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729A -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729A
KR20100048729A KR1020080108012A KR20080108012A KR20100048729A KR 20100048729 A KR20100048729 A KR 20100048729A KR 1020080108012 A KR1020080108012 A KR 1020080108012A KR 20080108012 A KR20080108012 A KR 20080108012A KR 20100048729 A KR20100048729 A KR 2010004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
logistics
hinterlan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보
Original Assignee
부산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항만공사 filed Critical 부산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08010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8729A/ko
Publication of KR2010004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체에 대한 통합적인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물류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항만배후단지에서의 물류업무에 대한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관세청, 세관과 같은 유관기관 시스템 및 입주기업체 시스템과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관리주체(부산항만공사와 같은 관리업체)의 메인서버를 통해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에서 진행되는 항만, 선사, 화주 및 이용자간 물류의 입출, 흐름, 통계(현황) 등의 제반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항만배후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물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 대한 서비스를 극대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PORT HINTERLAND LOGISTICS 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세청, 세관과 같은 유관기관 시스템 및 입주기업체 시스템과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관리주체의 메인서버를 통해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에서 진행되는 항만, 선사, 화주 및 이용자간 물류의 입출, 흐름, 통계(현황) 등의 제반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항만배후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물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 대한 서비스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활동의 세계화로 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고, 기업들은 세계 각국의 주요 지역에 생산 및 물류거점을 구축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산완료된 상품을 소비자까지 유통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물류 시스템뿐만아니라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류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각 국은 국가간 물류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물류 시스템의 구축을 시도하고 있고, 최근 이와 같은 물류 시스템의 핵심으로 항만배후단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즉, 무역항의 항만구역 및 임항구역 안에서 지원시설과 항만친수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할 수 있는 항만배후단지를 통해 항만의 부가가치 및 항만관련 산업활동을 증진하고 항만을 이용하는 자의 편익을 향상시키므로써, 국가간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항만배후단지의 주요 입주기업체는 필요한 조건에 부합되는 세계 각 국에 생산 및 물류거점을 구축하여 국가간 물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물류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 미흡한 실정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07397호 "무역서식 전자문서 및 전자문서교환방식에 의한무역자동화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무역서식을 전자 문서로 만들어 컴퓨터 및 통신장치와 연계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무역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4414호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은 배차 및 정산업무가 인터넷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고, 재고관리,수량,정산,매출확인,거래명세서 발급등에 관련된 제반 정보,화물의 위치정보가 관리회사의 웹서버를 통하여 화주에게 실시간 제공되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30482호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방법"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적으로 선주나 화주로부터 선박정보와 화물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선주나 화주의 요구에 따라 선박/화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09238호 "FM DARC와 이동통신을 이용한 항만물류관제 및교통정보제공시스템"은 항만물류 관제에 있어서, GPS 수신기만으로 측정한 차량의 위치정보에 FM DARC 부가방송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DGPS 데이터를 적용하여 정확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얻고, 이러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항만물류관제센터로 전송하여 효율적인 물류관제가 가능하게 하고, 전송된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수집하고 분석·가공하여 시간별, 도로별, 차량별 운행속도와 도로정체상황 구간별 속도정보와 같은 교통정보를 FM DARC로 방송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117320호 "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물류 협업을 위한 정보 공유 및통합 방법 및 시스템"은 운항 선사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입항 모선에 대한 기초 본선적부도(BAYPLAN) 전자 문서, 모선 기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운항 선사 담당자 로부터 조인트 선사 담당자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모선 기초 정보를 하나 이상의 조인트 선사 담당자에 상응하는 전자 문서 계정 또는 팩스 단말기로 전송하며, 조인트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정보 개별확정 요청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운항 선사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최종 확정 요청이 수신되면, 컨테이너 최종 확정 요청에 상응하도록 갱신 본선적부도 전자 문서를 생성하여 상응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또는 일반부두의 담당자에 상응하는 전자 문서 계정 또는 팩스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19930호 "웹기반의 해운 포워더 방법"은 페이퍼 워크 작업을 시스템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그에 따른 업무 처리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70656호 "컨테이너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장치장 관리 시스템"은 수출, 수입, 환적을 목적으로 게이트-장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컨테이너의 반·출입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야적장내의 컨테이너 위치를 추적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69069호 "관세자유지역내 물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물류동 차량에 부착되어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는 차량 위치 측정 단말기와, 이 차량 위치 