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86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866A
KR20100044866A KR1020107004026A KR20107004026A KR20100044866A KR 20100044866 A KR20100044866 A KR 20100044866A KR 1020107004026 A KR1020107004026 A KR 1020107004026A KR 20107004026 A KR20107004026 A KR 20107004026A KR 20100044866 A KR20100044866 A KR 20100044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xing
adhesion
absorbent article
basi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사 하야시
도시유키 타니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3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3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 A61F2013/585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being spot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고정력을 조정하여 피착체의 섬유를 손상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
흡수성 물품은,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인 표면 시트(2)와,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3)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액유지성의 흡수체(4)와,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부(10)를 구비한다. 고정부(10)는,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1 점착부(11)와, 상기 제1 점착부(11)와 동일한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2 점착부(12)를 포함한다. 고정부(10)는, 네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에 형성되고, 제1 점착부(11)는, 상기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상기 네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그 제1 점착부(11)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이 상기 제2 점착부(12)의 평량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속옷 등의 피착체에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체액 등의 배설물을 흡수시키기 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어,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소변용 패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체액 등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측의 표면을 덮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착의측에 해당하는 비피부 접촉면측의 이면을 덮는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를 갖는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통상 피부 접촉면측에서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점착재 등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속옷의 가랑이천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속옷의 가랑이부는, 착용자의 움직임, 그 중에서도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는 힘을 심하게 받는 부분이다. 따라서, 가랑이부에 고정된 흡수성 물품의 고정부도, 속옷의 변형에 따라 크게 변형된다. 이 때문에, 속옷에 고정한 흡수성 물품은, 어긋남, 박리, 비틀림 등의 변형이 생겨, 착용중의 위화감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고정부는, 점착재를 사각형의 범위에 도포하여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나 네 모서리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이 집중되어, 고정부의 중앙측 부분보다 어긋남, 박리, 비틀림이 발생하기 쉽다. 여기서,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나 네 모서리가 박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점착재를 도포하면, 흡수성 물품을 교체하기 위해 속옷 등의 피착체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박리할 때, 박리하기 어렵거나, 점착재가 속옷에 남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흡수성 물품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관련하여,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재를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형성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점착력이 강한 점착재는, 고정부의 단부 등 외부로부터의 힘이 집중되는 부분에 도포되어 있다. 점착력이 약한 점착재는, 점착부의 강한 점착재가 도포되는 부분과 고정부의 강한 점착재가 도포되는 부분 사이에 도포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피착체로부터 그 흡수성 물품을 떼어낼 때 생기는 박리음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재가 각각 별도로 도포되어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재를 사용한 경우는, 점착력이 강한 점착재에 의해, 속옷의 섬유가 손상되는 정도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2006-296974호공보
본 발명은 고정부의 고정력을 조정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인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액유지성의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고정부는,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1 점착부와, 상기 제1 점착부와 동일한 성분의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2 점착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네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점착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상기 네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그 제1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이 상기 제2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
