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173A -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173A
KR20100045173A KR1020080104246A KR20080104246A KR20100045173A KR 20100045173 A KR20100045173 A KR 20100045173A KR 1020080104246 A KR1020080104246 A KR 1020080104246A KR 20080104246 A KR20080104246 A KR 20080104246A KR 20100045173 A KR20100045173 A KR 20100045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temperature
blower
compress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421B1 (ko
Inventor
진동식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4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운전조건에 응축용량을 조절하는 에어컨의 응축 용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압축기와 실내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의 응축용량을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에 함유된 열을 방출시키는 실외기 송풍기를 통해 제어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 압축기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압축기 구동시 실외온도별로 각 실내기별 운전 여부를 확인하여 압축기 구동시 실외온도와 실내기의 운전 여부에 따라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 에어컨에 있어 실외온도와 실내기의 운전여부에 따라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응축과잉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응축과잉에 따른 실내기 능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04246
에어컨, 실외기, 실내기, 실외기 팬, 실외온도

Description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Condensation volume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운전조건에 응축용량을 조절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키고, 액상의 냉매를 팽창밸브에서 저온, 저압으로 변화시킨 뒤 증발기에서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여름철 무더운 날씨에 사무실, 방 또는 건물내부와 같이 밀폐된 실내공간으로 냉풍을 공급하여 활동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공기조화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에어컨은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 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 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에어컨과, 실내 측 공간에는 냉각장치를 실외 측 공간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대별된다.
전자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창문형 에어컨이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벽걸이형과 패키지형 에어컨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인 에어컨은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와 냉매에 함유된 열의 방출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실외기 송풍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소음 및 열방출로 인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 외부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실내기는 응축기에서 보내진 냉매를 팽창밸브를 거쳐 증발기로 보내지면서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증발될 때 발생되는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기 송풍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냉방하고자 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에어컨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에어컨의 동작과 함께 실내기 송풍기도 함께 작동되어 건물 내부를 냉방시키게 된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컨은 실외기 송풍팬을 응축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응축과잉에 따른 실내기 능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 에어컨에 있어 실외온도와 실내기의 운전여부에 따라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응축과잉을 예방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은 다수 개의 압축기와 실내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의 응축용량을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에 함유된 열을 방출시키는 실외기 송풍기를 통해 제어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압축기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압축기 구동시 실외온도별로 상기 각 실내기별 운전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실내기의 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와 비례하며, 상기 실외기 송풍기는 서로 다른 고정된 회전속도로 다단 제어되거, 강풍과 약풍으로 2단 제어되며, 최소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은 제1실내기와 제2실내 기를 구비하고, 제1압축기와 상기 제1압축기에 비해 압축용량이 작은 제2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의 응축용량을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에 함유된 열을 방출시키는 실외기 송풍기를 통해 제어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기와 제2압축기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실외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실외온도의 온도범위별로 상기 각 실내기의 운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제2압축기의 구동 여부별 상기 실외온도 온도범위에서의 상기 실내기 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기 송풍기를 다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송풍기는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제2 실외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강풍과 약풍으로 2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강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1실내 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온도는 24~2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압축기 구동 후 제1설정시간 바람직하게는 4분 30초에서 5분 30초가 경과하면,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 바람직하게는 1분 30초에서 2분 30를 경과하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설정온도는 31~33℃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설정온도는 39~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축기는 상기 제1압축기에 비해 압축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 에어컨에 있어 실외온도와 실내기의 운전여부에 따라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응축과잉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응축과잉에 따른 실내기 능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센서(20), 응축기(미도시)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열교환기 온도센서(30), 실내에 설치되어 실외기에서 보내진 냉매를 팽창밸브를 거쳐 증발기로 보내지면서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증발될 때 발생되는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 실외기에 설치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제1압축기(60)와 제2압축기(70), 실외기의 실 외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냉매에 함유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에어컨은 2개의 실내기(40,50)와 2개의 압축기(60,70)를 구비하는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으로써, 제1압축기(60)와 제2압축기(70)는 전체 압축용량의 60% 및 40%와 같이 서로 다른 압축용량을 구비한다. 