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가공·처리하는 차량 통제부로 구성되고, 차량 통제부는, 관세 자유지역의 지도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차량의 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실시간으로 물류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좌표계를 변환하는 변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기업의 물류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수출입통관 등 어느 특정 영역에 제한되는 기술들이기 때문에 주로 국가간 생산 또는 물류 거점을 확보하여 상품의 생산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을 총체적으로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국가간 생산 및 물류거점을 구축하여 국가간 물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하는 기업들에 대한 만족스러운 물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물류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체에 대한 통합적인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물류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업무에 대한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관세청, 세관과 같은 유관기관 시스템 및 입주기업체 시스템과 연계되도록 구성되는 관리주체(부산항만공사와 같은 관리업체)의 메인서버를 통해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에서 진행되는 항만, 선사, 화주 및 이용자간 물류의 입출, 흐름, 통계(현황) 등의 제반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항만배후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물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 대한 서비스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주기업체의 단말기(40) 및 유관기관의 단말기(42)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20)를 통해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진행되는 물류의 입출 및 흐름, 통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를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정보, 공동시설, 임대계약, 공공비용, 납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운영지원관리서버(22)와, 상기 항만배후단지로 내의 창고의 입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창고관리서버(24)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반입물량정보, 반출물량정보, 재고정보, 입주기업체의 반출입 정보, 입주기업체의 재고정보, 통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물류통계관리서버(26)로 이루어져, 항만으로부터 상기 입주기업체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와 상기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으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를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및 포워더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및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고정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휴대용 단말기(68)로 이루어지는 물류장비단말기(6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운송중인 제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진행되는 물류의 입출 및 흐름, 통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서버(20)와; 상기 메인서버(20)와 접속되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를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단말기(30)와; 상기 메인서버(20)와 네크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단말기(40)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상기 입주기업체의 물류에 대한 통관처리를 위한 유관기관의 단말기(42)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20)로 항만으로부터 상기 입주기업체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와 상기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으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를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및 포워더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 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및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정보, 공동시설, 임대계약, 공공비용, 납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운영지원관리서버(22)와, 상기 항만배후단지로 내의 창고의 입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창고관리서버(24)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반입물량정보, 반출물량정보, 재고정보, 입주기업체의 반출입 정보, 입주기업체의 재고정보, 통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물류통계관리서버(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서버(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고정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휴대용 단말기(68)로 이루어지는 물류장비단말기(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물류장비단말기(60)를 통해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운송중인 제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체에 통합적인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제공되므로 항만배 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물류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고 관리할 수 있어 항만배후단지내의 물류업무에 대한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체에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통합적인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제공되는 관리주체의 메인서버가 관세청, 세관과 같은 유관기관 단말기, 화주단말기, 운송회사 단말기, 선사 단말기, 포워더 단말기와 접속되어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물류절차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항만배후단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물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 대한 서비스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진행되는 물류의 입출 및 흐름, 통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10)은 입주기업체의 단말기(40) 및 유관기관의 단말기(42)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항만배후단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주체(부산항만공사)는 메인서버(20)와 네트워크(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용 네트워크를 적용한다)를 통해 접속되는 관리주체의 단말기(30)를 통해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관리되도록 한다. 