고정부에 형성되는 점착부의 평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부의 고정력이 조정된다. 이것은, 평량이 상이한 것에 의해, 점착부가 속옷 등의 피착체에 접하는 면에 침투하는 정도가 상이하여, 점착부의 박리력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2) 상기 점착 부재는, 상온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인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 상기 제1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은, 상기 제2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에 대하여 적어도 1.3배인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 상기 제1 점착부의 표면적은, 상기 제2 점착부의 표면적과의 비가 1 : 1∼9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 상기 제1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2.0 N/㎠∼10.0 N/㎠의 범위이고, 상기 제2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0.1 N/㎠∼2.5 N/㎠의 범위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의 고정력을 조정하여 피착체를 손상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Z-Z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팬티라이너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신체에서 배설되는 경혈, 뇨, 대하 등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신체의 가랑이 사이에 착용되는 것이지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여성의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대하를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팬티라이너를 예로 설명한다. 또,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 중 배설부를 향한 한쪽을 피부 접촉면으로 하고, 반대측의 다른 한쪽을 착의가 착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비피부 접촉면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Z-Z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팬티라이너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가 분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가 분리되어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가 간헐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팬티라이너(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전체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1.1] 전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티라이너(1)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팬티라이너(1)는 길이방향(LD)과 폭방향(WD)으로 폭을 갖는 대략 사각형 또는 타원형이다. 도 1은, 팬티라이너의 비피부 접촉면측을 나타내고 있고, 비피부 접촉면측에는,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LD)으로 연장되며, 팬티라이너(1)를 속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0)가 배치된다. 고정부(10)는, 네 모서리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에 형성된다. 고정부(10)는, 점착 부재로 형성되는 점착부(11, 12)와, 점착부와 점착부 사이의 점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은 비피부 접촉면측 시트의 일부(13)를 포함한다. 점착부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를 가지며, 제1 점착부(11)는 제2 점착부(12)보다 평량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는,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네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는, 제2 점착부(12)의 표면보다 팬티라이너(1)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고정부(10)의 평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점착부 또는 제2 점착부의 고정력 10에 차이를 둘 수 있다.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LD)의 길이는, 예를 들어 100 mm∼200 mm, 바람직하게는 120 mm∼180 mm을 예시할 수 있다. 폭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30 mm∼100 mm이 바람직하고, 40 mm∼7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팬티라이너(1)의 두께는, 표면 시트(2)에서 제1 점착부의 표면까지의 두께가 0.5 mm∼3.0 mm 사이가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티라이너(1)는, 액유지성의 흡수체(4)와, 흡수체(4)의 두께 방향의 한쪽인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흡수체(4)의 두께 방향의 다른 한쪽인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3)를 구비한다. 이면 시트(3)에는 고정부(10)가 배치된다. 고정부(10)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와, 하나의 점착부와 다른 점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점착 부재가 도포되지 않는 이면 시트(3)의 일부(13)를 포함한다. 제1 점착부(11)는,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길이방향(LD)으로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는, 팬티라이너(1)의 폭방향(WD) 외측에 형성된다. 제2 점착부(12)는, 고정부(10)의 한쪽 측가장자리부(43)측의 제1 점착부(11)와 다른쪽 측가장자리부(44)측의 제1 점착부(11) 사이에 형성된다. 즉, 팬티라이너(1)의 폭방향(WD)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폭방향 외측이란, 팬티라이너(1)의 외측 가장자리의 바깥쪽을 의미하며, 폭방향 내측이란, 팬티라이너(1)의 폭방향의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표면 시트(2), 흡수체(4), 이면 시트(3)의 각각의 사이에는, 적절하게 중간 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배설부로부터 배설되는 대하 등의 배설물은, 표면 시트(2)를 투과하여 흡수체(4)에서 흡수된다.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3)는 액불투과성이기 때문에, 배설물는 비피부 접촉면측에는 투과하지 않고, 흡수체(4)에 흡수된 상태로 유지된다.
[1.2] 표면 시트
표면 시트(2)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신체측에 배치되며 배설부에 접촉된다. 표면 시트(2)는, 전면(全面)이 액투과성이어도 되고, 일부가 액투과성이어도 된다. 또, 1장의 시트 부재로 구성해도 되고, 복수의 시트 부재를 접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올레핀계의 합성 섬유의 부직포이며, 평량이 35 g/㎡인 것을 사용했다. 표면 시트(2)는, 구멍이 있는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된다. 평량은 10 g/㎡∼10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1.3] 흡수체
흡수체(4)는, 표면 시트(2)를 투과한 대하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유지한다. 흡수체(4)로는, 예를 들어, 구멍이 있는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분쇄 펄프 등이 사용된다. 분쇄 펄프는 고흡수 폴리머를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4)는, 평량이 25 g/㎡이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레이온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비가 9 : 1인 것을 사용했다.
[1.4] 이면 시트
이면 시트(3)는, 액불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흡수체(4)가 유지하는 배설물 등이 착용자의 비피부 접촉면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면 시트(3)는, 예를 들어, 평량이 22.5 g/㎡인 액불투과성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했다.
