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6636A -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6636A
KR20100046636A KR1020080105563A KR20080105563A KR20100046636A KR 20100046636 A KR20100046636 A KR 20100046636A KR 1020080105563 A KR1020080105563 A KR 1020080105563A KR 20080105563 A KR20080105563 A KR 20080105563A KR 20100046636 A KR20100046636 A KR 2010004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guide
processing
heigh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321B1 (ko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riority to KR102008010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3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테이블 배면측에 칼럼이 직립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칼럼에서 승 하강 또는 회전되도록 몸체에 칼럼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가공테이블이 형성된 가공물지지부와, 상기 가공물지지부의 상측으로는 지지부의 칼럼을 수용하며 텐션조절관과 높이조절관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관 상측으로는 연결관과 치합되어 칼럼 외경에서 회전 및 탄력적으로 승 하강하는 가공높이조절부와, 상기 가공높이조절부의 연결관 상단에 안내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몸체에 고정체가 적층 된 상태로 결합 되고 상기 안내몸체와 고정체의 중앙을 통과하여 칼럼 상단면에 체결된 스터드볼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터드볼트의 상단에 체결되는 조임핸들의 조임에 의해 가공높이조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평회전각 고정부와, 상기 수평각회전 고정부의 안내몸체 저면의 가공높이조절부의 상단 전방에 고정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의 단부에 드릴머신을 삽입하는 클램프를 형성한 수평 위치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공치아, 밀링, 칼럼, 볼부싱, 부싱블록, 가공대, 렉기어, 피니언기어

Description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Artificial tooth processing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칼럼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방식으로 상하방향의 가공깊이조절 및 수평각도를 조절 및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가공시 발생 되는 가공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공정밀도가 향상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있어 치아는 구강 내에서 섭식, 발성, 표정 발현 등 지극히 중요한 기능에 깊게 관계되는 것이고, 따라서 치아의 상실은 이것들을 해치는 치명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치아를 상실한 잇몸 부분에 인조로 제작된 인공치아를 임플란트방식을 통하여 이식하게 된다.
이때, 인공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로 제작하기 위하여 고속회전되는 모터에 연마공구를 부착시켜 밀링에 지지시킨 상태로 가공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인공치아를 가공할 때 사용되는 밀링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밀링은 가공깊이를 조절하는 부분과 연마를 시행하는 모터부분이 근접하여 진동에 영향을 받아 정밀한 가공이 어려웠으며 횡지지대을 잡고 밀링을 하였을 때 횡지지대에 휨응력이 발생되어 정밀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밀링은 모터를 고정하는 부분이 좌우이동 또는 수평회전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설치구조상의 문제로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고 떨림 현상이 발생하여 인공치아의 가공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가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하이동의 가공깊이를 설정할 수 없고 수평회전을 고정하는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가공깊이를 설정할 수 있다고 하여도 미세조정이 어려웠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불편하며 제작비용이 증대되어 공급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칼럼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회전방향으로의 위치선정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으며, 가공시 발생하는 가공진동 및 가압으로 인한 휨응력에 대하여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머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회전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후 고정레버, 위치선정레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는 간편하게 고정하여 사용하기 편리하였으며 아울러, 정밀하고 부드러운 상하이동, 회전을 위 하여 베어링 접촉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마찰저항의 최소화 및 유격 발생률이 감소되어 가공위치 선정이 간편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의 텐션력을 조절하여 가공자의 따라 다른 가공압력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공위치를 설정하며 가공한 위치를 선정하여 같은 가공물을 동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테이블 배면측에 칼럼이 직립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칼럼에서 승 하강 또는 회전되도록 몸체에 칼럼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가공테이블이 형성된 가공물지지부와, 상기 가공물지지부의 상측으로는 지지부의 칼럼을 수용하며 텐션조절관과 높이조절관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관 상측으로는 연결관과 치합되어 칼럼 외경에서 회전 및 탄력적으로 승 하강하는 가공높이조절부와, 상기 가공높이조절부의 연결관 상단에 안내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몸체에 고정체가 적층 된 상태로 결합 되고 상기 안내몸체와 고정체의 중앙을 통과하여 칼럼 상단면에 체결된 스터드볼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터드볼트의 상단에 체결되는 조임핸들의 조임에 의해 