지(2) 및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로 인두팁(K1)을 닦아 사용한다.
또한, 클리닝 창(14b)의 아래 가장자리에 설치한 패드(40)의 긁어냄부(41)로 인두팁(K1)을 닦음으로써, 인두팁(K1)을 부착한 땜납 부스러기를 확실히 긁어낼 수 있다.
다음에, 땜납 인두(K)를 피납땜 대상물에 대고, 가열 후, 릴 형상으로 권회된 실땜납을 풀어내어, 접합부에 공급하고, 여열된 기판 위에서 워크를 납땜한다. 충분히 납땜이 완성되면, 재빠르게 워크로부터 땜납 인두(K)와 땜납을 갈라 놓고, 땜납 인두(K)를 다시, 인두 홀더(30)에 삽입하여, 땜납 인두대(1)에 유지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워크가 자연 냉각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 대기 시간(통상은, 3초에서 5초 정도)동안,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은, 부스러기 받음대(20)의 회수부(26)에 임하고, 비스듬하게 늘어져 있다. 따라서, 인두팁(K1)에 남은 땜납 부스러기는, 그대로 회수부(26)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부스러기 받음대(20)가 장착 포지션에 있는 위요부(12)는, 상부의 개구(12a)를 제외하고 대체로 밀봉된 공간을 구획하고 있으므로, 만일, 인두팁(K1)의 땜납 부스러기가 땜납 볼에 비대화되고, 이 땜납 볼이 내부에서 파열되어도, 땜납 부스러기가 주위로 비산할 우려는 없다.
상술과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땜납 부스러기가, 땜납 인두대(1)의 트레이부(11)나 울 용기(25)에 축적된다.
땜납 인두대(1)의 메인트넌스시에 있어서, 트레이부(11)에 축적된 땜납 부스러기는, 스펀지(2)의 교체 등의 시에, 소정의 폐기 장소로 이관된다.
또, 울 용기(25)에 축적된 땜납 부스러기는,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의 교환 등의 시에, 도 4에 나타낸 락 스위치(24)를 밀어 넣고, 도 5A, 도 5B에 나타낸 순서로 부스러기 받음대(20)를 개방한 후, 사용이 끝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마다 소정의 폐기 장소에 이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땜납 인두의 사용시나 메인트넌스의 전체 사이클에 걸쳐서, 가급적 인두팁(K1)의 땜납 부스러기를 안전하게 회수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K)를 기대(10)에 올려 놓을 때에, 인두 홀더(30)에 땜납 인두(K)를 삽입했을 때, 인두 홀더(30)의 내주 슬리브(52)와 땜납 인두(K)가 움직이는 상태로 접촉된다. 이 때에 생기는 진동은, 내주 슬리브(52)와 외주 슬리브(5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프로텍트 캡(60)의 제1의 돌기(61)에 의해 흡수되고,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던 이음은, 생기지 않게 된다. 올려진 땜납 인두(K)의 손잡이 부분(K2)의 열은, 내주 슬리브(52)로부터 외주 슬리브(51)에 전파되고, 방열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텍트 캡(60)은, 그 내주면의 각 제1의 돌기(61, 62)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주 슬리브(52)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제2의 돌기(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의 돌기(62)와 슬릿(52a)에 압입된 제1의 돌기(61)가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내주 슬리브(52)의 지지 구조를 구성하고, 한층 더, 높은 진동 흡수 작용 내지는 방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 구조도 견고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 슬리브(52)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릿(52a)이 형성되어 있고, 프로텍트 캡(60)의 내주에는, 당해 내주 슬리브(52)의 둘레 벽과 같거나 혹은 그 둘레 벽보다 약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오목한 상태로 슬릿(52a)에 각각 압입되는 복수의 제1의 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K)를 인두 홀더(30)의 슬리브체에 삽입할 때, 땜납 인두(K)와 내주 슬리브(52)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프로텍트 캡(60)에 각 제1의 돌기(61)가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복수의 슬릿(52a)에 각각 압입되는 제1의 돌기(61)에 의해, 프로텍트 캡(60)의 내주 슬리브(52)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진동 흡수성을 높여 보다 높은 방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두 홀더(30)는, 기대(1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두 홀더(30)의 메인트넌스나, 기대(10)의 메인트넌스가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대(10)는, 인두 