[1.5] 고정부
고정부(10)는, 이면 시트(3)의 비피부 접촉면측의 외측면에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LD)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LD) 및 폭방향(WD)으로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부(10)는, 점착 부재로 형성되는 제1 점착부(11)와, 제1 점착부(11)와 동일한 점착력을 갖는 제2 점착부(12)와, 점착부와 점착부 사이에 있는 점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면 시트(3)의 일부(13)를 포함한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의 배치에 의해,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가 결정된다. 그 고정부(10)에 의해, 팬티라이너(1)는 피착체(100)에 고정된다.
[1.5.1] 점착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점착부(11)는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제2 점착부(12)는, 고정부(10)에서 제1 점착부(11)가 형성되는 부분과는 상이한 부분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제1 점착부(11)와 다른 제1 점착부(1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는 동일한 점착 부재로 형성된다. 동일하므로 성분도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의 점착력은 동일하다. 제1 점착부(11)가 형성되는 위치는,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피착체(100)의 가랑이에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는 장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는 점착부와 점착부 사이에 있는 점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면 시트의 일부도 포함한다. 제1 점착부는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어도 되고, 또 이면 시트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고정부(1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 점착부는 고정부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란, 사각이 원호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 각각의 변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 같은 곡선인 경우를 포함한다. 제1 점착부가 고정부의 적어도 네 모서리에 배치됨으로써, 피착체(100)의 가랑이부 및 가랑이부에 고정된 팬티라이너는, 팬티라이너를 변형시키는 힘를 받더라도,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로부터 어긋나거나, 고정부의 일부가 박리되거나, 팬티라이너(1)가 비틀리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점착부(11)의 점착 부재의 평량은, 제2 점착부(12)의 점착 부재의 평량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점착부(11)의 점착 부재의 평량은, 제2 점착부(12)의 점착 부재의 평량에 대해 적어도 1.3배이다.
예를 들어, 제1 점착부(11)의 점착 부재의 평량은, 25 g/㎡∼10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2 점착부(12)의 점착 부재의 평량은, 1 g/㎡∼4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 점착부(11)의 점착 부재의 평량이 제2 점착부의 점착 부재의 평량보다 작으면,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로부터 어긋나거나, 고정부(10)가 피착체(100)로부터 박리되거나, 팬티라이너(1)가 비틀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고정력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에서, 점착 부재의 평량에 차이가 생기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점착부(11)의 표면은 제2 점착부(12)의 표면보다 팬티라이너(1)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돌출된다. 제1 점착부(11)의 두께 방향의 길이는, 제2 점착부(12)의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제1 점착부(11)가 제2 점착부(12)보다 두껍다. 제1 점착부(11)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에서 0.02 mm∼0.1 mm의 길이의 범위에 도포된다. 제2 점착부(12)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방향에서 0.001 mm∼0.04 mm의 길이의 범위에 도포된다.
제1 점착부(11)가 0.02 mm보다 얇으면,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로부터 어긋나거나, 고정부(10)가 피착체(100)로부터 박리되거나, 팬티라이너(1)가 비틀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없다. 제1 점착부(11)가 0.1 mm보다 두꺼우면, 고정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피착체(100)의 섬유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제2 점착부(12)가 0.001 mm보다 얇으면, 제1 점착부(11)의 점착력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없어,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로부터 어긋나거나, 고정부(10)가 피착체(100)로부터 박리되거나, 팬티라이너(1)가 비틀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제2 점착부(12)가 0.04 mm보다 두꺼우면, 고정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피착체(100)의 섬유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의 두께의 비는, 제1 점착부에 대하여 제2 점착부가 1.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3배보다 작으면, 제1 점착부와 제2 점착부의 차이가 부족해진다. 차이가 부족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점착부의 평량이 1 g/㎡ 이하이면, 점착부에 충분한 박리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피착체(100)에 대하여 점착부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한편, 점착부간의 차이가 부족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점착부의 평량이 100 g/㎡ 이상이면,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에 전체적으로 붙어버려, 섬유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또, 제2 점착부(12)의 두께 방향의 길이는, 제2 점착부(12)가 접하는 피착체(100)면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점착부(11)가 피착체(100)에 침투하여 팬티라이너(1)를 고정하는 한편, 제2 점착부(12)가 피착체(100)를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점착부(12)의 두께 방향의 길이가, 제2 점착부(12)가 접하는 피착체(100)면의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 길면, 제2 점착부(12)도 제1 점착부와 함께 피착체(100)에 침투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2 점착부(12)는 제1 점착부(11)보다 표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의 표면적의 비는 1 : 1∼9이다. 