가공높이조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평회전각 고정부와, 상기 수평각회전 고정부의 안내몸체 저면의 가공높이조절부의 상단 전방에 고정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의 단부에 드릴머신을 삽입하는 클램프를 형성한 수평 위치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 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테이블 정면측에는 에어홀을 형성하고 양측으로는 공구홈을 형성하며 칼럼의 하단은 지지칼럼과 상기 지지칼럼 보다 작은 직경의 승강칼럼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칼럼의 상단 외주에는 밀착턱과 단부에는 나선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물지지부의 몸체에 지지칼럼이 끼움되도록 나사로 고정되는 절개홈과 내경에 기어홈이 형성된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홈에는 지지칼럼에 끼움되는 하부링과 멈춤핸들을 일측에 체결한 상부링에는 렉기어편이 삽입되어 직립형성되고 상기 랙기어편이 치합되도록 몸체 일측 내부에는 내부웜휠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웜휠에 치합되어 회전시키도록 회전휠이 형성된 손잡이가 치합되며 몸체 타측으로는 몸체에 나선결합되어 칼럼에 밀착되어 몸체를 고정하도록 고정핸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회전각고정부의 안내몸체의 일측에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에는 고정체에 하향 형성된 안내대를 삽입된 상태로 형성하여 가공높이조절부가 안내대를 따라 승하강되고 상기 조임핸들의 저면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을 형성하여 고정체와 구름 접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위치조절부는 고정블록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이동블록에 한 쌍의 볼슬라이드블록을 세로방향으로 고정하고 이동블록에 수평고정핸들을 관통되게 치합하여 수평고정핸들의 회전에 의해 고정블록에서 이동블록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높이조절부는 칼럼의 경사면에 내경이 걸림되는 텐션조절관의 하측에는 칼럼에 밀착되어 텐션조절관을 고정할 수 있는 텐션조절핸들을 형성한 단턱과 상측에는 가이드통을 형성하여 상기 기이드통이 높이조절관 내경에 수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통과 높이조절관 내측으로는 하측에서 부터 완충링과 코일스프링을 순차적으로 내장하며 상기 높이조절관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연결관 내경 하단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승강칼럼의 상단부와 구름접촉 할 수 있도록 내경 상단에 앵귤러볼베이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회전각고정부의 안내몸체 안내홈측 저면에는 고정브라켓을 고정체의 안내대와 수평되도록 하향 돌출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안내대에 가공높이조절부가 고정되도록 치합되는 높이고정핸들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높이조절부의 높이조절관의 하단 외경에는 돌출나선봉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관의 하단을 수용하면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돌출나선봉이 삽입 돌출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높이조절외통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나선봉에 높이조절핸들을 치합하여 높이조절핸들에 의해 높이조절외통을 고정시키며 상기 높이조절관의 상단과 연결관의 하단에는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칼럼에서 X,Y,Z축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회전방향으로의 위치선정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으며, 가공시 발생하는 가공진동 및 가압으로 인한 휨응력에 대하여 지지력이 증대되어 구조적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편심현상의 방지 및 가공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회전방향으로의 위치선정 후 고정레버, 위치선정레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는 간편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각각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정밀하고 부드러운 상하이동,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 접촉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마찰저항의 최소화 및 유격 발생률이 감소되어 가공위치 선정이 간편하면서 빠르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텐션력을 조절하여 가공자의 따라 다른 가공압력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어 가공자의 범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공위치를 설정하며 가공한 위치를 선정하여 같은 가공물을 동일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는 작업대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밀링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지지부(10)에 결합되어 지그를 올려 놓고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물지지부(20)와, 상기 가공물지지부(20)의 가공물의 위치에 맞게 가공높이조절부(30)와, 수평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40)와, 수평 위치조절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 장치의 지지부(10)는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테이블(11) 배면측에 칼럼(12)이 직립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테이블(11)의 정면측에는 에어홀(13)을 형성하여 작업중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흠입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테이블(11) 양측으로는 공구홈(14)을 형성하여 작업에 필요한 공구를 분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칼럼(13)은 하단으로 지지칼럼(15)과 상기 지지칼럼(15) 보다 작은 직경의 승강칼럼(16)을 경사면(17)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칼럼(16)의 상단 외주에는 밀착 턱(18)과 단부에는 나선홈(19)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10)의 칼럼(12)에서 승 하강 또는 회전되며 지그에 의해 고정된 가공물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물지지부(20)를 형성한다.