홀더(30)에 삽입된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포함하는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위요부(12)와, 위요부(12)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인두 홀더(30)에 삽입된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으로부터 낙하할 수 있는 땜납 부스러기를 받는 부스러기 받음대(20)와, 위요부(12)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장착 포지션과 회수한 땜납 부스러기를 폐기할 수 있도록 위요부(12)로부터 개방되는 탈착 포지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위요부(12)에 착탈하는 착탈 기구(오목 부(11b), 리브(23))와,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잠금과 더불어, 밀어 넣음 조작으로 부스러기 받음대(20)의 잠금을 해제하는 락 스위치(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두 홀더(30)에 삽입된 땜납 인두(K)의 발열부가 기대(10)의 위요부(12)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결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땜납 인두(K)를 올려 놓을 수 있다. 올려진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으로부터는, 땜납 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땜납 부스러기는,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20)에 의해 회수된다. 부스러기 받음대(20)는, 착탈 기구(오목부(11b), 리브(23))에 의해, 위요부(12)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위요부(12)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장착 포지션과 회수한 땜납 부스러기를 폐기할 수 있도록 위요부(12)로부터 개방되는 탈착 포지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착시에는, 상술과 같이, 낙하한 땜납 부스러기를 회수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개방시에는, 회수한 땜납 부스러기를 작업 책상이나 마루에 흘리는 일 없이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20)의 자세는, 락 스위치(24)에 의해, 잠기어 있으므로, 땜납 인두대(1)의 사용시에, 부스러기 받음대(20)가 뜻하지 않게 열리는 일은 없다. 한편, 이 락 스위치(24)를 밀어 넣음으로써 잠금이 해제되므로, 메인트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대(10)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청소 가능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수용하는 울 용기(25)와, 울 용기(25)에 수용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개방하는 클리닝창(14b)과, 클리닝창(14b)의 아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당해 클리닝창(14b)의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긁어냄부(41)를 가지는 내열 수지제의 패드(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클리닝창(14b)으로부터 울 용기(25)에 삽입하여 울 용기(25) 내의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로 효율적으로 인두팁(K1)을 클리닝할 수 있다. 그 때, 클리닝창(14b)의 아래 가장자리에 설치된 긁어냄부(41)로 인두팁(K1)을 쓸어냄으로써, 또한, 효율적으로 인두팁(K1)의 땜납 부스러기를 긁어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스러기 받음대(20)는, 탈착 포지션에 있어서, 위요부(12)와 분리할 필요는 없고, 경첩 형상으로 연결된 것, 혹은, 서랍 형식이어도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부스러기 받음대(20)를 기대(10)의 위요부(12)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부스러기 받음대(20)만을 폐기 장소에 반송하여, 땜납 부스러기의 폐기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폐기 처리의 작업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인두 홀더(30)의 슬리브체는, 외주 슬리브(51)와 내주 슬리브(52)가 분리된 것이어도 된다. 단, 양 슬리브(51, 52)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용량을 높일 수 있고, 방열 기능의 점에서 유리하다. 또, 짜넣음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인두 홀더(30)는, 외주 슬리브와 내주 슬리브의 구별이 없는 한층의 슬리브체여도 된다. 또, 탄성체로서의 제1의 돌기(61)는, 프로텍트 캡(60)에 일체 화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으로 점재(點在)하는 피스 형상의 내열성 고무를 오목부에 끼워넣은 것이어도 된다.