이때, 도 1에서 관리주체 단말기(30)는 메인서버(20)에 접속되어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주체 단말기(30)는 자체적으로 인터넷 통신을 통해 입주기업체 단말기(4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메인서버(20)를 제외한 다른 접속장치는 단말기로 지칭하였으나, 이와 같은 단말기{단, 물류장비 단말기(60)는 제외}는 통상 인터넷 또는 전용회선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고, 메인서버(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10)은 항만배후단지내에 입주하는 입주기업체에 대한 제반의 물류정보{입출입을 위한 통관절차, 운송절차, 창고보관절차, 입주기업체내에서 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작동되므로써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 처리하는 운영지원관리서버(22), 창고관리서버(24) 및 물류통계 관리서버(26)를 구비하는 메인서버(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메인서버(20)는 관리주체 단말기(30)뿐만아니라 인터넷 통신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입주기업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물류장치의 각 단말기(40, 42, 44, 46, 48, 50, 6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각 해당 프로그램의 구동을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들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입주기업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는 관리주체가 제한하는 범위내에서 정보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입주기업체에 대한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부산신항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항만배후단지내에 입주하여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입주기업체에 필요한 물류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컨대, 도 2에서 보인 부산신항의 경우, 현재 남항, 서항, 북항으로 구분되고, 각 항만에는 배후단지가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이와 같이 항만배후단지에 입주하여 영업활동을 행위를 갖는 입주기업체가 항만과 배후단지(입주기업체) 사이의 물류를 통해 제품을 입출입하는 전반의 물류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 템(10, 도 1 참조)은 항만으로부터 배후단지의 모든 지역에 걸쳐 물류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항만 통관절차를 포함하여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물류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류장비단말기(60)가 제공되는데, 이 경우 다양한 단말기는 해당 운송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비가 되어야 한다. 예컨대, 통관 게이트 단말기(64)의 경우 항만, 창고의 입출입시 해당 제품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메인서버(2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를 위해 항만, 창고의 게이트에는 이를 위한 단말기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단말기의 설치는 이 분야에서 이미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항만의 통관 절차시 발생되는 관세청, 세관 등의 개입 및 이에 따른 절차상 필요한에 따른 관련기술, 항만으로부터 항만배후단지내 입주기업체로의 운송과정(또는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까지의 운송과정)에서 창고와 관련된 입출입 절차와 관련된 기술, 통관 및 물류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서를 전자화하여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 운송중(물류과정)중인 제품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기술 등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지원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창고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통계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장비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주체단말기의 정보처리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통계관리서버를 통한 정보처리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숙지한 상태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10)은 운영지원관리서버(22), 창고관리서버(24) 및 물류통계관리서버(26)를 구비하는 메인서버(20)와, 메인서버(20)와 접속되어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관리되도록 하기 위한 관리주체 단말기(30), 인터넷 통신망, 이동통신망{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류장비 단말기(60)에서 운송장비 단말기(62) 및 휴대용 단말기(68)가 적용될 수 있다} 등의 네 트워크를 통해 메인서버(20)에 접속되는 입주기업체의 단말기(40), 유관기관의 단말기(42), 화주 단말기(42), 운송회사 단말기(44), 선사 단말기(46), 포워더(Forwarder) 단말기(48) 등으로 이루져 항만으로부터 입주기업체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와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으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를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및 포워더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및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유관기관의 하나인 관세청의 경우 반입확인등록, 반출확인등록, 재고 및 실적정보, Vanning정보, 컨테이너정보 수입신고자료, 수출신고자료, 반입예정정보, 반출승인정보, 통관처리와 관련된 정보이고, 화주인 경우 정산내역/계산서, 재고 및 실적정보, 외부창고재고정보, 화물정보, 입고의뢰, 출고의뢰이며, 운송회사의 경우 출고운송요청, 반입운송요청, Stuffing 운송요청, 운송진행에 대한 정보이며, 선사인 경우 입고일, 출고일, CNTR정보, 화물정보, Stuffing 작업요청, Booking 정보, D/O 등의 정보이고, 포워더(Forwarder)의 경우 입고일, 출고일, CNTR정보, 화물정보, Stuffing 작업요청, Booking 정보, D/O 정보 등이 된다.
이때, 운영지원관리서버(2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정보, 공동시설, 임대계약, 공공비용, 납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입주기업체 정보관리 프로그램, 공동시설관리 프로그램, 임대계약관리 프로그램, 공공비용 고지관리 프로그램, 납부정보관리 프로그램, 민원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여기서, 입주기업체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고객정보 등록/수정/조회, 건물정보 등록/수정/조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입주기업체 정보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공동시설관리 프로그램은 공동시설 등록/수정조회. 시설보수 관리, 공동유지비 등록/출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공동시설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임대계약 관리 프로그램은 항만배후단지내의 건물에 대한 임대계약 등록 관리, 임대료 입력/조회/선정내역, 임대료 고지서 출력/발송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임대계약 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공공비용 고지관리 프로그램은 공공비 고지설정 관리, 고지내역 등록/수정/조회, 고지서 발송관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공공비용 고지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납부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납부고지(세부)조회, 미납정보(세부)조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납부정보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민원관리 프로그램은 공동시설 사용신청, 공동시설 유지보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민원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발행관리 프로그램은 입주확인증 발급관리, 거래명세서 관리, 세금계산서 관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발행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운영지원관리서버(22) 및 그에 탑재되는 프로그램들은 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통계 및 데이터 변환/갱신을 위한 처리과정을 갖는다.