상기 가공물 지지부(20)는 지지부(10)의 칼럼(12)에서 승 하강 또는 회전되도록 몸체(21)에 칼럼(12)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21)의 전방에는 가공테이블(22)이 형성된다.
이렇게 승 하강 또는 회전되는 가공물지지부(20)는 몸체(21)에 지지칼럼(15)이 끼움되도록 나사로 고정되는 절개홈(23)과 내경에 기어홈(24)이 형성된 끼움공(25)을 형성한다.
상기 기어홈(24)에는 지지칼럼(12)에 끼움되는 하부링(26)과 멈춤핸들(27')을 일측에 체결한 상부링(27)에는 렉기어편(28)이 삽입되어 직립형성되고 상기 랙기어편(28)이 치합되도록 몸체(21) 일측 내부에는 내부웜휠(28')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웜휠(28')에 치합되어 회전시키도록 회전휠(29)이 형성된 손잡이(29')가 치합되어 상 하측으로 승하강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21) 타측으로는 몸체(21)에 나선결합되어 칼럼(12)에 밀착되어 몸체(21)를 고정하도록 고정핸들(21')을 형성하여 가공물지지부(2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가공물지지부(20)의 상측으로는 가공높이를 조절하는 가공높이조절부(30)를 형성한다.
상기의 가공높이조절부(30)는 지지부(10)의 칼럼(12)을 수용하며 텐션조절 관(31)과 높이조절관(32)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관(32) 상측으로는 연결관(33)과 치합되어 칼럼(12) 외경에서 회전 및 탄력적으로 승 하강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가 하한점에서 정지하기 위하여 칼럼(12)의 경사면(16)에 내경이 걸림되는 텐션조절관(31)을 형성한다.
상기 텐션조절관(31)은 외경에 단턱(34)을 형성하고 단턱(34) 상측으로는 가이드통(35)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텐션조절관(31)을 칼럼(12)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단턱(34)을 관통하는 텐션조절핸들(34')을 형성하여 텐션조절핸들(34')을 회전시켜 텐션조절관(31)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텐션조절관(31)의 가이드통(35)이 높이조절관(32) 내경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통(35)과 높이조절관(32) 내경으로 하측에서 부터 완충링(36)과 코일스프링(37)을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텐션을 유지시키며 상기 높이조절관(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연결관(33) 내경 하단에는 나선(38)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승강칼럼(15)의 상단부와 구름접촉 할 수 있도록 연결관(33) 내경 상단에 앵귤러볼베이링(3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의 승하강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이조절관(32)의 하단 외경에는 돌출나선봉(301)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관(32)의 하단을 수용하면서 가이드통(35)에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돌출나선봉(301)이 삽입 돌출되는 가이드홀(302)이 형성된 높이조절외통(303)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나선 봉(301)에 높이조절핸들(304)을 치합하여 높이조절핸들(304)에 의해 높이조절외통(303)을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관(32)의 상단과 연결관(33)의 하단에는 눈금(305)이 형성되어 높이조절관(3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의 연결관(33) 상단에는 수평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수평회전각 고정부(40)를 형성한다.