또, 오목부는, 슬릿(52a)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 형상이어도 된다. 또, 내주 슬리브를 관통하고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바닥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10A~도 10D를 참조하여, 긁어냄부(41)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는, 도 10A에 나타내는 직선 형상의 것, 도 10B에 나타내는 경사진 형상, 도 10C에 나타내는 물결 형상(잔물결 형상 또는, 정현파 형상)의 것, 단면이 삼각형의 산 형상의 것 등, 여러 가지의 변갱이 가능하다. 긁어냄부(41)나 제1의 돌기(61)는, 통상 「물건의 길이에 따라 연장하는 융기한 것」(an elongated elevation running the of an object)이라고 하는 의미로 이용되는 「리브」여도 된다. 이 의미에 있어서, 긁어냄부(41), 제1의 돌기(61)는, 돌기물, 돌출물, 융기물, 등등, 여러 가지의 형태를 포함한다. 긁어냄부(41)는, 직선 형상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위 가장자리가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또, 리브(23), 긁어냄부(41), 제1의 돌기(61)의 형상, 치수, 융기의 정도, 돌출의 정도 등, 이들 부재(23, 41, 61)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의 제원은, 당해 부재(23, 41, 61)가 상술한 기능, 목적, 효과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업자가 적절히, 상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기대와, 기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대에 유지되는 땜납 인두를 받치는 원호면을 가지는 인두 홀더를 구비한 땜납 인두대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에는, 상기 원호면의 둘레 방향에 설치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오목부에는, 내열성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이다. 이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를 기대에 올려 놓을 때에, 인두 홀더에 땜납 인두를 삽입했을 때, 인두 홀더의 원호면과 땜납 인두가 움직이는 상태로 접촉된다. 이 때에 생기는 진동은, 내열성의 탄성체에 의해 흡수되고,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던 이음은, 생기지 않게 된다. 올려진 땜납 인두의 손잡이 부분의 열은, 인두 홀더에 전파되고, 방열된다. 상기 「원호면」은, 원통 형상 또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슬리브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체화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원호면과 같거나 혹은 상기 원호면보다 약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오목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각각 압입되는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를 인두 홀더의 슬리브체에 삽입했을 때, 땜납 인두와 인두 홀더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오목은, 예를 들면, 0mm~1mm의 깊이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는, 기단측이 기대에 고정되는 외주 슬리브, 및 상기 외주 슬리브의 선단 내주부에 동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로서의 슬릿이 형성된 둘레 벽이 원호면으로서 설치된 내주 슬리브를 가지는 금속제 슬리브체이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금속제 슬리브체의 상기 내주 슬리브와 상기 외주 슬리브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내열성 수지에 일체 성형되어 상기 슬릿에 압입되는 제1의 돌기이다.
이 형태에서는, 탄성체를 단일 부재인 내열성 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짜넣음 등의 취급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복수의 오목부로서의 슬릿에 각각 압 입되는 제1의 돌기에 의해, 내열성 수지의 내주 슬리브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진동 흡수성을 높여 보다 높은 방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는, 그 내주면의 각 제1의 돌기간에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주 슬리브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제2의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제2의 돌기와 오목부에 압입된 제1의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내주 슬리브의 지지 구조를 구성하고, 보다 더, 높은 진동 흡수 작용 내지는 방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 구조도 견고해진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는, 상기 기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인두 홀더의 메인트넌스나, 기대의 메인트넌스가 용이해진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상기 인두 홀더에 삽입된 땜납 인두의, 인두팁을 포함하는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위요부와, 상기 위요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두 홀더에 삽입된 땜납 인두의 인두팁으로부터 낙하할 수 있는 부스러기를 받는 부스러기 받음대와, 상기 위요부 내에서 상기 땜납 부스러기를 회수하는 장착 포지션과 회수한 상기 땜납 부스러기를 폐기할 수 있도록 상기 위요부로부터 개방되는 탈착 포지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부스러기 받음대를 상기 위요부에 착탈하는 착탈 기구와, 상기 장착 포지션에 있는 상기 부스러기 받음대를 잠금과 더불어, 밀어 넣음 조작으로 부스러기 받음대의 잠금을 해제하 는 락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인두 홀더에 삽입된 땜납 인두의 발열부는, 기대의 위요부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이 결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땜납 인두를 올려 놓을 수 있다. 올려진 땜납 인두의 인두팁으로부터는, 땜납 부스러기가 낙하하거나, 인두팁의 땜납 부스러기가 땜납 볼에 비대화되고, 이 땜납 볼이 내부에서 파열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땜납 부스러기는,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에 의해 회수되고, 땜납 부스러기가 주위로 비산할 우려는 없다. 부스러기 받음대는, 착탈 기구에 의해, 위요부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위요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장착 포지션과 회수한 땜납 부스러기를 폐기할 수 있도록 위요부로부터 개방되는 탈착 포지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착시에는, 상술과 같이, 낙하한 땜납 부스러기를 회수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개방시에는, 회수한 땜납 부스러기를 작업 책상이나 마루에 흘리는 일없이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장착 포지션에 있는 부스러기 받음대의 자세는, 락 스위치에 의해, 잠기어 있으므로, 땜납 인두대의 사용시에, 부스러기 받음대가 뜻하지 않게 열리는 일은 없다. 