또한, 창고관리서버(24)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만배후단지로 내의 창고의 입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정보관리 프로그램, 입고관리 프로그램, 출고관리 프로그램, 재고관리 프로그램, 스터핑(Stuffing)관리 프로그램, 유통가공관리 프로그램, 창고효율화 프로그램, EDI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여기서, 기초정보관리 프로그램은 거래처 관리, 제품관리, 장치장/로케이션 관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기초정보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입고관리 프로그램은 입하의뢰/입하지시, 입고검품/입고확정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입고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출고관리 프로그램은 출고의뢰/출고지시, Wave Planning, 출하확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출고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재고관리 프로그램은 재고조회/재고이동, 재고실사/재고조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재고관리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스터핑(Stuffing)관리 프로그램은 Container Loading Plan, (De)Stuffing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스터핑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유통가공관리 프로그램은 Labeling/Packing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유통가공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창고효율화 프로그램은 Storage Optimizer, 유통가공/조립/해체, Activity관리/성과측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창고효율화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EDI관리 프로그램은 기초정보 관리, 통관 관리, 보세장치장/세관, 자유무역지역/세관, 실적관리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EDI 데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 다.
또한, 물류통계관리서버(26)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만배후단지내의 반입물량정보, 반출물량정보, 재고정보, 입주기업체의 반출입 정보, 입주기업체의 재고정보, 통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반입물량 정보관리 프로그램, 반출물량 정보관리 프로그램, 재고정보관리 프로그램,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정보관리 프로그램,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세부관리 프로그램, 통계정보 생성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여기서, 반입물량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반입물량 정보조회, 반출물량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반출물량 정보조회, 재고정보관리 프로그램은 재고 정보조회,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입주기업별 물량조회(반입/반출/재고),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세부관리 프로그램은 입주기업별 물량 세부조회(반입/반출/재고)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반입물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반출물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재고정보 데이터베이스,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데이터베이스, 입주고객 반출입/재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통계정보 생성 프로그램은 통계자료 생성(반입/반출/재고), 반출물입량 비교통계 생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처리에 따른 통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만배후단지내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고정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휴대용 단말기(68)로 이루어 지는 물류장비단말기(60)가 메인서버(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운송중인 제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한다. 즉, 항만으로부터 통관절차가 완료된 제품의 이송경로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운송차량에 배치되는 GPS 등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항만, 창고, 입주기업체를 연결하는 도로주변에 설치되는 고정 RFID 단말기(66) 등을 통해 획득하도록 하고, 스캐너, PDA 등의 휴대용 단말기(68)를 통해 제품의 하역, 보관 중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물류장비단말기(60)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해서는 이와 관련된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주체는 관리주체 단말기(30)를 통해 메인서버(20)의 컨텐츠(홍보관련정보, 민원/이슈관련정보, 고객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및 마이페이지, 사용자관리 등)를 관리하고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리주체 단말기(30)는 메인서버(20)와 별도로 인터넷 통신을 통해 입주기업체 단말기(40) 및 일반사용자의 단말기와 접속될 수 있도록 별도의 웹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입주기업체의 물류관련 사항을 제외한 민원신청은 관리주체 단말기(30)를 통해 접수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의 한정적 정보조회도 관리주체 단말기(3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관리주체 단말기(30)를 통해 입주기업체가 신청한 민원은 메인서버(20)로 전송되어 처리되도록 하고, 메인서버(20)는 이를 항만관리사무소 단말기로 전송되어 처리되도록 하며, 그 처리결과가 메인서버(20)로 전송되었을 때 이를 관리주체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하여 그 처리결과를 입주기업체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메인서버(20)는 전자금융서비스업체와 접속되어 민원에 따른 비용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류통계관리서버(26)에서 입주기업체가 단말기(40)를 통해 입출고의뢰가 이루어진 경우를 보면, 물류통계관리서버(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한 관련 프로세스를 처리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물류통계관리서버(26)는 수배송관리시스템(TMS), 세관과 연계되어 입출고업무가 진행되도록 하여 그 결과를 처리하게 된다. 물류통계관리서(26)를 통해 입주기업체의 입출고의뢰가 처리되면, 입주기업체에 처리결과와 관련된 내역 및 계산서를 입주기업체 단말기(40)로 전송하는 동시에 입주업체의 재고 및 실적현황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부산신항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운영지원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창고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통계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장비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주체단말기의 정보처리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물류통계관리서버를 통한 정보처리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20 : 메인서버 22 : 운영지원관리서버
24 : 창고관리서버 26 : 물류통계관리서버
30 : 관리주체단말기 40 : 유관기관 단말기
42 : 화주 단말기 44 : 운송회사 단말기
46 : 선사 단말기 48 : 포워더 단말기
60 : 물류장비 단말기 62 : 운송장비 단말기
64 : 통관 게이트 단말기 66 : 고정 RFID 리더
68 : 휴대용 단말기

Claims (7)

  1.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주기업체의 단말기(40) 및 유관기관의 단말기(42)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20)를 통해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진행되는 물류의 입출 및 흐름, 통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를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가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정보, 공동시설, 임대계약, 공공비용, 납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운영지원관리서버(22)와, 상기 항만 배후단지로 내의 창고의 입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창고관리서버(24)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반입물량정보, 반출물량정보, 재고정보, 입주기업체의 반출입 정보, 입주기업체의 재고정보, 통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물류통계관리서버(26)로 이루어져, 항만으로부터 상기 입주기업체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와 상기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으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를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및 포워더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및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고정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휴대용 단말기(68)로 이루어지는 물류장비단말기(6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운송중인 제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방법.