상기의 수평회전각 고정부(40)는 연결관(33)의 상단에 고정되는 안내몸체(41)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몸체(41)에는 고정체(42)가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안내몸체(41)의 중앙을 통과하여 칼럼(12) 상단면에 스터드볼트(43)를 체결하여 고정체(42)를 고정하고 상기 스터드볼트(43)의 상단에는 조임핸들(44)을 체결하여 상기 조임핸들(44)의 조임에 의해 가공높이조절부(30)의 회전을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안내몸체(41)의 일측에는 안내홈(4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45)에는 고정체(42)에 하향 형성된 안내대(46)를 형성하여 안내대(46)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공높이조절부(30)가 안내대(46)를 따라 승하강된다.
또한, 상기 조임핸들(44)의 저면에는 스러스트베어링(47)을 형성하여 고정체(42)와 구름 접촉하여 회전하며 조임핸들(44)을 조이면 가공높이조절부(30)의 회전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전각고정부(40)의 안내몸체(41) 안내홈(45)측 저면에는 고정브라켓(48)을 고정체(42)의 안내대(46)와 수평되도록 하향 돌출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8)에는 상기 안내대(46)에 가공높이조절부(30)가 고정되도록 치합되는 높이고정핸들(49)을 형성하여 승하강으로 고정 및 해제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각회전 고정부(40)의 안내몸체(41) 저면의 연결관(33) 전방에는 수평위치조절부(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평위치조절부(50)는 연결관(33)의 전방으로 고정블록(5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51)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52)의 단부에 드릴머신(53)을 삽입하는 클램프(54)를 형성한다.
상기의 고정블록(51)에 슬라이드홈(55)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홈(55)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이동블록(52)에 한 쌍의 볼슬라이드블록(57)을 세로방향으로 고정하고 이동블록(52)에 수평고정핸들(56)을 관통되게 치합하여 수평고정핸들(56)의 회전에 의해 고정블록(51)에서 이동블록(5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물을 고정하는 지그를 가공물지지부(20)의 가공테이블(22)에 올려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의 가공테이블(22)은 자성체로 형성하여 지그를 고정하거나 지그에 에어흡착방법으로 지그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지지부(20)는 지지부(10)에 형성되어 가공물지지부(20)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가공물지지부(20)의 위치지정은 손잡이(29')를 회전시키면 손잡이(29') 단부 에 형성된 회전휠(29)이 회전하면서 몸체(21) 내부에 축설 된 내부웜휠(28')을 회전시켜 랙기어편(28)에 치합된 상태로 몸체(21)를 지지부(10)의 지지칼럼(15)에서 승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가공물지지부(20)에 설치된 멈춤핸들(27')의 고정을 해제 시킨 상태에서 몸체(21)의 승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공물지지부(20)의 몸체(2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멈춤핸들(27')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가공테이블(22)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가공물지지부(20)의 회전은 지지칼럼(15)의 외경에 설치된 하부링(26)과 상부링(27)이 회전하면서 랙기어편(28)과 랙기어편(28)에 치합된 몸체(21)가 모두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지지부(20)가 원하는 상태의 높이와 각도를 유지하면 고정핸들(21')을 회전시켜 고정핸들(21')의 단부가 몸체(21)에 삽입되면서 지지칼럼(15)에 밀착하여 고정되며 고정핸들(21')의 단부는 지지칼럼(15)과 접촉면적을 넓혀 정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끼움공(25)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공물지지부(20)의 높이와 수평각도의 위치가 정하여 지면 가공물지지부(20)에 설치된 지그의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높이조절부(30)의 높이를 설정하고 수평회전각고정부(40)를 통하여 수평회전각도를 설정하며 수평위치조절부(50)를 통하여 수평상태의 전후 좌우 위치를 이동하거나 설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를 순서적으로 설명하면 가공높이조절부(30)는 우선 사용자가 원하는 텐션 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텐션조절관(31)을 승하강 시켜 적당한 위치에 있을때 텐션조절핸들(34')을 회전시켜 승강칼럼(16)에 고정 시킨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관(31)을 상승시키면 코일스프링(37)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텐션력이 증가하므로써 많은 힘을 가해서 가공높이 조절부(30)의 높이조절관(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텐션조절관(31)을 하강시킨 상태로 고정하면 