한편, 이 락 스위치를 밀어 넣음으로써 락이 해제되므로, 부스러기 받음대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땜납 인두의 인두팁를 청소 가능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을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을 개방하는 클리닝창과, 상기 클리닝창의 아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당해 클리닝창의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긁어냄부를 가지는 내열 수지 제의 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땜납 인두의 인두팁를 클리닝창으로부터 수용실에 삽입하여 수용실 내의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로 효율적으로 인두팁를 클리닝할 수 있다. 그 때, 클리닝창의 아래 가장자리에 설치된 긁어냄부로 인두팁을 쓸어냄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인두팁의 땜납 부스러기를 긁어낼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의 긁어냄부는, 클리닝창의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융기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선 형상 융기 부위, 만곡 형상 융기 부위, 물결 형상 융기 부위, 단면 삼각형 형상 융기 부위 등,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에 관련되는 땜납 인두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땜납 인두대의 외관도이며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그 땜납 인두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그 땜납 인두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그 땜납 인두대의 단면도이며, 도 5A는 부스러기 받음대를 장착 포지션으로부터 떨어뜨리는 과정의 도면이며, 도 5B는 부스러기 받음대의 탈착 포지션의 일례로서 부스러기 받음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인두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6B는,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그 인두 홀더의 내열성 수지로서의 프로텍트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그 인두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그 인두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0A~도 10D는, 본 발명의 땜납 인두대에 적용 가능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땜납 인두대 20:부스러기 받음대
2:내열 스펀지 21:대좌
3: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 23:리브
10:기대 24:락 스위치
11:트레이부 24a:걸어맞춤 클로우
11a:스펀지대 25:울 용기(수용기의 일례)
11b:오목부 26:회수부
12:위요부 30:인두 홀더
12a:개구 32:내주 슬리브
14:경사단벽 40:패드
14a:오목부 41:긁어냄부
14b:클리닝창 50:슬리브체
15:후벽 51:외주 슬리브
15a:절결 51a:위치 결정용 플랜지
15b:걸어맞춤 돌기 51b:둘레 홈
52:내주 슬리브 K3:플라스틱제 니플부
52a:슬릿(오목부의 일례) K:땜납 인두
52b:돌기 K1:인두팁
60:프로텍트 캡 K2:손잡이 부분
61:제1의 돌기(탄성체의 일례) K4:견부
62:제2의 돌기

Claims (7)

  1. 기대(10)와, 기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대(10)에 유지되는 땜납 인두(K)를 받치는 원호면을 가지는 인두 홀더(30)를 구비한 땜납 인두대(1)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30)에는, 상기 원호면의 둘레 방향에 설치된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오목부(52a)에는, 내열성의 탄성체(6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1)는, 상기 원호면과 같거나 혹은 상기 원호면보다 약간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오목한 상태로 상기 오목부(52a)에 각각 압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30)는, 기단측이 기대(10)에 고정되는 외주 슬리브(51), 및 상기 외주 슬리브(51)의 선단 내주부에 동심(同心)으로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로서의 슬릿(52a)이 형성된 둘레 벽이 원호면으로서 설치된 내주 슬리브(52)를 가지는 금속제 슬리브체이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금속제 슬리브체의 상기 내주 슬리브(52)와 상기 외주 슬리브(5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내열성 수지(60)에 일체 성형되어 상기 슬릿(52a)에 압입되는 제1의 돌기(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수지(60)는, 그 내주면의 각 제1의 돌기(61)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주 슬리브(52)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제2의 돌기(6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두 홀더(30)는, 상기 기대(1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10)는,
    상기 인두 홀더(30)에 삽입된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포함하는 발열 부분을 둘러싸는 위요부(圍繞部)(12)와,
    상기 위요부(12)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두 홀더(30)에 삽입된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으로부터 낙하할 수 있는 땜납 부스러기를 받는 부스러기 받음대(20)와,
    상기 위요부(12) 내에서 상기 땜납 부스러기를 회수하는 장착 포지션과 회수 한 상기 땜납 부스러기를 폐기할 수 있도록 상기 위요부(12)로부터 개방되는 탈착 포지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상기 위요부(12)에 착탈하는 착탈 기구(11b, 23)와,
    상기 장착 포지션에 있는 상기 부스러기 받음대(20)를 잠금과 더불어, 밀어넣음 조작으로 부스러기 받음대(20)의 잠금을 해제하는 락 스위치(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10)는,
    땜납 인두(K)의 인두팁(K1)을 청소 가능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을 수용하는 수용실(25)과,
    상기 수용실(25)에 수용된 가는 띠 형상의 금속편 울(3)을 개방하는 클리닝 창(14b)과,
    상기 클리닝 창(14b)의 아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당해 클리닝 창(14b)의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긁어냄부(41)를 가지는 내열 수지제의 패드(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인두대(1).