  5. 항만배후단지의 입주기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 스템에 있어서,
    자동화, 통합화 및 표준화된 물류 처리 및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진행되는 물류의 입출 및 흐름, 통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서버(20)와;
    상기 메인서버(20)와 접속되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를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단말기(30)와;
    상기 메인서버(20)와 네크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단말기(40)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상기 입주기업체의 물류에 대한 통관처리를 위한 유관기관의 단말기(42)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20)로 항만으로부터 상기 입주기업체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와 상기 입주기업체로부터 항만으로 이루어지는 물류정보를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및 포워더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입주기업체, 관리주체, 유관기관, 화주, 운송회사, 선사, 포워더 및 일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입주기업체 정보, 공동시설, 임 대계약, 공공비용, 납부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운영지원관리서버(22)와,
    상기 항만배후단지로 내의 창고의 입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창고관리서버(24) 및,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반입물량정보, 반출물량정보, 재고정보, 입주기업체의 반출입 정보, 입주기업체의 재고정보, 통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물류통계관리서버(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의 운송장비 단말기(62), 통관 게이트 단말기(64), 고정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 및 휴대용 단말기(68)로 이루어지는 물류장비단말기(6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20)는 상기 물류장비단말기(60)를 통해 상기 항만배후단지내에서 운송중인 제품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080108012A 2008-10-31 2008-10-31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8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12A KR20100048729A (ko) 2008-10-31 2008-10-31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12A KR20100048729A (ko) 2008-10-31 2008-10-31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29A true KR20100048729A (ko) 2010-05-11

Family

ID=4227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12A KR20100048729A (ko) 2008-10-31 2008-10-31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87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22B1 (ko) * 2017-09-28 2018-06-07 주식회사 케이엘넷 환적화물 및 수출입화물 물동량 흐름패턴 분석 시스템
CN109767154A (zh) * 2018-12-06 2019-05-17 东南大学 一种多式联运网上平台
CN109816290A (zh) * 2017-11-22 2019-05-28 淮海工学院 一种多式联运物流云数据平台系统
CN109934617A (zh) * 2019-01-28 2019-06-25 浙江工业大学 一种购物中心实际腹地的分级显示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22B1 (ko) * 2017-09-28 2018-06-07 주식회사 케이엘넷 환적화물 및 수출입화물 물동량 흐름패턴 분석 시스템
CN109816290A (zh) * 2017-11-22 2019-05-28 淮海工学院 一种多式联运物流云数据平台系统
CN109767154A (zh) * 2018-12-06 2019-05-17 东南大学 一种多式联运网上平台
CN109934617A (zh) * 2019-01-28 2019-06-25 浙江工业大学 一种购物中心实际腹地的分级显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19534B (zh) 用于货运系统的分布式账本的方法和系统
CN100495469C (zh) 基于车载智能终端的车辆运输调度管理系统
Huynh et al. Truck appointment systems: where we are and where to go from here
US7755518B2 (en) Dynamic and predictiv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assets and transport
CN108985679A (zh) 物流平台管理方法及系统
CN106815702A (zh) 一种智能公路运输调度管理方法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US20130103437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related applications
US20150032485A1 (en) Digital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KR101660873B1 (ko) 앱을 이용한 차주와 화주의 중계 시스템
CN109377138A (zh) 基于物联网的物流运输中实时监控管理平台及管理方法
KR20100048729A (ko) 항만배후단지 물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2373425C (en) System and method for rail transport of trailers
KR20130013079A (ko)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 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
CN102376073A (zh) 无定向公共交通互联网络系统
US20020082970A1 (en) Integrated transportation
CN103745332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港口货运数据交换及支付服务平台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01579A (ko) 물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Michaelides et al. Optimisation of logistics operations using GPS technology solutions: a case study
KR102625360B1 (ko) 우편물류 공유 플랫폼 시스템
CN114926037B (zh) 派车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100444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