제1 점착부(11)의 표면적이 제2 점착부(12)의 표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면, 박리할 때 피착체(100)를 손상하거나, 이면 시트(3)가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영향은 적어지지만, 팬티라이너(1)를 고정하는 힘이 부족하다. 반대로, 제1 점착부(11)의 표면적이 제2 점착부(12)의 표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지면, 고정하는 힘은 강해지지만, 피착체(100)나 이면 시트(3)에 대한 영향이 커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표면적의 비는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점착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점착부(12)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박리하고자 하는 힘에 대향하는 강도에 관해, 제1 점착부(11)의 박리 강도는 제2 점착부(12)에서의 박리 강도보다 강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20 N㎠∼10.0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N㎠∼5.0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라면, 팬티라이너(1)를 확실하게 피착체(1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점착부(12)의 박리 강도는 제1 점착부(11)의 박리 강도보다 약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0.1 N㎠∼2.5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0.5 N㎠∼2.5 N㎠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제1 점착부(11)에 의해 팬티라이너(1)가 피착체(10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점착재가 피착체(100)에 남거나, 잘 박리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기 않는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프로브택 시험에 기초하여 행한다. 시험 방법은, 시험기를 이용하며, 예를 들어 주식회사 이모토 제작소 제조 PICMA TACKING TESTER를 사용한다. 우선, 점착 부재를 25 ㎛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폭 20 mm가 되도록 도포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이 시험편을 상술한 시험기에 세팅한다. 측정 프로브에 피착체(100)로서의 시험 면포 (JIS L 0803-1998 면 카네킨 3호)를 10 mm×10 mm의 1 ㎠가 되도록 절취하여 부착하고, 하중 350 g/㎠, 접촉 시간 600초, 박리 속도 30 mm/분의 조건으로 실시한다. 측정은 23℃, 65%RH의 환경하에 실시하며, 5회의 평균에 의해 측정치를 구한다.
점착부를 형성하는 점착 부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임의의 패턴으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핫멜트 점착제를 사용했다. 핫멜트 점착제는,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 부여제, 가소제로 구성된다. 스티렌계 폴리머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이용해도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했다. 점착 부재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부드러워 상온에서 피착체(100)의 섬유와 섬유 사이에 들어가 부착할 수 있는 상온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온이란, 20℃±15℃(섭씨 5℃∼35℃)를 의미한다. 상온 감압성이란, 상온에서 단시간, 가볍게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점착부(11, 12)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를 구성하는 점착 부재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단위면적당 점착력이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점착 부재의 성분도 동일하다. 점착력이 동일하더라도, 제1 점착부와 제2 점착부의 점착부재의 평량이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점착부가 제2 점착부보다 두껍다. 또, 제2 점착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점착부가, 제2 점착부보다 박리 강도가 강하다. 점착 부재 자체의 점착력을 바꾸지 않고, 점착부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제1 점착부의 박리 강도가 강해지고, 피착체(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이 강하다.
피착체(100)는,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여성용 속옷(팬티)이며, 섬유로 짠 천이다. 팬티라이너(1)의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온 감압성 HMA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드러워 피착체가 갖는 구조의 간극에 들어갈 수 있다. 즉,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가 천에 접하면, 평량이 큰 제1 점착부(11)의 점착 부재가 피착체(100)의 섬유 사이에 들어간다. 그리고, 점착부가 두꺼운 제1 점착부가 피착체(100)의 섬유에 침투하여, 제2 점착부보다 강하게 팬티라이너(1)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점착부보다 평량이 작은 제2 점착부에서는, 팬티라이너가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피착체(100)의 섬유를 손상하지 않고 팬티라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피착체(100)에 고정된 팬티라이너(1)가, 외부로부터 힘를 받아 변형되기 쉬운 곳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팬티라이너(1)는, 피착체(100)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화살표 F1의 방향, 즉 팬티라이너의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힘을 받는다. 이 때문에,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 측가장자리부(53, 54)가 일어나도록 박리되거나 꺾이거나 하기 쉽다.