또한, 제1압축기(60)와 제2압축기(7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로 냉매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다수 개의 실내기와 압축기를 구비하여 각각의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다수 개의 유로 절환 부재 예를 들어 온/오프에 따라 냉매 유로를 제어하는 사방밸브, 냉매의 역류를 방지히는 체크밸브 등을 이용하여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며, 각 압축기의 구동여부 및 이러한 압축기 구동에 따른 압축용량에 따라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를 선택적으로 운전 및 운전 정지시키는 것은 멀티 압축기형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 일반적인 기술이라할 것이므로, 이러한 멀티 압축기형 히트 펌프 시스템의 동작과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에 각각 설치되는 데, 모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하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다단 제어 예를 들어, 강풍과 약풍으로 2단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실외기 송풍기가 구비하고, 각각의 회전속도를 강풍과 약풍으로 2단 제어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최소 1개 이상의 실외기 송풍기를 2단 이상의 3단 제어 예를 들어, 강풍, 중풍, 약풍 등 다양한 단수의 다단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 제1압축기(60)와 제2압축기(70)의 구동 여부와 실외온도 및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의 운전 여부에 따라 제1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다단 제어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응축용량을 제어한다.
이는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은 최초 사용자가 에어컨을 온시킨 후 동작시키면, 제어부(10)는 제1압축기(60)가 구동하는 지를 확인한다.
제1압축기(60)가 구동하면, 실외 온도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바람직하게는 24~26℃ 이하인 지를 확인(S12)한다.
참고로, 제1설정온도는 24~26℃ 중 어느 하나의 온도이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25℃로 한다.
이 때,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면,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가 모두 운전 중인 지를 확인(S20)하여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가 모두 운전 중이면, 제1실내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50)를 각각 약풍으로 구동(S22)시킨다.
한편,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지를 확인하는 과정(S12)의 확인 결과,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가 모두 운전 중인 지를 확인(S14)하여 제1실내기(40)와 제2실내기(50)가 모두 운전 중이면, 제1실내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50)를 각각 강풍으로 구동(S16)시킨다.
한편, 제1압축기(60)가 구동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S10)에서 확인 결과, 제1압축기(60)가 모두 구동하지 않으면, 제2압축기(70)가 구동하는 지를 확인(S30)한다.
확인 결과, 제2압축기(70)가 구동하면,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인 지를 확인(S32)하여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면, 제1실내기(40)만 운전 중인 지를 확인(S34)한다. 이 때, 제1실내기(40)만 운전 중이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를 약풍으로 구동(S36)시킨다.
반면에, 제1실내기(40)만 운전 중인 지를 확인하여 제1실내기(40)만 운전하지 않으면, 제1,2실내기(40,50)가 모두 운전하는 지를 확인(S42)하여 제1,2실내기(40,50)가 모두 운전 중이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약풍으로 구동(S46)시킨다.
한편,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미만인 지를 확인하는 과정(S32)에서 실외온 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제1실내기(40)만 운전하는 지를 확인(S40)하여 제1실내기(S40)만 운전하지 않으면, 제1,2실내기(40,50)가 모두 운전하는 지를 확인(S42)한다. 이 때, 제1,2실내기(40,50)가 모두 운전 중이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약풍으로 구동(S44)시킨다.
한편, 제1실내기(40)만 운전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S40)에서 제1실내기(40)만 운전하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약풍으로 구동(S50)시킨다.
이 때, 제2압축기(70) 구동 후 경과한 시간이 제1설정시간 바람직하게는 4분30초에서 5분 30초가 경과하는 지를 확인(S52)하여 제1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실외 열교환기 온도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바람직하게는 31~33℃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 바람직하게는 1분 30초에서 2분 30초를 경과하는 지를 확인(S54,S56)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설정시간을 5분을 예시로 하고, 제2설정온도를 32℃를 예시로 하며, 제2설정시간을 5분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를 약풍으로 구동(S58)시킨다.
반면에,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S54,S56)에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제3설정온도 바람직하게는 39~41℃ 미만인 지를 확인(S60)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40℃ 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이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를 약풍으로 구동(S58)시키고, 실외 열교환기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실외기 송풍기(S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약풍으로 구동(S62)시킨다.
한편, 마이컴(10)은 제1실내기(40) 운전 중에 제2실내기(50)의 운전이 개시되면, 제1 실외기 송풍기(80)와 제2 실외기 송풍기(90)를 해당 운전 모드의 풍속으로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은 다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 에어컨에 있어 실외온도와 실내기의 운전여부에 따라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데, 이 경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 및 실외온도에 비례하여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가 많을 수록 그리고 실외온도가 높을수록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증가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실외 온도센서
30: 응축기 온도센서 40: 제1실내기
50: 제2실내기 60: 제1압축기
70: 제2압축기 80: 제1 실외기 송풍기
90: 제2 실외기 송풍기