KR1020090066900A 2008-10-31 2009-07-22 땜납 인두대 KR101520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0823 2008-10-31
JP2008280823A JP5203137B2 (ja) 2008-10-31 2008-10-31 はんだ鏝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61A true KR20100048861A (ko) 2010-05-11
KR101520501B1 KR101520501B1 (ko) 2015-05-14

Family

ID=4150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900A KR101520501B1 (ko) 2008-10-31 2009-07-22 땜납 인두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6855B2 (ko)
EP (1) EP2181794B1 (ko)
JP (1) JP5203137B2 (ko)
KR (1) KR101520501B1 (ko)
CN (3) CN201586811U (ko)
AT (1) ATE522308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135B1 (ko) * 2008-07-29 2009-08-27 차종대 치과기공용 유도식가열기
US9289840B1 (en) * 2009-09-23 2016-03-22 Laura B. Jacobs Wax shaping tool heating assembly
GB2488323A (en) * 2011-02-22 2012-08-29 Grey Circle Ltd Tattooing machine stand with removable cartridge
US9333595B2 (en) * 2012-07-11 2016-05-10 George Bertolotti Tool holder
JP1532998S (ko) * 2014-12-17 2015-09-07
CN104625306B (zh) * 2015-01-26 2016-07-27 临沂大学 快速加热冷却安全电烙铁收纳盒
JP6279537B2 (ja) * 2015-12-09 2018-02-14 白光株式会社 支持台及び加熱工具セット
CN107695477B (zh) * 2016-08-08 2022-03-11 白光株式会社 去除具
CN106312223B (zh) * 2016-10-21 2018-07-24 昆明理工大学 一种电烙铁清洗装置
EP3532232A4 (en) 2016-10-26 2020-07-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ELDING TOOL
TWM540001U (zh) * 2016-10-26 2017-04-21 Micronami Technology Co Ltd 多功能焊槍檯
JP6727611B2 (ja) * 2016-11-14 2020-07-22 株式会社ジャパンユニックス はんだ鏝用鏝先クリーナー
CN107322124A (zh) * 2017-02-10 2017-11-07 佛山常百乐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电烙铁承载装置
US10507541B2 (en) 2017-02-14 2019-12-17 John Nelson Soldering jig assembly
WO2018209245A1 (en) * 2017-05-12 2018-11-15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Biopsy device with tip protector and mounting apparatus
USD852596S1 (en) 2017-10-26 2019-07-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oldering tool
USD832322S1 (en) * 2017-11-27 2018-10-30 Guangzhou Yihua Electronic Equipment Co., Ltd. Soldering iron holder
JP1618542S (ko) * 2018-05-23 2018-11-19
CN110877135A (zh) * 2019-12-11 2020-03-13 株洲广锐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加工用锡焊台
USD949657S1 (en) * 2020-04-27 2022-04-26 Guangzhou Yihua Electronic Equipment Co., Ltd. Soldering iron holder
US11517971B2 (en) * 2020-05-12 2022-12-06 Hakko Corporation Support stand for heating tools
USD969892S1 (en) * 2021-04-26 2022-11-15 JBC Soldering S.L. Soldering station
USD973739S1 (en) * 2021-04-26 2022-12-27 JBC Soldering S.L. Soldering iron
USD970323S1 (en) * 2021-05-07 2022-11-22 Desheng Wang Hot glue gun with stand
USD978939S1 (en) * 2021-05-18 2023-02-21 JBC Soldering S.L. Soldering paste dispenser
WO2023003860A1 (en) * 2021-07-21 2023-01-26 Apex Brands Inc. Soldering station with iron holder
USD1001610S1 (en) * 2021-10-21 2023-10-17 JBC Soldering S.L. Support for soldering ir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9791A (en) * 1969-06-02 1971-10-05 Pace Inc Cleaning unit and stand
US3705680A (en) * 1970-06-08 1972-12-12 William Jordan Siegel Tool holder
US3990623A (en) * 1975-03-28 1976-11-09 Fortune William S Holder system for soldering instrument
JPS5440433Y2 (ko) * 1976-08-03 1979-11-28
JPS5498064U (ko) * 1977-12-21 1979-07-11
JPS5628804A (en) * 1979-08-17 1981-03-23 Kazuhide Sakurada Chisel for breaker with silencer
DE3010862A1 (de) * 1980-03-21 1981-10-01 Otto 6900 Heidelberg Mutschler Aufnahme- und haltebox fuer tuschefueller
US4456816A (en) * 1981-02-23 1984-06-26 Fortune William S Holder for electrically heated instruments and the like
CH662521A5 (de) * 1984-09-21 1987-10-15 Elvo Ag Einrichtung zum reinigen von loetkolbenspitzen.