코일스프링(37)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가해도 높이조절관(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임의대로 높이조절관(32)의 강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높이조절관(32)의 승하강을 통하여 드릴머신(53)을 승하강 시키면서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드릴머신(53)의 하한점을 사용자의 느낌으로 정하여 가공물을 가공하지 않고 하한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드릴머신(53)의 하한점은 높이조절관(32)의 외측에 설치된 높이조절통(303)을 높이조절핸들(304)을 회전시켜 높이조절통(303)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면 가공높이조절부(30)가 하강하면서 하한점에 도달 했을 경우 높이조절관(32)의 높이조절통(303)의 하단부가 텐션조절관(31)의 단턱(34)에 걸려 드릴머신(53)이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상태에서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하한점의 설정은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하한점의 미세조절은 높이조절관(32)을 회전시켜 높이조절관(32)이 연결관(33) 내경에서 회전되면서 나선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높이를 미세조절 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이조절관(32)의 상단과 연결관(33)의 하단에 눈금을 표시하여 기준눈 금의 회전으로 인하여 미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이의 하한점 설정휘 수평회전각고정부(40)를 통하여 드릴머신(53)의 수평회전을 시키면서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회전은 지지부(10)의 승강칼럼(16)의 외경에서 가공높이조절부(30)와 수평회전각고정부(40)의 안내몸체(41) 및 고정체(42)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수평위치조절부(50)의 드릴머신(53) 또한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수평회전후 원하는 가공위치에 도달하면 조임핸들(44)을 회전시켜 스터드볼트(43)의 체결로 인하여 고정체(42)를 가압하게 되면 연결관(33)의 내경에서 칼럼(12)에 형성된 밀착턱(18)에 밀착되어 수평회전이 고정되며 가공높이조절부(30)는 고정체(42)의 안내대(46)를 따라 승하강 하면서 가공을 하게 된다.
또한, 수평위치 조절부(50)를 통하여 이동블럭(52)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드릴머신(53)을 통하여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자가 이동블럭(52)에 하중을 가하여도 이동블럭(52)과 고정블럭(51)을 연결하는 볼슬라이드블록(57)을 세로로 직립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설정위치의 휨작용 없이 정밀 작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드릴머신(53)을 이동블럭(52) 양측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동블럭(52) 양측에 클램프(54)를 형성하여 상기 양쪽의 클램프(54)에 드릴머신(53)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회전하여 드릴머신(53)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구를 변경설치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을 원할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공 밀링장치의 높이조절은 지지부(10)의 베이스테이블(11) 하 측에 형성되어 있는 다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높 낮이 조절 구성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로써, 가공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간편하고 빠르게 위치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연마가공시 발생 되는 진동에 구성요소들이 영향을 받지 않아 정밀한 가공이 가능 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연마가공시 반발력이나 가공깊이조절부를 가압할 때 휨응력을 고르게 분포시켜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미세한 가공깊이 조절이 가능하여 가공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의 수평회전각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고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의 수직이동 및 수평회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의 수직이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의 가공물지지부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부 20 : 가공물지지부
30 : 가공높이 조절부 40 : 수평회전각 고정부
50 : 수평위치 조절부

Claims (8)

  1. 작업대 상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테이블(11) 배면측에 칼럼(12)이 직립 형성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칼럼(12)에서 승 하강 또는 회전되도록 몸체(21)에 칼럼(12)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몸체(21)의 전방에는 가공테이블(22)이 형성된 가공물지지부(20)와,
