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077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077A
KR20070088077A KR1020060018224A KR20060018224A KR20070088077A KR 20070088077 A KR20070088077 A KR 20070088077A KR 1020060018224 A KR1020060018224 A KR 1020060018224A KR 20060018224 A KR20060018224 A KR 20060018224A KR 20070088077 A KR20070088077 A KR 2007008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arget
pressure
low pressur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326B1 (ko
Inventor
김주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3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2Compressor control for multi-stag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 운전 시, 실내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시켜 압축기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 고압 또는 저압 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압축기에 과도하게 발생하는 고저압 차이를 방지하며, 압축기를 보호 운전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냉/난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 조화기, 압축기, 운전고압, 운전저압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조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I' : 실내기 51 : 실내 열교환기
52 : 실내 송풍기 54 : 실내 전자 팽창밸브
56 : 실내기온 센싱부 M : 메인 실외기
S1, S2 : 서브 실외기 60 : 실외 열교환기
63, 64: 압축기 66 : 실외 전자 팽창밸브
90 : 실외기온 센싱부 92 : 저압 압력 센싱부
93 : 고압 압력 센싱부 100 : 제어 유닛
102 : 실내 제어부 104 : 실외 제어부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의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의 운전고압 또는 운전 저압을 검출하여, 고압 및 저압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고압 및 저압차가 실내 부하에 따라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등 공기 조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 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하나의 장치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로는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용으로만 사용되는 냉방 전용 공기조화기와, 냉/난방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다수 개의 실내기가 시리즈로 연결된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시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된다.
즉,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S1), 압축기의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을 설정한다.(S2)
이때, 상기 압축기의 운전 고압 및 운전 저압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 및 운전 저압이 상기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기를 가변 제어한다.(S3,S4,S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난방 저온 단독 운전 시 압축기 및 열 교환기의 용량이 충분하므로, 목표 고압을 맞추기 위해 압축기 주파수를 상승시키면, 과도한 저압 하락으로 고저압 차이가 과도하게 발생함으로써, 압축기의 장시간 운전 시 압축기가 손상되어 정상적인 운전 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난방저온 단독 운전 시, 실외 압축기의 운전고압 또는 운전저압을 검출하여 고압 및 저압차를 산출하고, 실내 부하에 따라 상기 산출된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시켜 제어함으로써, 고저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 운전 시, 실내 부하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센서의 의해 운전고압 또는 운전 저압을 검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 또는 운전 저압과 기준치인 목표 고압 또는 저압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 고압 또는 목표저압을 변경하여, 변경된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에 도달 시까지 압축기를 구동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조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도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실내기(I')와, 상기 실내기(I')와 냉매 배관(P')을 통해 연결된 실외기(M)(S1)(S2)와, 상기 실내기(I') 및 실외기(M)(S1)(S2)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방 또는 난방 운전되는 공기조화기이다.
상기 실외기(M)(S1)(S2)는 상기 실내기(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실내기(I')에서 요구되는 냉/난방 용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실외기(M)(S1)(S2)의 작동 개수 및 상기 실외기(M)(S1)(S2)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증가된다.
상기 각 실내기(I')는 각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의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51)와, 각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의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51)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52)와, 냉방 운전시 과냉도와 과열도에 따라 제어되는 실내 유량 조절부(54)인 실내용 전자 팽창밸브(54)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51)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액상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액상 냉매가 냉방 운전을 요청한 실내기(I')가 설치된 실내 공기에 의 해 증발되면서 실내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증발기로 작용되고,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기상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기상 냉매가 난방 운전을 요청한 실내기(I)가 설치된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되면서 실내 공기 온도가 상승되게 하는 응축기로 작용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51)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51)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실내기온 센싱부(5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송풍기(52)는 상기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모터부(52a)와, 상기 실내 모터부(52a)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 모터부(52a)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내 팬(5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실외기(M)(S1)(S2)는 상기 실내기(I')의 부하와 상관없이 항상 작동되는 메인 실외기(M)와, 상기 실내기(I')의 부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서브 실외기(S1)(S2)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실외기(M)와 서브 실외기(S1)(S2)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60)와,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61)와, 기체 냉매만을 추출하는 어큐뮬레이터(62)와, 상기 어큐뮬레이터(62)에서 추출된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2대의 압축기(63)(64)와, 냉매 흐름을 절환하는 사방밸브(65)와, 난방 운전시 과냉도와 과열도에 따라 제어되는 실외유량조절부(66)인 실외용 전자 팽창밸브(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60)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기상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기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로 작용되고, 공 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액상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액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되게 하는 증발기로 작용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60) 측에는 상기 실외기(M)(S1)(S2)가 설치된 실외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실외기온 센싱부(9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송풍기(61)는 상기 제어 유닛(100)에 의해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모터부(61a)와, 상기 실외 모터부(61a)와 연결되어 상기 실외 모터부(61a)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팬(6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실외기(M)의 2대의 압축기(63)(64) 중 하나는 인버터 압축기이고, 나머지 하나는 정속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실외기(S1)(S2)의 2대의 압축기(63)(64)는 모두 정속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63)(64)의 흡입 측과 토출 측에는 각각 상기 압축기(63)(64)의 흡입/토출 압력을 센싱하는 저압 압력 센싱부(92)와 고압 압력 센싱부(93)가 구비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62)는 2대의 압축기(63)(64)에 함께 연결되어 공용 이용될 수 있도록 공용 어큐뮬레이터(62)이다.