JPS642729Y2 (ko) * 1984-11-13 1989-01-24
JPS6229863U (ko) * 1985-08-03 1987-02-23
JPS6294825U (ko) * 1985-12-05 1987-06-17
JPS6385374U (ko) * 1986-11-25 1988-06-03
US4999480A (en) * 1989-03-03 1991-03-12 Soldering Tool Reconditioning, Inc. Holder with automatic timed shut-off for large tipped electric soldering irons
US5090649A (en) * 1990-03-27 1992-02-25 Tipp Charles S Portable support for curling iron
US6123299A (en) * 1999-07-01 2000-09-26 Zach, Sr.; Howard L. Electrical outlet curling iron
JP2002096163A (ja) * 2000-09-19 2002-04-02 Hokkaido Olympia Kk 半田付け作業装置
US6907730B2 (en) * 2001-06-28 2005-06-21 Global Cooling Bv Displacer and seal assembly for stirling cycle machines
US6585210B1 (en) * 2002-06-19 2003-07-01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Secure pen holding mechanism
JP2005111496A (ja) 2003-10-03 2005-04-28 Taiyo Denki Sangyo Kk はんだこてクリーナおよびはんだこて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6855B2 (en) 2012-10-02
US20100108827A1 (en) 2010-05-06
KR101520501B1 (ko) 2015-05-14
EP2181794B1 (en) 2011-08-31
ATE522308T1 (de) 2011-09-15
EP2181794A1 (en) 2010-05-05
JP2010105032A (ja) 2010-05-13
JP5203137B2 (ja) 2013-06-05
CN201603931U (zh) 2010-10-13
CN101733502A (zh) 2010-06-16
CN201586811U (zh) 2010-09-22
CN101733502B (zh)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8861A (ko) 땜납 인두대
JP4598585B2 (ja) はんだ除去器具
JP2005144199A (ja) ハンディモップ
EP0568650A4 (en) Apparatus for destroying hypodermic needles
JP2008036214A (ja) 電気掃除機
US7870990B2 (en) Cleaning a hot soldering iron tip using dry melamine sponge
JPH11332926A (ja) 使用済注射針抜脱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使用済注射針廃棄処理容器
JP2006034066A (ja) 携帯端末装置
JP3757942B2 (ja) バックアップ用電池の取付構造を有する装置
CN211414506U (zh) 一种自动除尘回收装置
JPS5925519Y2 (ja) パイプ・クリ−ナ
CN214855029U (zh) 一种清洁块及清洁刷
KR200157237Y1 (ko) 일회용 가스통의 잔류가스 제거장치
JP2006296987A (ja) 注射針安全器具
JP2002177164A (ja) 手乾燥装置
JP2003225163A (ja) 加熱調理器具
KR0121845Y1 (ko) 탈 이착이 용이한 덕트그릴
JP2007205107A (ja) 尿垂れ防止機能付き洋風便器及びその尿垂れ防止具
KR20230102371A (ko) 배수 구조를 가지는 철판 구이기
KR0138167Y1 (ko) 오염방지용 토너카트리지
JP4798392B2 (ja) シュレッダー回収箱のアタッチメント
JP2006166883A (ja) 紙巻きタバコ消火用灰皿
KR200143978Y1 (ko) 이산화탄소 아아크 용접기용 토오치의 청소장치
KR100428473B1 (ko) 전선 튐 방지형 니퍼
JP3912188B2 (ja) 浴室ユニットのエプロン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