    상기 가공물지지부(20)의 상측으로는 지지부(10)의 칼럼(12)을 수용하며 텐션조절관(31)과 높이조절관(32)이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관(32) 상측으로는 연결관(33)과 치합되어 칼럼(12) 외경에서 회전 및 탄력적으로 승 하강하는 가공높이조절부(30)와,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의 연결관(33) 상단에 안내몸체(41)를 고정하고 상기 안내몸체(41)에 고정체(42)가 적층 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안내몸체(41)의 중앙을 통과하여 칼럼(12) 상단면에 체결된 스터드볼트(43)에 의해 고정체(42)가 고정체(42)를 고정하고 상기 스터드볼트(43)의 상단에는 조임핸들(44)를 체결하여 조임핸들(44)의 조임에 의해 가공높이조절부(30)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평회전각 고정부(40)와,
    상기 수평각회전 고정부(40)의 안내몸체(41) 저면의 연결관(33) 전방에는 고정블록(5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51)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52)의 단부에 드릴머신(53)을 삽입하는 클램프(54)를 형성한 수평 위치조절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베이스테이블(11) 정면측에는 에어홀(13)을 형성하고 양측으로는 공구홈(14)을 형성하며 칼럼(12)의 하단은 지지칼럼(15)과 상기 지지칼럼(15) 보다 작은 직경의 승강칼럼(16)을 경사면(17)으로 연결하며 상기 승강칼럼(16)의 상단 외주에는 밀착턱(18)과 단부에는 나선홈(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지지부(20)의 몸체(21)에 지지칼럼(15)이 끼움되도록 나사로 고정되는 절개홈(23)과 내경에 기어홈(24)이 형성된 끼움공(25)을 형성하고 상기 기어홈(24)에는 지지칼럼(12)에 끼움되는 하부링(26)과 멈춤핸들(27')을 일측에 체결한 상부링(27)에는 렉기어편(28)이 삽입되어 직립형성되고 상기 랙기어편(28)이 치합되도록 몸체(21) 일측 내부에는 내부웜휠(28')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웜휠(28')에 치합되어 회전시키도록 회전휠(29)이 형성된 손잡이(29')가 치합되며 몸체(21) 타측으로는 몸체(21)에 나선결합되어 칼럼(12)에 밀착되어 몸체(21)를 고정하도록 고정핸들(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각고정부(40)의 안내몸체(41)의 일측에는 안내홈(4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45)에는 고정체(42)에 하향 형성된 안내대(46) 를 형성하여 안내대(46)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공높이조절부(30)가 안내대(46)를 따라 승하강되고 상기 조임핸들(44)의 저면에는 스러스트베어링(47)을 형성하여 고정체(42)와 구름 접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조절부(50)는 고정블록(51)에 슬라이드홈(55)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55)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이동블록(52)에 한 쌍의 볼슬라이드블록(57)을 세로방향으로 고정하고 이동블록(52)에 수평고정핸들(56)을 관통되게 치합하여 수평고정핸들(56)의 회전에 의해 고정블록(51)에서 이동블록(52)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는 칼럼(12)의 경사면(16)에 내경이 걸림되는 텐션조절관(31)의 하측에는 칼럼(12)에 밀착되어 텐션조절관(31)을 고정할 수 있는 텐션조절핸들(34')을 형성한 단턱(34)과 상측에는 가이드통(35)을 형성하여 상기 기이드통(35)이 높이조절관(32) 내경에 수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통(35)과 높이조절관(32) 내측으로는 하측에서 부터 완충링(36)과 코일스프링(37)을 순차적으로 내장하며 상기 높이조절관(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연결관(33) 내경 하단에는 나선(38)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승강칼럼(15)의 상단부와 구름접촉 할 수 있도록 내경 상단에 앵귤러볼베이링(3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각고정부(40)의 안내몸체(41) 안내홈(45)측 저면에는 고정브라켓(48)을 고정체(42)의 안내대(46)와 수평되도록 하향 돌출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8)에는 상기 안내대(46)에 가공높이조절부(30)가 고정되도록 치합되는 높이고정핸들(49)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공높이조절부(30)의 높이조절관(32)의 하단 외경에는 돌출나선봉(301)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관(32)의 하단을 수용하면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돌출나선봉(301)이 삽입 돌출되는 가이드홀(302)이 형성된 높이조절외통(303)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나선봉(301)에 높이조절핸들(304)을 치합하여 높이조절핸들(304)에 의해 높이조절외통(303)을 고정시키며 상기 높이조절관(32)의 상단과 연결관(33)의 하단에는 눈금(3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KR1020080105563A 2008-10-27 2008-10-27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KR10097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563A KR100978321B1 (ko) 2008-10-27 2008-10-27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563A KR100978321B1 (ko) 2008-10-27 2008-10-27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636A true KR20100046636A (ko) 2010-05-07