Claims (27)

  1. 다수 개의 압축기와 실내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의 응축용량을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에 함유된 열을 방출시키는 실외기 송풍기를 통해 제어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압축기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압축기 구동시 실외온도별로 상기 각 실내기별 운전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실내기의 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실외온도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는 서로 다른 고정된 회전속도로 다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는 최소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6. 제1실내기와 제2실내기를 구비하고, 제1압축기와 제2압축기를 구비한 멀티 압축기형 에어컨의 응축용량을 실외 열교환기의 냉매에 함유된 열을 방출시키는 실외기 송풍기를 통해 제어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기와 제2압축기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실외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실외온도의 온도범위별로 상기 각 실내기의 운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제2압축기의 구동 여부별 상기 실외온도의 온도범위에서의 상기 실내기 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실외온도의 온도 범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상기 운전 중인 실내기의 개수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는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제2 실외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다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는 강풍과 약풍으로 2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 하이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강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이고 상기 제1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와 상기 제2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 구동시 상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1실내기가 운전 중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온도는 24~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 구동 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시간은 4분 30초에서 5분 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온도 이하인 상태로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시간은 1분 30초에서 2분 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2설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2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실외기 송풍기와 상기 제2 실외기 송풍기를 약풍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온도는 31~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설정온도는 39~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2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는 상기 제1압축기에 비해 압축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20080104246A 2008-10-23 2008-10-23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115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246A KR101153421B1 (ko) 2008-10-23 2008-10-23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246A KR101153421B1 (ko) 2008-10-23 2008-10-23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173A true KR20100045173A (ko) 2010-05-03
KR101153421B1 KR101153421B1 (ko) 2012-06-05

Family

ID=4227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246A KR101153421B1 (ko) 2008-10-23 2008-10-23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4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595A (zh) * 2011-12-13 2012-06-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多联机外风机转速控制方法
CN113483446A (zh) * 2021-06-29 2021-10-0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制冷运行方法
CN114812028A (zh) * 2022-06-13 2022-07-2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67B1 (ko) 2004-12-13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0757840B1 (ko) 2006-12-18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595A (zh) * 2011-12-13 2012-06-2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多联机外风机转速控制方法
CN113483446A (zh) * 2021-06-29 2021-10-0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制冷运行方法
CN113483446B (zh) * 2021-06-29 2022-05-1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制冷运行方法
CN114812028A (zh) * 2022-06-13 2022-07-2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14812028B (zh) * 2022-06-13 2023-08-0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421B1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281B1 (ko) 냉난방기의 제습 운전방법
KR100512280B1 (ko) 냉난방기의 절전 제습 운전방법
KR100557043B1 (ko) 냉난방기의 건강 제습 운전방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JP2010078217A (ja) 空調システム
JP653897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60124960A (ko)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JP2011257097A (ja) 多室型空気調和装置
JPH109654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163907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512248B1 (ko) 냉난방기의 제습 절전 운전방법
JP670769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88015B1 (ko) 냉난방기의 절전운전방법
JP6370425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KR100723946B1 (ko) 멀티형 에어컨의 제습 운전 제어방법
KR2007008807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94552A (ja) 空気調和機
JP2007192436A (ja) 空気調和機
KR20070079383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KR10026169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724814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6323608A (ja) 空気調和装置
KR2000005511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
KR10196518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