또, 팬티라이너(1)의 피부 접촉면측은, 착용자와 피착체(100)가 어긋나거나 접촉하거나 함에 따라 팬티라이너(1)도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이 경우, 팬티라이너(1)의 네 모서리가, 여러 방향(도 3의 가는 화살표)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기 쉬워, 박리되거나 꺾이거나 하기 쉽다.
상기와 같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대항할 수 있도록, 팬티라이너의 고정부에서 박리 강도가 상이한 점착부를 배치하여, 피착체(100)의 가랑이부의 변형에 따른 팬티라이너의 어긋남, 박리, 비틀림이 생기기 쉬운 부분에 고정력이 높은 제1 점착부를 배치했다. 이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어긋남, 박리,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박리 강도가 제1 점착부보다 약한 제2 점착부를 배치함으로써, 피착체(100)의 섬유가 손상되거나, 팬티라이너를 박리한 후에 점착재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면적내에 제2 점착부보다 박리 강도가 강한 제1 점착부를 배치함으로써, 강한 고정력이 필요한 경우에, 고정부의 면적을 넓게 취하지 않아도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에는 점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면 시트(3)측 시트의 일부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시트의 일부에는 점착 부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면 시트(3)측의 시트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는, 양호한 통기성을 얻을 수 있다.
[1.5.2] 점착부의 형성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점착 부재를 상이한 평량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점착 부재는 동일한 탱크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동일한 펌프로 퍼 올려 사용한다. 점착 부재는, 도포하는 대상인 시트 부재 또는 이면 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접하는 도공 부재인 코터 헤드에, 동일한 모듈로 제어되어 투입된다.
이 경우, 코터 헤드는 복수의 코터 블록으로 형성된다. 코터 블록과 코터 블록 사이에는, 심이라고 불리는 얇은 판이 끼워진다. 그 심에는, 점착 부재를 배출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의 형성 패턴이나, 오목부를 형성한 심을 끼우는 매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코터 헤드로부터 배출되는 점착 부재의 양이 조정된다.
심을 중첩하는 경우에, 하나의 심에 형성된 오목부와 다른 심에 형성된 오목부를 중첩하면, 오목부를 중첩한 장소에서는, 오목부를 중첩하지 않은 장소보다 많은 점착 부재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점착 부재를 배출하는 양을 변경함으로써, 시트 부재 또는 이면 시트에 도포되는 점착 부재의 평량이 달라진다. 그리고, 평량이 상이한 것에 의해, 도포되는 점착 부재의 두께가 달라진다.
또,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는, 소위 프린트 도공(점착 부재를 일반적인 인쇄 기술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점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와, 그 오목부보다 얕은 제2 점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오목 롤을 회전시켜, 탱크의 점착 부재를 롤에 부착시킨다. 오목 롤은, 적어도 2수준 이상의 깊이를 갖는 오목부를 갖는다.
다음으로, 점착재를 부착시킨 오목 롤과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실리콘 롤에, 점착 부재를 전사시킨다. 점착 부재가 부착된 실리콘 롤을 이면 시트의 비피부 접촉면측과 접촉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실리콘 롤로부터 점착 부재가 이면 시트에 전사된다. 여기서, 실리콘 롤에는, 오목 롤이 깊은 오목부로부터 전사된 평량이 큰 점착 부재와, 얕은 오목부로부터 전사된 평량이 작은 점착 부재가 전사된다. 이 때문에, 이면 시트에는 평량이 큰 점착 부재와, 평량이 작은 점착 부재가 전사된다. 이에 의해,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가 형성된다.
