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911A - 자동차용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911A
KR20100046911A KR1020080105952A KR20080105952A KR20100046911A KR 20100046911 A KR20100046911 A KR 20100046911A KR 1020080105952 A KR1020080105952 A KR 1020080105952A KR 20080105952 A KR20080105952 A KR 20080105952A KR 20100046911 A KR20100046911 A KR 2010004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terminal
automotive
connecto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10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6911A/ko
Publication of KR2010004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되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자동차용 리테이너, 자동차용 커넥터, 전도성 물질

Description

자동차용 리테이너{Automobile retain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었다.
이때,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별도의 통전 수단에 의해 터미널 단자와의 통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전기적인 연결 작업시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통전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용 커넥터와 전기적인 연결 작업시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자동차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는 전도성 부재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므로, 접촉 면적을 넓힐 수가 있어 터미널 단자와의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자동차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되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상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자동차용 커넥터의 측면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테이너 본체와, 리테이너 본체에 형성되고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도성 부재는 상기 터미널 단자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도성 부재는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면서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는 터미널 단자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는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도성 물질은 금(Au), 백금(Pt), 주석(Sn), 아연(Zn), 구리(Cu), 은(Ag)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용 커넥터는 암 커넥터 또는 숫 커넥터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리테이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별도의 통전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용 커넥터와 전기적인 연결 작업시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는 전도성 부재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므로, 접촉 면적을 넓힐 수가 있어 터미널 단자와의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2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암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암·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의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102a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와 체결되되, 터미널 단자(102a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자동차용 리테이너(100)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의 상부에 체결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리테이너(100)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의 숫 커넥터(102a)의 상부에 체결될 수가 있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리테이너(100)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의 암 커넥터(102b)의 상부에 체결될 수가 있다.
이때, 자동차용 리테이너(100)는 리테이너 본체(100a)와 전도성 부재(100b)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가 있다.
리테이너 본체(100a)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와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고, 전도성 부재(100b)는 리테이너 본체(100a)에 형성되고 터미널 단자(102a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제작될 수가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리테이너(400)는 자동차용 커넥터(102)와 체결되면서 터미널 단자(102a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400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400b)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 단자(102a1)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전도성 부재(100b)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400b)는 터미널 단자(102a1)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은 금(Au), 백금(Pt), 주석(Sn), 아연(Zn), 구리(Cu), 은(Ag)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전도성 물질은 열전도율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합금으로 제작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는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부재(100b)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400b)를 포함 하므로, 터미널 단자(102a1)를 고정하면서 터미널 단자(102a1)와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는 별도의 통전 수단(미도시)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용 커넥터(102)와 전기적인 연결 작업시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 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암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암·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의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500, 8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와 동일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502a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502)와 체결되고, 터미널 단자(502a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500, 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들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들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500, 800)는 자동차용 커넥터(502)의 측면에 체결된다.
즉,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500b)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800b)는 터미널 단자(502a1)를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은 금(Au), 백금(Pt), 주석(Sn), 아연(Zn), 구리(Cu), 은(Ag)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전도성 물질은 열전도율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합금으로 제작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와 동일하게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부재(500b)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800b)를 포함하므로, 터미널 단자(502a1)를 고정하면서 터미널 단자(502a1)와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와 동일하게 별도의 통전 수 단(미도시)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용 커넥터(502)와 전기적인 연결 작업시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는 터미널 단자(502a1)를 감싸면서 접촉되는 전도성 부재(500b)와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800b)를 포함하므로,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100, 400)보다 접촉 면적을 넓힐 수가 있어 터미널 단자(502a1)와의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암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암·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의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커넥터중 암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자동차용 리테이너가 자동차용 암·숫 커넥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테이너의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400, 500, 800 : 자동차용 리테이너 100a : 리테이너 본체
100b : 전도성 부재 102, 502 : 자동차용 커넥터
102a1, 502a1: 터미널 단자 102a : 숫 커넥터
102b : 암 커넥터
400b, 800b :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 500b : 전도성 부재

Claims (11)

  1. 자동차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압착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되, 상기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의 상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의 측면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는 리테이너 본체와;
    상기 리테이너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터미널 단자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리테이너는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와 체결되면서 상기 터미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전도성 물질로 제작된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는 상기 터미널 단자와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리테이너 본체는 상기 터미널 단자를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일체 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Au), 백금(Pt), 주석(Sn), 아연(Zn), 구리(Cu), 은(Ag)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커넥터는 암 커넥터 또는 숫 커넥터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테이너.
KR1020080105952A 2008-10-28 2008-10-28 자동차용 리테이너 KR20100046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52A KR20100046911A (ko) 2008-10-28 2008-10-28 자동차용 리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52A KR20100046911A (ko) 2008-10-28 2008-10-28 자동차용 리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911A true KR20100046911A (ko) 2010-05-07

Family

ID=4227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952A KR20100046911A (ko) 2008-10-28 2008-10-28 자동차용 리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6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4788B2 (en) 2018-06-12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having two-row terminal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4788B2 (en) 2018-06-12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having two-row termina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5474B2 (ja) 電池コネクタシステム用のバスバー
CN102082366B (zh) 车辆用连接结构
US9065188B2 (en) Electrical connection
JP6170619B2 (ja) 接地クランプを備えたウエハコネクタ
WO2006106971A1 (ja) 導電体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20140335745A1 (en) Crimp terminal, 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connector
JP5795510B2 (ja)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方法
EP3339104A1 (en) A current transport mechanism, in particular an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current bar
US2006020526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5814711B2 (ja) 接続構造体
JP2012059623A (ja) 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端子
WO2013018352A1 (en) Terminal
CN103797650A (zh) 母端子
JP2012190643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WO2015174262A1 (ja) コネクタ用端子
KR20100046911A (ko) 자동차용 리테이너
JP5979427B2 (ja) 導電体
JP2013051136A (ja) 接続端子
JP2013171728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9175726A (ja) 端子付き電線
JP6016999B2 (ja) 接続構造体
WO2013088992A1 (ja) 中継端子および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5682481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5222737A5 (ko)
EP3565065A1 (en) Multipath electric power conne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