KR100978321B1 KR100978321B1 (ko) 2010-08-30

Family

ID=4227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563A KR100978321B1 (ko) 2008-10-27 2008-10-27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45B1 (ko) * 2011-01-11 2013-01-11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101400612B1 (ko) * 2013-04-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밀링 장치
CN109163979A (zh) * 2018-09-11 2019-01-08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可调节可拆卸式大偏心受压柱测试装置及方法
CN112157453A (zh) * 2020-09-30 2021-01-01 惠州大亚湾远大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三偏心蝶阀加工装置
CN114029762A (zh) * 2021-12-01 2022-02-11 赵荣 一种机械加工变位夹具
CN117299894A (zh) * 2023-12-01 2023-12-29 四川西蜀电力金具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弯折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731Y1 (ko) 2003-02-04 2003-05-22 송기정 드릴 및 탭 가공기용 베이스
KR200370874Y1 (ko) 2004-09-30 2004-12-17 주식회사 스토닉 단일 프레임 구조를 갖는 수직형 밀링 머신의 헤드 장치
KR200393859Y1 (ko) 2005-06-07 2005-08-25 송기정 드릴 및 탭 가공기용 베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45B1 (ko) * 2011-01-11 2013-01-11 김영주 용접용 지그장치
KR101400612B1 (ko) * 2013-04-30 2014-05-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밀링 장치
CN109163979A (zh) * 2018-09-11 2019-01-08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可调节可拆卸式大偏心受压柱测试装置及方法
CN109163979B (zh) * 2018-09-11 2021-03-16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可调节可拆卸式大偏心受压柱测试装置及方法
CN112157453A (zh) * 2020-09-30 2021-01-01 惠州大亚湾远大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三偏心蝶阀加工装置
CN114029762A (zh) * 2021-12-01 2022-02-11 赵荣 一种机械加工变位夹具
CN117299894A (zh) * 2023-12-01 2023-12-29 四川西蜀电力金具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弯折成型装置
CN117299894B (zh) * 2023-12-01 2024-02-06 四川西蜀电力金具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弯折成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321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321B1 (ko)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CA2595053C (en) Copy milling device for producing workpieces that are used in particular in dental technology
KR100982525B1 (ko) 태핑 드릴링 머신
KR101589550B1 (ko) 인공치아가공기
US9441715B2 (en) Moving mechanism and form measuring apparatus
WO2011108773A1 (ko) 인공치아 가공용 밀링장치
KR20040023897A (ko)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TW200914177A (en) Lathe
JP7005910B2 (ja) 振れ止め装置及び振れ止め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CN208800864U (zh) 多向可调定位精确的手动攻丝机
CN214488928U (zh) 一种镗孔一体化液压油缸车床
US2178130A (en) Tool spindle for engraving and copying machines
KR101594931B1 (ko)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KR100798637B1 (ko) 탁상용 직선 면취기
CN211192949U (zh) 一种轴承车削加工设备
KR20210000093U (ko) 장척봉 축가공용 드릴링 머신
TWM340130U (en) Vertical/horizontal processing center with coaxial slideway
CN203282364U (zh) 一种回转零件结构的简易桌虎钳
JP3553123B2 (ja) ボウリングボールの穿孔装置
CN210398147U (zh) 一种能调整机床支撑脚高度的垫脚装置
CN220575581U (zh) 一种cnc磨床用可调型u型支撑块结构
JP5685276B2 (ja) 鋸身のバックテーパ加工装置
CN217751096U (zh) 一种工件夹持机构
CN106624865A (zh) 一种工件夹持装置
CN110497228A (zh) 一种钻床用快速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