[1.6] 다른 배치예
도 4 내지 6은,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의 도공 패턴을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팬티라이너(1)는, 고정부(10)에서 길이방향(LD)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가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팬티라이너(1)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0)에서, 팬티라이너(1)의 폭방향 외측에 제1 점착부(11)가 형성되고, 제1 점착부(11)에 끼워지도록 팬티라이너(1)의 폭방향 내측에 제2 점착부(12)가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 사이에는 이면 시트의 일부(13)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피착체(100)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 근방의 고정부를 박리하고자 하는 힘에 대향하는 고정력이 강한 팬티라이너(1)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성에서도, 고정부(10)에서 점착부(11, 12)를 길이방향(LD)을 따라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점착부(11)는 제2 점착부(12)에 인접하여,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LD)의 양단부(51, 52)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LD) 양단부(41, 42)측에 형성된다. 제2 점착부는, 고정부(10)의 양단부(41, 42)측에 배치된 제1 점착부에 끼워지도록, 고정부(10)의 길이방향(LD)의 내측에 형성된다. 점착부(11, 12)와 점착부(11, 12) 사이에는 이면 시트의 일부(13)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LD)의 양단부(51, 52)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51, 52) 근방에 위치하는 고정부의 양단부(41, 42)측을 박리하고자 하는 힘에 대향하는 고정력이 강한 팬티라이너(1)가 형성된다.
도 5는,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가 분리되어 배치되며, 제1 점착부(11)를 고정부(10)의 길이방향 양단부(41, 42)측에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는, 고정부(10)의 폭방향(WD)을 따라서, 폭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 양단부(41, 42)측에 제1 점착부(11)가 형성되고, 제1 점착부(11)에 끼워지도록 고정부(10)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제2 점착부(12)가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 사이에는 이면 시트의 일부(13)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LD)의 양단부(51, 52)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근방의 고정부의 양단부(41, 42)측을 박리하고자 하는 힘에 대향하는 고정력이 강한 팬티라이너(1)가 형성된다.
도 6은,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를 대략 원형으로 형성하고, 고정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배치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팬티라이너(1)는, 상세하게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 양단부(41, 42)측에 제1 점착부(11)가 형성되고, 제1 점착부(11)에 끼워지도록 팬티라이너(1)의 길이방향의 내측에 제2 점착부(12)가 형성된다. 제1 점착부(11)와 제2 점착부(12) 사이에는 이면 시트의 일부(13)가 존재한다. 또, 제1 점착부(11) 및 제2 점착부(12)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이나 삼각 등 원하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LD)의 양단부(51, 52)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팬티라이너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근방의 고정부의 양단부(41, 42)측을 박리하고자 하는 힘에 대향하는 고정력이 강한 팬티라이너(1)가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팬티라이너의 점착부(11, 12)는, 다른 도면에 나타내는 팬티라이너에 비해 점착재의 도포량이 소량이면 되기 때문에, 보다 경량이며 얇은 팬티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합하다.

Claims (5)

  1. 일부 또는 전체가 액투과성인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인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액유지성의 흡수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고정부는,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1 점착부와, 상기 제1 점착부와 동일한 성분의 점착 부재로 구성되는 제2 점착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네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의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점착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상기 네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그 제1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이 상기 제2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보다 커지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온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은, 상기 제2 점착부의 상기 점착 부재의 평량에 대하여 1.3배 이상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의 표면적은, 상기 제2 점착부의 표면적과의 비가 1 : 1∼9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2.0 N/㎠∼10.0 N/㎠의 범위이고, 상기 제2 점착부의 박리 강도는 0.1 N/㎠∼2.5 N/㎠의 범위인 흡수성 물품.