상기 제어 유닛(100)은 상기 실내기(I')을 제어하는 실내 제어부(102)와, 상기 실외기(M)(S1)(S2)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부(104)로 나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내 제어부(102)와 실외 제어부(104)는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I) 중 하나라도 냉방 운전을 요청하면, 상기 압축기(63)(64)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65)와, 실외 열교환기(60)와, 실외용 전자 팽창밸브(66)와, 실내용 전자 팽창밸브(54)와, 실내 열교환기(51)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65)를 통해 상기 압축기(63)(64)로 순환된다. 물론, 냉매는 작동 중인 실내기(I)와 실외기(M)(S1)(S2)로만 순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가 냉매 배관(P')을 따라 순환되면,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51)에서 상기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의 실내 공기 열을 빼앗음으로써, 상기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이 냉방된다.
이 때, 상기 실내용 전자 팽창밸브(54)는 과냉도와 과열도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실외용 전자 팽창밸브(66)는 냉매가 상기 실외용 전자 팽창밸브(66)를 통과하되, 팽창되지 않도록 완전 개방(Full Open)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복수개의 실내기(I) 중 하나라도 난방 운전을 요청하면, 상기 압축기(63)(64)에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65)와, 실내 열교환기(51)와, 실내 전자 팽창밸브(54)와, 실외 전자 팽창밸브(66)와, 실외 열교환기(6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사방밸브(65)를 통해 상기 압축기(63)(64)로 순환된다.
그러면,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51)에서 상기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의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실내기(I)가 설치된 룸이 난방된다.
이 때, 상기 실내 전자 팽창밸브(54)는 냉매가 상기 실내 전자 팽창밸브(54) 를 통과하되, 팽창되지 않도록 완전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또는 난방 운전 시작되면(S11), 압축기의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이 초기 설정된다.(S12)
이때, 동작되는 압축기의 운전고압 또는 저압을 검출한다.(S13)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의 흡입축과 토출측에 각각 고압 센서와 저압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동작 시 고압 센서 또는 저압 센서에 의해 운전 고압 또는 운전 저압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 또는 운전 저압와 상기 설정된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을 비교하여 압축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S14) 예를 들어, 상기 고압 센서에 의해 검출된 운전 고압이 목표 고압보다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저압 센서에 의해 검출된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 보다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목표 고압이 1853 kpa 와 목표 저압이 203 kpa 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압축기의 상태에 따라 목표 고압 및 목표 저압 설정은 변경 할수 있다. 상기 목표 고압이 1853 kpa 로 설정된 경우 상기 검출된 운전고압이 1853kpa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운전저압이 203kpa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이 목표 고압 보다 이하 또는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 보다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표 고압 및 목표 저압을 변경하여 재설정한다.(S15)
반면에,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이 목표 고압 보다 이상 또는 운전 저압이 목 표 저압 보다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과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6)
이때,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압축기를 가변 제어한다.(S17)
한편,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과 동일할 경우 상기 압축기를 정상 운전 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 고압 또는 운전 저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 또는 운전 저압과 초기 설정된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을 비교 판단하여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시킴으로써, 고저압 차이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보호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공 기조화기 난방 저온 단독 운전 시, 실내 부하에 따라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시켜 압축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에 과도하게 발생하는 고저압 차이를 방지하여 압축기를 보호 운전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냉/난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공기조화기 운전 시,
    실내 부하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고압 및 저압차가 일정 범위 안에 들도록 목표압을 가변 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실외기는 상기 압축기가 인버터형과 정속형으로 구비된 메인 실외기와, 상기 압축기가 정속형으로 구비된 서브 실외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압축기의 흡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센서의 의해 운전고압 또는 운전 저압을 검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운전고압 또는 운전 저압과 기준치인 목표 고압 또는 저압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 고압 또는 목표저압을 변경하여, 변경된 목표 고압 또는 목표 저압에 도달 시까지 압축기를 구동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검출된 운전 고압이 기준치인 목표 고압 보다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검출된 운전 저압이 기준치인 목표 저압 보다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판단된 결과가 운전 고압이 목표 고압보다 이상 또는 운전 저압이 목표 저압보다 이하로 판단된 경우 목표 고압 및 목표 저압을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목표 고압 및 목표 저압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난방 운전시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18224A 2006-02-24 2006-02-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8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224A KR101186326B1 (ko) 2006-02-24 2006-02-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224A KR101186326B1 (ko) 2006-02-24 2006-02-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077A true KR20070088077A (ko) 2007-08-29
KR101186326B1 KR101186326B1 (ko) 2012-09-27

Family

ID=3861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224A KR101186326B1 (ko) 2006-02-24 2006-02-2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866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81855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81837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25A (ja)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型空気調和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866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81855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81837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326B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4698B2 (ja) 冷凍・空調装置
EP2088391A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refrigeran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US747255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20050099799A (ko)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자 팽창밸브 제어 방법
WO2018181567A1 (ja) 冷凍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18632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2147905A (ja) 冷凍装置
KR10114480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990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09734A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圧縮機吸入冷媒圧力算出装置
KR10127062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360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070077639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JP6537629B2 (ja) 空気調和装置
JP725812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98861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GB2567973A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2002243307A (ja) 空気調和装置
KR10074898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124958A (ja) 空気調和機
KR20080013402A (ko) 인버터 압축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JP5999163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70079383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KR2008011013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