KR1020107004026A 2007-07-25 2008-07-11 흡수성 물품 KR20100044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3208A JP5134299B2 (ja) 2007-07-25 2007-07-25 吸収性物品
JPJP-P-2007-193208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866A true KR20100044866A (ko) 2010-04-30

Family

ID=4028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026A KR20100044866A (ko) 2007-07-25 2008-07-1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191210A1 (ko)
EP (1) EP2172173A4 (ko)
JP (1) JP5134299B2 (ko)
KR (1) KR20100044866A (ko)
CN (1) CN101754737A (ko)
AU (1) AU2008278364A1 (ko)
BR (1) BRPI0812701A2 (ko)
EA (1) EA017189B1 (ko)
MX (1) MX2010000817A (ko)
TW (1) TW200922532A (ko)
WO (1) WO2009014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7758A1 (en) * 2011-03-14 2012-09-20 Lisa Hook Method and Article for Concealing Labia Ridges
PL2934416T3 (pl) * 2012-12-21 2018-02-28 Sca Hygiene Products Ab Układ do testowania płynów ustrojowych do wyrobu chłonnego
JP6173769B2 (ja) * 2013-05-17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173770B2 (ja) * 2013-05-17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WO2016072358A1 (ja) * 2014-11-04 2016-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034055B1 (en) 2014-12-15 2019-08-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thinner backsheet
USD772401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3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7910S1 (en) 2015-05-29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BR112017024228B1 (pt) 2015-05-29 2022-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flexível com uma camada absorvente lobulada
USD772402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89523S1 (en) 2015-05-29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6163534B2 (ja) * 2015-12-28 2017-07-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195332B2 (ja) 2018-03-20 2022-12-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における結合パターン
CN111867536B (zh) * 2018-03-20 2022-04-0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090540B2 (ja) * 2018-12-28 202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37757A1 (ja) * 2018-12-28 2020-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90541B2 (ja) * 2018-12-28 202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HUE066230T2 (hu) 2019-03-05 2024-07-28 Procter & Gamble Öntapadó mintával ellátott nedvszívó termékek
JP7272830B2 (ja) * 2019-03-11 2023-05-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まれた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個包装体
JP7469275B2 (ja) * 2021-09-17 2024-04-16 大王製紙株式会社 補助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772A (en) * 1981-03-06 1982-07-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dhesive backed sanitary napkin
EP0923921A1 (en) * 1997-12-20 1999-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onstruction adhesives applied at differing adhesive zones
US6710099B2 (en) * 1999-02-02 2004-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skin to facilitate water adhesion stability with low pain level removal
JP4522021B2 (ja) * 2001-06-27 2010-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50222548A1 (en) * 2004-04-06 2005-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excreta management device
US8048054B2 (en) * 2004-10-21 2011-11-01 Adherent Laboratories, Inc. Disposable article tab attachment adhesive
JP4596965B2 (ja) * 2005-04-25 2010-1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135660A (ja) * 2005-11-15 2007-06-07 Kao Corp 吸収性物品
JP4776402B2 (ja) * 2006-03-07 2011-09-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927320B2 (en) * 2006-09-20 2011-04-19 Tisteron, Ltd. Disposable waste containment article and a combination of two articles worn simultaneous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7189B1 (ru) 2012-10-30
EP2172173A1 (en) 2010-04-07
BRPI0812701A2 (pt) 2019-09-24
EP2172173A4 (en) 2012-07-18
EA201000247A1 (ru) 2010-06-30
US20100191210A1 (en) 2010-07-29
JP5134299B2 (ja) 2013-01-30
MX2010000817A (es) 2010-03-01
JP2009028139A (ja) 2009-02-12
TW200922532A (en) 2009-06-01
WO2009014018A1 (ja) 2009-01-29
CN101754737A (zh) 2010-06-23
AU2008278364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4866A (ko) 흡수성 물품
RU2603608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выступающей прилегающей к телу структурой
JP4596965B2 (ja) 吸収性物品
EP2851045B1 (en) Absorptive article
CN109475453B (zh) 吸收性物品
KR20050090405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90096604A (ko) 흡수성 물품
KR20090091318A (ko) 흡수성 물품
CZ284050B6 (cs) Absorpční výrobky s krycími díly, které přirozeným způsobem překrývají okraje kalhotek
JP2020048976A (ja) 吸収性物品
KR20000053541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JP5675291B2 (ja) 吸収性物品
JP5791332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3255682A (ja) 吸収性物品
JP4566080B2 (ja) 吸収性物品
JP5843598B2 (ja) 女性用吸収性物品
KR20110127743A (ko) 흡수성 물품
JP4471895B2 (ja) 吸収性物品
JP7090541B2 (ja) 吸収性物品
WO2012133474A1 (en) Absorbent article
CN113271901B (zh) 吸收性物品
JP4964310B2 (ja) 吸収性物品
US20220175591A1 (en) Absorbent article
JP2018102747A (ja) 男性用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